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식(調息, 조기調氣) :
호흡을 고르게 하여야 한다. 선에는 원래로 좌법도 호흡법도 필요 없지만 좌선하는 데는 반드시 좌선의 기법을 따라야 한다. 그렇지 아니할 때는 상기(上氣) 기타 신체상의 장애가 생겨 공부에 지장을 받을 때가 많다. 먼저 몸을 3, 4회 전후 좌우로 흔들어 자세를 바르게 한다. 처음에 호흡을 한 번 크게 내쉰다. (깊게), 다시 서서히 호흡을 들이쉰다. 이때 생각으로 호흡이 코에서 가슴을 거쳐 배로, 다시 아랫배(배꼽아래) 단전 부위에 이르는 것을 관한다. 호흡과 생각과 함께 단전으로 모아지게 한다. 이때 너무 단전에로 힘을 모으려고 무리하게 힘쓸 것은 없다. 다만 요긴한 것은 생각과 힘이 호흡에서 떠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숨을 들이쉴 때에는 비교적 가볍게 하고 토할 때는 되도록 정밀하게 서서히 하도록 한다. 호흡이 단전에 이르러서는 잠시 멈춘다. 그리고는 서서히 밖으로 내쉰다. 역시 생각은 빈틈없이 호흡을 추적하되 단전에서 가슴으로 다시 코로 내쉬는 것을 관하여야 한다. 이렇게 한 번 호흡하였을 때 [하나] 하고 생각으로 센다. 한 호흡이 끝나면 다시 반복하여 열까지 세고 그 다음에는 다시 하나부터 반복한다. 호흡은 들이쉴 때보다 토할 때에 더 정성을 드리도록 한다. 호흡은 항상 코로 한다. 속도는 평상시 보다 천천히 그리고 깊게하되 무리하지 않도록 한다.
호흡이 순숙해지면 자연히 미세하고 깊은 호흡이 되는 법이다. 호흡은 거칠면 안 된다. 서두르면 안 된다. 모든 생각을 놓아버리고 하여야 한다. 몸에서 기운을 풀고 바른 자세(특히 허리를 펼 것)와 편안한 마음으로 정성스럽게 하여야 한다. 이상이 수식관(數息觀)의 기본 요령이다. 수식관이 익숙해지면 수는 헤아리지 않는다. 다만 호흡과정만을 관觀하도록 한다. 호흡기초가 다져지면 공부에 큰 조도가 된다. 몸에서 병을 물리치고 수면이 단축되고 심신이 경쾌하여지며 정신집중력이 강해지고 의지에 의한 심신 통제력이 강화된다. 그리고 삼매를 키우는 터전이 굳어진다. 수식관은 반드시 참선한 선각자의 지도하에 행하여야 할 것을 거듭 말해 둔다. 좌선기초가 익어지면 반드시 화두를 배워야 하므로 더욱 그렇다.
조심(調心) :
마음을 고른다. 이미 몸이 안정되고 호흡이 고르게 되면 저절로 번뇌가 끊어져 맑은 마음이 드러나게 된다. 이 때에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일체 생각을 하면 안 된다. 도 깨치기를 바란다거나, 성인이 감응하기를 기다린다거나, 또는 이것이 좋은 공부다 하는 분별심을 내어서는 안 된다. 도무지 일체 생각을 말고 오직 공부를 지어갈 줄만 알아야 한다. 이것이 좌선의에 있어 마지막 과정이다. 마땅히 선지식의 지시를 받아 공부를 지어가되 결코 그 밖에 생각이 있어서는 안 된다. 자각선사는 말하기를 "이와 같이 오래오래 지어가 모든 반연을 잊으면 저절로 한쪽(一片)을 이룰 것이니 좌선의 요긴한 기술이다. 생각컨대 좌선은 이것이 안락법문(安樂法門)인데 사람들이 도리어 병을 얻는 것을 흔히 보니 그 원인은 대개가 마음을 잘 못쓰는 탓이라." 하였다.
호흡을 고르게 하여야 한다. 선에는 원래로 좌법도 호흡법도 필요 없지만 좌선하는 데는 반드시 좌선의 기법을 따라야 한다. 그렇지 아니할 때는 상기(上氣) 기타 신체상의 장애가 생겨 공부에 지장을 받을 때가 많다. 먼저 몸을 3, 4회 전후 좌우로 흔들어 자세를 바르게 한다. 처음에 호흡을 한 번 크게 내쉰다. (깊게), 다시 서서히 호흡을 들이쉰다. 이때 생각으로 호흡이 코에서 가슴을 거쳐 배로, 다시 아랫배(배꼽아래) 단전 부위에 이르는 것을 관한다. 호흡과 생각과 함께 단전으로 모아지게 한다. 이때 너무 단전에로 힘을 모으려고 무리하게 힘쓸 것은 없다. 다만 요긴한 것은 생각과 힘이 호흡에서 떠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숨을 들이쉴 때에는 비교적 가볍게 하고 토할 때는 되도록 정밀하게 서서히 하도록 한다. 호흡이 단전에 이르러서는 잠시 멈춘다. 그리고는 서서히 밖으로 내쉰다. 역시 생각은 빈틈없이 호흡을 추적하되 단전에서 가슴으로 다시 코로 내쉬는 것을 관하여야 한다. 이렇게 한 번 호흡하였을 때 [하나] 하고 생각으로 센다. 한 호흡이 끝나면 다시 반복하여 열까지 세고 그 다음에는 다시 하나부터 반복한다. 호흡은 들이쉴 때보다 토할 때에 더 정성을 드리도록 한다. 호흡은 항상 코로 한다. 속도는 평상시 보다 천천히 그리고 깊게하되 무리하지 않도록 한다.
호흡이 순숙해지면 자연히 미세하고 깊은 호흡이 되는 법이다. 호흡은 거칠면 안 된다. 서두르면 안 된다. 모든 생각을 놓아버리고 하여야 한다. 몸에서 기운을 풀고 바른 자세(특히 허리를 펼 것)와 편안한 마음으로 정성스럽게 하여야 한다. 이상이 수식관(數息觀)의 기본 요령이다. 수식관이 익숙해지면 수는 헤아리지 않는다. 다만 호흡과정만을 관觀하도록 한다. 호흡기초가 다져지면 공부에 큰 조도가 된다. 몸에서 병을 물리치고 수면이 단축되고 심신이 경쾌하여지며 정신집중력이 강해지고 의지에 의한 심신 통제력이 강화된다. 그리고 삼매를 키우는 터전이 굳어진다. 수식관은 반드시 참선한 선각자의 지도하에 행하여야 할 것을 거듭 말해 둔다. 좌선기초가 익어지면 반드시 화두를 배워야 하므로 더욱 그렇다.
조심(調心) :
마음을 고른다. 이미 몸이 안정되고 호흡이 고르게 되면 저절로 번뇌가 끊어져 맑은 마음이 드러나게 된다. 이 때에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일체 생각을 하면 안 된다. 도 깨치기를 바란다거나, 성인이 감응하기를 기다린다거나, 또는 이것이 좋은 공부다 하는 분별심을 내어서는 안 된다. 도무지 일체 생각을 말고 오직 공부를 지어갈 줄만 알아야 한다. 이것이 좌선의에 있어 마지막 과정이다. 마땅히 선지식의 지시를 받아 공부를 지어가되 결코 그 밖에 생각이 있어서는 안 된다. 자각선사는 말하기를 "이와 같이 오래오래 지어가 모든 반연을 잊으면 저절로 한쪽(一片)을 이룰 것이니 좌선의 요긴한 기술이다. 생각컨대 좌선은 이것이 안락법문(安樂法門)인데 사람들이 도리어 병을 얻는 것을 흔히 보니 그 원인은 대개가 마음을 잘 못쓰는 탓이라." 하였다.
출처 : 通達無我法者
글쓴이 : CD굽던노인 원글보기
메모 :
'참수행법(간화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좌선수행법] 호흡하는 데 주의할 몇 가지 (0) | 2018.12.23 |
---|---|
[스크랩] [좌선수행법] 좌선의坐禪儀 - 변마辨魔ㆍ호지護持 (0) | 2018.12.23 |
[스크랩] [좌선수행법] 좌선의坐禪儀 - 조면調眠ㆍ택처擇處ㆍ조신調身 (0) | 2018.12.23 |
[스크랩] [좌선수행법] 좌선의坐禪儀 - 서원誓願ㆍ사연捨緣ㆍ조식調食 (0) | 2018.12.16 |
[스크랩] [좌선수행법] 좌선의坐禪儀 - 서문 (0) | 2018.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