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봉종밀의 금강경 이해
1. 금강경 이해
§ 명칭
금강경으로 알려진 경전의 원래 이름은 《Ariya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mahayana sutra》로써 한문으로 《능단금강반야바라밀경能斷金剛般若波羅蜜經》(현장 역), 《金剛般若波羅蜜經》(구마라집 역)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줄여서 《金剛經》이라고 하며, 영어로는 《Diamond sutra》라고 한다. 우리말로 번역하면 《성스러운 지혜를 완성하여 금강석처럼 번뇌를 자르는 경》이다. 불교에서는 지혜를 날카로운 칼에 비유하는데, 금강반야라는 명칭은 금강석과 같은 지혜의 힘으로 번뇌를 남김없이 제거할 수 있다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런데 금강경의 명칭이 부처님께서 보리수 아래서 성도하실 때, 길상초아래 깔고 앉으셨던 금강보좌(金剛寶座)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불멸이후 정체성을 상실하고 폐쇄적인 출가자집단으로 퇴색하는 승단의 흐름을 바로잡고, 자리이타의 실천수행을 강조하는 대승불교운동이 일어났는데, 이러한 사상을 금강경에서 담아내고 있다. 즉, 불교근본정신으로 돌아가자는 상징적 비유로 금강보좌에서 이 경의 이름을 따왔다는 것이다.
§ 역본
금강경은 여섯 번에 걸쳐 한역되었는데, 그 중에 구마라집의 번역본이 가장 널리 유포되고 있다. 금강경은 상권(1분~16분), 하권(17분~32분)으로 구분되어있다.
그 후 350년경 북인도의 무착(無着, Asaṅga, 300?~390)이 금강경을 해석하기 위해 일광정(日光定)에 들어 도솔천 미륵보살로부터 받은 금강경 대의(大義)에 따라 《무착론》2권을 지으면서 18주처로 분과했다. 그의 동생인 세친(世親, Vasubandhu, 320?~400?)은 《천친론》3권을 지으면 27의단으로 분과하였는데, 그 후 양무제의 장자인 소명태자(昭明太子, 561~631)는 이를 32분하여 지금에 전한다.
§ 인연
천태교판에 따르면 부처님께서는 21년동안 네 곳에서 16차례의 법회를 열어 반야부 경전을 설하셨다고 한다. 첫째 왕사성 영취산에서 7회, 둘째 급고독원에서 7회, 셋째 타화자재천 마니보장전에서 1회, 넷째 왕사성 죽림원 백로지축에서 1회이다. 이러한 반야부를 총망라한 600권 대반야경 가운데, 금강경은 제 2처, 제 9회, 제 577권에 해당한다.
§ 금강경의 주제
금강경은 수보리의 질문에 대한 부처님의 명쾌한 답변과 수보리의 눈물어린 감동과 대중이 함께 환희봉행한 것이 주된 내용이다.
수보리의 질문은 이러했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보살은 어떻게 머물러야 합니까?”
여기에 부처님께서는 보살이 어떻게 머물러야하는지 말씀하셨고, “보살은 어떻게 행하고 마음을 머물러야 하는가?”가 금강경의 핵심주제이다.
§ 금강경의 이해를 위해 18주처 강조
규봉종밀 선사는 수보리의 질문에 대한 부처님의 말씀을 더욱 여실히 드러내기 위해 무착보살의 18주처를 가져와 설명하고 있다.
즉, 보살이 마음을 어떻게 쓰고 어떻게 머물러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가르침이 바로 18주처이다.
350년경 북인도의 무착(無着, Asaṅga, 300?~390)은 《금강반야론金剛般若論》에서 금강경 전체를 7종 의구로 파악하고, 세 번째 행소주처의구(行所住處義句)에서는 금강경에 등장하는 화제를 18단계로 구분했다. 18주처는 근기가 성숙하여 짐에 따라서 각 단계가 점점 상승되는 보살의 수행단계를 나타낸 것이며 다음과 같다.
①발심주처(發心住處)
②바라밀상응행주처(波羅蜜相應行住處)
③욕득색신주처(欲得色身住處)
④욕득법신주처(欲得法身住處)
⑤어수도득승중무만주처(於修道得勝中無慢住處)
⑥불리불출시주처(不離佛出時住處)
⑦원정불토주처(願淨佛土住處)
⑧성숙중생주처(成熟衆生住處)
⑨원리수순외론산란주처(遠離隨順外論散亂住處)
⑩색급중생신박취중관파상응행주처(色及衆生身搏取中觀破相應行住處)
⑪공양급시여래주처(供養級侍如來住處)
⑫원리이양급피핍열뇌고불기정진급퇴실등주처(遠離利養及疲乏熱惱故不起精進及退失等住處)
⑬인고주처(忍苦住處)
⑭이적정미주처(離寂靜味住處)
⑮어증도시원리희동주처(於證道時遠離喜動住處)
⑯구교수주처(求敎授住處)
⑰증도주처(證道住處)
⑱상구불지주처(上求佛地住處)
'금강경, 반야심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성문4과) (0) | 2021.12.26 |
---|---|
규봉종밀의 금강경 이해 2. 圭峰密禪師疏論纂並序규봉밀선사소론찬병서 원문 해설 (0) | 2021.08.15 |
반야심경 (0) | 2021.08.01 |
금강반야바라밀경 한글독송용 (0) | 2021.07.18 |
금강반야바라밀 오가해 함허 서설 (0) | 2021.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