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좌부불교의 염불행 연구
임인영(현암)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상담연구소 연구원
여는 말Ⅰ.
빠알리 불전에 보이는 불념Ⅱ.
불념 행의 대상1.
불념 행과 선정의 증득2.
불념의 이익3.
불념 행의 실제 방법Ⅲ.
일천 공덕 염불1.
그물 공덕 염불법2.
기타 염불법3.
불념 가피 사례Ⅳ.
불념으로 생긴 희열로 인한 이적1.
( ) 異跡 위험에서 보호2.
세간과 출세간의 최상의 이익3.
맺는 말. Ⅴ
이 논문은 은정불교문화진흥원의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연구었음* .
42 한국불교학 90집
[ 요 약 문 ]
부처님과 같은 절대적 존재에 대한 염송은 부처님 이전부터 널리 행해진 수행 의 기본적 형태이다 불교수행에서도 염불은 널리 행해진다 불교를 대표하는 양 . . 대 승가 전통인 상좌부( , Theravāda) 上座部 와 대승불교( , Mahāyāna) ⼤乘 모두
염불수행을 중요하게 여긴다 불교 염불 수행의 바른 이해를 위해 지금껏 연구가 . 부족하였던 상좌부 염불수행 전반을 살펴보았다 상좌부 염불수행은 불수념 . (佛 , buddhānussati)隨念 으로 알려져 있다 불수념은 부처님에 대해 거듭 마음에 떠 . 올리는 것이다. 불수념의 대상은 부처님의 덕성 아홉 가지이다 대승 염불의 대상인 여래십호 .
( ) 如來⼗號와는 비슷하지만 차이점도 보인다 불수념은 사마타 수행에 속하는 , . 것이나 본삼매를 증득하지는 못한다 불수념에서 새겨야 하는 부처님의 덕은 심 . 오하고 또한 계속해서 그 공덕을 마음에 새겨야 하므로 수행자는 본삼매에 이를 수 없다 본삼매를 얻지 못하더라도 불수념 수행은 수행자에게 신심을 깊어지게 . 하고 통찰지와 공덕이 깊어지는 등 많은 이익을 가져다준다 불수념과 관련한 많 . 은 가피 사례들이 빠알리(Pāli)경에서 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빠알리 성전에 . 나타나는 불수념 수행으로 인한 이적과 가피 사례들을 다룬다. 불수념 전반을 연구하면서 대승의 염불수행과 비교해보면 둘은 다 같이 부처님 에 대한 염송이라는 점에서는 같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도 보인다 첫째 . . 불수념은 부처님 덕성을 새기는 것에 치중하고 대승의 염불수행은 칭명 , ( ) 稱名에 좀 더 역점을 두고 불·보살님 한 분의 명호를 정하여 반복적 염송을 많이 행한다. 칭명의 대상도 부처님에 한정되지 않고 보살의 명호 역시 널리 염송 된다 둘째 . 불수념에서 부처님 공덕은 아홉 가지로 나타나고 대승은 여래십호로 정형화되어 있다 셋째 대승의 여래십호에서 알 수 있듯이 가장 중요한 공덕 혹은 명호가 여 . ‘ 래가 되고 불수념에서는 세존을 가장 대표적 명호로 하고 여래라는 명호는 ’ ‘ ’ ‘ ’ 나타나지 않는다 넷째 대승의 염불수행으로 성취되는 삼매는 일행삼매 또는 반 . 주삼매 등이고 불수념은 근접삼매에만 이른다고 한다.
주제어: 염불 불수념 거듭 새김 여래십호 상좌부 염불 , , , ,
상좌부불교의염불수행연구 임인영현암 / ( ) 43
여는말Ⅰ.
불교는부처님의가르침을따르는것이다 부처님의가르침을따르는이 . 들이모여그가르침을실현하고자하는것이불교라고한다면그가르침을 , 설하신부처님을마음에떠올리는것은자연스러운행위일것이다 이러한 . 자연스러운행위가수행으로이어진것이염불수행이다부처님과같은절대 . 적존재에대한염송형태는불교이전부터있었다인도베다 . (veda)에서베 다의신에대한이름이나별칭을염송하는것이Upāsana존경예경 ( , )라는이 름으로이미행해지고있어서염불수행의원시형태라할수있다.1) 부처님을거듭해서떠올리고염송하는염불은불자들의신행생활중에 가장널리행하는것이다 불자들의수행방법연구에서절반가까이되는 . 의불자들이기도정근을한다고하고 다른조사에서도기도정근 44.7% , 염불( + 절 + 진언염송)이 정도차지하고있다 33% .2) 통계에의하지않아도
사찰의법회나예불에참석해보면염불을포함한기도정근이신행생활의 가장중요한부분을차지하고있음을알수있다 현재예불은주로 석문 . 의범과 한글통일법요집을바탕으로행해지는데예불내용의상당부분 도진언과염불로구성된다.3) 불자들의수행으로가장널리행해지는염불수행에관한연구는대부분 대승불교( , Mahāyāna) ⼤乘佛敎 와관련하여많은연구가있었다.4) 상좌부 (上 , Theravāda)座部 불교에서의염불수행은비교적연구가많이되지는않았
1) klemens Karlsson(2000), 61. 2) 이혜숙 (2016), 257. 3)김종명 (2007) 한국불교수행의식인송주에서절정에해당하는부분이염불의 , 171. ‘ ’식이다 심상현 . (2015), 295. 4)대승불교염불수행논문으로는강기선 (2018) 여래십호에대한고찰한역불전을중 , 「 심으로 이혜숙 ; 」 (2016) 불자신행교육의평가를위한예비적고찰 조준호 , ; 「 」 (2017), 염불선과선정계위 태원스님 ; 「 」 (2005) 염불수행법 한재희 , ; 「 」 (2014) 반주삼매 , 「 (般⾈ )三昧와대승불교의기원 황상준 ; 」 (2018) 염불신앙을통한현대재가불자의가피사 , 「 례연구 등이있다. 」
44 한국불교학 90집 다.5) 상좌부불교수행이라하면먼저위빳사나 (Vipassanā)수행을떠올리게 된다하지만상좌부에서도염불수행은중요하게다루어진다상좌부염불수 . . 행은부처님을마음에거듭새긴다는뜻으로불수념( , buddhānussati) 佛隨念 으로알려져있다본논문에서는상좌부염불수행인불수념전반을살펴볼 . 것이다. 비교적불교의초기형태를간직하고있는상좌부의불수념전반을알기 위해제 장에서는불수념수행의대상과선정의증득불수념으로인한이 , Ⅱ 익등을살펴볼것이다여기에서는빠알리 . (Pāli)불전이전하는불수념수행
의전체를개관한다제 장에서는상좌부불교에서실제로행하고있는불 . Ⅲ 수념의구체적방법에관해알아볼것이다. 제 장에서는불수념과관련한가피사례를살펴볼것이다 불수념은많 . Ⅳ 은이익을가져오는특별한수행이다불수념을항시실천하는이에게여러 . 위험에서벗어나는등의많은이익들이생겨난다 빠알리성전에서전하는 . 불수념수행으로인한가피사례를살펴본다. 불수념전반을알아보기위해수행관련부분은주로청정도론을참고 하였다 청정도론은상좌부불교수행의부동의지침서이기에이에근거하 . 여불수념전반을알아본다불수념수행의실제적실천과관련하여서는상 . 좌부불교국가인미얀마와스리랑카에서출간한책위주로살펴보았다경전 . 의인용이나사례연구는대부분빠알리경전을근거하였다. 본논문은상좌부염불수행에집중하여살펴보지만 우리의염불수행과 , 비교하여나타나는차이점도자연스레드러날것이다불수념의전반적이해 . 가현재우리나라에서가장널리행해지는염불수행의바른이해로이어지 길기대해본다. 5) 상좌부불수념수행에관한연구로는불수념수행대상인부처님공덕과관련하여 황순일(2007) 붓다의열가지호칭의기원과전개가있고초기경전의염불수행에 , , 「 」 관해한역아함경과빠알리경전내용을정리한안양규(2015) 불교의생사관과죽 , 음교육 염불수행이있다한재희 . 「 」 (2014) 반주삼매와대승불교의기원에서는대 , 「 」 승불교의염불수행이나타나는반주삼매경을고찰하며그원류로서빠알리불전의 불수념수행을살피고있다.
상좌부불교의염불수행연구 임인영현암 / ( ) 45 빠알리불전에보이는불수념Ⅱ. 불수념은빠알리성전여러곳에서발견되지만그중주요한경을들자면 , 먼저불수념이직접언급되는 앙굿따라니까야 한가지법품, 「 Ekadhamma vagga」6)이다불수념의수행사례가나타나는경으로는숫 . 타니파타의피안가는길에대한마무리의경, Pārāyanakasamiti sutta 「 」 이다이경에서삥기야 . (Piṅgiya)존자의부처님에대한지속적떠올림과예
경이나타나고있다.7) 불수념이보호경 (Paritta)으로나타나는것은상윳따 니까야의 깃발경 이다 , Dhajagga sutta . 「 」 8) 구체적수행법에관해서는 청정도론에서자세히다루고있다 상좌부 . 수행지침서라할수있는청정도론에서는 가지의사마타 40 (Samatha, ) ⽌ 수행주제를설명하고있다그가운데어느대상을거듭생각하는수념 . (隨 , anussati)念 수행은 가지이다 그중에서부처님을계속해서생각함이불 10 . 수념( , Buddhānussati) 佛隨念 이다 불수념은부처님 . (Buddha)을거듭새김 (anussati)이다거듭새김의의미는거듭거듭해서생겨나는새김 . “ 9)(sati)이 거듭새김(anussati)이다일어나야할그곳에바로일어나기에믿음을지니 . , 고출가한선남자에게적당한새김이곧거듭새김이다.”10)라고정의된다. 6) 비구들이여하나의법이있어그것을닦고많이공부지으면절대적인역겨움탐욕 “ , , , 의빛바램소멸고요함최상의지혜깨달음열반을얻게한다무엇이그하나의 , , , , , , 법인가 부처님을계속해서생각함이다 대림스님역 ? .” (2006) 권, 1 , 150-151. 7) 바라문이여 나는방일함이없이밤낮으로 마음으로나육안으로나그분을 “ , , 부처님 ( ) 봅니다그분을예배하면서밤을보냅니다그러므로생각건대그분을떠나살고있는 . . 것이아닙니다 전재성역 .” (2004), 524. 8)각묵스님옮김 (2009) 권 깃발경의자세한내용은제장가피사례에서다룰 , 1 , 704. 4 「 」 것이다. 9)새김으로번역한사띠 (sati)는다의적인언어이다그러한다의성으로인해많은논의 . 가있었다 논자는사띠의번역을알아차림 새김 등으로하거나가장좋은것은 . ‘ ’ ‘ ’ 위빳사나라는말처럼번역하지않고사띠라는단어를그대로쓰는것이좋다고생 ‘ ’ ‘ ’ 각한다여기서는이하새김으로한다사띠번역을둘러싼논쟁에관해서는김준호 . ‘ ’ . (2008) 사띠논쟁의공과 , 「 ( ) 功過 참조. 」
46 한국불교학 90집 불수념은부처님의덕성을거듭새기는것에역점을두고있다이러한점 . 은우리의염불이불·보살의명호를계속해서부르는칭명에역점을두는 것과는차이를보인다정토교에서칭명염불이정토왕생의정인 . 11)이라보고 있고 아미타경에서는정토에왕생하는것이아미타불을칭명하는데있 다12)고하여칭명염불을중시하는것같다덕성의새김과칭명이이분법적 . 으로구분되는것은아니나역점을두는것에는차이를보인다동아시아권 . 대승불교의실제법회나수행에서칭명염불13)은많이행해지고그대상도 부처님에한정되지않고보살님들의명호도많이염송된다. 불수념에서도부처님의명호를염송하지만가장중요한것은부처님명호 와관련된덕성을계속새기는것이다 불수념수행의대상이되는부처님 . 덕성과관련된명호는정형화되어경전곳곳에나타난다부처님덕성은아 . 홉가지혹은열가지로구분되는데그구체적내용은다음과같다 이와 . ‘ 같이세존께서는모든번뇌를제거하신분올바로원만히깨달으신분지혜 , , 와실천을구족하신분바른길로잘가신분세상을잘아시는분제도할 , , , 만한이들을제도하는데가장으뜸이신분신들과인간의스승이신분바른 , , 법을깨달으신분세상에존귀한분이십니다 , .’14)라고염송한다위에서살펴 . 본부처님이가지는덕성각각의구체적의미는다음과같다.
10) punappunaṁ uppajjanato sati yeva anussati; pavattitabbaṭṭhānamhi yeva vā pavattattā saddhāpabbajitassa kulaputtassa anurūpā satī ti pi anussati. Buddhaghosācariya(1999), 162. 11) 박화문 (2002), 76-77. 12) 김은영 (2018) 재인용 , 102 . 13)본고에서상좌부염불수행은불수념으로나타내고칭명염불혹은염불은다른설명 , 이없으면대승불교염불수행을나타내는의미로쓴다. 14) ‘itipi so bhagavā arahaṁ sammāsambuddho vijjā-caraṇa-sampanno sugato loka-vidū anuttaro purisa-damma-sārathi satthā deva-manussānaṁ buddho 부처님공덕을찬탄하는이경구는암밧타경bhagavā ti.’ (Ambaṭṭha Sutta, D3) 옷감 , 의비유경 (Vatthūpama Sutta, M7) 마하나마경 , (Mahānāma Sutta, A6:10) 이외에도 빠알리경전여러곳에나타난다 .
상좌부불교의염불수행연구 임인영현암 / ( ) 47
불수념수행의대상1. 부처님명호로도쓰이는덕성의내용은 청정도론에자세히다루고있 다.15)여기서는단어의미에중점을두고간략히살펴보고자한다 . ①아라한 (Arahan, ) 應供 그분은모든오염원이라는적들을 : (arīnaṁ)죽였다 (hatattā). 최고의보시를받을만한분이시고특별한공양을받을만한분이시다. ②바 르게깨달으신분(Sammā sambuddha, ) 正等覺者 그분은알아야할모든법 : 을바르게(sammā)스스로 (sāmaṁ)깨달으신 (buddha)분이시다 . ③영지(靈 )知와실천을구족하신분(Vijjācaraṇasampanna, ) 明⾏⾜ 그분은지혜 : (Vijjā) 와실천(caraṇa)을구족하신(sampanna) 분이시다 . ④피안으로잘가신분 (Sugata, ) 善逝 그분은멋진 : (su)곳으로가셨고 (gata) 바르게가셨고바르게 , , 설하시는분이시다. ⑤세상을잘아시는분(Lokavidū, ) 世間解 모든방면에 : 서세상(loka)을잘아시는(vidū)분이시다 . ⑥가장높으신분(Anuttara, 無上 )士 그분의덕보다더뛰어난자가없어서가장높으신 : (anuttara)분이시다 . ⑦사람을잘길들이시는분(Purisadammasārathi, ) 調御丈夫 그분은제도할 : 만한이들(purisadamma)을제도하기에(sārathi) 가장으뜸인분이시다 . ⑧ 신과인간의스승(Satthā devamanussānaṁ, ) 天人師 그분은천신들 : (deva) 과인간들(manussā)의스승(satthā)이되시는분이시다. ⑨부처님(Buddha, )佛 그분은알아야할것을전부깨달았고 : (buddha)해탈의구경에이른지혜
를가진분이시다. ⑩세존(Bhagavā, ) 世尊 그분은행운 : (bhāgya)을가지시 고 복 , (bhaga)을구족하신분이시다 모든오염원과나쁜법들을부수었기 . (bhaggavā) 때문에세존이라한다 . 이와같이불수념대상은열가지로나타내기도하지만상좌부전통에서 는여섯번째와일곱번째인무상사와조어장부를하나의공덕으로보아서 제도할만한이들을제도하는데있어가장최상인분‘ (Anuttaro Purisa- dammasārathi)으로나타난다 이렇게하면부처님의덕성은아홉가지가 ’ . 된다.16) 15) 대림스님역 (2004) 권, 1 , 479-508.
48 한국불교학 90집 대승불교에서는주로여래십호( ) 如來⼗號라는이름으로부처님명호는열 가지로알려져있다부처님명호와관련하여불수념수행의대상이되는명 . 호도열가지로정리하여야한다는주장도17) 있지만특정숫자에제한하여
볼이유는없다. 불수념대상이되는부처님덕성가운데세존 ‘ (bhagavā)이반복되어나오 ’ 는데이와관련하여다양한주장이있다.18)상좌부에서는이것의해석에있
어앞의바가와는지시어로서대명사 와동격으로보아세존이신그분 ‘ ’ ‘so’ ‘ 은이라는의미로새긴다뒤에다시바가와가나오는데이것은불수념대 ’ . ‘ ’ 상이되는부처님덕성이라한다.19) 문법적으로살펴보면 에서 는 ‘itipi so bhagavā’ itipi iti이와같이예컨대 ( , ) + api또한 ( )가합쳐진불변화사로서뒤에나오는문장이확정적임을나타낸 다.20) 에서 는 인칭주격대명사로서 와동격을 ‘so bhagavā’ so 3 bhagavā 이룬다해석하자면이와같이그분세존은다음과같은공덕을지니신분이 . ‘ 시다라는의미가된다 ’ . 상좌부에서는이같이부처님의공덕을아홉가지로봐서 부처님덕성의 , 순서도아라한이제일먼저고바가와는가장나중이된다 ‘ ’ ‘ ’ .21)대중이모여
16)미얀마종교성에서발간한책자에서도아홉가지공덕 (The Nine Attributes of the Buddha)으로적고있다. Department for the promotion and propagation of the Sāsanā(2003) 강종미역 , Higher Level, Volume , 105-106, 125. Ⅰ (2014), Ⅰ 권, 42. 17) 황순일 (2007), 99-102. 18) 황순일 (2007), 101-102. 19)나라다스님도부처님공덕문해석을 ‘Thus, indeed, is that Blessed one: he is 라고하고있다 the Holy one, enlightened and blessed.’ . Nārada Thera … (200 8), 8. 20) A.P.Buddhadatta(2014) 문장이확정적이다라는뜻은 는 이다 , Part , 172. ‘ ’ ‘a b ’ Ⅲ 라는형태로의미를구체적으로한정한다는의미이다여기서는예컨대그분세존께 . ‘서는다음과같으시다 공덕을지니신다 ( )로해석된다는말이다 ’ . 21) Sayagyi U. Kyaw Htut(1996), 4. “Every time we make obeisance to the Buddha we recite the passage containing the nine attributes of the Buddha, starting with Arahaṁ and ending with Bhagavā.”
상좌부불교의염불수행연구 임인영현암 / ( ) 49 다같이염송할때도앞부분은같이하지않고대표자만선창한다.22) 부처님의덕성아홉가지를다시세가지묶음으로나누어볼수있다첫 . 째아라한정등각명행족의덕성모임둘째선서세간해무상사조어장부 , , . , , 의덕성모임셋째천인사부처님세존의덕성모임이다이렇게아홉덕성 . , , . 을다시세묶음으로새기면부처님의덕성의위대함을깨닫고부처님에대 한예경심이깊어질것이다.23) 불수념에나타나는부처님의아홉가지덕성의내용을살펴보았다 이러 . 한아홉가지덕성은대승불교여래십호와대부분일치한다여래십호는불 . 설십호경24)에나타나고있다 불설십호경은아난다가부처님께십호 . (⼗ )號에관해묻자부처님께서비구들에게부처님의열가지호칭에관해설명 하는경전이다.25)여래십호와불수념의부처님아홉가지덕성을표로정리
하면다음과같다.
순서 여래십호 불수념의부처님아홉덕 1 여래( )如來 해당없음 ( ) 2 응공( ) 應供 응공(Arahant) 3 정등각( ) 正等覺 정등각(Sammāsambuddha) 4 명행족( ) 明⾏⾜ 명행족(Vijjācaraṇa sampanna) 5 선서( ) 善逝 선서(Sugata) 6 세간해( ) 世間解무상사 ( ) 無上士 세간해(Lokavīdū) 7 조어장부( ) 調御丈夫 무상사조어장부 (Anuttara Purisadammasārathi) 8 천인사( ) 天人師 천인사(Satthādevamanussānaṁ) 9 불( ) 佛 불(Buddha) 10 세존( ) 世尊 세존(Bhagavā)24)25) 표 여래십호와 부처님 아홉 덕성 비교 < 1. > 22) 불수념의앞부분인 “Iti pi so bhagavā .” “By this reason the Exalted one … 는선창자가따로염송한다 is .” . Sarah Shaw … (2006), 112. 23) Sayagyi U. Kyaw Htut(1996), 29-31. 24) T.782, 719c. 如來·應供·正等覺·明⾏⾜·善逝·世間解無上士·調御丈夫·天人師·
50 한국불교학 90집 표 에서알수있듯이둘은많은부분일치하지만 차이점도보인다 < 1> , . 둘사이의차이점으로는첫째여래십호는부처님덕성을열가지로불수념 , 은아홉가지로나타낸다둘째여래십호에서는대표적부처님의덕성혹은 . 명호를여래로나타내지만 불수념은이와같이그분세존께서는 ‘ ’ , ‘ (itipi so bhagavā)으로시작하면서세존이라는덕성혹은명호를대표적으로쓰고 ’ ‘ ’ 있다. 셋째여래십호에등장하는여래라는명호는불수념에는등장하지않는 ‘ ’ 다넷째여래십호에서는세간해와무상사를하나의덕성으로묶고불수념에 . 서는무상사와조어장부를하나의덕성으로보고있다. 불수념수행과선정의증득2. 불수념은사마타수행의하나이지만본삼매(appanā)를성취할수없다고 한다불수념수행의대상이되는부처님의덕목이너무심오하고갖가지부 . , 처님의덕성을계속해서떠올려야하기에불수념수행자의마음은본삼매에 이르지못한다 불수념수행자의마음이집중되어도그집중은근접삼매 . (upacāra samādhi)에만이른다.26) 근접삼매와본삼매의차이는근접삼매에서선의구성요소들은견고하지 않다 그러나본삼매에서선의구성요소들은견고하다 근접삼매의상태가 . . 어린아이가땅에서있는것과같다면본삼매는건강한어른이땅에굳건히 서있는것과같다.27) 근접삼매는사마타수행자에게수행의장애들을극복하고부처님의공덕 등을대상으로계속이어져생겨나는욕계삼매를말한다 근접삼매는원래 . 본삼매에근접해서생겨나는삼매이다불수념에서생기는근접삼매는본삼 . 매에근접해서생기는것은아니나장애로부터청정한모습으로는근접삼매 佛· . 世尊 25) 강기선 (2018), 169. 26) 붓다고사스님 대림스님역 , (2004) 권, 1 , 508. 27) 상게서 권 , 1 , 346.
상좌부불교의염불수행연구 임인영현암 / ( ) 51 와같기에근접삼매라고한다.28) 이러한붓다고사스님의주석과상좌부의입장에대해근접삼매는경전에 나타나지않으므로인정하지않으려는주장도있다.29) 그러나근접삼매는
색계본삼매를이루기전의상태로욕계의집중된마음을나타낸다 담마상 . 가니에서욕계유익한마음을설명하면서선 ( ) 禪의구성요소의모임을들고 있다 즉욕계유익한마음에서도선의구성요소인일으킨생각 . ‘ ‘ (Vitakka), 지속적고찰(Vicāra) 희열 , (Pīti) 행복 , (Sukha) 집중 , (Ekaggata)이일어난다라 ’ ’ 고하고있다.30) 이것은바로근접삼매를삼장 ( ) 三藏 내에서설명하고있는
것이다. 또한근접삼매는색계본삼매를이루기전 즉종성의마음 , (gotrabhū)31) 이전에생겨나는욕계삼매상태라할것이고이것은자연스런추론이다불 , . 수념대상은깊고심오한부처님덕성이고수행자역시그덕성을거듭마 , 음에새겨야하기에본삼매에이를수없다는것이다. 염불수행으로증득하는삼매와관련해서대승의입장을보자면 문수사 리소설마하반야바라밀경( ) ⽂殊師利所說摩訶般若波羅蜜經 에서는부처님을 ‘ 염해서일행삼매( ) ⼀⾏三昧에든다라고나온다 ’ .32) 반주삼매경 ( ) 般⾈三昧經 에서는현재의붓다가현전하는삼매라는뜻으로수행자는반주삼매 ‘ ’ (般⾈ 28)근접삼매는본삼매에비해확고하지않으나선의장애되는요소를누르고성취되는
욕계삼매의상태이다원래근접삼매는본삼매에근접해일어난다는의미이다불수 . . 념은본삼매가없으므로근접이라할수없지만 불수념으로성취되는선정상태가 , 다른본삼매를성취하는수행에서의근접삼매와닮았다는의미이다마하시사야도 . , 일창스님역 (2013) 권, 1 , 154-155. 29) 조준호 (2017), 173-190. 30) 각묵스님역 (2016) 권, 1 , 252-258. 31)색계본삼매가일어나는과정을본삼매속행과정이라한다이과정을통해수행자 . 는욕계마음에서색계마음을성취한다 욕계에서색계로들어가는그찰나의마음 . 차례가종성의마음이다 종성의마음을지나면욕계마음은색계본삼매의마음이 . 된다본삼매를이루기전즉종성의마음이전에다섯가지장애를누르고일어난 . , 삼매를욕계의근접삼매라한다 대림 . ·각묵스님(2018) 권, 1 418-423. 32) 안준영 (2009), 206-207.
52 한국불교학 90집 )三昧에든다고나온다.33) 이와같이부처님을염해서생기는삼매와관련
하여상좌부와대승은차이점을보인다. 불수념의이익3. 불수념으로본삼매를성취하지못한다는것은앞서살펴보았다본삼매를 . 성취하지못한다고하여불수념을가벼이보아서는안된다부처님은불수 . 념을최상의수행이라말씀하신다.34) 또한불수념수행자에게는다음과같 , 은많은이익이있다. ①먼저부처님을거듭새기는수행자의마음은부처 님을존중하고부처님에게순종한다. ②부처님에대한믿음이확고해진다. ③수행자의새김(sati)이계발된다. ④수행자의통찰지가깊어진다. ⑤많은 공덕을얻는다. ⑥수행자의마음에희열과기쁨이커진다. ⑦두려움과공포 를극복한다. ⑧육체적·정신적고통을참을수있게된다. ⑨수행자자신이 항시부처님과함께하는것처럼생각된다. ⑩부처님의덕성으로채워진수 행자의몸도예배받을만하게된다. ⑪수행자의마음은부처님의경지로 향한다. ⑫계를범할대상을만나더라도부처님께서자신앞에계신것으로 여겨양심과수치심이일어나서불선법을행하지않게된다. ⑬불수념수행 을통한희열이나삼매를바탕으로위빳사나수행을하면깨달음까지도이 를수있다. ⑭깨달음에이르지못하는이는적어도선처에태어나는이익 을얻는다.35)이와같이불수념은특별한이익을가져오는수행이다불수념 . 33)한재희 (2014), 438; Angela Sumegi(2006) 안젤라의논문에서반주삼매 , 182-183. 경 (Pratyupanna Samādhi Sũtra)은“Samādhi of the Direct Encounter with the 로번역하고있다 Buddhas of the Present” . 34) “Bhāvehi buddhānussatiṃ, bhāvanānamanuttaraṃ; Imaṃ satiṃ bhāvayitvā, pūrayissasi mānasaṃ.” (Ap-1) 부처님거듭새김을닦아라수행가 “ , 운데위없는최상을이새김을거듭닦고나서는너의마음은공덕으로가득하리라 . ” 이게송이나타나는 는과거현재의부처님과아라한제자들의일대기를 Apadāna , 적은책이다. U Ko Lay(1998) 이게송과관련한자세한내용은 장수부띠 , 181. Ⅳ 존자의가피사례에서나온다 일창스님 . (2017) 참조 , 392-395 . 35) 붓다고사스님 대림스님역 , (2004) 권 일창스님 , 1 , 508-509; (2017), 391-392; Mehm Tin Mon(2008), vol 1, 182-183.
상좌부불교의염불수행연구 임인영현암 / ( ) 53 의이익과관련하여생긴직접적가피사례는제 장에서살펴볼것이다. Ⅳ 불수념수행의실제방법Ⅲ. 불수념은부처님의덕성을거듭떠올리는것이기에수행과함께예경의 의미도있다그리하여불수념은수행으로서만아니라남방예불에서는필수 . 적이다상좌부예불의식은각사찰에따라다양하지만부처님에대한예경 . , 은필수로행한다.36)이렇듯불수념은수행의측면도지니지만부처님에대
한예경의면도간과하여서는안된다불수념은수행뿐만아니라불교를전 . 해주신부처님에대한예경의측면도함께가지고있다. 수행의면에서도불수념은중요한것이고부처님을직접대하듯정성스럽 게행해야한다 불수념의실행순서를보자면먼저수행자는자신이지닌 . 계를깨끗이하여청정한계에머물러야한다열가지장애 . 37) 가운데어떤
장애가있으면그것을끊어야한다명상주제를주는선우 . (kalyāṇa-mitta)를 친근하고적당한곳에머물며사소한장애를끊고서모든절차를놓치지않 , , 고삼매를닦아야한다.38) 수행하기에적당한장소로는집에모신불상앞탑주변사찰산등고요 , , , 한공간이적합하다여성은홀로외진곳에가지말고동료와함께하는것 . 이좋다좋은장소에머물러마치내앞에부처님을직접뵙는것처럼청정 . , 하고지극한마음으로부처님명호를염송하여야한다.39) 부처님명호는빠알리어(Pāli)로염송하는것이좋다 빠알리어가어렵고 . 잘이해가되지않는다면우리나라말로염송해도좋다아래의불수념염송 . 방법에서는빠알리염송법을소개한다부처님을염하는방법에관해서는미 . 36) 윤소희 (2012), 193. 37)삼매를성취하기에장애가되는열가지이다그것은거주하는곳가족이득대중 . , , , , 공사 여행 친척 질병 서적 신통이다 붓다고사스님 대림스님역 , , , , , . , (2004) 권 , 1 , 참조278-291 . 38) 붓다고사스님 대림스님역 , (2004) 권, 1 , 278. 39) 강종미역 (2014) 권, 1 , 121.
54 한국불교학 90집 얀마종교성에서편찬한 불교입문에근거하여정리하였다. 일천공덕염불1. 부처님의덕성아홉가지를각각천번씩염송하는것이다부처님의아홉 . 덕성중첫번째인아라한공덕을소바가와이띠비아라항 ‘ (so bhagavā itipi arahaṁ)’40)이라염송하고다음공덕을소바가와이띠삐삼마삼붓도 , ‘ (so bhagavā itipi sammāsambuddho)라고한다마지막은소바가와이띠 ’ . ‘ 비바가와(so bhagavā itipi bhagavā)라고염송한다이렇게하고나서다시 ’ . 처음의아라한공덕으로가서계속아홉공덕을염송한다염송시에 염 . 108 주를사용하면쉽게할수있다.41) 또다른방법으로아라한공덕을 염 108 주가한바퀴돌도록염송하고그렇게각공덕을각각 염주한바퀴돌 , 108 리며염송하는것이다아라한공덕에서바가와공덕까지염송하고염주한 . 알씩돌려서 염주를한바퀴돌리면또한일천공덕염불이된다 108 . 그물공덕염불법2. 그물을엮듯염송하는것으로다음의네가지가있다. 가) 순관역관염불 순관염불은부처님의아홉가지공덕을아라한공덕 · : 에서바가와의공덕까지순서대로염송하는것이고 역관염불은바가와의 , 공덕에서시작하여아라한공덕으로마감하는것이다. 나) 사자처럼가는염불법 처음에공덕하나를염송하고다음공덕은이 : , 40) 그분세존께서는이와같이아라한의공덕을지니셨다 so bhagavā itipi arahaṁ. 는의미이다 소바가와는부처님즉세존을지칭하는것으로서공덕을나타내지는 . ‘ ’ 않는다즉불수념의제일처음대상이되는부처님의공덕은아라한의공덕이다세 . . 존이라는덕성은다음과같이마지막에등장한다 소바가와이띠삐바가와 . ‘ (so bhagavā itipi bhagavā)라고마지막으로염송하면서세존이라불리는그분은이와 ’ ‘같은세존의공덕 행운을가진분이시고마라를부수고복을구족한분이라는등의공덕 ( , ) 을갖추고계신분이다 하며염송한다 ’ . 41)각공덕에하나의염주알을돌려서 염주전체를 번돌리게되면 번염송하 108 9 972 는것이되나천번으로여기고암송한다다르게수를셀수있으면그것도가능하다 . . 강종미역 (2014) 권, 1 , 210.
상좌부불교의염불수행연구 임인영현암 / ( ) 55 전공덕에계속공덕을더하는방법이다즉처음은소바가와이띠삐아라 . ‘ 항이라염송하고다음두번째는처음에더해소바가와이띠삐아라항 ’ ‘ ’, 소바가와이띠삐삼마삼붓도라고염송한다이렇게해서마지막바가와공 ‘ ’ . 덕까지계속더하여염송한다이렇게염송할때앞에서말한순관역관방 . 법을더하여염송해도된다. 다 물라물리 ) (mūlamūlī)염불법 공덕하나를근본 : 뿌리근본 (mūla, , )으로 삼아나머지공덕을한줄로묶어염송한다이때근본으로삼은공덕은건 . 너뛰어서두번염송하지않는다예를들어세번째지혜와실천행을갖추 . ‘ 신분이라는공덕을근본으로하면다음과같다 소바가와이띠삐윗자짜 ’ . ‘ 라나삼빤노소바가와이띠삐아라항삼마삼붓도수가또로까위두아눗따로 뿌리사담마사랏티삿타데와마눗사낭붓도바가와’.42) 라 와지라빠까라 ) (vajirapākāra) 염불법 금강석을성벽처럼쌓듯확장하 : 는염불법이다공덕에더하여다른내용과숫자를덧붙여확장해나가는염 . 송이다첫번째인아라한공덕에대해서다음과같이한다 소바가와이띠 . . ‘ 비아라항 아라항와따소바가와 아라한땅사라낭갓차미 아라한땅사라 / / / 사나마미 빠타모와지라빠까로 소바가와이띠삐아라항 / / ’.43) 이렇게염송
하고서두번째삼마삼붓도공덕에대해서는아라항자리에삼마삼붓도를 ‘ ’ ‘ ’ 넣고 빠타마자리에두번째를나타내는두띠요 , ‘ ’ ‘ (dutiyo)를넣어서암송한 ’
42) so bhagavā itipi vijjācaraṇasampanno so bhagavā itipi arahaṁ sammā sambuddho sugato lokavidū anuttaro purisadammasārathi satthā deva- 부처님의아홉가지공덕가운데세번째윗자짜 manussānaṁ buddho bhagavā. ‘ 라나삼빤노 공덕을근본으로하면그것을먼저염하고나머지여덟공덕을하게 ’ 된다네번째공덕을근본으로하면수가또공덕을근본으로하고그수가또공덕 . ‘ ’ ‘ ’ 을제외한나머지여덟공덕을염하는식으로행한다. 43) “so bhagavā itipi arahaṁ, arahaṁ vata so bhagavā, arahantaṁ saraṇaṁ gacchāmi, arahantaṁ sirasā namāmi, paṭhamo vajirapākāro, so bhagavā 그분세존께서는아라한이십니다참으로아라한의공덕을갖추신 itipi arahaṁ.” “ . 그분은세존이십니다모든번뇌를제거하시고응당공양받으실분그분께제가귀 . 의합니다마땅히공양받으실분그분께제가머리숙여예경드립니다첫번째로 . . 무너지지않는굳건한성벽과같은그분세존은이와같이응당공양받으실아라한 이십니다.”
56 한국불교학 90집 다 이렇게하여서아홉가지공덕을다염송해나간다 . . 기타염불법3. 불수념은부처님의아홉가지공덕을나타내는명호를차례로반복적으로 염송하는것이다일반적으로부처님의공덕아홉가지를다염송하지만명 . , 호가운데어느하나를정해서계속반복적으로염송하여도된다제 장가 . Ⅳ 피사례에서살펴볼라자가하의한소년처럼부처님께귀의합니다 ‘ (Namo Buddhassa)라는부처님공덕하나를계속염송해도된다 ’ . 불수념수행에더하여부처님가르침의여섯공덕과부처님의거룩한제 자들의모임인승가의아홉공덕을함께한즉불·법·승삼보의공덕을염송 하는것도좋다부처님염송시에또한많이쓰이는것은예경서 . 44)이다예 . 경서는부처님공덕중아라한과정등각자의공덕을염송하는것으로다음 과같다 나모땃사바가와또아라하또삼마삼붓닷사 . ‘ .’45) 모든법회에항시
행하는이예경서를계속해서암송하는것도불수념수행으로많이행한다. 불수념수행방법은여기에서제시하는것외에많은방법이있을수있다. 그러한방법가운데자신에게맞는혹은자신이계속해서떠올리고싶은부 처님덕성을정하여지극한마음으로하면된다중요한것은수행자는먼저 . 부처님의덕성을잘이해하고부처님의덕성을지속해서마음에새기는것 이다.
44) 이것은 pubbabhāganamakkārapāṭha, pubbabhāga이전의 앞서는부분의 ( , ) + namakkāra예경 ( ) + pāṭha송 경구 ( , )로나누어볼수있는데미리앞서예를올리는 게송이라할수있다모든니까야의서두에도나오고있고상좌부에서는법회에앞 . , 서이게송을 번염송한다 전재성편역 3 . (2016), 127. 45) 아라한의공덕정등 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 각의공덕을두루갖추신그분세존께귀의합니다.
상좌부불교의염불수행연구 임인영현암 / ( ) 57 불수념가피사례Ⅳ. 부처님에대한믿음이어떠한현상등에의해결정되는것은하근기의중 생이라할수있겠다그러나중생의마음은불가사의한현상에경외심을가 . 지고초월적가피 , ( ) 加被 사례는불자들의마음을한번더부처님에게로향
하게한다불교역사에서불 . ·보살을떠올림으로인한가피사례는많이있었 다가피는중생이간절히원하는바를염불을통하여이룰수있게끔해주 . 는불·보살의위신력이다수많은가피사례는불 . ·보살님의위신력에의한 초월적현상의나타남이라할수있다우리나라의삼국유사에많은가피 . 사례가나타나고현대에재가불자들의가피사례도적지않다 , .46) 여기에서
는빠알리경에나타나는불가사의한현상이나이적( ) 異跡 등을살펴보도록
하겠다. 불수념으로생긴희열로인한이적 1. ( ) 異跡 부처님을거듭생각함으로인해서마음에희열(pīti)이생겨나고그희열은 여러가지이적( ) 異跡을낳는다 먼저아나타삔디까 . (Anāthapiṇḍika) 장자의
경우이다부처님에대한큰믿음을지녔고부처님께서직접보시자들가운 . , 데가장으뜸이라칭송한47)이가아나타삔디까장자이다율장의쭐라박가 . 율장소품 에장자의이적이자세히소개되고있다 , Cullavagga . 48) 일화는부처님이성도하신다음해라자가하에서일어난일이다 아나타 . 삔디까장자가볼일을보기위해라자가하에들렸다거기에서그는어느한 . 부호가여러가지진미를마련하고있는것을보고는큰제사나혹은왕을 초대한행사가있는줄여겼다이에장자는그부호에게무슨일로성대하 . 46)황상준 (2018)은관음신앙을중심으로하여우리나라역사에나타나는가피사례와 현대재가불자의가피사례를연구하였다. 47)대림스님역 (2007) 권 아나타삔디까장자는보시제일이었고의지할곳없 , 1 138. , 는이에게많은보시를하였기에급고독( , Anāthapindika) 給孤獨 장자라불렸다 . 48) 전재성역 (2014), 772-780.
58 한국불교학 90집 게음식을차리고있는지를물었다 그부호는내일자신이여래와그분의 . 제자들에게공양을올릴준비를하고있다고하였다 아난다삔디까장자가 . 여래‘ ( , Tathagata) 如來 라는말을듣자그에게는다섯가지희열 ’ 49)이그의 온몸에생겨나퍼졌다.50) 여래라는말을들은장자는당장부처님을뵙고싶었으나적당한때가 ‘ ’ 아니어서내일아침에뵈리라생각하고잠에들었다장자는부처님에관한 . 생각으로가득차고믿음과희열이충만하여그에게광명이드러나게되었 다그광명이너무밝아서밤에세번이나아침으로착각하고일어났다잠 . . 을잘이루지못한장자는아직해가뜨지않아어두운길이었지만길을나 섰다. 아직밤이었으나부처님에대한거듭새김으로생겨난희열로광명이생 겨났다 밤길을광명으로채우고걷던장자는부처님이계신씨따숲 . (Sītavana)51) 입구에도착하자두려움이생겨났다장자가두려움을느끼자 . 광명이사라졌다그러자야차씨와까 . (Sīvaka)가나타나장자를격려하였고 장자는다시광명을되찾고다시길을나섰다세번야차의도움으로부처 . 님계신곳에이른장자는부처님을뵙고법을듣고는수다원과를증득한다. 아나타삔디까장자의예에서보는것처럼불수념으로인한희열은밤의 어두움을몰아낼만큼의광명을나타내는이적을보였다 불수념에서생긴 . 49) 몸과마음을유쾌하게하는역할을하는희열은다섯가지가있다 . ① 작은희열 (khuddikā pīti) 몸의털을곤두서게하는희열 : . ② 순간적인희열(khaiṇkā pīti) 순간 : 순간번갯불처럼일어나는희열 . ③ 되풀이해서일어나는희열(okkantikā pīti) 해안 : 의물처럼자주자주몸에나타났다가부서지는희열 . ④ 용약하는희열(ubbegā pīti): 몸을들어올려서공중에뛰어오르도록하는강한희열. ⑤ 충만한희열(pharaṇā pīti) 극심한홍수가침입한산의동굴처럼온몸을두루적시는희열붓다고사스님 : . , 대림스님역(2004) 권 참조 , 1 , 375-377 . 50) Mingun Sayadaw, translated by U Ko Lay(1996), Volume Three, 121. 51)시따숲은라자가하근처에위치하고여기에서아나타삔디까가부처님을처음만나
게된다이곳은공동묘지로쓰이고있어서무섭고두려운곳 . (bhayabherava)으로불 렸다 장례전염불의식을시타림 . ( ) 尸陀林이라하는데이말도시따숲에서유례된 것이다. DPPN, Vol, , 1154. Ⅱ
상좌부불교의염불수행연구 임인영현암 / ( ) 59 희열의또다른예는다음의두가지가전해진다뿐나왈리까에머물던마하 . 띳사(Mahā Tissa)장로에게일어난예이다장로는보름날저녁아누루다뿌 . 라에있는대탑(Mahācetiya)을향해지금이시간에사부대중은대탑에예 ‘ 배를드리겠구나라고전에대탑에서본대상을통해서부처님을대상으로 ’ 마음을기울이고용약하는희열(ubbegā pīti)이일어났다이에장로는몸이 . 허공에뛰어올라서대탑앞에섰다불수념으로인해생겨난희열이장로의 . 몸을허공에오르게해서대탑에이르게한것이다. 또다른예로는기리깐다까(Girikaṇḍaka) 사원근처에있는왓따깔라까
(Vattakālaka)마을의한여인의일화다그녀의부모는법을듣기위해사원 . 으로가고자신은임신중이어서집에있었다기리깐다까에있는허공탑을 . 보고서는그녀는그곳에가고싶은마음이일어났다그녀는사원에가서이 . ‘ 러한탑전에서거닐고이렇게감미로운법문을들을수있는이들은얼마나 , 행복한자들인가라고생각할때용약하는희열이생겼다 그희열로인해 !’ . 그녀는공중에뛰어올라그녀의부모보다먼저탑에이르렀다. 부모들이그녀를보고놀라서연유를묻자그녀는대답했다 제가달빛으 . “ 로탑을바라보면서서있을때부처님을대상으로크나큰희열이생겼습니 다그때저는저자신이서있는지앉아있는지몰랐습니다제가얻은표상 . . 으로공중에올라탑전에서게되었습니다.”52) 이와같이부처님을거듭새
김으로인한희열은그사람의몸을공중에뛰어오를수있게할만큼강력 한것이다. 위험에서보호2. 부처님의모든경전은유익함을준다 그러한경들가운데서위험으로부 . 터보호해주는몇몇경을모아서보호경(paritta)이라한다빠알리 . ‘paritta’ 는안전 보호를뜻하는산스크리트 혹은 에서왔다 ‘ , ’ ‘paritra’ ‘paritrāna’ . 이러한보호경을독송하면독송자는위험에서벗어나고건강과축복을불러 52) 붓다고사스님 대림스님역 , (2004) 권, 1 , 376-377.
60 한국불교학 90집 온다고한다.53)보호경은여러개가있으나가장널리독송되는 개의경 11 을모아대보호경(The Great Paritta)이라한다.54) 이가운데하나가 깃발 경(Dhajagga Sutta)이다 깃발경에서부처님은위험의상황에서부처님 . 을떠올리라고하신다. 비구들이여 그러나나는이렇게말한다 비구들이여 만일그대들이숲 “ , . , 으로가거나나무아래로가거나빈집으로가서두려움과공포와털끝이 곤두섬을느낀다면그때는이런이유로그분세존께서는아라한이시며 ‘ , 완전히깨달은분이시며명지와실천이구족한분이시며피안으로잘가 , , 신분이시며세간을잘알고계신분이시며가장높은분이시며사람을 , , , 잘길들이는분이시며하늘과인간의스승이시며깨달은분이시며세존 , , , 이시다라고오직나를계속해서생각하라 .’ . 비구들이여 그대들이나를계속해서생각하면두려움과공포와털끝이 , 곤두섬이없어질것이기때문이다.”55) 깃발경에서부처님을떠올리는대상은앞서살펴본불수념수행에서부 처님의아홉덕성과일치한다경전에서부처님께서직접천명하셨듯이불수 . 념은수행자를위험에서보호하여준다 불수념수행으로위험에서벗어난 . 소년의경우가 법구경에나타난다. 부처님당시라자가하에사는한소년이있었다그는성을나갔다가밤에 . 성문이닫혀서성밖에서자게되었다소년은성밖의화장터가가까운곳 . 에서자고있었고그곳은약카56)가자주출몰하는곳이었다늦은밤소년을 .
53) Ven. K. Sri Dhammananda(1991), V. 54) U Sīlānanda(2000) 미얀마와같은상좌부불교국가에서는이러한대보호경을 , 2. ‘ ’ 많이독송한다 대보호경 가지는다음과같다 . ‘ ’ 11 . ① 축복경(Maṅgala Sutta) ② 보배 경(Ratana Sutta) ③ 자애경(Mettā Sutta) ④ 몸보호경(Khandha Sutta) ⑤ 공작경 (Mora Sutta) ⑥ 메추라기경(Vaṭṭa Sutta) ⑦ 깃발경(Dhajagga Sutta) ⑧ 아따나띠야에 서설해진경(Āṭānāṭiya Sutta) ⑨ 앙굴리말라경(Aṅgulimāla Sutta) ⑩ 깨달음요소경 (Bojjhaṅga Sutta) ⑪ 아침경(Pubbaṇha Sutta)이다. 55) 각묵스님옮김 (2009) 권, 1 , 704. 56)약카 (Yakkha)는야차라고도한다숲계곡버려진동굴등에거주한다아귀보다는 . , , . 높은귀신의하나이다사람들에게해를끼치기도하지만그들에게헌공하면오히려 .
상좌부불교의염불수행연구 임인영현암 / ( ) 61 발견한약카는소년을잡아먹으려고소년의발을잡아끌었다불수념에익숙 . 해져있던소년은깜짝놀라습관적으로 부처님께귀의합니다 ‘ (Namo Buddhassa)라고외쳤다이에약카는두려움에휩싸여뒤로물러났고밤새 ’ . 소년을보호하였다. 이소식을들은왕이부처님께물었다 부처님이시여부처님에대한새 . “ , 김만이위험으로부터보호를받을수있습니까 아니면법에대한새김이나 ? 다른새김으로도보호를받을수있습니까 부처님께서는다음과같이답 ?” 하셨다 대왕이여붓다에대한새김만이보호를받는것이아닙니다여섯 . “ , . 가지새김수행57)에잘숙달되어있으면다른보호수단이나방어수단이나 주문이나신비한풀은필요없습니다.”58)이처럼불수념을위시한새김수행
을항시행하는이는위험에서벗어나고삼보의보호를받는다. 세간과출세간의최상의이익3. 불수념이세간은물론출세간의이익을가져오는것은수부띠(Subhūti) 존자의전생담에서알수있다수부띠존자는빠두뭇따라 . (Padumuttara)부
처님당시난다(Nanda)선인이었다부처님이출현하였어도알지못하고선 . 정만을즐기고지내다부처님을만나큰기쁨을얻고굳건한신심을내었다. 그곳에서빠두뭇따라부처님은당신의제자가운데보시받을만한공덕으로 제일인제자에게법문을설하게하시고스스로다시법을설하셨다. 그법문을들은난다선인의많은제자들은아라한과를증득하였으나난 다선인은법을설한제자의지혜에놀라워하며그와같이되려고다음과 같이서원하였다 이러한저의선업으로다음부처님회상에서이장로처럼 . “ 지혜가좋은제자가되기를기원합니다 이렇게서원을발하자부처님께서 .” 는난다선인이여그대가바라는서원을성취하길원한다면부처님덕목을 “ , 인간들을보호하기도하는존재이다. 57) 여기에서언급되고있는여섯가지새김수행은 ① 부처님② 가르침③ 승가④ 몸에 대한새김⑤ 해치지않음폭력을여윔 ( ) ⑥ 자애의명상을뜻한다. 58) 무념 응진역 , (2008) 권 전재성역주 , 3 , 236-239. (2008), 637-642.
62 한국불교학 90집 칭송하고생각하는것인부처님거듭새김수행을많이행하라불수념은수 . 행가운데최상인것이다불수념을거듭닦으면그대의서원은성취될것이 . 다라고하셨다 ” . 난다선인은불수념을계속해서닦았고 인간으로태어나면거룩한가문 , 에천상에태어나면위력이큰천신으로태어났다고따마부처님 , . 59)당시에
사왓티성에아나타삔디까장자의조카로태어나수부띠라불렸다 부처님 . 가르침에귀의하여출가한후보시받을만한공덕으로제일인제자가되었 다이와같이불수념은선정이나도 . ·과와열반과같은출세간이익뿐만아 니라윤회하는동안선처의좋은가문에태어나는등세간의이익까지모두 가져다준다그리하여불수념은여러수행주제중에서도으뜸이다라고한 . “ ” 다.60) 맺는말. 대승불교와상좌부불교다같이중요시하고가장많이행하는수행중하 나가염불이다이처럼중요한염불수행이지만상좌부염불수행의연구는적 . 었다상좌부는시대적으로부처님초기원음을담고있으며대승불교와더 . 불어불교를대표하는전통승단이다상좌부수행의이해는우리대승불교 . 수행을이해하는것에도중요하다그리하여본연구에서는상좌부염불수행 . 전반을살폈다. 59)동아시아대승불교에서지금의부처님을석가모니부처님이라주로칭한다상좌부 . 에서는이와달리고따마(Gotama) 부처님이라칭한다 연등불로부터수기받는장 . 면도다음과같이나온다 수메다는지금부터 아승지 만우주대겁을지나고따 . “ 4 10 ‘마라는붓다가될것이다 ’ .” Mingun Sayadaw, translated by U Ko Lay(1996), 디빵까라부처님부터스물다섯분의부처님일대기를Volume one, part one, 56. 다루는경전이붓다왕사이다여기서우리부처님은스스로를고따마로칭하신다 . . 스스로깨달은나고따마는모든생명있는존재들의귀의처이다“ . (Ahaṁ gotama- sambuddho, saranaṁ sabbapāṇinaṁ)” Buddhavaṁsapāli >> 27. Gotama- buddhavaṁso. 60) 일창스님 (2017) 재인용 , 392-395 .
상좌부불교의염불수행연구 임인영현암 / ( ) 63 먼저부처님의공덕을거듭새기는불수념은빠알리성전에서도많이등 장하고상좌부에서도중요시한다부처님께서수행가운데최상이라칭송한 . 수행이다불수념의대상은부처님의덕성인데우리가주로염송하는여래십 . 호와는많은부분일치하였으나차이점도있었다 그리고불수념은사마타 . 수행의하나이지만본삼매를성취하지못하고근접삼매에만이른다불수념 . 수행의대상이되는부처님덕성이너무심오하고수행자는그덕성을계속 , 떠올려야하기에불수념수행으로본삼매에이르지못한다. 불수념으로본삼매를성취하지못하여도이수행은다른수행과견주어 많은이익을가져온다그러한이익은세간적인것에한정되지않고출세간 . 의이익까지도가져다준다 불수념이가져오는특별하고많은이익때문에 . 불수념이사마타수행이지만위빳사나수행에서도보호수행으로행한다.61) 불수념의실제수행과관련하여제 장에서다양한방법들을살펴보았다. Ⅲ 이러한방법이외에도다양한방법이있을수있다여러방법가운데수행 . 자는자신이하나를선택하여지극한마음으로부처님덕성을잘이해하면 서지속해서새기는것이중요하다제 장에서는빠알리경에드러나는많 . Ⅳ 은가피사례를살폈다그러한가피사례는불수념의이익이실제로드러난 . 경우라할것이다. 이글의주된목적이불수념과대승의염불수행을비교연구하는것은아 니지만불수념전반을살피며자연스레드러난외형상차이점은다음과같 다첫째불수념수행은부처님의덕성을거듭떠올림에역점을둔다칭명염 . . 불에서석가모니불 관세음보살등의한분의명호를반복적으로염하는형 ‘ ’ ‘ ’ 태는불수념에서는보이지않는다대승의염불수행은부처님의공덕을떠올 . 리기도하지만불·보살님의명호하나를정하여지속해서염송하는칭명염 61) 마하시사야도 일창스님역 , (2013) 권 마하시위빳사나는순수위빳사나 , 2 60-61. 수행이다순수위빳사나는위빳사나수행전사마타수행을닦아근접삼매나본삼매 . 를성취함이없이위빳사나수행을하는것을말한다순수위빳사나수행자는근접 . 삼매나본삼매를의지하지않고찰나삼매를의지해서위빳사나수행을한다이러한 . 마하시위빳사나에서도위빳사나수행전보호명상으로네가지를실천한다그것은 . ① 불수념② 자애명상③ 몸에대한부정( ) 不淨 명상 ④ 죽음명상이다.
64 한국불교학 90집 불을주로행한다.62) 칭명염불의대상도석가모니부처님에한정하지않고
많은부처님과보살님들의명호를포함한다 이러한구분을한다고하여서 . 둘사이의명확한경계가드러나는것은아니고역점을두는부분의차이라 할것이다. 둘째불수념수행에서부처님공덕은아홉가지지만염불수행에서부처님 공덕은여래십호로써나타나고있다 셋째대표가되는부처님의덕성이나 . 명호는불수념에서는바가와 ‘ (Bhagava)가된다대승염불수행에서는여래 ’ . ‘ (Tathagata)가그대표가된다하지만여래십호에나타나는여래라는덕성 ’ . ‘ ’ 은불수념에는나타나지않는다. 넷째불수념을통해성취하는선정은근접삼매이고본삼매를성취하지못 한다고한다염불수행에서성취하는삼매는일행삼매나반주삼매라불린 . ‘ ’ ‘ ’ 다이와같이불수념과대승의염불수행은부처님에대하여염송하는측면 . 에서는같으나위와같은차이점을보인다. 이논문에서는이제껏연구가많이이루어지지않은상좌부염불수행인 불수념을개관하였다불수념전체를살피는데중점을두어불수념과선정의 . 증득문제부처님덕성이상좌부는아홉가지로대승에서는여래십호로정착 , 된연유등에관하여상세히살피지는못하였다이에관한많은연구가필 . 요하리라본다. 상좌부불수념전반에관한연구가남방불교염불수행에관한이해에만 그치지아니하고대승염불수행을바르게이해하고두수행의차이점도알 수있었다혹부처님을염하는염불수행이하근기의수행자가하는수행이 . 라고아직도잘못생각하는이가있다면불수념의많은이익을되새겨보아 야할것이다불수념은세간과출세간의특별한이익을가져오고부처님이 . , 칭송한최상의수행임을잊어서는안될것이다. 62)우리의염불수행은석가모니불을염할때수행자는석가족의성인이시고알아야 ‘ ’ ‘ 할것을전부깨달으신분이라고그의미나덕성을떠올리며그덕성을깊이새기 ’ 는것보다칭명을산란한마음없이이어가는데중점을둔다 이에반해불수념은 . 부처님명호의반복적염송보다는부처님이가지신덕성의의미를깊이새기는데 치중한다.
상좌부불교의염불수행연구 임인영현암 / ( ) 65
參考文獻
삼장 및 사전1.
DN: Digha Nikāya(1966), PTS. MN: Majjhima Nikāya(1979), PTS. Ap: Apadāna. (Khuddakanikāya Apadānapāli-1) ≫ , Chaṭṭha Saṅgāyana(VRI). Buddhavaṁsapāli, Chaṭṭha Saṅgāyana(VRI). 불설십호경 T17. 각묵스님역(2009) 상윳따니까야 울산 초기불전연구원 , , : . 각묵스님역(2016) 담마상가니 울산 초기불전연구원 , , : . 대림스님역(2004) 청정도론 울산 초기불전연구원 , , : . 대림스님역(2007) 앙굿따라니까야 울산 초기불전연구원 , , : . 대림·각묵스님(2018) 아비담마길라잡이 울산 초기불전연구원 , , : . 무념 응진스님역 , (2008) 법구경이야기 경주 옛길 , , : . 전재성역주(2004) 숫타니파타 서울 , ,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 전재성역주(2008) 법구경담마파다 서울 , - ,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 전재성역(2014) 쭐라박가율장소품 서울 , - ,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 전재성역(2018) 청정도론비쑷디막가 서울 , - ,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 Ven. Buddhaghosācariya(1999), Visuddhimagga,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Ven. K. Sri Dhammananda(1991), Paritta Chanting, Malaysia, Buddhist Missionary Society. Ven. U Sīlānanda((2000), Paritta Pali and Protective Verses, Yangon, The International Theravada Buddhist Missionary University.
PED: Pali-English Dictionary(1923), PTS. DPPN: Dictionary of Pāli Proper Names(1974), PTS.
논문 및 단행본2. 강기선(2018) 여래십호에대한고찰한역불전을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 , - , 「 」 집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5 , . 강종미역(2014) 불교입문 경기도 도서출판도다가마을 , , : .
66 한국불교학 90집 김은영(2018) 교육과정텍스트로서의정토삼부경재조명 불교학연구 제 집 , , 86 , 「 」 서울 한국불교학회 , . 김종명(2007) 한국일상예불의역사적변용 불교학연구 제 호불교학연구회 , , 18 , . 「 」 김준호(2008) 사띠논쟁의공과 , 「 ( ) 功過 불교학리뷰 제집 불교문화연구소 , 4 , .」 마하시사야도 일창스님역 , (2013) 위빳사나수행방법론 서울 , , 이솔출판 : . 박화문(2002) 칭명염불에대한연구 정토학연구 제호 한국정토학회 , , 5 , . 「 」 심상현만춘( )(2015) 송주에관한연구 한국불교학 제 집서울한국불교학회 , , 75 , , . 「 」 안양규(2015) 불교의생사관과죽음교육 서울 , , 도서출판모시는사람들 : . 안준영(2009) 염불선에서의깨달음의문제 정토학연구 제 집 한국정토학회 , , 12 , . 「 」 윤소희(2012) 남방불교예불문에관한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 동아시아불 , , 11, 「 」 교문화학회. 이혜숙(2016) 불자신행교육의평가를위한예비적고찰 선문화연구 , , 21, 「 」 일창스님(2017) 가르침을배우다 안양 , , 도서출판불방일 : . 조준호(2017) 염불선과선정계위 정토학연구 제 집 서울 , , 27 , 「 」 한국정토학회 : . 태원스님(2005) 염불수행법 수행법연구 서울 , , , 「 」 조계종출판사 : . 한재희(2014) 반주삼매 , 「 ( ) 般⾈三昧와대승불교의기원 인도철학 제 집 서울 , 42 , 」 : 인도철학회. 황상준(2018) 염불신앙을통한현대재가불자의가피사례연구 한국불교학 제 , , 「 」 집 서울 86 , 한국불교학회 : . 황순일(2007) 붓다의열가지호칭의기원과전개 인도철학 제 집서울 , , 23 , 「 」 인 : 도철학회. Angela Sumegi(2006), “Recollecting and Envisioning: Buddha in Theravada and Mahayana Practice”. Canadian Journal of Buddhist Studies No. Two, A.P.Buddhadatta(2014), The New Pali Course Part , Ⅲ Sri Lanka, Buddhist Cultural Centre. Department for the Promotion and Propagation of the Sāsanā(2003), The Teachings of the Buddha, Higher Level Vol , Myanmar. Ⅰ Klemens Karlsson(2000), Face to Face with the Absent Buddha, Sweden, Uppasala University. Mehm Tin Mon(2008), The Essence of Visuddi Magga Volume 1, Yangon, Yadanar Min Literature. Mingun Sayadaw, translated by U Ko Lay(1996), The Great Chronicle of Buddhas, Yangon, TI=NI Publishing Center.
상좌부불교의염불수행연구 임인영현암 / ( ) 67
Nārada Thera(2008), A Manual of Buddhist Chanting and Devotional Texts, The Wheel Publication NO. 54, BPS online Edition. Sarah Shaw(2006), Buddhist Meditation, Taylor and Francis e-Library. Sayagyi U. Kyaw Htut, translated by Daw Mya Tin(1996), The Nine attributes of the Buddha, Myanmar, Department for te Promotion and Propagation of the Sāsanā. U Ko Lay(1998), Essence of Tipiṭaka, India, Vipassana Research Institute.
접수일: 2019.04.18 심사완료일: 2019.05.07 게재확정일: 2019.05.09
68 한국불교학 90집
≪Abstract≫
A Study on the Buddha-Recollection of Theravāda Buddhism
Lim In-young (Ven. Hyun-am) Researcher, Buddhist Counselling Research Institute, Dongguk Univ.
The Recollection of the Buddha in Theravāda Buddhism has been known by the term of the buddhānussati. The buddhānussati is the repeated recollection of the attributes of the Buddha. The objects of the buddhānussati are the nine virtues of the Buddha. While they are similar to the Ten Appellations of the Tathāgata as the objects of the Mahāyāna Buddha-recollecti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Buddhānussati does not reach the state of absorption(appana- samadhi) despite the fact that it belongs to the Samatha practice. Owing to the profundity of the Buddha’s special attributes, or else owing to being occupied in recollecting special Buddha’s virtues of many sorts, the jhana remains only access(upacāra). Even if the appana-samadhi cannot be obtained, the practitioner attains the fullness of faith, mindfulness, insight, knowledge, and so forth. This paper includes the case examples of the gapi( , inspirational 加被 experience) due to the buddhānussati that appear in the Pāli scripture. In this research about the overall buddhānussati, when it is compared with the Name Chanting of the Mahāyāna, the two are the same with regard to recollecting of the Buddha. But, the following differences are revealed. Firstly, buddhānussati focuses on the recollection of the attributes of the Buddha. But Name chanting lays its emphasis on the continuous chanting of the Buddha’s name. And the objects of the Name-chanting include not only the Buddha but also other bodhisattvas. Secondly, The attributes of the Buddha appear as nine kinds in the buddhānussati, while the Mahāyāna has been standardized with the ten names of the Tathāgata. Thirdly, as we know from the ten names of the Tathāgata,
상좌부불교의염불수행연구 임인영현암 / ( ) 69
the most important virtue or title becomes the Tathāgata, while, in the buddhānussati, the Bhagavā is the most representative title, with no mention of the title of ‘the Tathāgata.’ Fourthly, through the Name chanting, the meditator can attain pratyupanna samādhi( , 般⾈三昧 Samādhi of the direct encounter with the Buddhas of the present) or one-practice samādhi( ) ⼀⾏三昧, while buddhānussati meditator can reach only the state of access jhana.
Key Words: buddhānussati, Name Chanting, Recollection of the Buddha, Ten Appellations of Tathagata, Theravāda Buddhism
[출처] 상좌부불교의 염불수행 연구|작성자 임기영양벌리영어논술
'불교와 인문과학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엄경 이근원통장 연구-② (0) | 2020.05.17 |
---|---|
불교교육의 기초 (The Foundations in Buddhist Education)와 차제적 교육방법 /이송곤 박사의 ‘불교교육학’강좌 (0) | 2020.05.17 |
불교의 무아사상에 대한 신경정신의학적 고찰 - 최 훈 동 (0) | 2020.04.26 |
極微 해석을 통해 본 世親 철학의 轉移 (0) | 2020.04.19 |
징관의 해인삼매관 대하여 (0) | 2020.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