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復次 須菩提 菩薩 於法 應無所住 行於布施 所謂不住色布施
不住聲香味觸法布施 須菩提 菩薩 應如是布施 不住於相 何以故
若菩薩 不住相布施 其福德 不可思量
須菩提 於意云何 東方虛空 可思量不"
"不也世尊"
"須菩提南西北方四維上下虛空可思量不"
"不也世尊"
"須菩提 菩薩無住相布施福德 亦復如是 不可思量
須菩提菩薩但應如所教住"
妙行無住分 第 四
復次須菩提야 菩薩은 於法에 應無所住하야 行於布施니 所謂不住色布施며
不主聲香味觸法布施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應如是布施하야 不住於相이니
何以故오 若菩薩이 不住相布施하면 其福德은 不可思量이니라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東方虛空을 可思量不아 不也니라 世尊하 須菩提야
南西北方四維上下虛空을 可思量不아 不也니다 世尊하
須菩提야 菩薩의 無住相布施福德이 亦復如是하야 不可思量이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但應如所敎住니라
금강경 강의(4)/해안 스님
4
※ 경문.
復次 須菩提 菩薩 於法 應無所住 行於布施 所謂不住色布施
不住聲香味觸法布施 須菩提 菩薩 應如是布施 不住於相 何以故
若菩薩 不住相布施 其福德 不可思量
復次 須菩提야 菩薩은 於法에 應無所住하여 行於布施니,
부차 수보리야 보살은 어법에 응무소주하여 행어보시니,
所謂不住色하고 布施하며 不住聲香 味觸法하고 布施러니,
소위부주색하고 보시하며 부주성향 미촉법하고 보시러니,
須菩提菩薩은 應如是 布施하고 不住於相하니 何以故오,
수보리보살은 응여시 보시하고 부주어상이니 하이고오,
若菩薩이 不住相布施하며 其福德이 不可思量 일새니라.
약보살이 부주상보시하며 기복덕이 불가사량 일새니라.
보시(布施) :
범어(梵語) dàna 의 音을 따 檀那(단나)라고도 쓰며, 육도(六度) 또는 사섭법(四攝法)의 하나로
보(布)는 보(普), 시(施)는 사(捨)의 뜻으로, 복리(福利)를 남에게 베풀어 준다는 뜻이다.
탐심을 떠나서 불 · 승 또는 가난한 이에게 조건없이 주는 것을 재시(財施)라 하고,
부처님의 법 · 정신의 양식을 풍부하게 해 주는 것을 법시(法施)라 하며,
계율을 지녀 남을 해치지 않고 두려워 하는 마음이 없게 하여 평안하게 해 주는 것을 무외시(無畏施)라 하며,
재시(財施)와 법시(法施)를 이종시(二種施)라 하고 무외시(無畏施)를 더하여 삼종시(三種施)
라 한다.
☞ 貧人(빈걸)이 來乞(내걸)이어든 隨分施與(수분시여)하라 同體大悲(동체대비)가 是眞布施
(시진보시)니라 : 가난한 이가 와서 구걸하거든 분수대로 나누어 주어라. 한몸 같이 가엾이 여기면 이것이 참 보시다.
※ 주석.
그리고 또 수보리야 보살은 응당 법에 착한 바 없이 보시를 행할지니,
이른바 색에 머물지 않고 보시할 것이며
소리나 향기나 냄새나 맛이나 부딪침이나 법에 착하지 않고, 보시할 지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응당 이와같이 보시하여 상에 착하지 말라함은, 어찌한 연고이냐,
만약 보살이 상에 주하지않고 보시하면, 그복덕을 가히 생각으로 헤아리지 못할 지니라.
※해설.
이경의 법문이 처음 수보리가 아뇩다라 샴막 삼보리 마음을 낸 이는,
그마음을 어떻게 머므르며 어떻게 항복 받으오리까 하고,
가르침을 청 하였을새,이 대문에서 만약 보살이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있으면,
곧 보살이 아니라고 말씀 하신데 까지는,
그마음을 항복받는 법을 가르쳐 보이시고,
이 대문에 와서는 그마음을 머므르는 법을 일러주신 것이다.
수보리야 보살이 법에 착 함이 없이 보시를 행할 것이니라 하셨다.
예를들면 "빛"이나 "소리"나 "냄새"나 "맛"이나 "부딪침"이나 "법" 이것은 육진을 말한 것인데
눈 귀 코 혀 몸 뜻 육근의 경계 (眼 耳 鼻 舌 身 意 六根境界) 이다). 에 주하지 말고
보시하라 하셨으니, 이것이 마음의 주처를 일러 주신 말씀이시다.
여기서 여러분의 의심이 생길것이니,
부주 不住 를 말한 것으로 어찌하여 주를 삼을 수 있을것인가 하는 의심이다.
눈을 감고 묵묵히 눈을 감고 생각하여 보라,
우리들 본마음의 주처가 어디인가,산인가 들인가,바다인가 천상인가,
지하인가 전라도 인가 충청도인가,아니 동양인가 서양인가,
아무리 천상천하 시방세계를 다 �아 보아도 우리 본심의 주처를 알수 없는 것이다.
육근六根 에도 주하지않고, 육진 六塵 에도 주하지 아니하여,
주가 없는 그곳이, 이 우리의 깨끗한 본심本心 의 주처이니
상에 주하지 말고 보시 하라함은 깨끗한 마음으로 보시를 하라는 말씀 이시다.
보시란 무엇인가,
물질로나 법으로나 남에게 베풀어 주는것을 보시라 하나니,
六根(육근)육식(六識)을 낳는 여섯 가지 근.
곧,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의 총칭(總稱)
十二處 육근(㉡여섯번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4-08-52-04" ;>六㉡근본
㉢밑둥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1-52-03" ;>根)과 육경(㉡여섯번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4-08-52-04" ;>六㉡경계
㉢경우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01-22-02" ;>境). 두 가지의 접촉(㉡접붙이다
㉢모이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9-14-01" ;>接㉡범하다
㉢더럽히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10-18-03" ;>觸)에 따라 모든 생각이 일어남 :
六根淸淨 진리(㉡참으로
㉢사진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9-35-02" ;>眞㉡다스려지다
㉢깁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4-36-02" ;>理)를 깨달아 육근의 탐욕(㉡탐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12-05-01" ;>貪㉡탐내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08-41-01" ;>慾)을 깨끗이 없애는 일
外塵 (외진) 마음 밖에 있는, 육근(㉡여섯번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4-08-52-04" ;>六㉡근본
㉢밑둥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1-52-03" ;>根)의 대상(㉡대답하다
㉢상대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3-07-04" ;>對㉡꼴
㉢모양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07-07-06" ;>象)이 되는 사물(㉡섬기다
㉢부리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7-01-16" ;>事㉡만물
㉢사물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5-22-02" ;>物).
곧 색(㉡색
㉢색정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7-09-01" ;>色)ㆍ성(㉡풍류
㉢노래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7-17-10" ;>聲)ㆍ향(㉡향
㉢향기로움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14-11-02" ;>香)ㆍ미(㉡기분
㉢취향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5-23-03" ;>味)ㆍ촉(㉡범하다
㉢더럽히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10-18-03" ;>觸)ㆍ법(㉡방법
㉢불교의 진리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6-10-01" ;>法)ㆍ육진(㉡여섯번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4-08-52-04" ;>六㉡때(시간)
㉢유업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3-09-35-08" ;>塵)
六塵(육진) 심성(㉡생각
㉢염통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7-38-01" ;>心㉡바탕
㉢성별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7-17-02" ;>性)을 더럽히는 육식(㉡여섯번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4-08-52-04" ;>六㉡지식
㉢식견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7-35-04" ;>識)의 대상계(㉡대답하다
㉢상대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3-07-04" ;>對㉡꼴
㉢모양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07-07-06" ;>象㉡경계
㉢둘레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1-23-03" ;>界).
곧 육식에서 생기는 '빛ㆍ소리ㆍ냄새ㆍ맛ㆍ감촉ㆍ법'의 여섯 가지 욕정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이것에 더럽혀지지 않는 일을 육근 청정이라 함 : 외진(㉡외국
㉢외가
')" onmouseout=tooltipOff() ;>外㉡때(시간)
㉢유업
')" onmouseout=tooltipOff() ;>塵), 육적(㉡여섯번
')" onmouseout=tooltipOff() ;>六㉡도둑질
㉢역적
')" onmouseout=tooltipOff() ;>賊)
보살이 피안에 이르는 방편으로 만행을 닦는것이나 일만가지 행이
육바라밀에 지나지 않는 것이요
육도문 가운데에도 보시가 머리가 되지 않는 것이니 계를 닦는것과 지혜를 밝히는것은
보시의 다음이다
그러므로 보시는 피안에 이르는데 가장 빠른 길이 된다.
어째서 그러한가,
이세상에서 가장 무서웁고 더러운 죄악의 근본이, 모두 탐욕에서 기인되는 것인데,
보시는 이탐욕의 무서운 병근을 다스리는 선약도 되고, 자비심의 등불도 되기 때문이다.
왜 그러한가,
보시는 내것을 널리 베풀어 준다는 뜻이니, 준다는것은 곳 놓아 버린다는 뜻이된다.
우리는 참으로 잘살기 위하여 내가 가지고있는 모든 것을 놓아 버려야 한다.
이것이 참으로 보시인 것이다
눈도 놓아 버리고 귀도 놓아 버리고 코도 혀도 몸도 아름 아리도 놓아 버려야 한다.
이것이 참으로 보시인 것이다.
모두를 놓아 버리고 한물건도 더 놓을 것이 없이 가난하게 된때가 바로 잘살게 될때요
거기가 도피안이요 그곳이 극락 세계인 것이다.
여기서 또이런 생각을 이르키지 말라.
보시라 함은 주고받는자가 있고 주고받는 물건이 있을것이니
어떻게 상에 주하지 않고 보시를 행할것인가,
이런생각을 하지 말라.
하늘이 비와 이슬을 내리고, 땅이 만물을 기르되 내가 보시 한다는 상이 없이 하고 있으며,
햇빛과 공기가 또한 그러하지 않은가,
내마음이 깨끗하면, 육근이 육근이 아니요,
육진이 육진이 아닌 것이니 주는자가 받는자가 있고,
주고받고 하는물건이 천만가지가 되기로서 어찌 한사람인들 볼수 있으며
한물건 인들 있을수 있으랴.
이것이 상에 머물지않는 보시이니 이와같이 깨끗한 마음으로 보시하면
이복덕이야 말로, 사량 할수 없이 크다는 말이다.
※ 경문.
須菩提 於意云何 東方虛空 可思量不"
"不也 世尊"
"須菩提 南西北方四維上下虛空 可思量不"
"不也 世尊"
須菩提 야 於意云何 오 東方虛空
수보리 야 어의운하 오 동방허공 을
可思量不 아 不也 니라 世尊이시여 須菩提
가사량부 아 불야 니라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南西北方四維上下虛空 可思量不
남방북방사유상하허공 가사량부아
不也 니이다 世尊.
불야 니이다 세존이시여.
四維(사유)
①사우(四隅)
②국가(國家)를 유지(維持)하는 데 필요(必要)한
예(禮:예절), 의(義:법도) 염(廉:염치), 치(恥:부끄러움)의 네 가지
유(維)는 방우(方隅), 즉 모퉁이를 말한다. 네 구석의 방향. 서남(西南)의 곤(坤)의 4개의 간방(間方)을 말한다. 하고, 여기에 사유인 네 모퉁이를 넣어 10개 방향을 시방(十方)이라 한다. |
|
| |
↙ 모퉁이 방향 ↘ | |
시방세계(十方世界)라 하면 '온 세계'를 말하는 것이고 시방정토(十方淨土)라 하면 '무량무변한 여러 부처의 정토'를 말하는 것이다. |
四隅(사우)
①제 구석이나 네 군데의 모퉁이
②네 모퉁이의 방위. 곧 북동ㆍ남동ㆍ북서ㆍ남서(㉡남쪽
㉢풍류 이름(아악의 이름)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2-05-01" ;>南㉡서양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7-11-01" ;>西)의 네 방위. 사유(㉡네 번
㉢사방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7-01-01" ;>四㉡바(밧줄)
㉢구석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08-51-03" ;>維)
③둘레의 사방을 비유(㉡나란히하다
㉢따르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6-25-01" ;>比㉡깨닫다
㉢비유하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3-08-51-07" ;>喩)하여 이르는 말
思量(사량) 생각하여 헤아림
非思量 사량에 매이지 않고, 사특한 생각을 없애는 일. 선가의 좌선의 요체
※ 주석.
수보리야 네뜻에 어떠하냐,
동방 허공을 가히 사량 하겠는가,
못함니다.
세존 이시여 수보리야,
남서북방과 사유 상하 허공을 가히 사량 할수 있는가,
못함니다. 세존이시여.
※ 해설.
부처님의 설법이, 매양 법 을 먼저 설하시고,
다음에 비유를 들어 보이기도 하시고 먼저 비유를 들어 보이고,
다음에 법을 설하기도 하였으니, 그러한 예로 여기서는,
상에 주하지 않고 보시하는 복덕이,
한량없이 큼을 말씀 하시고저 먼저 허공의 비유를 드신 것이다,
사유는 동서남북의 사이가 되는 것이요,상하는 위 아래이니,
동서남북과 사유와 상하를 합하면,시방 허공이된다.
※ 경문.
須菩提 菩薩無住相布施福德 亦復如是 不可思量
須菩提 야 菩薩 의 無住相布施福德 도 亦復如是 하여 不可思量
수보리 야 보살 의 무주상보시복덕 도 역부여시 하여 불가사량 이니라.
※ 주석.
수보리야 보살이 상에 주하지 않고 보시 하는 복덕도,
또한 이와같아, 가히 사량 할수 없나니라.
※ 해설.
먼저 비유를 드시고, 이 대문에서 법을 들어 보이셔, 저 가이없고
위 아래가 업는 것과같이, 상에 머물지 않고 하는
보시복덕(布施福德) 도, 크고 커서,
어떻다고 사량할 수 없나니라 하신 것이다.
※ 경문.
須菩提 菩薩 但應如所教住
須菩提 야 菩薩 은 但應如所敎住.
수보리 야 보살 은 단응여소교주 니라.
※ 주석.
수보리야 보살이 다만 가르친바 대로 주할지니라.
※ 해설.
부처님께서는,
수보리의 물음에 따라 마음 주하는 법을 말씀 하시고,
이 대문에서 윗 말들을 매잘라, 내가 위에서 알려준 바와같이
그마음을 머므르 라고(住) 하신 것이다.
언해본】
“또 다음으로 須菩提야. 菩薩이 法에 마땅히 머무르는 곳 없이하여 布施를 행(해야)할 것이니,
이른(바) 色에 머무르지 아니한 布施와 聲?香?味?觸?法에(도) 머무르지 아니한 布施이다.??
“須菩提야. 菩薩이 마땅히 이같이 布施하고 相에 머무르지 아니(해야) 할 것이다.??
“어째서인가?
만약 菩薩이 상에 머무르지 아니하여 布施하면 그 福德이 思量(하지) 못할 것이다.??
“須菩提야. (네) 뜻에 (生覺에) 어떠하냐? 東方 虛空을 가히 思量 할 것이, 못할 것이냐???
“아닙니다(헤아리지 못할 것입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南?西?北方과 四維?上下의 虛空을 能히 思量할 것이냐, 못할 것이냐???
“아닙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의 住相에 없는 布施의 福德도 또(한) 이와 같아서 思量 못할 것이니…??
“須菩提야, 菩薩은 오직 가르침같이(가르친 바대로) 머물러야 할 것이다??
【범어본】
그리고 또 實로 須菩提여, 菩薩은 事에 머물러 布施해서는 안 된다.
무엇인가에 머물러 布施해서도 안 된다.
色에 머물러 布施해서도 안 되며, 聲·香·味·觸·法에 머물러서 布施해서도 안 된다.
實로 須菩提여, 菩薩대사는 相이라는 生覺에도 머물지 않는 것처럼, 이와 같이 布施하지 않으면
안 된다.
왜냐하면 須菩提여, 菩薩로서 머무는 바 없이 布施한다면 須菩提여, 그의 福聚(福德)의 양은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다.
須菩提여, 東方에 있어서 虛空의 양을 헤아리는 것이 가능하다고 生覺하는가?
須菩提는 대답했다.
아닙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스승이시여.
스승은 물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南·西·北·下·上·四維에 있어서, 널리 十方에 있어서도 虛空의 양을 측량하는
것이 가능하겠는가?
須菩提는 대답했다.
아닙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스승이시여.
스승은 말했다.
이와 같아서 須菩提여, 만일 菩薩이 머무는 바 없이 布施한다면, 그의 福聚의 양은 헤아릴 수 없는
것이다.
實로 須菩提여, 菩薩乘에 나아간 자는 상이라는 生覺에 있어서조차 머물지 않는 것처럼,
그와 같이 布施하지 않으면 안 된다.
【몽고본】
또 수부티여, 菩薩은 事物에 住하지 않고 施를 行하여야 한다.
어떠한 物에도 住하지 않고 施를 行하여야 한다. 色에도 住하지 아니하고 施를 行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성·향·미·촉과 法에도 住하지 아니하고 시를 行하여야 한다.
수부티여, 實로 相想에도 住하지 阿那含果 같이 菩薩 摩訶薩은 施를 行하여야 하느니라.
그것은 왜냐하면 수부티여, 제 菩薩이 어떤 物에도 住하지 아니하고 布施를 행하면,
그 福德聚는 수부티여, 計量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수부티여, 이것을 어떻게 生覺하는가?
東方의 虛空은 量하기 쉽다고 生覺하는가?
수부티가 말했다.
世尊이시여, 그것은 不可能하옵니다.
世尊께서 말했다.
수부티여, 그와 같이 南과 西와 北과 上과 下 方과 方隅와 十方의 虛空을 量하기가 쉽다고
生覺하는가?
수부티가 말했다.
世尊이시여, 그것은 할 수 없습니다.
世尊께서 말했다.
수부티여, 그와 같이 제 菩薩은 어떤 物에도 住하지 않고 施를 行한 그 福德聚로 말하자면
수부티여, 計量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니라.
阿那含果(아나함과)성문 사과의 셋째. 욕계의 아홉 가지 번뇌(㉡괴로워하다
㉢바쁘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06-07-01" ;>煩㉡괴로워하다
㉢괴롭히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02-16-02" ;>惱)를 모두 끊고, 죽은 뒤에
천상(㉡하느님
㉢자연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10-11-02" ;>天㉡앞
㉢첫째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7-07-01" ;>上)에 가서, 다시 인간(㉡남
㉢딴 사람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8-64-01" ;>人㉡틈
㉢때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1-03-02" ;>間)에 돌아오지 아니하는 지위(㉡곳
㉢처지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9-33-07" ;>地㉡지위
㉢위치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8-50-01" ;>位)
아나함(阿那含) :
아나가민(An g min)의 음역. 아나함은 성문의 세번째 지위로서 불래(不來)라 한역한다.
즉 인간세상에 다시는 오지 않는다는 뜻이다.
욕계의 9품수혹 중 6품을 끊고 사다함이 된 성문이 나머지 3품을 끊기 위해 다시 태어나 一生동안
다 끊어 아나함이 되고서는, 색계의 제4선천(第四禪天)의 일부인 오나함천(五那含天=무번천,
무열천, 선현천, 견견천, 색구경천)에 가서 태어나게 된다.
【티베트본】
또한 수부띠여, 菩薩은 存在물에 머물지 않고 布施를 行해야 한다.
어떠한 것에도 머물지 않고 布施를 行해야 한다.
形狀에 머물지 않고 布施를 行해야 한다. 이와 같이 소리와 香氣와 맛과 感觸과 뜻의 對相에도
머무르지 않고 布施를 行해야 한다.
쑤부띠여, 무엇보다도 人相을 따라서 알음얼에 머물지 않도록 菩薩은 布施를 행해야 한다.
形狀에 머물지 않고 布施를 행해야 한다. 이와 같이 소리와 향기와 맛과 감촉과 뜻의 대상에도
머무르지 않고 布施를 행해야 한다.
쑤부띠여, 무엇보다도 人相을 따라서 알음얼에 머물지 않도록 菩薩은 布施를 행해야 한다.
그것은 무슨 까닭이냐?
쑤부띠여, 菩薩이 어떠한 것에도 머물지 않고 布施를 행하는 功德의 쌓임은,
쑤부띠여, 크기를 헤아리기가 쉽지 않은 까닭이다.
【용성】
다시 다음에 須菩提야 菩薩이 저 法에 마땅히 머문바 없이 布施를 행할지니 이른바 색에 머물지 아니하여 布施하며 소리와 향기와 맛과 부딪쳐 깨닫는 것과 法에 머물러 布施하지 아니하나니라.
須菩提야 菩薩이 마땅히 이와 같이 布施하되 상에 머물지 아니하나니라.
어찌한 緣故냐 하면 만일 菩薩이 상에 머물지 아니하여 布施하면 그 福德이 가히 生覺하여
헤아리지 못하리라.
須菩提야 저 뜻에 어떻다 하느냐. 東方虛空을 가히 生覺하여 헤아리겠느냐 못 하겠느냐?
못하겠습니다 世尊님이시여.
須菩提야 남서북방 思惟상하 虛空을 가히 生覺하여 헤아리겠느냐 못 하겠느냐?
못 하겠습니다 世尊님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이 상에 머물지 아니하여 布施하는 福德도 또한 다시 이와 같아서 가히 生覺하여
헤아리지 못 하나니라,
須菩提야 菩薩이 應當히 다만 가르친 바와 같이 머물지니라.
【운허】
“또 須菩提야, 菩薩이 法에 대하여 마땅히 머물러 있는 生覺이 없이 布施를 할 것이니
이른 바 빛에 머물지 않고 布施하며, 소리와 냄새와 맛과 닿임과 法塵에 머물지 않고 布施하여야
하느니라.
須菩提야, 菩薩이 마땅히 이렇게 布施하되 模樣다리에 머물지 말지니라.
무슨 까닭이냐 만일 菩薩이 模樣다리에 머물지 않고 布施하면, 그 福德을 生覺하여 요량할 수
없느니라.
須菩提야, 네 生覺에 어떠하냐? 동쪽에 있는 虛空을 生覺하여 요량할 수 있겠는가?”
“못하나이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남쪽?서쪽?북쪽과 네 간방과 위와 아래에 있는 虛空을 生覺하여 요량할 수
있겠느냐? ??
“못하나이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이 模樣다리에 머물지 않고 布施한 福德도 역시 그와 같아서 生覺하여 요량할
수 없느니라.
須菩提야. 菩薩이 마땅히 위에 말한 바와 같이 머물지니라.”
【신소천】
“다시 또 須菩提야 菩薩은 뻑뻑히 法에 머무른 바 없이 布施를 행할지니, 이른바 색에 머물지
아니한 布施이며 빛과 소리와 냄새와 맛과 부디침과 요량(法)에 머물지 않고 하는 布施니,
須菩提야 菩薩은 뻑뻑히 이러히 布施할지요 상에 住하지 아니 할 것이다.
어찌한 緣故이냐? 만약 菩薩이 상에 머물지 아니하고 布施할지면 그 福德이 가히 生覺으로
헤아릴 수 없는 것이다.
須菩提야, 네 뜻에 어떠하냐? 東方 虛空을 가히 思量으로 헤아리겠는가?”
“못하겠나이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남?서?북방과 思惟상하 虛空을 가히 思量으로 헤아릴 수 있겠는가.??
“아니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의 상에 머뭄이 없는 布施의 福德도 이와 같으니 思量이 옳지 않으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다못 가르친 바와 같이 뻑뻑히 머무를 것이다.??
【권상로】
다시 須菩提야 菩薩이 法에 반드시 住한 바 없이 布施를 行할 것이니 이른바 色에도 住하지 않고
布施하며 소리와 香과 맛과 觸感과 法에도 住하지 않고 布施하는 것이니라
須菩提야 菩薩이 마땅히 이렇게 布施하고 相에 住하지 말지니라
어쩐 緣故냐 만일 菩薩이 相에 住하지 않고 布施하면 그 福德을 가이 헤아리지 못하리라
須菩提야 뜻에 어떠하뇨 東方 虛空을 가이 헤아리겠느냐
아니외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남방 서방 북방과 思惟 상방 하방 허공을 가이 헤아리겠느냐
아니외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이 상에 住하지않고 布施한 福德도 다시 이와 같아서 가이 헤하리지 못하니라
須菩提야 菩薩이 다만 마땅히 가르친 바와 같이 주 할지니라.
【명봉】
“다시 다음 須菩提야 菩薩이 法에 머무는 바 없이 布施를 행할 것이니,
이른바 色塵에 머무르지 않는 布施며 소리?냄세?맛?촉 ?法塵에 머무름 없이 布施 할 지니라.??
“須菩提야 菩薩이 이와 같이 布施하여 상에 머무르지 말지니
어쩜인고 만약 菩薩이 상에 머무르지 않고 布施하면 그 福德을 가히 헤아리지 못할 것이니라.??
“須菩提야 뜻에 어떠한고 東方 虛空을 가히 헤아리겠느냐.??
“못합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남서 북방 思惟상하 虛空을 가히 헤아리겠느냐.??
“못합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이 상에 머무름이 없이 布施하는 功德도 또한 다시 이와 같아서 가히 헤아리지
못할지니라.??
“須菩提야 菩薩이 다만 가르치는 바와 같이 머무를 지니라.??
【기산】
다시 須菩提야! 菩薩은 모든 法에 마땅히 住着한 바가 없이 布施를 행해야 하나니 이른바 색에
주착 하지 않는 布施와 성·향·미·촉·法에 주착 하지 않는 布施이다.
須菩提야! 菩薩은 應當 이와 같이 布施를 하여 상에 주착 하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만일 菩薩이 상에 住着하지 않고 布施하면 그 福德이 生覺으로 헤아릴 수 없으리
만큼 많기 때문입니다.
須菩提야! 네 뜻에 어떠하냐, 東方 虛空을 가히 生覺으로 헤아리겠느냐 못하겠느냐?
못하겠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남서북방과 4유상하의 虛空을 가히 生覺으로 헤아리겠느냐 못하겠느냐?
못하겠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의 상에 주책없이 布施하는 福德도 또한 이와 같아서 이루 다 生覺으로 헤아리지
못할 만큼 많으니
須菩提야! 菩薩은 오직 이 위에서 가르쳐 준 바와 같이 安住해야 한다.
【해안】
“그리고 또 須菩提야, 菩薩은 應當 法에 着하는 바 없이 布施를 행할지니 이른바 色에 머물지
않고 布施할 것이며, 소리나 향기나 맛이나 부딪침이나, 法에 착하지 않고 布施할지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應當 이와 같이 布施하여 상에 착하지 말라 함은, 어찌한 緣故이냐,
만약 菩薩이 상에 住하지 않고 布施하면, 그 福德은 가히 生覺으로 헤아리지 못할 지니라.”
“須菩提야, 네 뜻에 어떠하냐, 東方 虛空을 가히 思量하겠는가.??
“못합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남 서 북방과 思惟 상하 虛空을 가히 思量 할 수 있겠느냐.??
“못합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이 상에 住하지 않고 布施하는 福德도 또한 이와 같아,
가히 思量 할 수 없나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다만 가르친 바대로 주할지니라.??
【청담】
“또 須菩提야, 菩薩은 온갖 法에 끄달리지 말고 布施를 할 것이니, 빛이나 模樣에 執着하지 말고
布施하며, 소리나 냄새나 맛이나 촉감이나 理致에 執着하지 말고 布施해야 하느니라.
須菩提야, 菩薩이 마땅히 어떻게 布施하지만 현상에 머물지 말 것이니 왜 그러냐 하면 菩薩이
만일 현상에 머물지 않고 布施하면 그 福德은 生覺으로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니라.”
“須菩提야, 너는 어떻게 生覺하느냐. 동쪽 虛空을 生覺으로 다 헤아릴 수 있겠느냐.??
“못하겠나이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남쪽 서쪽 북쪽과 네 間方과 아래위 虛空을 生覺하여 헤아릴 수 있겠느냐.??
“못하겠나이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이 현상에 執着하지 않고 布施하는 福德도 또한 이와 같아서 生覺하여 헤아릴
수 없이 많으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마땅히 가르친 그대로 머물지니라.??
【탄허】
“復次 須菩提야 菩薩이 法에 應當 住하는 바가 없이 布施를 행할지니, 이른바 색에 住하지 않고
布施하며, 성?향?미?촉?法에 住하지 않고 布施함이니라.??
“須菩提야 菩薩이 應當 이와 같이 布施하여 상에 住하지 말지니, 어찌 쓴 緣故요.
만일 菩薩이 상에 住하지 않고 布施하면 그 福德을 가히 思量치 못 하나니라.
須菩提야, 뜻에 어떠한고 東方 虛空을 가히 思量하느냐 못하느냐?”
“못합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남?서?북방과 思惟?상하의 虛空을 가히 思量하느냐 못하느냐?.??
“못합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의 無住相으로 布施하는 福德도 또한 다시 이와 같아서 가히 思量치 못
하나니라.??
“須菩提야 菩薩이 다만 應當 가르친 바와 똑 같이 住할지니라??
【광덕】
그리고 또 須菩提야! 菩薩은 마땅히 法에 머문 바 없이 布施를 행할지니, 이른바 形相에 머물지
않은 布施이며 성·향·미·촉·法에 머물지 않은 布施여야 하느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應當 이와 같이 布施하여 상에 머물지 않느니라. 어찌한 까닭이랴?
만약 菩薩이 상에 머물지 않고 布施하면 그 福德을 가히 生覺으로 헤아릴 수 없느니라.
須菩提야! 어떻게 生覺하느냐, 동쪽 虛空을 가히 生覺으로 헤아릴 수 있겠느냐?
“못하겠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남서북방과 思惟와 상하 虛空을 가히 生覺으로 헤아릴 수 있느냐?”
“못하겠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의 상에 머무름이 없는 布施의 福德도 또한 다시 이와 같아야 生覺으로 헤아릴
수 없느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다못 마땅히 가르친 바와 같이 머물지니라.
【월운】
“또 須菩提야, 菩薩이 法에 대하여 마땅히 머물러 있는 生覺 없이 布施를 해야 하나니,
이른 바 色에 머물지 않고 布施하며, 성?향?미?촉?法에도 머무르지 않고 布施해야 하느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이렇게 布施를 行하여 相에 머물지 않아야 되느니라. 무슨 까닭이겠는가?
만일 菩薩이 상에 머물지 않고 布施하면, 그 福德을 헤아릴 수 없느니라.”
“須菩提야, 네 生覺에 어떠하냐? 동쪽에 있는 虛空을 生覺하여 헤아릴 수 있겠는가???
“못하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남쪽?서쪽?북쪽과 네 간방과 위 아래에 있는 虛空을 生覺하여 헤아릴 수 있겠느냐? ??
“못하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이 상에 머물지 않고 布施하는 功德도 그와 같아서 生覺하여 헤아릴 수 없느니라.
須菩提야. 菩薩 摩訶薩은 이렇게 가르쳐 준 대로만 머물지니라.”
【무비】
“또 說明하겠다. 須菩提야, 菩薩은 모든 法에 安住하지 말고 布施를 행하라.
이른바 물질에 安住하지 말고 布施를 하라.
소리와 향기와 맛과 감촉과 一切 작용에도 安住하지 말고 布施를 하라.
須菩提야, 菩薩은 마땅히 이와 같이 布施하여 상에 安住하지 말지니라.
왜냐하면, 만약 菩薩이 상에 安住하지 않고 布施를 하면 그 福德을 가히 生覺하여 헤아릴 수
없느니라.
須菩提야, 너의 生覺에 어떠하냐? 동쪽에 있는 虛空을 生覺하여 헤아릴 수 있겠느냐”
“헤아릴 수 없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남쪽과 서쪽과 북쪽과 서북 서남 동북 동남의 네 간방과 위아래에 있는 虛空을
生覺하여 헤아릴 수 있느냐???
“헤아릴 수 없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이 상에 安住하지 않고 布施하는 福德도 또한 이와 같아서 가히 生覺하여
헤아릴 수 없느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다만 이렇게 가르쳐 준 대로 安住할지니라.”
【석진오】
그리고 또 須菩提여, 菩薩은 法에 있어서 마땅히 住하는 바 없이 布施를 行하여야 한다.
이른바 色에 執着하지 않고 布施해야 하며, 성·향·미·촉·法에 執着하지 않고 布施해야 한다.
須菩提여, 菩薩은 마땅히 이와 같이 布施하며 상에 執着하지 않아야 한다.
왜냐하면 만약 菩薩이 상에 執着하지 않고 布施하면, 그 福德은 不可思量이기 때문이다.
須菩提여, 그대는 어떻게 生覺하는가? 동쪽의 虛空을 生覺으로 헤아릴 수 있는가, 없는가?
헤아릴 수 없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여, 남·서·북쪽·상하의 虛空은 生覺으로 헤아려질 수 있겠는가, 없겠는가?
헤아릴 수 없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여, 菩薩이 상에 執着하는 바 없이 하는 布施의 福德도 또 이와 같아서 헤아릴 수 없는
것이다.
須菩提여, 菩薩은 마땅히 이 가르침대로 살아야 하느니라.
【홍정식】
그리고 또 須菩提야 菩薩은 法에 執着하는 일이 없이 布施를 행해야 한다.
이른바 색에 執着하는 일이 없이 布施해야 하며, 소리나 냄새나 맛이나 부딪침이나 法에
執着하지 말고 布施를 해야 한다.
須菩提야 菩薩은 마땅히 이와 같이 布施하여 상에 執着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만일 菩薩이 상에 執着하지 않고 布施를 하면 그 功德은 쉽게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크기
때문이다.
須菩提야 네 生覺은 어떠냐 동쪽에 있는 虛空을 쉽게 헤아릴 수 있겠느냐
世尊이시여 그럴 수는 없습니다.
須菩提야 마찬가지로 남쪽과 서쪽과 북쪽과 그리고 그 中間의 思惟와 위아래의 虛空을 헤아릴
수 있겠느냐?
그럴 수 없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이 상에 執着하지 않고 布施하는 功德도 또한 이와 같이 헤아릴 수 없다.
須菩提야, 菩薩은 다만 위에서 가르친 대로 마음을 가져야 한다.
思惟(사유)
①마음으로 생각함
②개념(㉡절개
㉢절조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01-08-03" ;>槪㉡생각하다
㉢외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2-11-01" ;>念), 구성(㉡(생각을)얽어 짜내다
㉢(거짓을)꾸며대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01-39-11" ;>構㉡이루어지다
㉢다스리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7-17-03" ;>成), 판단(㉡판결하다
㉢가르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13-02-01" ;>判㉡결단하다
㉢나누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03-02-05" ;>斷), 추리(㉡옮기다
㉢천거하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10-23-03" ;>推㉡다스려지다
㉢깁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4-36-02" ;>理) 등을 행하는 인간(㉡남
㉢딴 사람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8-64-01" ;>人㉡틈
㉢때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1-03-02" ;>間)의 이성(㉡다스려지다
㉢깁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4-08-62-02" ;>理㉡바탕
㉢성별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7-17-02" ;>性)이 작용(㉡만들다
㉢일하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9-02-01" ;>作㉡쓰이다
㉢씀씀이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8-42-01" ;>用). 인간(㉡남
㉢딴 사람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8-64-01" ;>人㉡틈
㉢때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1-03-02" ;>間)은, 이것에 의하여 논리적(㉡서술하다
㉢말하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4-02-14-01" ;>論㉡다스려지다
㉢깁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4-36-02" ;>理㉡참
㉢진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9-10-01" ;>的)인 대상(㉡대답하다
㉢상대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3-07-04" ;>對㉡꼴
㉢모양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07-07-06" ;>象)의 인식(㉡인식하다
㉢인정하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8-64-06" ;>認㉡지식
㉢식견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7-35-04" ;>識)이나 관계(㉡빗장
㉢관문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1-32-03" ;>關㉡매이다
㉢묶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01-23-02" ;>係)의 파악(㉡쥐다
㉢묶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13-01-05" ;>把㉡손아귀
㉢손잡이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4-08-02-07" ;>握) 등을 할 수 있음
③대상(㉡대답하다
㉢상대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3-07-04" ;>對㉡꼴
㉢모양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07-07-06" ;>象)을 분별(㉡구별
㉢길이, 무게, 시간, 각도, 화폐 따위의 단위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6-22-01" ;>分㉡나누다
㉢헤어지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6-13-01" ;>別)하는 일, 또는 정토(㉡깨끗이하다
㉢맑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9-15-12" ;>淨㉡땅
㉢별 이름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12-12-01" ;>土)의 장엄(㉡풀성하다
㉢바르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09-06-04" ;>莊㉡혹독하다
㉢굳세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8-18-01" ;>嚴)을 관찰(㉡보이다
㉢생각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1-32-02" ;>觀㉡상고하다
㉢드러나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10-04-01" ;>察)하는 일.
선정(㉡봉선
㉢선위하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2-07-13-03" ;>禪㉡편안하다
㉢머무르다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9-15-07" ;>定)에 들어가기 전의 일심(㉡첫째
㉢오로지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8-65-01" ;>一㉡생각
㉢염통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7-38-01" ;>心). 여의륜 관음(㉡보이다
㉢생각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1-32-02" ;>觀㉡음
㉢소식
')" onmouseout=tooltipOff() href="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8-58-01" ;>音)의 뺨에 댄 손을 사유수라 함
【김기추】
“다시 須菩提야! 菩薩은 法에 應當 머무른 바 없이 布施를 할지니 이른바 빛깔에 머물지 않는
布施며 소리?냄새?맛?닿질림과 요량에 머물지 않는 布施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應當 이러히 布施하되 모습에 머물지 않을 지니 무슨 까닭으로써 이냐.
만약 菩薩이 모습에 머물지 않는 布施를 하면 그 福德은 좋이 헤아리지 못 하나니라.
須菩提야! 뜻에 어떠하느냐, 東方 虛空을 좋이 헤아리겠느냐?”
“못하겠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남?서?북방과 네 모퉁이, 위?아래 虛空을 좋이 헤아리겠느냐???
“못하겠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이 모습에 머물지를 않는 布施는 福德도 또다시 이와 같아서 좋이 헤아리지
못하느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다못 가르친 바와 같이 應當 머무를 지니라.”
【이기영】
“그리고 또 須菩提여,
菩薩은 應當 法에 머무르는 바 없이 布施를 行할지니라. 이른바 색에 머물지 않는 布施며,
성·향·미·촉·法에 머물지 않고서 布施하는 것이니라.
須菩提여, 菩薩은 마땅히 이와 같이 布施하여 상에 머무르지 말지니라.
무슨 까닭인가? 만약 菩薩이 상에 머무르지 않고 布施하면 그 福德은 가히 生覺으로 헤아릴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니라.
須菩提여, 네 生覺이 어떠한가? 東方의 虛空을 가히 헤아릴 수 있겠는가?”
“없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여, 남·서·북방과 모퉁이, 위, 아래를 가히 헤아릴 수 있겠는가, 없겠는가?”
“없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여, 菩薩이 상에 머무르지 않고 行하는 布施의 福德도 또한 이와 같아 生覺으로 헤아릴
수 없느니라.
須菩提여, 菩薩은 다만 마땅히 가르쳐준 대로 머물지니라.”
【송찬우】
“다음으로 須菩提야, 菩薩이라면 모든 法에 있어서 執着心으로 我相에 安住하는 바가 없이
布施波羅蜜을 실천해야만 한다. 그것은 形質인 색法에 安住하질 않고 布施를 행하며,
소리·향기·맛·감촉·一切法에까지도 執着心으로 安住하지 않고 布施함을 말한다.
菩薩이라면 應當 이처럼 布施波羅蜜을 행하면서 形質·소리 등등 六塵 境界에 執着心으로
安住하지 않아야만 한다.
왜냐하면 菩薩이 六塵의 모습의 모습에 執着心으로 安住하지 않고 布施를 行한다면 거기에서
얻어진 福德은 思量分別로는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크기 때문이다.
“須菩提야, 너의 意圖론 어떠하냐, 東方의 虛空을 相對的 관점인 思量으로 인식할 수 있다고
여기느냐.”
“아닙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남서북방 思惟상하, 즉 시방의 虛空을 思量으로 認識할 수 있다고 여기느냐.”
“아닙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이 六塵의 모습에 執着心으로 安住하지 않고 行하는 布施에서 얻어진 福德도
역시 이와 같아서 思量으로 認識하지 못한다.”
須菩提야, 菩薩이라면 부처님 가르침대로만 安住하면 된다.
波羅蜜
바라밀문(波羅蜜門) :
바라밀의 법문 즉 도를 말한 것이다.
바라밀은 범어(梵語) Paràmita 인데 도피안(到彼岸) · 도무극(到無極) · 도(度)라는 뜻이다.
미(迷)인 이 언덕에서 깨침인 저 언덕에 이른다는 뜻이니, 보살이 닦아나가는 행(行)이다.
6 바라밀은 6도(六度)라고 하며 대승보살이 실천 수행하지 않으면 안되는 6 종의 행이다
「보시바라밀(布施) · 지계바라밀(持戒) · 인욕바라밀(忍辱) · 정진바라밀(精進) · 선정바라밀(禪定) · 지혜바라밀(智慧)」이며, 이중 지혜바라밀이 가장 중요하다
10 바라밀은 십도(十度) 또는 십승행(十勝行)이라고도 하는데, 6 바라밀을 얻기 위하여 도움이
되는 다음 네 바라밀을 육바라밀에 더한 것이다.
바라밀행을 이루기 위한 수승한
⑦'방편(方便)바라밀' · 진심으로 이루기를, 이루고자 하는
⑧'원(願)바라밀' · 기필코 이루려는
⑨'역(力)바라밀' · 높은 지혜바라밀을 이루기 위한 바른
⑩'지(智)바라밀'의 네가지 바라밀이다.
4 바라밀이란 상바라밀(常 : 완전한 영원성) · 낙바라밀(樂 : 완전한 안온성) ·
【이제열】
“또 須菩提야, 菩薩은 마땅히 어떤 法에도 머무르는 바 없이 布施를 행할지니라.
이른바 形相에 머물지 말고 布施할 것이며, 소리·냄새·맛·감촉과 온갖 法에 머물지 말고
布施해야 하느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마땅히 이와 같이 布施하여 形相에 머물지 말 것이니, 만일 菩薩이 形相에
머물지 않고 布施하면 그 福德은 가히 生覺으로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니라.
須菩提야, 너는 어떻게 生覺하느냐? 동쪽 虛空을 生覺으로 다 헤아릴 수 있겠느냐?”
“헤아릴 수 없나이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남서북방과 네 간방과 아래·위 虛空을 가히 生覺으로 헤아려 알 수 있겠느냐?”
“헤아릴 수 없나이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이 形相에 머물지 않고 布施하는 福德도 또한 이와 같아서 生覺으로 헤아릴 수
없이 많으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다만 마땅히 가르친 바와 같이 머물지니라.”
【문제현】
또 다시 말씀하셨다.
“須菩提야! 菩薩은 마땅히 法에도 머무름 없이 布施를 해야하니 말하자면, 색에 머무름 없이
布施를 해야 하며, 소리나 향기나 맛이나 촉감이나 法에도 머무름 없이 布施를 해야 하느니라.
須菩提야! 마땅히 菩薩은 이러히 布施를 하여 상에 머무름이 없어야 하니, 만약 菩薩이 상에
머무름 없이 布施를 하면 그 福德은 生覺으로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니라.
須菩提야! 너는 어떻게 生覺하느냐? 東方의 虛空을 生覺으로 헤아릴 수 있겠느냐, 없겠느냐?
“헤아릴 수 없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남방, 서방, 북방과 네 간방과 위, 아래의 虛空을 生覺으로 헤아릴 수 있겠느냐,
없겠느냐?”
“헤아릴 수 없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이 상에 머무름 없이 布施한 福德도 또한 이와 같아서 生覺으로 헤아릴 수 없으니
須菩提야! 菩薩은 마땅히 가르친 바와 같이 해야 하느니라.
【김용옥】
이제 다음으로 須菩提야! 菩薩은 法에 머무는 바 없이 布施를 行하여야 한다.
이른바 색에 머물지 않고 布施하고 성·향·미·촉·法에 머물지 않고 布施한다는 것이다.
須菩提야! 菩薩은 반드시 이와 같이 布施할 것이며, 상에 머물러서는 아니 되는 것이다.
어째서 그러한가? 만약 菩薩이 상에 머물지 않고 布施한다면, 그 福德은 生覺으로 헤아릴 수
없으리라.
須菩提야! 네 뜻에 어떠하뇨? 동쪽의 虛空을 生覺으로 헤아릴 수 있겠느냐? 없겠느냐?”
“없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남·서·북방과 思惟·상·하의 虛空을 生覺으로 헤아릴 수 있겠느냐? 없겠느냐? ”
“없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이 상에 머물지 않고 布施하는 것의 福德도 또한 이와 같이 生覺으로 헤아릴 수
없느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오직 가르친 바대로 머물지니라.”
【조현춘】
또, 須菩提야! 菩薩은 어떤 것에도 걸리지 않는 布施를 해야 한다
形相에 걸리지 않는 布施를 해야 하며, 소리·냄새·맛·촉감·分別에 걸리지 않는 布施를 해야 한다.
須菩提야! 菩薩은 그렇게 布施해야 한다. 生覺에 걸리지 않아야 한다
生覺에 걸리지 않는 布施를 하는 菩薩이 짓는 福은 想像할 수 없을 만큼 많다.
須菩提야! 어떻게 生覺하느냐? 東方 虛空의 크기를 想像할 수 있느냐 ? ”
“想像 할 수 없습니다, 부처님이시여.”
“須菩提야! 서방 .남방 북방 남동 남서 북동. 북서. 위. 아래 방향의 虛空의 크기를 想像할 수
있느냐?”
“想像할 수 없습니다, 부처님이시여.”
“須菩提야! 生覺에 걸리지 않는 布施를 하는 菩薩이 짓는 福도 想像할 수 없을 만큼 많다.
須菩提야! 菩薩은 어디에도 걸리지 않는 布施를 해야 한다.
【백성욱】
다시 須菩提야! 菩薩이 내가 이야기해 준 法則에도 뻑뻑이 住하지 말고 布施를 행할 지니라.
이른 바 形相에 머물러서 하지 말라.
須菩提야! 菩薩은 뻑뻑이 이와 같이 布施해서 相에 머물지 않을 것이니라.
왜 그런고 하니, 만약 菩薩이 상에 머물지만 않고 布施한다면 그 福과 德은 가히 헤아릴 수가
없느니라.
須菩提야! 뜻의 일은 어떠한고, 동쪽 虛空을 가히 生覺하고 헤아릴 수 있느냐 마느냐?
아닙니다. 世尊님.
須菩提야! 남쪽·서쪽·북쪽, 그리고 그 사이와 위·아래 허공을 가히 生覺하고 헤아릴 수 있느냐
마느냐?
아닙니다. 世尊님.
須菩提야! 菩薩이 相에 머물지 아니하고 행동을 할 것 같으면 그 福德은 四方 아래·위 虛空과
같아서 참 그 福이 限量없느니라.
須菩提야! 菩薩은 자못 뻑뻑이 이렇게 나 가르쳐 준 대로 마음을 머물지니라.
【김운학】
다시 須菩提야, 菩薩은 법에 있어 마땅히 머무른 바 없이 布施를 행해야 한다.
이른바 색에 머무르지 않고 布施하며, 소리, 냄새, 맛, 촉, 법에 머무르지 않고 布施하는 것이다.
須菩提야, 菩薩은 마땅히 이와 같이 布施하며 상에 머무르지 않는 것이다. 무슨 까닭이겠느냐?
만일 菩薩이 상에 머무르지 않고 布施하면 그 福德이 헤아릴 수 없는 것이다.
須菩提야, 네 生覺이 어떠하냐? 동방의 허공을 헤아릴 수 있겠느냐 없겠느냐?
헤아릴 수 없겠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그러면 남서북쪽과 사유 상하의 허공을 헤아릴 수 있겠느냐 없겠느냐?
헤아릴 수 없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야 菩薩이 상에 머무름이 없이 하는 布施의 福德도 또한 이와같이 헤알리 수 없는 것이다.
須菩提야 菩薩은 다만 마땅히 가르친 바와 같이 머무를 것이다.
【오진탁】
"또한 須菩提여! 菩薩은 마땅히 그 어디에도 執着함이 없이 布施를 해야 한다.
예컨대 어떤 模樣에도 執着함이 없이 布施하고 어떠한 소리, 냄새, 맛, 감촉, 意識의 對相에도
執着하지 말고 布施해야 한다.
`須菩提여, 菩薩은 마땅히 이와 같이 布施하여 어떤 것에도 執着하지 말아야 한다."
"왜 그럴까? 菩薩이 어떤 것에도 執着함이 없이 布施를 하면 그 福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크기
때문이다.
須菩提여! 그대는 어떻게 보느냐? 동쪽 虛空의 크기를 그대는 想像할 수 있느냐?"
이에 須菩提가 말했다.
"想像조차 할 수 없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여! 남쪽, 서쪽, 북쪽 그리고 네 가지 간방, 위와 아래의 虛空이 얼마나 큰지 짐작할 수
있겠느냐?"
"도무지 짐작할 수 없습니다, 世尊이시여!"
"須菩提여! 菩薩이 어디에도 執着함이 없이 布施를 할진댄 그 福 또한 虛空과 마찬가지로
想像할 수 없다."
"須菩提여! 菩薩은 단지 내가 이와 같이 가르친 바대로 그 무엇에도 執着하지 말아야 한다.
.
'금강경, 반야심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正信希有分 第 六 (0) | 2019.01.06 |
---|---|
[스크랩] 如理實見分 第五 (0) | 2019.01.06 |
[스크랩] 大乘正宗分 第三 (0) | 2018.12.30 |
[스크랩] 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0) | 2018.12.30 |
[스크랩] 善現起請分 第二 (0) | 2018.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