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 중에 하나는 원(願)을 세우는 것입니다.
원(願)이라 함은 깨달음의 세계가 자신의 내면세계에 구축되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깨달음을 이룬다는 것도, 자기 성품자리를 볼 것[견성 見性]도 없이 본래 다 갖추어져 있음을 알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알아차림, 즉 깨우침은 훨씬 훗날의 일이며, 어쩌면 평생토록 알 지 못한 채 삶을 마감할지도 모릅니다.
눈 뜨지 않고서야 어찌 삼라만상의 봄, 여름, 가을, 겨울 소식을 알 수 있으리오.
눈 뜨지 않은 채 어찌 물 흐르는 소리, 새의 노래 소리며 날개 짓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겠습니까? 눈 뜨지 않은 채 어찌 나를 바로 볼 수 있겠습니까. 원(願)은 내 마음의 눈을 뜨는 일입니다.
우리들 중생의 원(願)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을 발(發)하는 일입니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부처님의 깨달음의 내용입니다. 즉 ‘아뇩다라’는 무상(無上)을, ‘삼’은 정(正)을, ‘먁’은 등(等)을, ‘보리’는 정각(正覺)을 뜻하니,
곧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입니다.
왜냐하면 부처님의 깨달음의 내용을 꼭 찝어 무상정등정각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얻은 바 없음을 얻었다 하시니, 무어라 이름지어 부른다면 이미 그리칠 것입니다. 그러나 중생을 위하사 법을 설하지 않고는 가르침을 전수할 수 없었으니, 방편으로 당신께서 깨달으신 진리를 이름 지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발(發)은 일으킨다는 뜻으로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줄여서 발보리심(發菩提心)은 지혜[보리菩提]를 구하려는 마음, 깨달음을 증득하기 위하여 일으켜 세운 마음을 말합니다.
[여아해불소설의 무유정법 명아뇩다라삼먁삼보리 역무유정법 여래가설 如我解佛所說義 無有定法 名阿뇩多羅三먁三菩提 亦無有定法 如來可說 "
사경(寫經)하는 이는 사경이, 주력(呪力)하는 이는 주력이 또한 그렇다고 내세웁니다. 그러나 여기서 반드시 집고 넘어가야할 것은 참선도, 염불도, 그외 어떤 수행법도 불법(佛法), 그 자체는 아니라는 점입니다. 왜냐하면 꼭 그렇다고 정해진 바가 없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기에 오늘의 이 강의 내용을 옮기는 사람마다 다른 소리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부처님께서는 과거세의 모든 부처님께서 설하신 바와 같이 중생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다르지 않다'는 것을 우리는 '같다[여如]'라고 말합니다.
이 세상에 오롯이 남아 있는 한 마디는 바로 '여(如)', 한 글자 뿐입니다. 그것 뿐입니다.
말로 또는 글로 표현된 것은 그뿐, 이미 여(如)는 아닙니다.
또 비로소 먹어본 그 기막힌 맛을 아무리 진지하게, 실감나게 이야기하더라도 듣는 이에게는 꿈속에서 떡보기요, 병풍 그림 속의 꽃일 뿐입니다. 기막힌 소식이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보리심이 없으면 부처님의 과보를 얻지 못하고 부처님의 과보를 얻지 못하면 중생을 제도할 수 없다.”라고 하였습니다.
한량없는 세월 동안 생사고해(生死苦海)를 돌고 돌아[윤회전생 輪廻轉生] 이 몸을 받아 온 지금, 나는 ‘부처님의 깨달음과 같은 경지의 깨달음[등각 等覺]’을 얻고자 보리심을 발하였습니다.
이 자리에 모인 여러 대중들도 한 사람, 한 사람이 모두 발심보살 아닌 분이 없습니다. 보리심을 발한 사람, 즉 발심보살은 늘 깨어있기 마련입니다.
왜냐하면 발보리심을 일으켜 세운 사람은 중생으로서 저지르는 여러 불선업(不善業)을 이미 떨쳐 버리고 자신 스스로를 닦아 부처가 될 마음을 일으켜 수행(修行)해나가기 때문입니다. 발심보살의 깨어있는 정신은 나의 근원으로 나를 인도합니다.
물러서지 않는 자기 수행과 자비의 실천을 병행해 나갈 때에 나의 보리심도 완성되리라 믿습니다.
'금강경, 반야심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妙行無住分 第 四 (0) | 2018.12.30 |
---|---|
[스크랩] 大乘正宗分 第三 (0) | 2018.12.30 |
[스크랩] 善現起請分 第二 (0) | 2018.12.30 |
[스크랩] 法會因由分 第 一 (0) | 2018.12.23 |
[스크랩] 金剛般若波羅蜜經 < 28역 집성 > 차례 (0) | 2018.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