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목우(牧牛), 공(空)을 찾는 여정 / 홍용희

목우(牧牛), 공(空)을 찾는 여정1. 소 혹은 소 아닌 소 ​ 절에 가면 가장 자주 만나게 되는 불화 속의 동물은 소이다. 큰 절이나 작은 절이나 이 점은 마찬가지이다. 대웅전 처마 끝을 따라 걷다 보면 무심코 외벽을 따라 순차적으로 펼쳐진 〈십우도〉를 마주하게 된다. 민화처럼 담백하고 친숙한 〈십우도〉에는 화제에 해당하는 〈심우송〉이 대부분 곁들여 있다. 오랫동안 농경사회였던 이 땅의 뭇사람들은 집과 들에서 함께 살며 일하던 소를 절에 와서 다시 그림으로 만나온 것이다. ​ 그렇다면 굳이 왜 소일까? 소가 일상생활과 가깝다고 할지라도 사찰의 불화 속에 자주 등장한 필요조건이 될 수는 없다. 인간의 삶과 가까운 동물에는 소만 있는 것도 아니지 않은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법명에서부터 깨달은 소를..

지혜의 공간 2023.09.29

[허인섭] ■ 조론(肇論)에서의 반야(般若)와 공(空)개념 성격 고찰

조론(肇論)에서의 반야(般若)와 공(空)개념 성격 고찰 허인섭 (덕성여대 교수) ▒ 목 차 ▒ Ⅰ. 서 론 Ⅱ. 승조 시대의 사상적 배경 1. 위진현학(魏晋玄學)적 사유의 특성 1) 선진도가(先秦道家)의 세계 이해방식 2) 왕필(王弼) 현학의 사상적 특성 2. 도가와 불교의 개념 혼용 문제 1) 도․불(道․佛)의 개념적 사유 한계 이해와 그 극복방식의 차이 2) 연기론의 도가적 이해 양상 Ⅲ. 조론의 중국불교적 특성 1. 공(空) 개념 이해의 일반적 문제점 2. 조론에서의 반야와 공 개념 이해방식 사례 분석 1) 반야무지론(般若無知論)에서의 반야 개념 2) 물불천론(物不遷論)에서의 존재 개념 3) 부진공론(不眞空論)에서의 공(空) 개념 Ⅳ. 결론 Ⅰ. 서 론 승조(僧肇)는 대규모 역경의 위업을 이룬 서역..

기타 2023.01.15

[이병욱] 불교의 공(空)사상과 노자사상의 비교

불교의 공(空)사상과 노자사상의 비교 / 이병욱 ▒ 목 차 ▒ 1. 서론 2. 불교의 공(空)사상 1) 공(空)사상에 대한 설명 2) 공(空)사상의 활용 3. 노자(老子)의 사상 1) 노자사상의 근본 : 도(道)의 체(體)와 용(用) 2) 노자의 인생관 4. 결론: 불교와 노자사상의 비교 1. 서론 ▲ 위로 세계의 역사를 돌이켜볼 때, 서로 가까이 있는 두 나라 사이에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는 드문 것 같다. 차라리 거리가 먼 나라와는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지만, 가까이 있는 나라와는 감정의 골이 깊은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일본에 대해 국민감정이 좋지 않다. 서양인의 눈으로 보자면, 우리나라나 일본은 동아시아 문화에 속해 있고 상당부분에서 공통점도 있건만, 그러나 우리나라와 일본은 좋..

기타 2023.01.01

공이란 무엇인가?

“연기(緣起), 그것을 우리는 공(空)이라고 부른다.” (『중론』 제24장 관사제품 제18송 전반부) “자성(自性)은 만들어진 것이 아니며, 다른 것에 의존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이다.” (『중론』 제15장 관유무품 제2송 후반부) 연기(緣起)에 대한 오해 모든 것은 조건(=인연)에 의존하여 생겨나며, 그 조건이 유지되는 한도 내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불교의 핵심 교리인 ‘연기’라고 했다. 그런데 연기를 이렇게 이해하면 어떻게 될까? 흰 종이 한 장과 파란 종이 한 장이 간격을 두고 떨어진 채 놓여 있다. 바람이 불어와 두 종이는 서로 겹치게 되었다. 얼마 후 다시 세찬 바람이 불어와서 두 종이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멀리 날아가 서로 떨어졌다. 그러나 흰 종이는 변함없이 여전히 흰 종이고, ..

법문과 수행 2021.01.03

공(空) 의미의 세 차원

공(空) 의미의 세 차원 어디에도 머무르지 않는 절대자유 공사상(空思想)은 초기 불교의 연기설(緣起說)을 재해석하여, 붓다의 기본 입장을 보다 명확하게 밝힌 대승불교의 핵심적인 종교철학 사상이다.‘공(空)’이라는 용어는 ‘sunya’(텅 빈)라는 형용사나 ‘sunyata’(공한 것, 空性)이라는 명사의 번역어이다. 초기경전(初期經典)에는 ‘공’이라는 용어가 주로 무상(無常)과 무아(無我)를 통찰한 결과 얻어지는 삼매(三昧)의 상태를 의미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대승불교에서 공의 개념은 보다 다양하게 전개되었는데 대승경전의 모체인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과 그 주석서인 〈대지도론(大智度論)〉에는 공의 의미를 다음과 같은 여덟 차원(十八空)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1. 내공(內空): 인식의 주관인 몸과 마..

위없는 가르침 2020.11.08

<공(空, 산스크리트어 sunya, sunyata)>이란

이란 공(空)’이라는 용어의 산스크리트어 원어는 ‘sunya’라는 형용사로서 ‘속이 텅 빈’, ‘부풀어 오른’, ‘공허한’ 등의 뜻을 가졌고, 명사 ‘sunyata’라는 용어는 공한 것, 공성(空性), 영(零)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결국 공은 ‘부풀어 오른 모양으로 속이 비어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이 말을 중국에서 한문으로 번역하자니 달리 표현할 길이 없어 당나라시대에 현장(玄奘) 법사가 처음으로 빌 공(空)자로 번역을 했다. 이는 나름으로 탁월한 번역이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에서 공(空)이란 말은 자성(自性, svabhava), 실체(實體, dravya), 본성(本性, prakti), 자아(自我, atman) 등과 같이 인간이 궁극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본질적인 것들이 실제로는 없다고 하는..

지혜의 공간 2018.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