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관련 8

하이데거와 불교

1. 들어가는 말 아마 대부분 사람들은 ‘산은 산이다’라는 말을 들으면 성철 스님을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이 말은 성철 스님이 처음으로 한 것이 아니라, 옛부터 내려오는 선불교의 유명한 화두이다. 역대 조사들의 어록을 기록한 《속전등록(續傳燈錄)》(大正藏 51, 614c)이 전하는 바에 의하면, 청원 유신(靑原 惟信) 선사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이 노승이 30년 전 참선을 하기 이전에는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인 것(山是山 水是水)’으로 보였다. 그러던 것이 그 뒤 어진 스님을 만나 깨침의 문턱에 들어서고 보니, 이제 ‘산은 산이 아니고 물은 물이 아니더라(山不是山 水不是水).’ 그러나 마침내 진실로 깨치고 보니, ‘산은 역시 산이고, 물은 역시 물이더라(山祗是山 水祗是水)’. 그대들이여, 이 ..

위없는 가르침 2020.07.19

사회와 청소년의 문제

사람이 초심을 잊지 말아야 한다. 내일이면 2019년 기해년을 끝나고 2020 경자년 새해를 마지한다. 건강하게 살아가는 자가 성공한 사람이다. ​장문이지만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자식을 옹호하고 자기 자식만을 사랑하는 것은 이 세상 사람들의 공통된 마음 일 것이다. 오늘 필자는 현 사회의 일그러지고 있고 편애적인 부모들의 자식 사랑을 두고 우리의 지난 과거의 자식 사랑을 비교하면서 글을 쓴다. 불교와 유교가 얼마나 효(孝)에 대한 사상을 두고 논의 했는지를 알아본다. 불교에서는 고다마 붓다에 대한 수많은 경전은 팔만 사천 가지로 불어나 있다. 이씨조선 때 유교가 불교를 멀리한 이유에는 무엇인가 시대에 맞지 않거나 정치나 사회의 형성과정에 걸림과시대와 맞지 않는 잘못이 있었기 멀리 했었을 것이다. 다 각..

불교관련 2020.06.28

보르헤스의 불교강의

보르헤스의 불교강의 - 연재를 시작하며 ​ - “20세기 서구지성에 불교사상 단비 뿌려”- - 붓다 깨달음 자기체험 통해 자세히 묘사 - ​ ▲1957년 부산 生 ▲외대 스페인어과 졸업, 同 대학원 수료(문학석사) ▲스페인 마드리드 대학원 수료(문학박사, 중남미문학 전공) ▲서울대 대학원 강사 ▲고려대 대학원 강사 ▲현 한국외국어대 강사·성천문화재단 연구실장·문학평론가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는 아르헨티나 출신으로 20세기 서구지성에 매우 큰 영향을 준 작가다. 문학가로 사상가로 명망 높은 그가 타계 10년전에 를 저술 자신의 사상근저에 불교가 뒷받침됐음을 알게한다. 본지는 새해를 맞아 보르헤스가 부처님의 가르침을 어떻게 ‘자기화’시켰는지를 정확히 알 수있는 를 연재한다. ​ ‘20세기의 창조자’라고 ..

불교관련 2020.06.21

교학과 종학-현행 불교강원의 교과과정에 대해 다시 생각한다/노원앙마블로그

교학과 종학- 현행 불교강원의 교과과정에 대해 다시 생각한다 - 권 오 민*1)​목차1. 들어가는 말2. 현행 불교강원의 교과과정 1) 교과과정과 개요 2) 현행 교과과정의 유래3. 관견(관견)을 통해 본 교과과정의 문제점 1) 선종 중심의 교과과정 2) 성종(성종) 중심의 교과과정 3) 차제방편을 무시한 교과과정 4) 그 밖의 의문점들4. 개선방안--교과과정의 이원화 1) 교학(교학)으로서의 불교학 2) 종학(종학)으로서의 불교학 3) 교판에 의한 차제방편성의 회복 4) 이원적 교과과정5. 맺음말1. 들어가는 말불교가 더 이상 특정 종교집단의 전유물이 아닌 오늘날에 있어서도 전통강원은 불교교육기관으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비록 동국대학이나 그 밖의 몇몇 종립대학이라는 불교교육기관이 존재하고..

불교관련 2020.04.19

조계종

현재 한국불교에는 조계종을 제외하더라도 많은 불교 종단이 있습니다. 각 종단은 부처님이 깨달으신 법을 근본으로 삼지만, 각 종단마다 독특한 종지(宗旨)와 종풍(宗風)을 갖고 있습니다. 종단의 명칭은 종지와 종풍에 따른 경우가 많습니다. 조계종(曹溪宗)의 종지는 선(禪)을 그 본체로 한다는 것입니다. 조계종헌 제2조에 나와 있는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이라는 말은 선종(禪宗)에서 근본으로 삼는 것입니다. 사실, 조계종에서 말하는 조계(曹溪)라는 단어는 중국 선종의 6대 조사(祖師)로 추앙받는 혜능선사가 설법을 하던 지명을 말합니다. 때문에 혜능대사를 일컬어 '조계(曹溪) 혜능(慧能)'이라고도 합니다. '조계'라는 명칭을 쓰고 있는 곳이 우리나라에도 있는데 순천 송광사를 일러 조계산(曹溪山..

불교관련 2020.04.05

깨달음

불교 사상의 가장 중요한 특징의 하나는이 세계의 모든 사물물이 갖고 있는 상호 의존적인 연기의이법을 깨닫는 것이다. 곧,우주의 삼라만상을 일즉다의 현현으로 체험하는 것이다.모든 현상이 우주 전체에서 상호 의존적이며불가분의 부분들로 나타난다는 것, 다시 말해 동일한 궁극적인실재가 여러가지의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깨닫는 것이다. 본디 동양의 전통들은우주 전체를 다양한 만물에서 나타내며,만물은 전체의 부분들로서 전체와 부분과의 상호 작용을일으키는 궁극적이고도 불가분의 실재에 관해여러가지로 언급하고 있다.그것을 힌두교에서는 부라만, 불교에서는 법신(法身),,도교에서는 도(道)라고 부른다.이것은 모든 개념과 범주를 초월하기 때문에불교에서는 이것을 일러 진여(眞如 )라고도 부른다.불성(佛性)에 의해 ..

인도 철학 2020.02.09

중관학파-5. 중관학파의 학자들

중관학파(Madhyamika)에 대하여 5. 중관학파의 학자들 이하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중관학파를 구성하는 학자들에 대해 다시 한번 그 저서등을 중심으로 대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초기(初期) 중관학자(中觀學者) 1) 용수(龍樹, Nāgārjuna) 대승불교의 기반을 확립 심화했다. 저서(著書)[한역장경에는 20부 154권, Tibet장경에는 95부] 중에는,『중론송(中論頌)』,『십이문론(十二門論)』,『회쟁론(廻諍論)』,『육십송여리론(六十頌如理論)』,『공칠십론(空七十論)』,『십팔공론(十八空論)』,『광파론(廣破論)』, 등과 같은 대승공사상에 관한 철학서가 있다. 대승보살의 실천수행법을 설명하는『십주비바사론(十住毘婆沙論)』 『보리자량론(菩堤資糧論)』, 그리고 올바른 정치와 왕도 및 그 덕목(德目)을..

불교 2019.12.15

[스크랩] 중관학

중관학파에 대하여 1.중관학파의 의미 2.중관학파의 사상적 특징 -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등의 비판 - 반야공관에 입각한 부정논리 - 중도실상 연기 무아 무자성 공 등의 사상 3.중관학파의 분류 4.중관학파(中觀學派)의 형성과 역사 5.중관학파의 학자들 - 초기 중관학자들 - 중기 중관학자들 - 후기 중관학자들 1. 중관학파의 의미 이른바 중관학파[中觀學派 M dhyamika, ∼v dinah]는 중파(中派), 중도파(中道派), 중사(中師), 중도사(中道師)라고도 한다. 龍樹(梵 N g rjuna)의 중론(中論)을 기초로 하여 공관(空觀)을 선양(宣揚)한 학파를 일컫는 말이다. A. 중관학파를 나타내는 범어 - M dhyamaka, M dhyamika의 뜻 중관학파는 산스크리트어(梵名)으로는 M dhya..

불교 2018.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