금강경 원문/해설 31.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 지견을 내지 않다.
須菩提 若人言 佛說 我見 人見 衆生見 壽者見. 須菩提 於意云何. 是人解我所說義 不.
수보리 약인언 불설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 수보리 어의운하. 시인해아소설의 부.
수보리여, 만약 사람이 "부처님께서는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을 설하셨다"라는 말을 했다고 치자.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 사람이 내가 설한 뜻을 이해했다고 보는가?
不也 世尊. 是人 不解如來所說義.
불야 세존. 시인 불해여래소설의.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은 여래께서 설하신 뜻을 이해하지 못했나이다.
何以故 世尊說 我見 人見 衆生見 壽者見 卽非我見 人見 衆生見 壽者見 是名 我見 人見 衆生見 壽者見.
하이고 세존설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 즉비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 시명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
무슨 까닭인가 하면, 세존께서 설하신 아견/인견/중생경/수자견은
곧 아견/인견/중생경/수자견이 아니고 그 이름이 아견/인견/중생경/수자견이기 때문입니다.
須菩提 發阿뇩多羅三먁三菩提心者 於一切法 應如是知 如是見 如是信解 不生法相.
수보리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자 어일체법 응여시지 여시견 여시신해 불생법상.
수보리여, 무상정등각을 이루기 위해 보리심을 발한 자는
일체법에서 마땅이 이와 같이 알고, 이와 같이 보고, 이와 같이 믿고 이해해서 法에 대한 상을 일으키지 말아야 한다.
須菩提 所言法相者如來說 卽非法相 是名法相.
수보리 소언법상자여래설 즉비법상 시명법상.
수보리여. 여래가 설한 법상이라는 말은 곧 법상이 아니요, 그 이름이 법상이니라.
# 해 설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자 !
바로 무상정등정각을 이루기 위해 보리심을 발한 자들을 말합니다.
바로 보살님들을 의미합니다.
보리살타, 즉 보살이란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을 없애신 분들입니다.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있고,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이 있습니다.
相이 있고, 見이 있습니다.
이 둘은 차이가 납니다.
아 상 - 나가 있다는 견해
인 상 - 남이 있다는 견해
중생상 - 고통당하는 중생이 있다는 견해(해탈한 존재의 반대 의미)
수자상 - 목숨(삶/죽음)이 있다는 견해
앞에서는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을 말씀하셨고, 뒷부분에서는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을 말씀하셨습니다.
이미 앞부분에서 일체법이 무자성이라 모두 가 다 텅 비어 었다라는 내용이 나옵니다.
그러니 모두가 다 텅 비어 있어서, 스스로에 불성이 있다는 견해가 바로 見 입니다.
내 속에, 또는 삼라만상에 공성/불성이 있는데, 그걸 실체로 여기는 견해를 말 합니다.
아 견 - 나에게 불성이 있다는 견해
인 견 - 남에게 불성이 있다는 견해
중생견 - 고통당하는 중생자체에게도 원래 불성이 있다라는 견해
수자견 - 불성이 있으므로 삶과 죽음이 원래 없다라는 견해
텅비어 있다라는 공성(空性)을 불성/진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공성(空性)에 뭐가 있다라고 여기면 안 됩니다.
공성이라는 것도 대상이 있어야만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라는 말은
색은 곧 실체가 없어서 텅 비어 있고, 그 텅비어 있음이란 곧 색에 의지해 있다라는 말 입니다.
공조차 색에 의지해야 존재가 가능하므로, 역시 실체가 없습니다.
색이 없으면, 空 조차도 있는게 불가능하니 말입니다.
예를 들어, 사과가 나무에 매달려 있습니다.
사과는 나무가 없으면 거기 존재하지 못합니다. 즉 독립적으로 존재가 불가능합니다.
고로 실체(我)가 없습니다. 그래서 無我입니다.
실체가 없이 텅 비어 있습니다. 그래서 空입니다.
사과의 특성/성품이 바로 空 입니다. 그래서 空性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때 사과 자체가 없을 경우를 예상해 봅시다.
사과 자체가 없을 경우에는 공성도 없습니다.
공성이라는 것도 반드시 물질인 사과에 의지해야만 합니다.
그러니 空性이라는 것도 역시 실체가 없습니다.
막연하게 이 空에 뭐가 있다라고 여기는 견해.......그게 見이겠지요.
이것만큼 위험한게 없다고 합니다.
진공묘유(眞空妙有)!
진정한 공에는 묘한게 있다라는 의미인데, 여기서 잘못되면 지견에 빠집니다.
묘한게 설사 있더라도 그것은 역시 공에 의해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실체가 없습니다.
空도 空입니다.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금강경 사구게(四句偈) 원문 및 해설 (1) | 2017.10.29 |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응하여 화함은 진실이 아님 (0) | 2017.10.29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30. 일합이상분[一合理相分] 하나로 합쳐진 가상세계 (0) | 2017.10.29 |
[스크랩] 금강경 원문/해설 29. 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 - 행주좌와가 고요하다. (0) | 2017.10.29 |
[스크랩] 금강경 해석/원문 28. 불수불탐분[不受不貧分] - 받지도 탐하지도 않는다. (0) | 2017.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