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묵 스님
초기불교 이해 요약
3. 초기불교의 수행
4.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 samma ppadhāna)
(1) 四正勤의 정의
① 아직 일어나지 않은 해로운 법[不善法]들을 일어나지 못하게
② 이미 일어난 해로운 법들을 제거
③ 아직 일어나지 않은 유익한 법[善法]들을 일어나도록
④ 이미 일어난 유익한 법들을 증장시키고 충만하게
사정근은 팔정도의 여섯 번째인 정정진의 내용이며 오근·오력의 두 번째인 정진근과 정진력의 내용이며 칠각지의 두 번째인 정진각지의 내용이기도 하다.
(2) 바른 노력은 선법과 불선법의 판단으로부터
바른 노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선법과 불선법의 판단이다.
이것이 없으면 바른 노력도 아니요 바른 정진도 아니다. 그래서 칠각지에서는 법을 간택하는 깨달음의 구성요소(택법각지) 다음에 정진의 깨달음의 구성요소(정진각지)가 나타나는 것이다.
(3) 무엇이 선법이고 무엇이 불선법인가?
유익함(kusala)이란 능숙함에서 생겼으며(kosalla-sambhūta) 비난받을 일이 없는 행복한 과보를 가져오는 것이다.
해로움(akusala)이란 능숙하지 못함에서 생겼으며 비난받을 괴로운 과보를 가져오는 것이다.(SA.īi.141 등)
“능숙함(kosalla)은 통찰지(paññā)를 말한다.”(SAṬ.ī.126)
“능숙함은 지혜(ñāṇa)를 말한다. 이것과 결합된 것을 유익함이라 한다. 그래서 유익함은 지혜를 갖춘 것이다.”(DAṬ.ī.223)
“해로운 법이란 능숙하지 못함에서 생긴 탐욕 등의 법이다.”(AA,ī,44)
불선법(不善法)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 있는가? 주석서는
① 십불선업(살생, 도둑질, 삿된 음행, 망어, 기어, 양설, 악구, 탐욕, 악의, 삿된 견해, DA.ii.644, MA.i.197 등)
② 12가지 해로운 마음과 함께 일어난 14가지 해로운 마음부수법들(DA.īi.843)로 설명하고 있다. 물론 다섯 가지 장애(MA.īi.145) 등도 모두 14가지 해로운 마음부수법들에 포함된다.
결론적으로
비난받을 일이 없는 행복한 과보를 가져오며, 궁극적 행복[至福, parama -sukha]인 해탈·열반에 도움이 되는 십선업과 37조도품 등은 선법(善法)이고 그렇지 못한 것은 불선법(不善法)이다.
[출처] 초기불교 이해 요약-3. 초기불교의 수행-四正勤|작성자 byunsdd
'각묵스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기불교 이해 요약-3. 초기불교의 수행-五根 (0) | 2019.10.20 |
---|---|
초기불교 이해 요약-3. 초기불교의 수행-四如意足 (0) | 2019.10.06 |
초기불교 이해 요약-3. 초기불교의 수행-出入息念 (0) | 2019.10.06 |
초기불교 이해 요약-3. 초기불교의 수행-四念處 (0) | 2019.09.22 |
초기불교 이해 요약-3. 초기불교의 수행-37보리분법 (0) | 2019.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