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심경 붓다의 향기

[스크랩] [반야심경] 연기법1-(1)

수선님 2018. 12. 2. 12:21

 

 

 

 

  
 
 

      연기법1-(1)


      지금부터가 본격적인 본론의 내용입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잠깐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앞으로 색(色)과 공(空)의 개념이 눈에 보이는데,
      색이란 물질을 나타내는 것이며,
      오온[색수상행식] 중에서 물질적 개념인‘색’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공(空)이라고 하면, 앞에서 누차 설명했던 연기, 중도,
      무자성(無自性)의 의미로서의 공을 의미합니다.

      즉, 여기에서 쓰인 ‘공’이라는 개념은,
      ‘없다’는 의미의 단순 부정이 아니라,
      인과 연에 의해서 모였으므로 인과 연이 다하면 반드시 사라진다는
      연기의 법칙을 의미하고 있는 것입니다.
      앞에서도 ‘공이 곧 연기’라는 논리는 설명한 바 있습니다.

      그런데, 연기에는 시간적 개념에서 바라본 연기인
      제행무상(諸行無常)의 이치가 있고,
      공간적 개념에서 바라본 연기인
      제법무아(諸法無我)의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제행무상의 이치를 설명하고 있는 것이 바로 ‘색불이공 공불이색’이며,
      제법무아를 설명하고 있는 것이
      바로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근본불교에서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연기법과
      삼법인의 제행무상, 제법무아가 어떠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본론에 앞선 순서일 것 같습니다.

      불교의 근본사상을 연기법이라 합니다.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법을 한 마디로 표현한다면
      바로 연기법이라 할 수 있다고 경전에서는 말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부처님께서 우루벨라 마을 네란자라 강가의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으신 내용의 핵심이 바로 연기법인 것입니다.

      『소부경전』의 우다나 편에 보면,

      참으로 진지하게 사유하여 일체의 존재가 밝혀졌을 때,
      그의 의혹은 씻은 듯이 사라졌다.
      그것은 연기의 진리를 알았기 때문이다.

      라고 기록되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부처님의 의혹이란,
      생사에 대한 의혹, 일체에 대한 궁금함이었을 것입니다.
      여기에서 부처님은 연기의 진리를 알았기에
      일체의 존재가 밝혀졌고, 의혹은 씻은 듯 사라졌다고 말하십니다.
      즉 생사의 매듭이 풀리고 깨달음에 도달했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부처님께서는 일체 존재의 실상을 연기를 통해 깨쳤다고
      한 것입니다.

       

       

       


    출처 : 붓다의 향기 뜨락
    글쓴이 : 여실각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