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각경(圓覺經)
❮원각경❯은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문수. 보현. 보안. 금강장. 미륵 청정혜. 위덕자재. 변음. 정제업장. 보각. 원각. 현선수 등 12보살들과의 문답을 통해 대원각의 묘리와 그 관행을 설한 경전이다.
전체 1권 12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2보살들과의 문답을 각각 1장으로 했기 때문에 12장으로 되었다.
제1 문수보살 장에서는 누구나 본래부터 갖고 있는 원각에 환원하기만 하면 생사가 곧 열반이요, 윤회가 곧 해탈이 됨을 가르치고 있다.
제2 보현보살장부터 제11 원각보살장까지는 원각을 닦고 증득함에 필요한 사고와 실천에 대하여 설하고 있다.
끝으로 제12 현선수보살장에서는 이 경의 이름과 신수봉행의 방법 그리고 수지하는 공덕과 이익 등에 대하여 설하고 있다.
원래 명칭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으로 줄여서 ❮대방광원각경❯ ❮원각수다라요의경❯ ❮원각요의경❯ ❮원각경❯이라고도 한다.
중국 당나라 불타다라(佛陀多羅)에 의해 번역되었으나 연대는 확실치 않다.
경전의 내용은 ❮수능엄경❯을 근거로 여기에 ❮대승기신론❯의 교의를 짜 넣어 중국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는 학자가 많다.
이렇듯 중국에서 만들어진 위경(僞經)으로 보는 학자가 많고 문헌학적 의문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이 대승의 참뜻을 잘 표현하고 있어 예로부터 널리 유포된 경전이다.
이리하여 우리 나라에서도 전문 강원의 교과목 중 ❮금강경❯ ❮수능엄경❯ ❮대승기신론❯과 함께 사교과의 한 과목으로 채택되었다.
주석서로는 이 경의 제일의 주석가요 유포자로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당나라 종밀(宗密)의 ❮대방광원각경대소❯를 비롯한 9종이 있다.
물론 종밀 이전에도 이미 유각(惟慤)의 소(疏) 1권, 오진(悟眞)의 소 2권, 견지(堅志)의 소 4권, 도전 (道詮)의 소 9권 등이 있었다고 하나, 종밀의 것을 제일로 손꼽고 있다.
또한 종밀 이후에도 수많은 주석서가 나왔으나, 후세의 연구가들은 거의가 종밀의 주석서에 의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조선 시대 함허득통(涵虛得通)의 ❮원각경해❯(3권)를 비롯하여 유일(有一)의 ❮원각사기❯(2권), 의첨(義沾)의 ❮원각경사기❯(1권) 등이 현존한다.
'원각경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각경(圓覺經) 해설 (0) | 2022.03.13 |
---|---|
원각경에 대한 소개 (0) | 2022.01.23 |
원각경 (0) | 2020.11.08 |
원각경 (0) | 2017.12.24 |
[스크랩] 원각경 원문/해설 12. 현선수보살장 제십이(賢善首菩薩章 第十二) - [끝] (0) | 2017.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