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묵스님

초기불교 이해 요약-3. 초기불교의 수행-四念處

수선님 2019. 9. 22. 11:31

각묵 스님


초기불교 이해 요약


초기불교 이해 강의


3. 초기불교의 수행



2. 네 가지 마음챙기는 공부[四念處]


(1) 마음챙김[念, sati]

첫째, 마음챙김은 대상에 깊이 들어가는 것(apilāpana)이다.

둘째, 마음챙김이란 대상을 거머쥐는 것(pariggahaka, 把持, 把握)이다. 이 마음챙김으로 대상을 철저하게 거머쥐고 통찰지(반야)로써 관찰한다.

셋째, 마음챙김은 대상에 대한 확립(upaṭṭhāna)이다.

넷째, 마음챙김은 마음을 보호(ārakkha)한다.


마음챙김 마음을 해탈과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마음챙김이란마음대상을 챙기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처럼 마음 챙기는 공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대상이다. 이 대상을 신·수·심·법(身·受·心·法) 즉 몸·느낌·마음·법의 넷으로 정리했기 때문에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이라 부르는 것이다. 마음챙김은 일견 마음을 챙김으로 이해할 수도 있겠지만 경전적인 의미는 이처럼‘마음이 대상을 챙김’이다.


(2) 마음챙김의 대상

1) 몸(kāya, 身) : 14가지

들숨날숨

② 네 가지 자세(행주좌와)

③ 네 가지 분명하게 알아차림(어묵동정---)

④ 32가지 몸의 형태

⑤ 사대를 분석함(지수화풍)

⑥-⑭ 아홉 가지 공동묘지의 관찰

2) 느낌(vedanā, 受) : 9가지---1가지

① 즐거운 느낌

② 괴로운 느낌

③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

④ 세속적인 즐거운 느낌

⑤ 세속적인 괴로운 느낌

⑥ 세속적인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

⑦ 세속을 여읜 즐거운 느낌

⑧ 세속을 여읜 괴로운 느낌

⑨ 세속을 여읜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

3) 마음(citta, 心): 16가지---1가지

① 탐욕이 있는 마음

② 탐욕을 여읜 마음

③ 성냄이 있는 마음

④ 성냄을 여읜 마음

⑤ 미혹이 있는 마음

⑥ 미혹을 여읜 마음

⑦ 위축된 마음

⑧ 산란한 마음

⑨ 고귀한 마음

⑩ 고귀하지 않은 마음

⑪ 위가 남아있는 마음

⑫〔더 이상〕위가 없는 마음

⑬ 삼매에 든 마음

⑭ 삼매에 들지 않은 마음

⑮ 해탈한 마음

⑯ 해탈하지 않은 마음

4) 심리현상들(dhamma, 法) : 5가지

① 장애(蓋)를 파악함

② 무더기(蘊)를 파악함

③ 감각장소(處)를 파악함

④ 깨달음의 구성요소(覺支)를 파악함

⑤ 진리(諦)를 파악함

「대념처경」은 이렇게 모두 44가지로 마음챙김의 대상(또는 21가지)을 구분하여 밝히고 있다.

(3) 마음챙기는 공부의 요점

첫째, 마음챙김의 대상은‘나’자신이다. 내 안에서(ajjhattaṁ) 벌어지는 현상을 챙기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무엇보다도 개념적 존재(paññatti)의 해체가 중요하다.

이것이「대념처경」에서 마음챙김의 대상을 신·수·심·법으로 해체해서 제시하시는 가장 중요한 이유.


해체하면을 보고 지금·여기에서 해탈·열반 실현한다.


셋째, 마음챙김은 대상이 중요하다.


넷째, 마음챙김으로 사마타와 위빳사나를 통합하고 있다.

사마타는 찰나생·찰나멸하는 법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표상(nimitta)이라는 개념적 존재(paññatti)를 대상으로 하고,

위빳사나찰나생·찰나멸하는 법(dhamma)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그 대상이 어떤 것이든 마음챙김이 없이는 표상에 집중하는 사마타도 법의 무상·고·무아를 통찰하는 위빳사나도 있을 수 없다. 그래서 마음챙김은 이런 두 종류의 수행에 공통적으로 중요한 심리현상이다.


다섯째, 「대념처경」은 사성제를 관찰해서 구경의 지혜(aññā)를 증득하는 것으로 결론 맺고 있다. 다시 말하면 무상·고·무아의 삼특상 가운데서 고의 특상과 그 원인과 소멸과 소멸에 이르는 길을 꿰뚫어 아는 것으로 해탈·열반의 실현을 설명하고 있다.


마음챙기는 공부는 고를 통찰하는 원함 없는 무원(無願)의 해탈로 결론지울 수 있다. 물론 이렇게 사성제를 철견하는 것이야말로 초기경에서 초지일관되게 설명하고 있는 깨달음이요 열반의 실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