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과학 14

불교와 과학, 그 멀고도 가까운 거리 / 장회익

특집 | 불교로 읽는 과학, 과학으로 읽는 불교들어가는 말​《네 발 위의 부처님(Der Buddha auf vier Pfoten)》(Dirk Grosser 지음)이란 책이 《우리가 알고 싶은 삶의 모든 답은 한 마리 개 안에 있다》는 제호로 번역되어 나온 바 있다. 이 책은 한 젊은 철학도가 떠돌이 개를 입양해 14년을 함께하면서 겪은 이야기를 감명 깊게 담고 있다. 불교철학을 전공하는 저자의 눈에는 ‘보바’라고 이름을 붙인 이 개의 행동 하나하나가 마치 불교의 참뜻을 깨달은 성인의 모습으로 다가왔다. 그래서 “네 발 위의 부처님”이라는 다소 불경스러운(?) 제목으로 그들이 함께해 온 생활을 차분히 서술하고 있다.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떠오른다. 강아지도 이렇게 불심(佛心)을 보이고 있는데, 사람은 어째..

불교와 과학 2024.09.22

중도철학과 원자론&색즉시공

팔만대장경 전체를 똘똘 뭉치면 ‘心’자 한자위에 서 있어서 이 한 자의 문제만 옳게 해결하면 일체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일체 만법을 다 통찰할 수 있다. (성철스님) 중도철학과 원자론 - 찰라생멸하는 무수한 미립자 본성 없어 - - 중도철학은 양극단을 포섭한 空의 세계 - 데모크리토스 이래 서구의 원자론은 물질의 궁극적인 요소를 탐구하고자하는 것이었고, 더 이상 분해될 수 없는 이 물질의 궁극적인 요소를 원자라고 불렀다. 물질의 구성 요소로서의 원자에 대한 초보적인 이해는 주기율표가 완성되면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우리가 접하는 물질은 종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다양해 보이지만, 이를 구성하는 원자는 1백여 종 밖에 안된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 원자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분자를 이루고, 무..

불교와 과학 2021.10.03

(힉스입자를 통해 본)우주의 구조와 불교의 세계관 / 양형진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우주의 구조와 불교의 세계관 / 양형진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1. 지수화풍에서 힉스입자까지 밤하늘에 나타나는 천체의 규칙적인 운행을 보면서 우주가 어떤 모습인지를 궁금해하는 것이 자연에 대한 한 가지 의문이라면, 이 우주 전체가 무엇으로 이뤄져 있는지를 궁금해하는 것은 자연에 대한 또 다른 한 가지 의문이 될 것이다. 이는 인류가 아주 오래전부터 품어 왔던 자연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이었다. 이에 대해 고대인들은 우리의 세계가 네 개의 원소로 이뤄져 있다고 생각했다. 이런 생각은 우주의 모든 물질이 원자라는 기본 단위의 결합으로 이뤄져 있다는 근대과학의 원자론으로 바뀌었고, 원자는 다시 무수한 소립자로 구성돼 있다는 현대물리학의 설명으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표준모형이 제시하는 17개의 기본입자 중 마지막 ..

불교와 과학 2021.08.15

[불교와 정신과학] 7 진화론과 뇌과학으로 조명한 불교 / 김성철 교수

진화론과 뇌과학으로 조명한 불교 김성철 (동국대 교수) 각 항목을 클릭하면 관련항목으로 이동합니다 ↓ ▒ 목 차 ▒ 1. 모든 생명의 공통점―십이연기의 순환 2. 약육강식을 대하는 상반된 태도―폭력과 자비 - 서구 불자들의 채식주의―폭력성에 대한 반발 - 제국주의의 이데올로기―다윈의 진화론 - 생명세계의 비정함 대한 싯다르타 태자의 통찰 3. 자유의지가 있다면 윤회는 가능하다 - 중생과 무생물의 차이―식(識)의 유, 무 - 모든 생명체의 식은 1차원적인 흐름이다 - 뇌과학의 유물론과 증명 불가능한 자유의지 - 가언명제(假言命題)에 의한 윤회의 논증 4. 뇌의 허구를 폭로하는 반야중관학 1. 모든 생명의 공통점―십이연기의 순환 ▲ 위로 불교에서는 우리에게 목격되는 생물 가운데 인간을 포함한 짐승, 즉 동물..

불교와 과학 2021.08.01

[불교와 정신과학] 6 불교의 심식론(心識論)과 뇌과학 / 이광준 동서심리학 연구소장

[불교와 정신과학] 불교의 심식론(心識論)과 뇌과학 이광준 (동서심리학 연구소장) 각 항목을 클릭하면 관련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 ▒ 목 차 ▒ 1. 머리말 2. 뇌과학의 연구 분야 3. 불교의 마음(心)과 심식론 개요 4. 뇌와 마음(心)의 연구사 5. 뇌의 발달 과정과 그 구조 6. 마음의 생리심리학적 발생 과정 7. 불교에 있어서 마음의 발달과 심소의(心所依) 8. 뇌파(腦波)의 발견과 불교 9. 맺음말 편집자 * 이 글은 韓國傳統佛敎硏究院(원장 慧炬師: 金剛禪院長)의 2010년도 학술강연회(6월 27일)에서 행한 ‘佛敎와 腦科學’ 제하의 강연 내용을 ‘佛敎의 心識論과 腦科學’으로 고치고 논문 형식을 빌려 加筆, 작성한 것이다. 1. 머리말 ▲ 위로 본 논문은 불교의 심식론(心識論)과 뇌과학적 연구..

불교와 과학 2021.07.04

[불교와 정신과학] 5 불교와 상담심리학 — 삼독심과 상담 관계의 치료적 특징 / 성승연 교수

[불교와 정신과학] 불교와 상담심리학 / 성승연 — 삼독심과 상담 관계의 치료적 특징 각 항목을 클릭하면 관련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 ▒ 목 차 ▒ 1. 들어가며 2. 인간중심 상담의 과정 3. 고통의 이해 4. 세 가지 괴로움과 세 가지 핵심 조건의 연관성 5. 두 개념의 연관성에 대한 치료적 함의 6. 나가는 말 1. 들어가며 ▲ 위로 ……노크 소리가 들린다. 평일 이른 아침에 첫 회 내담자가 방문하였다. 깔끔한 젊은 내담자를 자세히 보니 눈알이 빨갛고 약간은 상기된 채였는데, 그에게서는 술 냄새가 났다. 지난밤에도 잠을 이루기 위해 술을 마셨다고 좀 계면쩍어 하면서 왜 상담을 시작하게 됐는지 떠듬거리며 얘기를 시작했다. 얼마나 불안하고 희망이 없는지를 정말 조심스럽게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 필자의..

불교와 과학 2021.06.20

[김성철 교수의 실천불교] 불교는 신비체험을 마경이라 간주

HOME 지난연재 김성철 교수의 실천불교 뇌과학에서 해석하는 종교체험 들리고 보이는 것으로 수행경지 가늠해선 안돼 최근 뇌과학이 발달하면서 종교체험에 대해서도 과학의 메스가 가해지기 시작했다. 이웃종교인들 가운데 자신이 믿는 신의 모습을 본다든지 말소리를 듣는 체험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뇌과학자들은 이런 체험들이 ‘측두엽 간질병’의 증상일 뿐이라고 해석한다. 뇌의 구조는 의외로 단순하다. 뉴런(Neuron)이라는 신경세포에서 뻗은 신경섬유가 그물망처럼 얽혀 있다. 신경섬유는 단백질로 만들어진 ‘전기 줄’에 다름 아니다. 일반 전선(電線)과 다른 점은 “방향성이 있다.”는 점과, “중간 중간이 끊어져 있다.”는 점이다. 신경섬유에서 일정한 세기의 전류가 흐르다가 그 말단에 도달하면 ‘신경전달물질’이라는..

불교와 과학 2021.03.14

[불교와 정신과학] 4 불교와 뇌과학 / 신희섭 교수

[불교와 정신과학] 불교와 뇌과학 / 신희섭 교수 각 항목을 클릭하면 관련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 ▒ 목 차 ▒ 1. 뇌과학과 불교는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2. 모든 존재 행위에는 뇌의 작동이 필요하다 3. 신경회로의 전기적 작동으로서의 뇌 기능 4. 오온(五蘊)의 뇌 회로 5. 주체와 객체는 구분될 수 있나? 6. 뇌의 구조와 기능은 유전과 환경의 공동 작품 7. 뇌과학으로 본 업(業), 업보(業報), 업장(業障) 8. 이러한 지식이 나와 무슨 상관이 있을까? 1. 뇌과학과 불교는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 위로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은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행심반야바라밀다시(行深般若波羅蜜多時) 조견오온개공(照見五蘊皆空) 도일체고액(度一切苦厄)”으로 시작된다. 대학 생활 중에 이 경에 대한 특..

불교와 과학 2021.02.12

[불교와 정신과학]3 불교와 행동주의 심리학 / 김보경 교수

[불교와 정신과학] 불교와 행동주의 심리학 / 김보경 각 항목을 클릭하면 관련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 ▒ 목 차 ▒ ○ ‘파블로프의 개’에게도 불성이 있는가? ○ 연기의 이법과 상호제지의 원리 ○ 일체유심조와 조건형성 ○ 중도와 사성제 ○ 망심이란 생각이 어디엔가 ‘엉기거나 굳어진 것’ ○ 명경(明鏡)의 비유 ○ 달마의 《이입사행론》에서 보는 불교의 점진적 수행 ○ 결론 ‘파블로프의 개’에게도 불성이 있는가? ▲ 위로 어떤 사람이 공식 석상에서 필자에게, “파블로프의 개에게도 불성이 있는가요?” 하고 화두(話頭)와 비슷한 질문을 해 온 적이 있었다. 필자가 ‘선과 파블로프의 개’라는 제목으로 쓴 책이 있는데, 아마 선을 특히 개나 쥐와 같은 동물을 실험 대상으로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려는 학습 및 행동주의..

불교와 과학 2021.02.12

[불교와 정신과학] 2 유식학과 분석심리학 / 김경일 교수

[불교와 정신과학] 유식학과 분석심리학 김경일 (동국대 불교문화대학원 불교상담학과 겸임·책임교수) 아래의 각 항목을 클릭하면 관련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 ▒ 목 차 ▒ 1. 유식학과 분석심리학을 비교해 보는 까닭 2. 유식학과 분석심리학의 태동 3. 마음의 구조에 관한 입장 4. 마음의 기능과 작용 5. 심리적 증상의 원인과 극복 6. 수행과 자기실현 7. 맺는 말 1. 유식학과 분석심리학을 비교해 보는 까닭 ▲ 위로 유식학은 붓다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성립된 학문으로 무착과 세친1) 에 의해 《유식삼십송》으로 압축되어 있다. 분석심리학은 융(C.G. Jung, 1875~1961)이 창시한 학문이다 . 붓다의 생몰연대는 기원전 600~500년 정도로 추정하고 있으므로 두 학문의 성립 시기를 비교하면 대략 ..

불교와 과학 2021.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