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문과 수행

[스크랩] 집착은 놓고 인연은 받아들인다

수선님 2018. 12. 23. 12:36

    집착은 놓고 인연은 받아들인다 수행자가 세상을 살아가는 방식이 집착은 놓고 인연은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이 말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그대로 실천하는 길이며, 불교의 모든 교리를 실 천하는 길이기도 합니다. 이 세상은 인연 따라 만들어지고 인연 따라 소멸하는 인연생기의 법칙에 따라 돌아가고 있습니다. 이 세상이 움직이는 법칙이 바로 인연과보의 법칙인 것이 지요. 그렇기 때문에 인연을 거스를 수는 없습니다. 내가 인연을 거스른다고 해도 그 것은 거스른 것이 아니며, 거스르고 싶다고 해도 거스를 수 없는 노릇입니다. 이 세상 유정 무정 어느 존재라도 인연의 법칙에서 예외인 존재는 없기 때문입 니다. 내 앞에 펼쳐진 그 어떤 인연이라도 그것은 내가 스스로 만들었고 스스로 받는 것일 뿐입니다. 그러할진데 내 것이 아니라고 우겨봐야 어쩔 수 없는 일입니다. ‘좀 잘생긴 외모를 가지고 태어났으면 좋았을 터인데 왜 하필이면 이렇게 못난 외모를 가지고 태어났을까’ 하고 인연을 탓한들 소용이 없습니다. ‘태어날 적 부터 부잣집에 태어났으면 좋았을 터인데 왜 이렇게 가난한 집에 태어나 고생 하는 거야’ 라고 탓한들 아무 소용이 없는 노릇입니다. 그것은 내 인연 따라 내 스스로 받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외모가 조금 못 났어 도, 가난한 집에 태어났더라도 그 인연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려는 적극적인 삶 의 자세가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지금 남편과의 자식과의 혹은 부모님과의 인연이라든가, 직장의 인연, 부부의 인연, 배움의 인연, 친구나 동료의 인연 등 지금 나의 삶의 환경들은 나에게 주 어진 내 인연인 것입니다. 그렇기에 어느 하나 버릴 것이 없습니다. 하늘에서 내리는 눈송이 하나 조차 정확히 떨어져야 할 곳에 떨어진다고 합니 다. 그만큼 자신의 인연은 정확히 그 자리에 있게 마련입니다. 그런데 사람들 은 그 인연에 내 잣대를 가지고 온갖 좋고 싫은 분별을 일으킵니다. 좋은 인연 을 만나면 애착하여 더 잡으려고 애를 쓰고, 싫은 인연을 만나면 애써 버리려 고 한다는 말입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런 인연의 흐름이 나의 어리석은 분별심으로 인해 껄끄러 워 지게 됩니다. 좋고 싫은 분별은 집착을 가져오고 그로 인해 우리는 몸과 입 과 뜻으로 업을 짓게 되는 것입니다. 인연을 만난다는 것은 풀어야할 인연, 지 금 녹여야할 업인(業因)을 만나는 것입니다. 그 때가 가장 녹이기 쉬울 때라는 것이지요. 그러니 그 때 거부하지 말고 바로 받아들여 섭수하여 내 안에서 녹 여 내고 가꾸어 가야 할 것입니다. 인연을 만날 때가 가장 그 인연 풀기 좋을 때인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 거부해 버리면 또 다음 어느 생에 어떤 인연으로 다시 만날지 어찌 알겠습니까. 지금 내 앞에 닥친 그 인연을 받아들여 섭수하면 지금 그 자리에서 업을 녹일 수 있 을 것이지만, 거부하려는 마음을 일으키면 온전히 녹이지 못한 채 더욱 커져 버린 업인을 만들어 잠시 과보를 뒤로 미루게 됩니다. 인연은 한 치의 오차도 없다고 합니다. 나타나야 할 가장 정확한 그 때 내 앞에 나타나는 것입니다. 지금 이 인연이 지금 이 순간에 가장 정확한 인연으로 내 앞에 나타나는 것이라는 거지요. 법계의 이치가 그렇습니다. 어느 하나 버릴 것 없는 부처님의 나툼인 것입니다. 어찌 어리석은 우리의 잣대를 가지고 부처님의 인연을 재고 거스르겠습니까. 인연은 어느 하나 버릴 것 없이 섭수해야겠지만 그렇다고 집착하고 애착을 가 지라는 말이 아닙니다. 세상 모든 존재며 경계, 조건들은 인연 따라 잠시 우리 앞에 나타난 것일 뿐이지 고정된 실체가 있어 딱 정해진 것이 아닙니다. 그야말로 인연이 화합하니 그 과보를 맺는 것일 뿐입니다. 그렇게 인연과보 의 법칙에 따라 결과를 받고 나면 그냥 그 인연은 다해 사라지게 마련입니다. 우리의 업에 빚대에 설명한다면 업인과보라 하여 우리의 삼업이 저지른 원인 이 그 결과, 과보를 가져온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업이 원인이 되어 과보를 맺 고 사라지면 그만인 것이지 거기에 무슨 실체가 있겠습니까. 그러니 좋은 인연이라고 애착하여 잡을 일이 아니며, 싫은 인연이라고 미운 마음에 버려서도 안 된다는 것입니다. 실체 없이 인연 따라 오고 가는 것이기 때문에 그냥 집착 없이 받아들이면 그 자리에서 녹아 없어지는 것입니다. 인연(因緣) 따라 잠시 오고 가는 것이기 때문에 항상하지 않아 무상(無常)하 다고 하고, 거기에 무슨 실체 있는 것이 아니므로 무아(無我)라 하며, 무상하 고 무아이므로 일체는 괴로움(苦)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인연법인 까닭에 무 상, 무아, 고이며 이러한 삼법인(三法印)의 특성을 가진 일체 모든 존재는 결 코 집착하여 얽매일 존재가 아닌 것입니다. 세상이 돌아가는 이치가 인연법이고, 그 인연법에 의해 존재하는 일체제법이 실체 없음(空)을 설하는 가르침이 삼법인인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연법 그 자체는 진리이니 받아들이고, 인연법에 의해 존재하는 일체제법은 실체없 음, 즉 공이니 그에 대한 집착은 놓고 가자는 것입니다. 집착을 놓고 인연은 받아들이는 삶은 그대로 인연법과 삼법인, 공을 실천하는 삶이 되며 진리를 드러내는 실천 수행이 되는 것입니다. 인연을 받아들일 때 이전에 지어 놓았던 업인을 녹일 수 있게 되며, 집착을 놓았을 때 더 이상 어리 석은 업을 짓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집착을 놓고 인연을 받아들이는 그 밝은 실천의 자리에 본래 면목 자성부처님의 지혜 밝게 비출 것입니다. 출처 :목탁소리(www.moktaksori.org)
출처 : 명상스쿨
글쓴이 : 선암♬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