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정도 7

팔정도 聖八支道

팔정도 聖八支道 The Noble Eightfold Path Way to the End of Suffering Bhikkhu Bodhi 비구 보디 지음|전병재 옮김 The Wheel Publication No. 308-311 1984 Second edition(revised) 1994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Sri Lanka * 이 책에 나오는 경(經)의 출전은 영국빠알리성전협회(PTS)에서 간행한 로마자 본 빠알리경임. * 로마자 빠알리어는 이탤릭체로 표기함. * 각주는 원주(原註)이며, 역자주는 [역주]로 표기함. * 이 역서는 개정되어 나온 단행본(1994)을 저본으로 했기 때문에 Wheel series (No. 308-311 1984)로 나온 텍스트와는 상이..

사념처/사정근/사신족/오근/오력/칠각지/팔정도

* 삼십칠 도품의 법[三十七道品法] bodhi-paksika의 역으로 보리분(菩提分), 각지(覺支)라고도 한다. 지혜를 추구하여 열반 경계에 들어가는 37가지 수행 방법. 여기에 사념처(四念處), 사정근(四正勤), 사여의족(四如意足), 오근(五根), 오력(五力), 칠각(七覺), 팔정도(八正道)가 있다. 1. 사념처( 四念處) 사념주(四念住)라고도 한다. ① 신념처(身念處): 이 색신(色身)이 모두 부정함을 관찰하는 것 ② 수념처(受念處) : 고락 등의 감수가 모두 고통임을 아는 것 ③ 심념처(心念處) : 이 식심(識心)이 생각생각 생멸하여 다시는 상주함이 없음을 관찰하는 것 ④ 법념처(法念處) : 모든 법은 인연으로 일어나는 것이어서 자주 자재한 성품이 없어 제법무아(諸法無我)임을 관찰하는 것 2. 사정..

위없는 가르침 2022.02.06

여덟 가지 고귀한 길의 분석의 경(aṭṭhaṅgikamaggavibhaṅgasutta: 八正道經)

여덟 가지 고귀한 길의 분석의 경(aṭṭhaṅgikamaggavibhaṅgasutta: 八正道經) Evaṃ me sutaṃ Ekaṃ samayaṃ bhagavā sāvatthiyaṃ viharati Jetavane anāthapiṇḍikassa ārāme 에왐 메 수땀 에깡 사마양 바가와 사왓티양 위하라띠 제따와네 아나타삔디깟사 아라메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 사밧티 시의 제따바나 숲에 있는 아나타삔디까 승원에 계셨다. 1. Ariyaṃ vo bhikkhave, aṭṭhaṅgikaṃ maggaṃ desissāmi, vibhajissāmi, taṃ suṇātha, sādhukaṃ manasikarotha, bhāsissāmīti. Evaṃ bhanteti kho te bhikkhū bhaga..

일묵스님 특별법문 팔정도수행 바로알고 내려놓기

‘일묵스님 특별법문 팔정도수행 바로알고 내려놓기’ 일회성 법문이 아닌 연속강좌로 이루어진 법문을 보면 다음과 같다. 17 제17회 중도와 화합과 소통(마지막회) (59) 11-11-21 3309 16 제16회 범부와 성자 (52) 11-11-14 3757 15 제15회 내려놓음과 지혜 (24) 11-11-07 4340 14 제14회 내려놓음과 삼매 (69) 11-10-31 5334 13 제13회 붓다의 호흡법과 경행수행 (23) 11-10-24 5171 12 제12회 생활속의 위빠시나 (63) 11-10-17 5699 11 제11회 자애명상과 부정관 (28) 11-10-10 4438 10 제10회 공덕과 지혜 (50) 11-10-03 5047 9 제9회 바로알고 내려놓기 (31) 11-09-26 5790..

37助道品 초기불교의 37가지 수행법

37助道品 초기불교의 37가지 수행법 성운 스님(삼천사 회주, 동국대 석좌교수) 조도품-백천만겁난조우(百千萬劫難遭遇), 그림=조향숙 불교의 근본 교리인 연기법, 4성제, 12처, 18계, 5온을 공부하면서 고(苦)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알았습니다. 초기 불교에서는 고에서 벗어나는 길, 그러니까 깨달음에 이르는 37가지의 수행법 ‘37조도품(助道品)’을 일러주고 있습니다. 그 가르침의 내용은 7항목으로 4념처, 4정근, 4신족, 5근, 5력, 7각지, 8정도입니다. 37보리분법(菩提分法), 37각지(覺支)라고도 합니다. ‘4념처·8정도’ 핵심 수행 계정혜 삼학에 포함 서구, 마음치유에 활용 *4념처(四念處·四念住)는 몸과 느낌, 마음, 법을 통찰하여 무상, 고, 무아를 깨닫는 4가지 수행법입니다. ① 신..

법문과 수행 2020.06.21

아비달마발지론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아비달마발지론 [ 阿毘達磨發智論 ] 「아비달마발지론」은 모두 20권으로 되어 있으며, 인도의 논사 가다연니자(迦多衍尼子)가 짓고, 7세기 중엽에 당나라의 삼장법사 현장이 한역했다. 가다연니자는 서력 기원 전후의 인도 귀족 출신으로 서북인도의 불교를 융성하게 한 대논사로 유부종(有部宗)의 시조로 알려져 있다. 설일체유부에서는 이 「발지론」이 유부의 교학을 확립했다고 해서 가장 중요시했다고 한다. 그래서 「발지론」을 몸에 비유하여 '발지신론'이라 하고, 「아비달마품류족론」, 「아비달마법온족론」, 「아비달마식신족론」, 「아비달마계신족론」, 「아비달마집이문족론」과 「시설론」을 발에 비유하여 흔히 '육족발지(六足發智)'라고 한다. 이 '육족발지'는 대승불교의 유식학파에 지대한 영향을 미..

2020.06.21

사성제와 팔정도

사성제(四聖諦) ​ 연기와 삼법인의 가르침은 세상의 본래 모습을 볼 수 있게 해준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현실의 고통에서 벗어나 진리를 구현하는 수행의 길을 가르쳐주는 것이 바로 사성제이다. ​ 사성제란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라는 뜻으로, 부처님이 바라나시 녹야원에서 다섯 비구에게 행한 첫 설법의 내용이기도하다. 사성제는 듣는 사람이 쉽게 이해하도록, 부처님께서 연기법의 진리를 현실에 맞게 응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네 가지 진리가 있다 무엇이 네 가지 진리인가? 이른바 괴로움의 진리, 괴로움이 일어나는 원인에 대한진리, 괴로움의 진리, 괴로움이 일어나는 원인에 대한 진리,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진리, 괴로움을 소멸하는 길에 대한 진리를 말한다. ​ 사성제란 괴로움과 괴로움의 원인과 괴로움의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