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각경의 구조와 중심사상
원각경은 요의경(了義經)으로,
1)인생의 고통과 번뇌를 철저하게 해결해 줄 수 있는 경전이며,
2)어떻게 수행하여 성불할 것인지를 가리켜 이끌어주는 경전일 뿐만 아니라,
3)경문의 문자가 우아하고 아름다워서 읽어보면 정말 하나의 큰 음미와 즐거움을 준다.
『원각경』은 모든 중생이 佛性을 지니고 있다는 여래장사상(如來藏思想) 아래 신통대광명(神通大光明)으로써 법을 보이시고
그에 미치지 못하는 중생들을 위해 12菩薩들의 慈悲로운 질문으로 구체적인 방법들을 시설하신다.
대승의 경론서(經論書)로 수행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체계적으로 담고 있다.
당나라 규봉종밀은 원각경을 보다가 깨우쳐서 “원각경소”를 지었고
명나라의 감산대사의 “원각경직해서”가 유명하며
고려 지눌스님이 원각경을 널리 알리기 시작해서
조선초 함허득통선사가 이 경의 해설서를 지으면서 중요한 수행경전으로 채택되었다.
원각경의 중심사상인 圓覺妙心은 이 경 전체에 걸쳐서 圓覺, 涅槃妙心,圓覺心, 覺心으로 표현되어
누구나 갖추고 있는 원각성을 성취하기 위한 수행론을 설하고 있다.
바로 이 청정원각의 힘에 의해 무명을 단절하신 분이 부처님이며,
동일한 원각을 지녔지만 윤회생사에서 벗어나지 못한 이는 중생이다.
이 경전의 문수보살을 비롯해서 12명의 보살이 순차적으로 등장하여
각자 독특한 의문을 여쭙고 부처님께서 대답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경문 전체가 청정원각을 체득하기 위한 觀수행법이 상, 중, 하 근기의 순서로 설해지고 있다.
이 사상을 세분화해서 보면 수행의 기초적인 단계에서 무명의 단절과 윤회에서 벗어나는 방법,
4相을 끊는 방법등 수행의 준비단계가 설해져 있다.
보안보살장 이하 4장(보안,금강장,미륵,청정혜보살장)은 상근기의 修證을 설하고,
위덕자재이하 4장(위덕자재,변음,정제업장,보각장)은 중근기의 修證을 설하고,
원각보살장은 하근기의 修證을 설한다.
현선수보살장에서는 이 경의 이름과 법을 유통할 것을 부촉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上根機의 수행자는 신해(信解)로써 바로 깨달아 들어가지만,
中根機의 수행자는 해(解)에 의해서 행(行)을 통해 들어가고,
下根機의 수행자는 방편(方便)에 의하여 원각묘심(圓覺妙心)의 경지에 증입(證入)할 수 있다.
序 分 | 斷無明 現成佛 |
|||||
正宗分 | 上上根機 (信解에서 바로 깨침) |
文 殊 | 達天眞 | 頓 | 信 | |
普 賢 | 明緣起 | 解 | ||||
上根機 (일반적 觀行으로 깨침) |
普 眼 | 問觀行 | ||||
金 剛 藏 | 辨三惑 | 漸 | ||||
彌 勒 | 斷輪廻 | |||||
淸 淨 慧 | 分證位 | |||||
中根機 (특별한 觀行으로 깨침) |
威德自在 | 起三觀 | 下漸 | 行 | ||
辨 音 | 修單複 | |||||
淨諸業障 | 除四相 | |||||
普 覺 | 離四病 | |||||
下根機 (道場莊嚴으로깨침) |
圓 覺 | 三期懺 | 證 | |||
流通分 | 賢 善 首 | 請流通 |
또한 大圓覺을 깨달음에 頓漸을 모두 갖추고 있는데
이에 규봉종밀선사는 『원각경대소(圓覺經大疎)』에서 문수보살장은 頓解悟,
보현보살장과 청정혜보살장은 頓悟頓修, 보안보살장은 頓證悟와 通解證,
三觀과 25輪을 설하고 있는 위덕자재보살장과 변음보살장은 漸證悟,
원각보살장은 頓悟漸修ㆍ漸修頓悟ㆍ漸修漸悟등으로 보고 있으나
지관스님은 『한국불교소의경전연구(韓國佛敎所依經典硏究)』에서 위의 표와 같이 구분하고 있다.
또한 觀修行을 사마타, 삼마발제, 선나인 三觀으로 정리하고 각각 靜觀, 幻觀, 寂觀이라 이름하여
25種의 청정정륜(淸淨定輪)으로서 定(samādhi)을 총설하고 있다.
이는 선관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한 일종의 좌선의(坐禪儀)라고도 할 수 있다.
더불어 佛道修行을 닦고 익히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까지도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어
말세 중생의 모든 근기를 다 포섭하는 수행법임을 알 수 있다.
'원각경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각경 문수보살장과 인지법행 (0) | 2022.11.13 |
---|---|
원각경(圓覺經) 해설 (0) | 2022.03.13 |
원각경(圓覺經) (0) | 2021.10.03 |
원각경 (0) | 2020.11.08 |
원각경 (0) | 2017.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