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승비문

06.해미보원사법인국사보승탑비문(海美普願寺法印國師寶乘塔碑文)

수선님 2023. 9. 24. 13:21

06.해미보원사법인국사보승탑비문

海1)美2)普願寺法印國師寶乘塔碑文

1) [全文]과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에는

瑞이지만, [總覽]과『조선금석고朝鮮金石攷』에는 海이다.

2) [全文]과『신증동국여지승람』,『대동금석서』에는 山이지만, [總覽]과『조선금석

고』에는 美이다.

있는 곳: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보원사지

세운 때:고려 경종 3년 무인 (978)

所 在:忠淸南道 瑞山市 雲山面 龍賢里 普願寺址

年 代:高麗 景宗 3年 戊寅 (978)

가야산(迦耶山) 보원사3) 고국사(故國師) 제증시법인(制贈諡法印) 삼중

대사(三重大師)의 비(碑)[제액]

迦耶山, 普願寺, 故國師, 制贈諡法印, 三重大師之碑.[題額]

3) 보원사(普願寺):충청남도(忠淸南道) 서산시(瑞山市) 운산면(雲山面) 용현리(龍

賢里)에 위치하였다. 이 보원사를 일명 강당사(講堂寺)라고도 일컬었던 것 같다.

보원사지(址)의 인근 주민들이 지금도 강당사라고 칭할 뿐 아니라,『대동금석

서』에도 ‘講堂寺法印大師寶乘塔碑’라 하였으니, 아마 가람(伽藍) 중에 장려(壯

麗)한 대표적인 건물이라 할 수 있는 강당(講堂)이 있었기 때문에 속칭 강당사

라 일컬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최치원(崔致遠)이 지은「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

에 의하면 의상(義湘)의 전교사(傳敎寺)인 화엄십찰(華嚴十刹) 중의 하나로써

‘熊州迦耶峽普願寺’라 하였다.

고려국(高麗國) 운주4) 가야산5) 보원사(普願寺) 고국사(故國師) 제증시

법인(制贈諡法印) 삼중대사6) 보승탑비명(寶勝塔碑銘)과 아울러 서문(序文)

광록대부7) 태승8) 한림학사9) 전내봉령10) 신 김정언11)이 왕명을 받들어

짓고, 유림랑12) 사천대13) 박사14) 신 한윤15)이 제지를 받들어 비문과 전액을

쓰다.

高麗國, 運州, 迦耶山, 普願寺, 故國師, 制贈諡法印, 三重大

師, 寶乘之塔碑銘, 幷序.

光祿大夫, 太丞, 翰林學士, 前內奉令, 臣, 金廷彦, 奉制, 撰.

儒林郞, 司天臺博士, 臣, 韓允, 奉制, 書幷篆額.

4) 운주(運州):보원사가 위치한 지명(地名). 지금의 홍성(洪城)인 홍주(洪州)의 다

른 이름. 최치원의 「법장화상전」에는 웅주(熊州:지금의 公州), [總覽]에는 운주

(運州:지금의 洪城), 갈성말치(葛城末治)의『조선금석고』에는 해미(海美:지금의

서산군 해미면)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5) 가야산(迦耶山):최치원의 「법장화상전」에는 가야협(迦耶峽)이라 하고, [總覽]에

는 가야산이라 하였으나,『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권19「서산군瑞

山郡」‘불우佛宇’에는 “普願寺 在象王山”이라 하였다.『신증동국여지승람』은 1530

년(중종 25)에 선성군(宣成君)과 노사신(盧思愼) 등이 함께 지은 것이니, 이로 미

루어 본다면 1530년 이전에 이미 상왕산(象王山)으로 개칭되었음을 알 수 있다.

6) 삼중대사(三重大師):고려시대 스님들의 7품(品)의 법계(法階) 중 제5품위(第五

品位)를 삼중대사라 하니, 곧 대선(大選) → 대덕(大德) → 대사(大師) → 중대사

(重大師) → 삼중대사, 그 위로 교종(敎宗)은 수좌(首座) → 승통(僧統), 선종(禪

宗)은 선사(禪師) → 대선사(大禪師)라 하였다.「정진대사원오탑비문靜眞大師圓

悟塔碑文」 주490)삼도가호三度加號 [고려편1] p.425.

7) 광록대부(光祿大夫):「원종대사혜진탑비문」주4)광록대부光祿大夫 본서(本書)

p.238 참조.

8) 태승(太丞):「원종대사혜진탑비문」주5)태승太丞 본서(本書) p.238 참조.

9) 한림학사(翰林學士):「원종대사혜진탑비문」 주6)한림학사翰林學士 본서(本書)

p.238 참조.

10) 내봉령(內奉令):「원종대사혜진탑비문」 주7)내봉령內奉令 본서(本書) p.238 참조.

11) 김정언(金廷彦):「원종대사혜진탑비문」 주11)김정언金廷彦 본서(本書) p.238

참조.

12) 유림랑(儒林郞):고려 초기의 문산계(文散階)로 정9품상(正九品上)에 해당한다.

「보조선사창성탑비문」 주8)유림랑儒林郞 본서(本書) p.56 참조.

13) 사천대(司天臺):천문대(天文臺)를 담당한 관청. 천문대란 일관(日官)이 천문을

관측하는 높은 대(臺)이니, 예컨대 경주의 첨성대(瞻星臺)와 같은 것이다.

14) 사천대박사(司天臺博士):영대랑(靈臺郞)이라고도 하니, 음양요(陰陽寮)에 소

속된 관리로써 일월성신(日月星辰)의 변태(變態)와 풍운기색(風雲氣色)의 이상

(異狀) 등 십휘(十煇)에 대한 천문과 천기(天氣)를 관측하고 분석하는 일을 관장

하는 일관(日官)이다. 동시에 천문생(天文生)들에게 천문을 가리키는 일도 겸임

(兼任)하였다.

15) 한윤(韓允):전기는 알 수 없으나, 구양순체(歐陽詢體)로 법인국사(法印國師)의

비문을 쓴 명필(名筆)이었다

공손히 생각건대, 각제16)인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구시나가라의 사라나

17) 사이에서 열반하신 후, 저군18)인 미륵보살이 용화회상(龍華會上)에서

불위(佛位)를 계승하기까지,19) 대대로 인자(仁者)가 있어 모두의 마음이

부처님과 같을지니, 불(佛)이란 깨달은 자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를

스승삼아 의행(依行)하는20) 까닭에 불교가 증조21) 해우,22) 즉 동해의 한 쪽

모퉁이에 있는 우리 국민으로 하여금 진리의 세계로 인도하고 구습(舊習)

을 고쳐 새로운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였다. 널리 반도산23) 지역으로 넓혀

혜일(慧日)을 도와 거듭 빛나게 하였으니, 즉 도(道)가 높은 존사(尊師)를

왕의 스승으로 삼고 덕(德)이 두터운 큰스님을 중생의 아버지로 삼았다.

석씨(釋氏)의 삼장(三藏)에는 육의24)가 있는데, 내(內)로는 계정혜(戒定慧)

이니 선(禪)의 근본(根本)이고, 외(外)로는 경율론(經律論)이니 교(敎)의

본원(本源)이 되는 것이다. 이 여섯 가지를 모두 갖추신 분이 있으니 실로

대사(大師)가 그분이라 하겠다.

恭惟, 覺帝釋迦, 鵠樹昇遐之後, 儲君彌勒, 龍華嗣位之前, 代

有其仁, 心同彼佛, 佛者覺耶. 師而行之故, 使蒸棗25) 26)隅, 引

玄津而更. 廣蟠桃山側, 撝慧日以重光, 卽以道之尊, 爲王者

師, 德之厚, 爲衆生父. 況乃釋氏三藏, 有六義,27) 內28)爲29)戒30)

定31)慧,32) 禪之根也, 外爲經論律, 敎之門也. 誰其全之, 實大

師矣.

16) 각제(覺帝):각황(覺皇) 또는 법왕(法王)과 같은 뜻이니, 부처님을 지칭한다.

17) 곡수승하(鵠樹昇遐):부처님께서 곡수(鵠樹) 즉 학수(鶴樹)인 사라쌍수 사이에

서 열반에 드셨다는 말이다.「원종대사혜진탑비문」주229)학수鶴樹 본서 p.271

참조.

18) 저군(儲君):부군(副君)이란 뜻과 같으니, 석가의 정(正)·상(像)·말법(末法)의

교화가 끝난 다음에 강탄하실 용화회상(龍華會上)의 미륵 부처님을 가리킨다. 즉

다음의 부처님 또는 기다리고 있는 미래불(未來佛), 후보불(候補佛)이란 뜻이다.

19) 저군미륵용화사위지전(儲君彌勒龍華嗣位之前):‘미래불(未來佛)인 미륵이 다스

릴 세계 즉 용화회상(龍華會上)의 위(位)를 얻기 전’이라는 뜻이다.

20) 사이행지(師而行之):그를 스승삼아 따라가면서 신행(信行)한다는 말이다.

21) 증조(蒸棗):증조율택(蒸棗栗擇)의 준말이니, ①대추는 먼지가 쉽게 붙으므로

쪄서 말린 다음 자주 닦아야 윤기가 나서 새것처럼 보이고, 밤은 벌레가 쉽게 생

기므로 언제든지 자주 골라 내야만 한다는 뜻이니, 우리의 마음도 이와 같이 항

상 불법(佛法)을 거울로 삼아 때때로 부지런히 닦아야 시시근불식(時時勤拂拭)

한다는 말. ②천하(天下)를 다스린다는 말이니, 불교로써 국민을 교화한다는 뜻

이다.『의례儀禮』「특생궤식례特牲饋食禮」에 “邊 巾以絡也 纁裏 棗烝栗擇”이라

하였고, 그 「주註」에 “棗曰新之 栗曰撰之 棗易有塵埃 恒治拭之使新 栗蟲好食 宜

數數揀 撰省視之”라 하였다. 「통진대사보운탑비문洞眞大師寶雲塔碑文」 주79)

증조蒸棗 [고려편1] p.356.

22) 해우( 隅):동해(東海)의 한 쪽 모퉁이, 곧 해동(海東)인 고려를 지칭한다. 「통

진대사보운탑비문」 주78)해우 [고려편1] p.356.

23) 반도산(蟠桃山):반도산(盤桃山)이라고도 한다. 「통진대사보운탑비문」 주77)반

도산 [고려편1] p.356.

24) 육의(六義):계(戒)·정(定)·혜(慧)·경(經)·율(律)·논(論).

25) [全文]은 결락이나 [苑] [總覽]에는 棗임.

26) [全文]은 결락이나 [苑] [總覽]에는 이고 는 海와 同字임.

27)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義임.

28)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內임.

29)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爲임.

30)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戒임.

31)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定임.

32)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慧임.

대사의 법호(法號)는 탄문(坦文), 자는 대오(大悟), 속성은 고씨(高氏),

광주(廣州) 고봉(高 ) 출신이다. 조척33)으로부터 덕(德)을 쌓음이 한량없

으므로 공(功)을 이룸에 넉넉함이 있었다. 일찍이 일동(一同)이 될 만한

장과(長果)를 지었으며,34) 삼이(三異)의 방부(芳父)를 나타내었다.35) 아버

지는 능히 화현36)을 꾸민 훌륭한 군수(郡守)였고, 난정37)에 태어난 빛나는

가문이었다. 드디어 가풍(家風)의 경사를 이어 받아 울창하게 읍장(邑長)

의 존령(尊令)이 되었다. 어머니는 백씨(白氏)이니 오직 성선38)의 도를 닦

아 훌륭한 [결락] 아들 낳기를 희망하였으며, 부도(婦道)를 받들어 행(行)

하고 삼가하여 모의39)를 지켰다. 어느 날 밤 꿈40)에 한 범승(梵僧)이 나타

나 금빛 나는 기이한 과일(奇菓)을 건네주었다. 그로 인해 임신하고 만삭

이 되어 태어날 무렵에,41) 아버지 또한 꿈을 꾸었으니,42) 법당43)이 뜰 가운

데 세워져 있거늘, 범패44)가 그 위에 걸려 있어 바람을 따라 이리저리 나

부꼈고,45) 많은 사람들이 그 밑에 모인 것이 마치 둥근 담장과 같았다.46)

大師法號, 坦文, 字大悟, 俗緣高氏, 廣州高 人也. 祖陟, 鍾

德無疆, 成功有裕. 曾作一同之長果, 彰三異之芳父. 能花縣名

家, 蘭庭茂族. 遂襲家風之慶, 蔚爲邑長之尊. 母白47)氏, 唯修

聖善之心,48) 願49)得50)神51)通52)之53)子, 奉行婦道, 愼守母儀. 魂

交, 覩一梵僧, 授金色奇菓. 因有娠, 誕彌厥月, 父亦申夢, 法

幢竪于中庭, 梵旆掛其上, 隨風搖曳, 映日翩飜, 衆人集其下,

觀者如堵.

33) 조척(祖陟):시조로부터 내려오는 대대(代代)의 조상(祖上)을 가리킨다.

34) 증작일동지장과(曾作一同之長果):일찍이 일동의 장과를 지었다는 말이니, 선

조(先祖)들이 제후(諸侯)가 될 만한 복(福)을 지었다는 뜻이다. 일동이란 사방

(四方) 100리의 지대를 가리키니,『회남자淮南子』「본경훈本經訓」에 “古者 天子

一畿 諸侯一同 各守其分 不得相侵”이라 하고, 『좌전左傳』「양공襄公」25에는 “晉

人曰 何故侵小 對曰 先王之命 惟罪所在 各致其辟 且昔天子之地一圻 列國一同

自是以衰 今大國多數圻矣 若無侵小 何以至焉”이라 하였다.

35) 창삼이지방부(彰三異之芳父):삼이의 방부를 나타낸다는 말이다. 삼이란 세 가

지의 기이(奇異)한 일을 뜻하는데, ①충불범경(蟲不犯境)이니, 해충 즉 명충(螟

蟲)이 농경(農境)을 침범하지 못하는 것 ②화급조수(化及鳥獸)이니, 사나운 새

나 짐승이 그 사람이 있는 군계(郡界)에 들어오지 못하는 것 ③수자유인심(豎子

有仁心)이니, 어린 아이가 인자(仁慈)한 마음이 생겨 곁에 앉아 있는 꿩을 잡지

않고 그냥 귀여워하는 것 등이다.『후한서後漢書』「노공魯恭」, “拜中牟令 恭專以

德化爲理 不任刑罰云云 建初七年(82) 郡國螟傷稼 犬牙緣界 疑其不實 使仁恕椽

肥 親往廉之 恭隨行阡陌 俱坐桑下 有雉過止其傍 傍有童兒 親曰 兒何不捕之 兒

言 雉方將雛 親瞿然而起 與恭訣曰 所以來者 欲察君之政迹耳 今蟲不犯境 此一

異也 化及鳥獸 此二異也 豎子有仁心 此三異也 久留徒擾賢者耳 還府 具以狀白

安 是歲嘉禾生 恭便廷中 安因上書言狀 帝異之”.

36) 화현(花縣):현령(縣令)이 자기의 관할 지역에 꽃나무를 심어 화현을 만드는 것.

「원종대사혜진탑비문」 주30)화현 본서(本書) p.242 참조.

37) 난정(蘭庭):‘뜰 앞에 난초를 심고 사는 고상한 선비’라는 뜻이다. 위탄(韋誕),

「경복전부景福殿賦」, “步雕輦以逍遙 時容與於蘭庭”.

38) 성선(聖善):어머니의 존칭이니, 『시경詩經』「패풍邶風」‘개풍凱風’, “凱風自南

吹彼棘薪 母氏聖善 我無令人”. 『서언고사書言故事』「부모류父母類」, “稱人母曰

聖善”.

39) 신수모의(愼守母儀):삼가하여 모의를 지킨다는 뜻이니, 모의란 현모양처(賢母

良妻)의 우아한 태도를 말한다.「원종대사혜진탑비문」 주36)모의부유母儀富有

(本書) p.243 참조.

40) 혼교(魂交):‘잠자는 것 또는 꿈’이라는 뜻이다.

41) 탄미궐월(誕彌厥月):‘탄생할 날을 다 채운 바로 그 달에’라는 뜻이니, 곧 태어날

무렵을 말한다.

42) 신몽(申夢):꿈을 꾼다는 뜻이다.

43) 법당(法幢):묘법(妙法)을 높이 찬양함이 마치 높은 깃대와 같으므로 법당이라

고 한다.『무량수경無量壽經』‘상’(대정장37, p.96b~c), “建法幢 … 震法雷”.

44) 범패(梵旆):범서(梵書)로 오방번(五方幡)이나 천수다라니(千手陀羅尼) 등을 쓴

깃발을 가리킨다.

45) 편번(翩飜):깃발이 허공을 가르면서 나부끼는 것을 가리킨다. 장형(張衡), 「서

경부西京賦」, “衆鳥翩飜 群獸馬否騃”.

46) 관자여도(觀者如堵):기이한 범패(梵旆)를 구경하기 위하여 모여든 관객이 마치

담처럼 둘러 섰다는 뜻이다.

47) [苑] [全文]에는 田이고, [總覽]과 『조선금석고』[拓本]에는 白이다.

48)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心임.

49)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願임.

50)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得임.

51)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神임.

52)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通임.

53)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之임

건녕 7년54) 용집55) 군탄년56) 8월 14일 새벽 동틀 무렵에 탄생하였다. 대

사는 태어날 때, 태(胎)가 목을 감아 드리운 것이 마치 방포57)를 입은 것과

같았다. 기이한 골격을 받아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말을 함부로 하지 않

고,58) 불상인 금상(金像)을 보면 마음을 경건히 하였으며, 상문59)인 스님을

대하여는 반드시 합장하였으니, 그 근기(根機)가 자못 성숙함을 볼 수 있

었다. 선근(善根)의 싹이 전세(前世)에 이미 자랐으므로 5살 때 벌써 출가

하려는 마음이 돈독하여 뜻은 세간진로(世間塵勞)를 여의는데 있었으니

자취를 치문(緇門)에 의탁하고 마음을 금계60)에 의거할 것을 발원(發願)하

였다.

乾寧七年, 龍集涒灘, 秋八月, 十四日, 天欲曙, 誕生. 大師, 其

胎遶頸而垂, 如着方袍. 生有奇骨,61) 弱62)無63)放64)言,65) 覩66)金

像以虔心, 對桑門而合掌, 有以見其根殆熟. 善芽尙早, 年甫五

歲, 情敦出俗, 志在離塵, 願託跡於緇門, 卽寄心於金界.

54) 건영칠년(乾寧七年):건영은 당(唐) 소종(昭宗) 때의 연호이나, 4년 동안 사용된

후 광화(光化)로 연호가 바뀌었다. 즉 건영 7년은 존재하지 않으며, 건영 7년에

해당되는 해는 광화 3년이다. 신라 효공왕(孝恭王) 4년(900)에 해당한다.

55) 용집(龍集):태세(太歲) 또는 기원(紀元)이라는 뜻이다.

56) 군탄(涒灘):건녕 7년(900)이 경신년(庚申年)이니, 고갑자(古甲子)의 경우 경(庚)

은 상장(上章), 신(申)은 군탄(涒灘)이다. 여기에는 상장이 탈락되었다.

57) 방포(方袍):사각모양의 가사(袈裟)를 지칭한다.

58) 약무방언(弱無放言):약년(弱年)의 나이에 이르기까지 쓸데없는 말은 하지 않았

다는 뜻이다.

59) 상문(桑門): śramana. 사문(沙門), 상문(喪門), 사문나(沙門那), 사라마나(舍囉

摩拏) 등으로 음역되고, 식심(息心), 공로(功勞), 근식(勤息) 등으로 번역된다. 부

지런히 닦고 악행(惡行)은 먼저 여읜 사람이란 뜻이니, 외도(外道)와 불도(佛徒)

를 막론하고 출가수도하는 이의 총칭이다.

60) 금계(金界):금빛세계, 금강계(金剛界) 또는 금으로 바꾼 세계이니, 사찰을 지칭

한다. 기원정사(祇園精舍 Jetavana-vihāra)를 짓기 위해 급고독장자(給孤獨長子

Anāthapindada)가 기타태자(祇陀太子 Jeta)의 소유인 공원(公園)을 매입할 때,

그 대금으로 땅에 흙이 보이지 않도록 금(金)을 깔아서 구입한 데서 온 말이다.

61)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骨임.

62)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弱임.

63)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無임.

64)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放임.

65)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言임.

66)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覩임.

그리하여 아버지보다 어머니에게 먼저 여쭈었더니, 어머니는 전일(前

日)의 태몽을 생각하고는 울면서 허락하였으니,67) “내생(來生)에는 나를

제도해 줄 것을 원할 뿐 다시는 문(門)에 기대어 자식(子息)이 돌아오기

를 바라는 마음68)을 일으키지 않겠다.”고 하였다. 이어 아버지에게 말씀드

리니 흔쾌하게 허락하였다. 스님은 곧 삭발하고는 부모에게 하직하였으

며, 마음을 닦아 성불(成佛)하고자 결심하여 향성산(鄕城山) 대사(大寺)의

대덕화상(大德和尙)을 찾아가 뵈었다. 화상이 스님을 보니 봉모69) 기상(奇

相)이며 나계(螺髻)를 지닌 특수한 자태70)를 가졌으므로 경탄하여 말하기

를, “바야흐로 동치71)의 나이에 해당하건만 이미 노성(老成)의 덕을 갖추

었구나! 자네와 같은 자72)가 나를 스승으로 삼으면 이는 마치 수주대토73)

하고 연목구어74)하는 것과 같다. 나는 네 스승이 될 자격이 없으니 마땅히

다른 큰스님이 있는 곳을 찾아가라.”고 하였다.

先白母, 母念疇昔之夢, 泣曰 , “願度來世, 吾不復撓倚門之

念也.” 已後謁父, 父喜曰, “善.” 卽以落髮75)辭親, 脩心學佛,

去謁鄕山大76)寺77)大78)德79)和80)尙. 和尙見大師, 鳳毛奇相, 螺髻

殊姿, 因謂曰, “方當童稚之年, 旣飽老成之德. 如子者, 以吾

爲師, 是猶守株待兎, 緣木求魚. 吾非汝師, 可往勝處.”

67) 읍왈예(泣曰䚷):울면서 말씀하되 “허락한다”라고 하였다. 䚷는 譍 또는 應과 같

은 뜻이다.

68) 의문지념(倚門之念):대문에 기대어 서서 집을 나간 아들이 돌아오기를 기다리

는 간절한 마음을 말한다.『전국책戰國策』「제책齊策」, “王孫賈年十五 事閔王 王

出走 失王之處 其母曰 女朝出而晩來 則吾倚門而望 女暮出而不還 則吾倚閭而

望”. 「진공대사보법탑비문眞空大師普法塔碑文」 주97)의문지망依門之望 [고려편

1] p.99.

69) 봉모(鳳毛):봉황의 털. ①아들이 아버지나 할아버지에 못지 않는 소질(素質)을

지니고 있다는 말 ②풍채(風采)와 기백(氣魄)이 빼어남 ③문재(文才)가 뛰어남

을 지칭함, 즉 선비의 상(相).

70) 나계수자(螺髻殊恣):나계(螺髻)는 부처님의 특상(特相)인 32상(相) 80종호(好)

중의 한 모양으로서 소라모양의 머리다발.

71) 동치(童稚):아이, 어린이, 동유(童幼), 동아(童兒) 등과 같은 뜻이다.

72) 여자자(如子者):자(子)는 남자(男子)의 미칭(美稱)으로 당신, 어르신네 등의 뜻

이 있으나, 여기에서는 자네 또는 그대라는 하칭(下稱)이다. 곧 ‘그대와 같이 영

특한 자’라는 말이다.

73) 수주대토(守株待兎):토끼가 달아나다가 걸려 죽은 나무 그루터기에 다시 토끼

가 걸려 죽기를 기다리고 있는 어리석은 사람을 가리키니, 구풍(舊風)에 얽매어

융통성이 없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한비자韓非子』「오두五蠹」, “宋人有耕

田 田中有株 兎走觸株 折頸而死 因釋其耒而守株 冀復得兎 兎不可復得 而身爲

宋國笑”.

74) 연목구어(緣木求魚):연목구어 대산채주(緣木求魚 代山採株)의 준말. 물고기가

나무 막대기 위에 걸려 들기를 원한다는 뜻으니, 이루어 질 수 없는 일에 욕심을

내는 것에 비유한 말이다. 연은 인(因)의 뜻이다. 『맹자孟子』「양혜왕梁惠王」‘상’

“以若所爲 求若所欲 猶緣木而求魚也”.

75) [苑]의 髮과 [全文] [總覽]의 은 모두 髮과 同字임.

76)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大임.

77)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寺임.

78)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大임.

79)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德임.

80)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和임

대사가 ‘스님 중에 참된 선지식81)과 오래된 사적(事跡)을 빼놓지 않고

반드시 심방82)하리라.’ 하고, 떠나려 인사를 드리는데, 대덕화상이 말씀하

기를, “옛 노인들 사이에 전해오는 말에 따르면, 향성산 안에 절 터가 있는

데 옛날 원효보살(元曉菩薩)과 의상대덕(義想大德)이 함께 머무르며 쉬던

곳이라 한다.”하였다. 대사가 ‘이미 성적(聖跡)에 대하여 들었으니 내 어찌

그곳 현기83)에 나아가서 수도하지 않으랴.’하고, 마침내 그 구허(舊墟)에

풀집84)을 짓고, 원숭이 같은 마음은 우리 속에 가두어 놓고, 고삐없는 말과

다름없는 의식은 말뚝에 붙잡아 매어 놓고 있으니, 여기에 발길을 멈추고

마음을 가지런히 하여 수년을 지냈다. 당시 부근 사람들이 거룩한 사미(聖

沙彌)라고 일컬었다.

大師, 方欲‘僧之眞者必訪, 跡之古者必尋.’ 會歸覲日,85) “古

老相傳, 鄕城山內, 有佛寺之墟, 昔元曉菩薩, 義86)想87)大88)德89)

俱90)曆91)居所憩.” 大師, ‘旣聞斯聖跡, 盍詣彼玄基以習善.’ 遂

茇于其舊墟, 檻心猿, 枊92)意馬, 于以休足, 于以齋心, 經歷數

年. 時號之聖沙彌.

81) 승지진자필방(僧之眞者必訪):고승(高僧)과 진승(眞僧)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반드시 참방하였다는 뜻이다.「통진대사보운탑비문」 주80)승지진자필예僧之眞

者必詣 [고려편1] p.356.

82) 적지고자필심(跡之古者必尋):고적(古蹟)과 승지(勝地)는 반드시 답사하였다

는 뜻이다. 「통진대사보운탑비문」 주81)경지절자필수境之絶者必搜 [고려편1]

p.356.

83) 현기(玄基):수도생활을 하기에 적합한 곳. 승지(勝地) 또는 명당(明堂)을 가리

킨다.

84) 발(茇):‘풀밭에서 노숙하다’의 뜻이다.

85) [苑] [全文]에는 日. [總覽]의 曰은 日의 오자임.

86)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義임.

87)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想임.

88)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大임.

89)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德임.

90)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俱임.

91) [總覽]은 결락, [苑] [全文]은 . 은 曆과 同意字임.

92) [總覽]에는 抑. [苑]에는 枊. [全文]에는 柳. 抑과 柳는 枊의 오자임.

대사가 이에 ‘신엄대덕(信嚴大德)이 장의사93)에 주석하면서 잡화경94)

설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는, 그 명공(名公)의 제자가 되어 진불(眞佛)

의 법손(法孫)이 되기를 원하여 곧 그곳으로 찾아갔다. 겨우 시봉(侍奉)을

맡자마자 곧 바로 화엄경(華嚴經)을 수학하며 독송하였다. 스님은 1권을

하루에 다 외우면서도 조금도 혈유(孑遺)함이 없었다.95) 엄공(嚴公)이 법

기(法器)라 여겨 크게 기꺼워 하면서 말하기를, “옛 스님96)이 이르기를, ‘각

현(覺賢)이 하루에 외우는 분량은 30명의 분량과 맞먹었다.’고 하였으니,97)

뒤에 출발하여 먼저 이른다는 말98)이 장차 이를 두고 하는 말이 아닐까.

과연 그런 사실을 경험하였다.”고 하였다. 정성껏 스님을 시봉하며99) 공부

하여100) 그 진취(進就)가 날마다 향상하였다. 용수101)가 사람을 교화하였다

는 설화(說話)를 곧 마음으로 실감하였으며, 부처님102)께서 도를 논구(論

逑)하신 이야기를 어찌 눈으로 보는 것이 어려운 일이겠는가. 비록 그와

같이 묘각(妙覺)하였지만 오히려 율의(律儀)에 치중하였다.

大師, 迺聞, ‘信嚴大德, 住莊103)義山寺, 說雜華者.’ 希作名公

之弟子, 願爲眞佛之法孫, 特詣蓮扉. 財執巾盥,104) 乃嘗讀以

雜華經, 一卷105)一日誦無孑遺. 嚴公器之, 大喜曰, “古師所謂,

‘賢一日, 敵三十夫’, 後發前至, 將非是歟, 果驗.” 拳拳服膺,

師逸功倍. 龍樹化人之說, 卽得心傳, 佛華論道之譚, 何勞目

語. 雖然妙覺, 猶有律儀.

93) 장의사(莊義寺):장의사(㽵義寺)라고도 한다.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었던 절

이다.

94) 잡화(雜華):잡화경(雜華經)으로『화엄경華嚴經』의 다른 이름

95) 무혈유(無孑遺):남음이 없이 다하였다는 뜻이다.

96) 고사(古師):각현삼장(覺賢三藏)인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 Buddhabhadra)의

종조부(從祖父)인 구파리존자(鳩婆利尊者)이다.

97) 현일일적삼십부(賢一日敵三十夫):각현(覺賢)은 천재(天才)로서 다른 사람이 30

일 외울 것을 하루에 외웠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가

사미 시절인 17살 때 동학(同學) 수인(數人)과 함께 경(經)을 습송(習誦)하는데,

다른 사람은 한 달이 걸려야 외울 수 있는 양을 각현은 하루에 송필(誦畢)하였

다. 이를 본 그의 선생인 구파리(鳩婆利)는 감탄하여 “각현은 30명의 몫을 하루

에 외워 마쳤다.”고 하였다.『고승전高僧傳』권2「불타발타라」(대정장50, p.334c),

“覺賢 度爲沙彌 至年十七 與同學數人 俱以習誦爲業 衆皆一月 賢一日誦畢 其師

歎曰 賢一日敵三十夫也”.

98) 후발전지(後發前至):뒤에 출발하였으나 먼저 도착한다는 뜻으로, 후배가 선배

를 제치고 앞지른다는 말이다.

99) 권권복응(拳拳服膺):권권은 정성껏 봉지(奉持)하는 태도. 복응은 심복(心服)하

여 마음으로 깊이 신봉(信奉)하는 자세.『예기』「중용中庸」, “得一善則拳拳服膺

而弗失之矣”.

100) 사일(師逸):스승 밑에서 일과를 같이하며 공부하는 것을 뜻한다.

101) 용수(龍樹):용수보살(龍樹菩薩 Nāgārjuna)을 가리킨다.

102) 불화(佛華):불(佛)의 꽃, 곧 부처님을 지칭한다.

103) [總覽]에는 莊. [苑] [全文]의 은 莊의 속자임.

104) [總覽]에는 盥. [苑] [全文]의 輿는 盥의 오자임.

105) [苑] [全文]에는 卷. [總覽]의 行은 卷의 오자임.

15세 때 드디어 장의산사(莊義山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게 되었다.

초율사(初律師)가 꿈에 한 신승(神僧)을 만났는데 그가 말하기를, “새로

수계(受戒)하려는 사미(沙彌) 중에 ‘문(文)’이라는 이름을 가진 자106)가 있

을텐데, 유독이 이 사미는 비상한 사람이다. 그는 법에 있어 화엄경의 대

기(大器)이니, 어찌 몸을 수고롭게 하여 수계할 필요가 있겠는가.”라고 하

였다. 꿈에서 깨어 수계자의 명단을 찾아보니107) 대사의 이름이 바로 탄문

(坦文)으로 문자(文字)가 바로 그것이다. 율사(律師)가 기이하게 여겨 앞

에 꿈을 꾼 이야기를 하며 말하기를, “신인이 이미 경계하였으니 그렇다면

구족계를 품수(稟受)할 필요가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年十五, 遂受具於莊108)義山寺. 初律師夢一神僧, 謂之曰, “其

有新受戒沙彌名文者, 唯此沙彌, 非常之人, 於其法, 花嚴大

器, 何必勞身受戒.” 覺推之, 迺大師名是也. 律師奇之, 乃說

前夢, 因謂曰, “神人警戒, 其然何須稟具.”

106) 사미명문(沙彌名文):문(文)은 법인국사의 사미 때 이름인 탄문(坦文)의 끝자를

말한다.

107) 각추지(覺推之):초율사(初律師)가 꿈을 깨고서 문(文)자 이름을 가진 수계명단

을 찾아 보았더니 바로 그가 법인국사인 탄문이었다.

108) [總覽]에는 莊. [苑] [全文]의 은 莊의 속자임.

대사가 말하기를, “저의 마음이 움직일 수 있는 돌이 아닌데, 어찌 한 번

수계하려고 먹은 마음을 움직일 수 있겠습니까.109) 원하옵건대 불타(佛陁)

의 법손110)이 되려면 마땅히 보살계를 받아야 합니다.”라고 하였다. 계(戒)

의 향기, 즉 계를 드디어 받고 나니,111) 행(行)의 잎, 즉 실천이 더욱 아름다

웠다.112)

大師迺言曰, “我心匪石, 其退轉乎, 願言佛陁孫, 合受菩薩

戒,” 戒香遂受, 行葉彌芳.

109) 아심비석 기퇴전호(我心匪石 其退轉乎):내 마음이 돌이 아니니 어찌 물러설 수

있겠습니까! 곧 한번 수계(受戒)하려고 먹은 마음 그만 둘 수 없다는 뜻이다.

『시경』「국풍國風」‘패풍邶風’, “我心匪石 不可轉也”.

110) 원언불타손(願言佛陁孫):“원하옵건대 부처님의 법손(法孫)이 되려고 합니다.”

라는 뜻이다.

111) 계향수수(戒香遂受):드디어 계향, 즉 계(戒)를 받은 다음.

112) 행엽미방(行葉彌芳):계를 굳게 지키는 것을 행엽이라고 하니, 그 결과가 더욱

빛나고 아름답다는 말이다.

이로 말미암아 구고113)까지 소리가 들리고 천리까지 응하였다. 그러므

로 태조는 대사가 치문(緇門)의 발화(拔華)이고 각수(覺樹)의 혜가(慧柯)

이므로 칙제(勅制)를 내려 이르기를, “이미 유년에 기이함을 보여 호를 성

사미라 하였으니, 금일(今日)에는 그 신기함을 나타내어 별화상(別和尙)

이라 일컫는 것이 마땅하다.”고 하였다. 이것이 이른바 이름을 감추지만

이름이 나를 따라 나타나고, 칭성(稱聲)을 피하지만 그 칭성이 나를 따라

더욱 퍼진다는 말이다.

由是, 聲九皐應千里. 故乃太祖, 聞114)大師, 緇林拔萃, 覺樹慧

柯, 制曰, “旣幼年之表異, 號聖沙彌, 宜今日之標奇, 稱別和

尙.” 是謂逃名, 名我隨, 避聲, 聲我追者也.

113) 구고(九皐):수택(水澤)의 으슥하고 깊은 곳. 깊고 먼 곳을 비유하는 말로, 몸은

비록 은둔하고 있으나 이름은 더욱 세상(世上)에 드러난다는 뜻이다.『시경』「소

아小雅」‘학명鶴鳴’, “鶴鳴于九皐 聲聞于野”.

114) [苑] [全文]에는 聞. [總覽]에는 師는 聞의 오자임.

용덕 원년115)에 해회116)를 설치하여 승과(僧科)로 치도(緇徒)를 선발하

였다. 이 때에도 왕이 교지를 내려 이르기를, “장의사(莊義寺)에 별화상이

있는데 어찌 스님을 제쳐놓고 따로 뽑을 필요가 있겠는가.”하고 바야흐로

스님을 명승(名僧)으로 정하고 발탁(拔擢)하여 문법(問法)하는 사람들에

게 대답하는 맹주(盟主)로 삼았으니,117) 비유컨대 대종(大鐘)을 치자 웅웅

하면서118) 크게 울리는 것과 같았다. 이와 때를 같이하여 동광기력 병술119)

120) 겨울 10월에 태조의 후궁인 신명순성왕태후 유씨121)가 임신을 기하

여 좋은 태몽을 꾸었으므로 그 일편단심(一片丹心)을 바쳐122) 옥처럼 부유

하고(玉裕) 아름다운 자태의 아기(英恣) 낳기를 발원하고는 드디어 대사

를 청하여 법력을 빌도록 하였다. 이에 금향로에 향을 피우고 독경하면서

웅비(熊羆)의 길몽123)으로 달산(羍産)과 같이 순산하도록124) 기원하였다.

그러한 공덕으로 과연 일각(日角)을 가진 기자125)와 천안(天顔)과 같은 이

126)을 가진 태자를 낳았다.

龍德元年,126) 置海會, 選緇徒. 制曰, “莊127)義別和尙, 何必更爲

居士,” 方作名僧, 遂擢爲問者, 譬如撞鐘, 大鳴春容. 於是乎,

在同光紀曆128)丙戌司129)年冬十月, 太祖, 以劉王后, 因有娠得

殊夢, 爲其賴棗心之丹, 願誕玉裕之英姿, 遂請大師, 祈法力.

於是, 香 金爐, 經開玉軸, 願維熊之吉夢, 叶如羍之誕生, 果

驗日角奇姿, 天顔異相.

115) 용덕원년(龍德元年):용덕은 후량(後梁) 말제(末帝) 때의 연호. 용덕 원년은 신

라 경명왕 5년(921).

116) 해회(海會):중해운집(衆海雲集)의 무차대회(無遮大會).

117) 수탁위문자(遂擢爲問者):용덕 1년(921)에 해회를 설치하고 치도(緇徒) 중에 고

승대덕을 선발할 때, 장의사(莊義寺) 별화상(別和尙)이 발탁되었다. ‘문법(問法)

하는 자를 위하여 드디어 맹주로 추천되어’라는 뜻이다.

118) 대명용용(大鳴舂容):대종(大鐘)을 크게 울려 종소리가 웅웅 울려 퍼지는 모양.

『예기』「학기學記」에 “待其從容”이라 하고, 그 「소疏」에 “言鐘之爲體 必待其擊

每一舂而爲容 然後盡其聲 言善答者 亦待其一問 然後一答”이라 하였다. 즉 응대

하고 설법(說法)함에 막힘이 없이 활달자재(豁達自在)함을 말한다.

119) 동광기력병술(同光紀曆丙戌):동광은 후당(後唐) 장종(莊宗)의 연호로 3년

(923~925)까지만 있는데, 병술(丙戌)은 926년이니, 후당 명종(明宗)의 천성원년

(天成元年)에 해당된다. 기력(紀曆)이란 세력(歲歷)을 기록한다는 뜻으로 기원

(紀元)에서부터 연수(年數)를 계산하여 기록하는 것. 도잠(陶潛), 「도화원기桃花

源記」, “雖無紀曆誌 四時自成歲”.

120) 병술사년(丙戌司年):‘태세(太歲)가 병술을 맡은 해’라는 뜻으로, 세차(歲次)와

같다.

121) 유왕후(劉王后):고려 태조의 후궁(后宮)인 신명순성왕태후유씨(神明順聖王太

后劉氏)로 제4대 광종·정종의 어머니이다. 『고려사高麗史』권2「세가世家」2‘정

종定宗’.

122) 조심지단(棗心之丹):대추의 붉은 빛과 같은 일편단심(一片丹心)의 정성을 가리

킨다.

123) 유웅지길(維熊之吉):웅비입몽(熊羆入夢)이라고도 한다. 웅비는 산에 사는 짐승

으로 양(陽)의 상서(祥瑞)을 지녔다고 생각되어, 태몽에 웅비꿈을 꾸면 아들을

낳는 상서로 전해온다. 『시경』「소아」‘사간斯干’, “吉夢維何 維熊維羆 維虺維蛇 大

人占之 維熊維羆 男子之祥 維虺維蛇 女子之祥”. 그 「전箋」에 “大人占之 謂以聖人

占夢之法 占之也 熊羆在山 陽之祥也 故生男 虺蛇穴處 陰之祥也 故爲生女也”라

하였고, 또 『좌전』「소공昭公」7에는 “今夢黃熊 入於寢門”이라 하였다.

124) 여달지탄생(如羍之誕生):양[羍]이 해산할 때 난산(難産)없이 새끼를 낳듯, 순산

(順産)하게 하여 달라는 뜻이다.

125) 일각기자(日角奇恣):일각의 상(相)을 가진 훌륭한 관상. 일각이란 이마 중앙의

뼈가 마치 일형(日形)처럼 튀어나온 것으로 귀인상(貴人相)을 뜻한다. 『후한서

後漢書』「광무기光武紀」에 “隆準日角”이라 하고, 그 「주註」에 “日角 謂中庭骨起

狀如日”이라 하였다. 『남사南史』「양무기梁武紀」, “生而有異光 狀貌奇特 日角龍

顔 帝王之表 河目龜文 公候之相 額有龍犀入髮 左角日 右角日 王天下也”. 불타

(佛陀)의 32상 중 미간백호상(眉間白毫相)에 비견할 수 있다.

126) 천안이상(天顔異相):천안이란 천자(天子)의 얼굴로, 어안(御顔) 또는 용안(龍

顔)이라고도 한다. 마치 천자의 얼굴과 같은 특이한 상을 타고 났다는 말이다.

127) [總覽]에는 莊. [苑] [全文]의 은 莊의 속자임.

128) [總覽]에는 曆. [苑] [全文]의 은 曆과 同意字임.

129)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司임.

단정히 학금130)에 거하여 홍도131)를 이어받아 수호하였으니 그가 바로

대성대왕132)이다. 실로 대사는 부처님을 터득한 마음이 깊고 하늘을 받드

는 힘이 돈후(頓厚)하였으니, 묘감(妙感)은 후세에 넉넉히 끼쳤으며,133)

공(玄功)은 왕의 밝은 덕(德)을 이어가게 하였다.134) 그러므로 태조가 심히

가상히 여겨135) 조칙을 보내어 노고(勞苦)에 우대하였다.136)

有以見端居鶴禁, 嗣守鴻圖, 是大成王也. 實, 大師, 得137)佛

心138)深, 奉天力厚, 妙感, 祈褫於垂裕, 玄功, 薦祉於繼明矣.

太祖, 甚恕之, 飛手詔優勞.

130) 학금(鶴禁):황태자(皇太子)의 궁궐을 일컫는다. 백학(白鶴)은 태자가 머무는 곳

으로, 범인(凡人)들이 함부로 들어가지 못하는 곳이기에 학금이라고 한다. 이덕

유(李德裕), 「술몽시述夢詩」, “椅梧連鶴禁 壀 接龍韜”.

131) 홍도(鴻圖):비도(丕圖), 대계(大計), 유모(猷謨), 홍유(鴻猷) 등과 같은 뜻으로,

황제가 다스릴 나라의 광대(廣大)한 판도(版圖)를 말한다. 고증(賈曾), 「효여제

만가孝如帝輓歌」, “新命千齡啓 鴻圖累廟餘”.

132) 대성대왕(大成大王):고려 제4대 광종대왕(光宗大王)의 시호(諡號). 능호(陵號)

는 헌릉(憲陵)이다.

133) 묘감기사어수유(妙感祈禠於垂裕):신묘한 감응을 넉넉히 끼쳐줄 수 있기를 기

원한다는 뜻이고, 수유는 도덕이 후세까지 넉넉히 드리운다는 뜻이다. 『서경書

經』「仲虺之誥」, “王懋昭大德 建中于民 以義制事 以禮制心 垂裕後昆”.

134) 현공천지어계명(玄功薦祉於繼明):그윽한 공덕은 대를 이어 계명에 복되게 한

다는 뜻이니, 계명이란 임금이 명덕(明德)을 이어간다는 말이다. 『역易』「리離」,

“象曰 明兩作離 大人以繼明 烈于四方”.

135) 심서지(甚恕之):[總覽] [全文] [苑]의 㤎는 恕의 오자. 서지(恕之)란 법인국사께

서 직접 기도를 해 준데 대하여 아주 고맙고 가상하게 여겼다는 말이다.

136) 우로(優勞):왕이 아주 고맙게 여겨 위로하는 것을 말한다. 『송사宋史』「허혁전

許奕傳」, “行成還奏 帝優勞久之”.

137) [苑]은 결락이나 [全文] [總覽]에는 得임.

138) [苑]은 결락이나 [全文] [總覽]에는 心임.

그 후 구룡산사(九龍山寺)로 옮겨 화엄경을 강설하였는데, 많은 새들이

방 앞에 둘러 있고 호랑이139)가 뜰 밑에 엎드려 있었다. 문인들이 모두 떨

면서 두려워하였으나,140) 대사는 편안한 얼굴로 침착하게 이르기를, “너희

들은 조용히 하라.141) 이 진귀(珍貴)한 새와 기이(奇異)한 짐승들142)은 불

법승(佛法僧) 삼보(三寶)에 귀의하려는143) 것일 뿐이다.”라고 하였다. 다

음 해 봄144) 대사의 행(行)은 초계비구(草繫比丘)145)의 마음을 닦았고146)

(德)은 화엄종(華嚴宗)의 종장(宗匠)들 중에 수장147)이었으니, 스님을 발탁

하여 별대덕(別大德)이란 법칭(法稱)을 바쳤다. 이 때 스님은 높은 도덕과

예리한 변재로 사부대중을 제접하였다.148) 이로부터 법문을 청하는149)

가 수를 헤아릴 수 없이 많았고,150) 문도 또한 번창하였다.151) 태조가 바야

흐로 삼국(三國)을 규합하고152) 상교153)를 존숭하였다.

爾後, 迻住於九龍山寺, 講花嚴, 有群鳥, 遶房前, 於兎, 伏階

下者. 門人等圓視154)戰慄, 大師怡顔自若曰, “若無譁, 唯此珍

飛奇走歸法, 依僧而已.” 明年春, 以大師行修草繫155)之心156)

德157)冠結花嚴之首, 擢授別大德. 於是, 循循然善誘, 自是請益

者, 其 158)不億, 寔繁有徒. 太祖, 方欲糺合龍邦, 欽崇象敎.

139) 어토(於兎):호랑이의 다른 이름.

140) 원시전율(圓視戰慄):문인들이 모두 함께 호랑이를 보고 두려워하였다는 말

이다.

141) 약무화(若無譁):너희들은 떠들지 말고, 조용히 하라고 당부하는 말이다.

142) 진비기주(珍飛奇走):‘진귀한 새와 기이한 짐승’이라는 말로, 상서로 나타난 것

이다.

143) 귀법의승(歸法依僧):불법(佛法)에 귀의하고, 스님들을 의지한다는 말이다.

144) 명년춘(明年春):병술년(丙戌年) 이듬해인 정해년(丁亥年 927).

145) 초계비구(草繫比丘):부처님 당시 어떤 비구(比丘)가 토굴에서 수도하고 있었는

데, 때마침 도적이 들어와서 물건을 빼앗고, 스님을 죽이기보다는 죄를 덜 짓기

위하여 풀에 묶어 두고 가버렸다. 스님은 풀을 다치게 하는 것도 살생(殺生)이

라 여겨 7일간이나 그냥 묶여 있었는데, 때 마침 왕이 사냥을 나와 이를 보고 크

게 감동하여 왕궁으로 모시고 가서 왕사(王師)로 모시게 되었다는 데서 유래된

것으로, 『범망경梵網經』「하下」48 ‘경구계輕垢戒’ 중 제34 잠리보제심계(暫離菩

提心戒)에 “若佛子 護持禁戒 行住坐臥 日夜六時 讀誦是戒 猶如金剛 如帶持浮囊

欲渡大海 如草繫比丘”라 하였고, 『열반경涅槃經』권26에는 “寧捨身命 不毁禁戒

如草繫比丘”라 하였다. 「낭원대사오진탑비문朗圓大師悟眞塔碑文」 주67초계草

繫 [고려편1] p.120;「진철대사비문眞澈大師碑文」 주60)초계현심草繫懸心 [고

려편1] p.24;「요오화상진원탑비문了悟和尙眞原塔碑文」 주20)행동결초行同結

草 [고려편1] p.50 등 참고.

146) 행수초계지심(行修草繫之心):초계비구(草繫比丘)와 같이 행(戒律)을 닦았다는

말로써 계덕(戒德)이 높다는 뜻이다.

147) 덕관화엄지수(德冠華嚴之首):도덕이 화엄종(華嚴宗)에서 제일 높다는 뜻이다.

148) 순순연선유(循循然善誘):순순이란 차례와 질서가 있다는 말로써 차곡차곡 질서

있게 잘 지도한다는 뜻이다. 유준(劉峻),『변명론辨命論』, “循循善誘 服膺儒行”.

149) 청익(請益):법문 듣기를 청하는 것, 곧 청법(請法).

150) 기려불억(其 不億):그 수가 헤아릴 수 없이 많다는 뜻으로, 는 麗와 같아 數

字와 통하고, 億은 헤아릴 억字로써 臆과 통한다. 『시경』「대아」‘문왕文王’, “商之

孫子 其麗不億”.

151) 식번유도(寔繁有徒):이와 같이 그의 문도가 번창하였다는 말이다.

152) 규합용방(糺合龍邦):왕건이 비로소 계림추엽(鷄林秋葉)인 신라, 그리고 궁예의

후고구려, 견훤의 후백제 등이 정립(鼎立)하였던 삼국(三國)을 하나로 규합, 통

일하였다는 말이다.

153) 상교(象敎):불교를 지칭한다.

154) [苑] [總覽]에는 視. [全文]의 祖는 視의 오자임.

155) [苑]에는 繫. [全文] [總覽]의 繁은 繫의 오자임.

156) [總覽]에는 결락이나 [苑]과 [全文]에는 心임.

157)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德字가 있음.

158) [苑] [總覽]의 와 [全文]의 麗는 相通하는 字이다.

청태년초159)에 서백산(西伯山) 신랑(神朗) 태대덕160)이 각현이 번역한 80

권본 화엄경에 정통하여161) 대방광162)의 비종(秘宗)을 설한다는 소식을 들

었을 때, 신랑 태대덕은 이미 나이가 상유(桑楡)에 임박하고,163) 모양은 마

치 포류(蒲柳)와 같이 쇠잔하였다.164) 그러나 대사에게 청법하니 낭공대사

(朗公大師)가 법상에 올라 앉아 옥병(玉柄)을 휘두르면서 금언(金言)을 설

하여 심법(心法)을 들려주고 있었다. 드디어 서백산(西伯山)으로 가서 삼

본(三本) 화엄경의 강설을 듣고는 크게 감동하여 “어찌 이것이 부처님께서

가섭에게 밀전(密傳)하고, 유마거사가 문수보살과 묵대(默對)한 것과 다르

겠는가!”라고 하였다. 낭공대사가 부끄러운 얼굴로 대답하기를, “옛날 유동

(儒童)보살165)이요, 이른바 ‘나를 일으킨 자는 상(商)이다.’라 한것이다.”라

고 하였다.166) 화엄의 큰 가르침(華嚴大敎)이 이때부터 크게 성행하였다.

淸泰初, 聞西伯山神朗太大德, 纂覺賢之餘烈, 演方廣之秘宗,

今年迫桑楡, 貌衰蒲柳. 遂請大師, 迨郞公, 其167)麾玉柄, 演金

言, 聞心168)法者. 大師, 遂往西伯, 聽雜華三本則, 何異, 善逝,

密傳於迦葉, 淨名, 默對於文殊者哉. 朗公應對, 有慙色曰, “昔

儒童菩薩, 所謂, 起予者商.” 故乃花嚴大敎, 於斯爲盛矣.

159) 청태(淸泰):후당 폐제(廢帝) 때의 연호(934~935).

160) 신랑태대덕(神朗太大德):전기를 알 수 없다.

161) 찬각현지여열(纂覺賢之餘烈):불타발타라(覺賢 Buddhabhadra)가 중국에 와서

한역(漢譯)한 경전이 『화엄경』을 비롯하여 무려 16부 177권이나 되는데, 그가

남긴 경전을 연구하였다는 뜻이다.

162) 대방광(大方廣):12부경(部經) 중에 비불략(毘佛略 vaipulya), 즉 방등경(方等

經)을 지칭한다. 여기서는 『대방광불화엄경』을 말한다.

163) 연박상유(年迫桑楡):뽕나무나 느릅나무 끝에 남아있는 저녁해의 그림자. 노년

(老年) 또는 일모(日暮). 죽음이 눈 앞에 임박하였다는 말이다.「원종대사혜진탑

비문」 주192)연박상유年迫桑楡 본서(本書) p.266 참조.

164) 모쇠포류(貌衰蒲柳):나이가 많아 모양이 마치 포류(蒲柳)와 같이 쇠퇴하였다는

말이다. 「원종대사혜진탑비문」 주193)치쇠포류齒衰蒲柳 본서(本書) p.266 참조.

165) 유동보살(儒童菩薩):석존께서 과거세 인행(因行)시 유동보살( mānavaka)의 신

분으로 연등부처님(燃燈佛)께 공양하였다.『수행본기경修行本起經』(대정장3,

p.461c) 참조.

166) 기여자상(起予者商):공자(孔子)가 그의 제자인 자하(子夏,이름은 商)에게 이른

말로, 스승인 자신을 자극하여 분발하게 하는 제자에 대한 감탄을 담고 있다.

『논어論語』「팔일八佾」, “子夏問曰 巧笑倩兮 美目盼兮 素以爲絢兮 何謂也 子曰

繪事後素 曰禮後乎 子曰 起予者 商也 始可與言詩己矣”.

167) [總覽] [拓本]에는 其. [苑] [全文]의 具는 其의 오자이다.

168) [苑] [全文]에는 脫落되어 있지만, [總覽]에는 心字가 있다.

천복 7년169) 7월 염·백 2주170)에 연접된 경계에 해충인 황벌레171)가 농작

물의 싹을 마구 뜯어 먹고 있었다. 그리하여 퇴충기도(退虫祈禱)를 위해

대사를 법주(法主)로 모시고 『대반야경(大般若經)』을 강설하기로 하였다.

스님이 여시아문운운(如是我聞云云)으로부터 일음(一音)으로 겨우 법을

연설하자마자 모든 해충들172)이 물러갔으며, 그 해에 풍년이 들어173) 태평

을 이루었다.174)

天福七年, 秋七月, 塩175)白二州, 地界螟蝗害稼. 大師爲法主,

講大般若經. 一音纔演法, 百螣不爲灾. 是歲卽致年豐, 翻成

物泰.

169) 천복칠년(天福七年):천복은 후진(後晉) 고조(高祖) 때의 연호. 천복 7년은 942년

(태조 25).

170) 염백이주(鹽白二州):염은 염주(鹽州)로써 황해도 연안군(延安郡)의 옛 이름이

고, 백은 백주군(白州郡)으로 황해도 연안군과 서쪽으로 연접된 지역을 말한다.

171) 명황(螟蝗):곡식의 싹을 뜯어 먹는 식묘충(食苗蟲).

172) 백특(百螣):모든 해충. 곡식을 침식하는 온갖 벌레. 특(螣)은 박각시나방애벌레

특字.

173) 시세즉치년풍(是歲卽致年豊):스님이 퇴충기도(退虫祈禱)를 한 공덕으로 그 해

에 풍년이 들었다는 뜻이다.

174) 물태(物泰):풍년이 들어 오곡은 풍부하고, 나라는 태평을 이루었다는 뜻이다.

175) [苑] [全文]의 塩과 [總覽]의 鹽은 같은 字이다.

혜종176)이 보위에 올라 3본 화엄경177)의 사경을 마치고178) 천성전(天成

殿)에서 불상과 신중상(神衆像)을 모시고 법회(法會) 장소를 마련하고

는,179) 대사를 초청하여 경을 강설하고 또한 열람180)하는 한편 사경에 대한

경찬(慶讚)을 위해 널리 보게(寶偈)를 선양하였다. 왕이 대사와 사자(師

資)의 인연을 맺고는181) 대사에게 올리는 시주금(施主金)을 구룡산사(九

龍山寺)로 보내고,182) 따로 법의(法衣)와 진귀(珍貴)한 찻감, 선향(仙香) 등

을 송증하였다.183) 정종(定宗)이 즉위해서는184) 마침내 구룡산사에 법회를

열고185) 대사를 법주로 삼아 그의 법력에 의뢰하였으니, 군림에 따른 복이

되게 하려 했다. 대성대왕186)이 즉위하고서는 더욱 십선행(十善行)을 닦고

보다 삼귀의(三歸依)에 정성스러웠다. 우러러 소박한 충정을 펼치며 일편

단심187)을 배증(倍增)하였다.

惠宗嗣位, 寫花嚴經三本裁竟, 卽於天成殿, 像設188)法筵, 請大

師講覽, 兼申慶讚, 爲其弘宣寶偈. 永締芳緣, 附大師, 送納於

九龍山寺, 別贈法衣, 贄之珍茗, 副以仙香. 定宗踐阼, 遂於九

龍山寺, 置譚筵, 大師爲法主, □□賴之,189) 大190)□爲191)□192)君

臨之多福. 及大成大王, 卽位, 增脩十善, 益勵三歸. 仰展素衷,

倍增丹愿.

176) 혜종(惠宗):고려 제2대 임금(재위 934~945).

177) 화엄경삼본(華嚴經三本):「정진대사원오탑비문」 주276)의희본화엄경義熙本華

嚴經 [고려편1] p.415.

178) 재경(裁竟):『화엄경』을 사경(寫經)하여 재책(裁冊)해 마쳤다는 말이다.

179) 상설법연(像設法筵):천성전(天成殿)에 불상과 팔부신장상(八部神將像) 등을 모

시고 법회 장소를 설치하였다는 뜻이다.

180) 강람(講覽):경(經)을 강설하는 한편 경을 열람하는 것을 말한다.

181) 영체방연(永締芳緣):혜종임금과 법인국사가 사자(師資)의 인연을 맺었다는 뜻

이다.

182) 송납어구룡산사(送納於九龍山寺):납(納)은 납(衲)과 같은 字로써 승복(僧服),

곧 납의(衲衣)를 뜻한다. 임금께서 납의를 구룡산사로 보냈다는 말이다.

183) 별증법의지지진명(別贈法衣贄之珍茗):납의를 보낸 외에 따로 법의를 만들 수

있는 옷감과 진귀한 찻감을 보냈다는 말이다.

184) 천조(踐阼):천자(天子)가 보위에 오른다는 말이다. 「원종대사혜진탑비문」 주

116)천조踐阼 본서(本書) p.256 참조.

185) 담연(譚筵):마치 선담법회(禪譚法會)를 개설하였다는 말이다.

186) 대성대왕(大成大王):광종의 시호. 본비문(本碑文) 주132)대성대왕大成大王

p.309 참조.

187) 단원(丹愿):일편단심의 골똘한 정성을 말한다.

188) [苑] [總覽]에는 設. [全文]의 說은 設의 오자임.

189) [苑]은 결락이나 [全文] [總覽]에는 之임.

190) [苑]은 결락이나 [全文] [總覽]에는 大임.

191) [苑] [全文]에는 爲. [總覽]의 薦은 爲의 오자임.

192) [苑] [全文]은 결락이나 [總覽]에는 탈락(脫落)됨.

임금께서 항상 스님의 모습을 보되, 마치 부처님의 거룩하신 존안193)

첨앙하는 것과 같이 하였다. 대사를 초청하여 법력을 빌었으니, 대사는 마

치 승천대사(僧泉大師)가 왕 앞에서 불자(拂子)를 흔들고194) 혜필선사(惠

弼禪師)가 왕이 초청한 법상에 앉아 용이(龍頤)를 움직인 것과 같았다.195)

왕이 즉위196)한 깊은 공덕을 선양하고 나라를 치화할 묘법을 강설한 탓으

197) 시대는 강녕(康寧)하고 왕도(王道)는 태평스러워서 국가는 부강(富

强)하고 가정은 창성하였다.198)

每覩吾師之尊貌, 如瞻彼佛之睟199)容. 請大師祈法力, 大師, 僧

泉之麾麈尾, 惠弼之動龍頤. 宣莅阼之玄功, 講化邦之妙法, 故

乃時康道泰, 國阜家殷矣.

193) 수용(睟容):청련화목(靑蓮華目)과 같은 눈을 가진 거룩한 얼굴. 온화하고 윤택

이 있는 용모.

194) 승천지휘주미(僧泉之麾麈尾):승천대사(僧泉大師)가 왕(王) 앞에서 주미 즉 불

자(拂子)를 흔들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인데, 승천대사의 전기는 알 수 없다.

195) 혜필지동용이(惠弼之動龍頤):혜필선사(惠弼禪師)가 왕이 초청한 법상(法床)에

서 턱을 끄덕거리는 것으로 법문을 삼은 것을 뜻한다. 혜필선사의 전기는 알 수

없다.

196) 이조(莅阼):이조(涖阼)와 같은 뜻으로 임금이 보위에 오르는 것을 말한다. 천조

(踐阼)라고도 하는데, 莅는 涖와 같은 字이다.

197) 강화방지묘법(講化邦之妙法):나라를 교화하는 묘법을 강설한다는 뜻이므로,

호국삼부경(護國三部經) 등을 강설한다는 말이다.

198) 국부가은(國阜家殷):국력이 커지고 가정이 융성하여진다는 말이다.

199) [苑]에는 睟. [全文] [總覽]의 晬은 睟의 오자임

대사는 엎드려 대왕을 위하는 한편 부처님200)을 받들었다. 옥게(玉偈)를

선설(宣說)하여 법왕의 도를 흠숭하였고, 군자의 나라201)를 빛나게 하려고

석가(釋迦) 주불(主佛)과 좌우보처(左右補處) 등 삼존(三尊) 금불상202)

조성하였다. 광종(光宗)이 임금이 되어 나라를 다스린 지 4년 째 되던 해203)

봄에, 대사는 부처님 사리 3과를 얻어 유리 항아리에 담아 법당204)에 안치

하였다. 그로부터 수일(數日)이 지난 후, 어느 날 밤 꿈에 일곱 분의 스님

이 동방에서 왔다면서 말하기를, “이제 스님께서 묘한 원력(願力)이 함께

원만하고, 영자(靈恣)로 온 나라를 두루 교화하므로 찾아 왔습니다.”라고

하였다. 꿈에서 깨어 항아리를 보니 사리가 빙빙 돌아서 셋으로 [결락] 변

화하였다. 지(地) [결락] 금지찰(金之刹)에 보천(補天)하는 연석(練石)으로

탑감(塔龕)을 세웠으니,205) 그 까닭은 임금의 수명을 연장하고,206) 왕의 선

정과 덕화를 부호(扶護)하려는207) 것이다.

□□□伏208)爲大王, 奉金姿. 宣玉偈, 欽若法王之道, 煥乎君

子之邦, 造釋迦三尊金像. 光宗御宇四年春, 大師, 得佛舍利

三粒, 以瑠璃甖盛, 安置法宇. 數日後夜夢, 有七僧, 自東方來

云,209) “今爲妙願俱圓, 靈姿遍化, 故來.” 覺見其甖, 舍利旋旋

爲三 □□□□於置210)地□金之刹, 起補天練石之龕, 所以, 延

帝齡, 扶聖化也.

200) 금자(金恣):금빛 자태. 부처님 또는 불교를 지칭한다.

201) 군자지방(君子之邦):군자의 나라. 우리나라를 지칭한다.

202) 석가삼존금상(釋迦三尊金像):삼존이란 주불(主佛)인 석가모니불, 좌보처(左補

處)인 미륵보살, 우보처(右補處)인 제화가라보살(堤華竭羅菩薩)을 가리킨다.

203) 광종어우사년(光宗御宇四年):949년에 즉위한 광종이 왕이 된지 4년째인 953년

을 가리킨다.

204) 법우(法宇):법(法)의 집이니 사원이나 법당.

205) 기보천연석지감(起補天練石之龕):하늘을 돕는다는 연석으로 감실(龕室)을 만들

었다는 뜻으로, 보천연석은 연석보천(練石補天)이라고도 하는데,『회남자』「남명

훈覽冥訓」에 “女媧練石五色石 以補蒼天”이라 하고, 그 주(注)에 “女媧帝佐虎戱

治者也 三皇時 天不足西北 故補之”라 하였다. 천연(天然)의 조화(造化)가 부족한

부분을 인위적으로 보충(補充)하는 것으로 세운(世運)을 만회하려는 것이다.

206) 연제령(延帝齡):임금의 수명을 연장하여 오래 살도록 기원한다는 뜻으로, ‘주

상전하수만세(主上殿下壽萬歲)’와 같은 뜻이다.

207) 부성화(扶聖化):임금의 선정(善政)과 덕화(德化)를 돕는다는 말이다.

208) [苑] [全文]에는 伏. [總覽]의 休는 伏의 오자임.

209) [苑] [總覽]에는 云. [全文]의 至는 云의 오자임.

210)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置임.

현덕 2년211) 여름, 대사의 법체가 조화함이 어긋나고212) 질병을 보였다.

어느 날 밤 꿈에 거사 30여 명이 배를 몰고 와서 “대사를 배에 모시고 서

방극락세계(西方極樂世界)로 가려고 왔습니다.”고 하였다. 대사가 이르기

를, “이것이 내가 타고 서방으로 갈 반야용선(般若龍船)이구나.”하고, 다

시 말하기를, “내가 세상에 나와 뜻을 도에 두고, 정성껏 천교213)를 펴서

널리214) 고해중생(苦海衆生)을 제도하려 하였으나, [결락] 세상을 떠나는

때가 어찌 이다지도 급히 다가왔는가.” 하였다. 이 말을 들은 거사들이 다

음 시기로 미루고 배를 되돌려 돌아갔다. 그 후 수명이 오래 연장되어 화

엄종지를 더욱 왕성하게 폈으니,215) 이를 일러, ‘정신이 몽매(夢寐)에 통하

고 영혼(靈魂)이 유명(幽明)을 경험하였다.’ 하였다.

顯德二年夏, 大師法軆216)乖和, 嚬容示疾. 夜夢有居士三十餘人,

艤舟而來, “欲載大師西泛.” 大師, 方謂, “是吾乘仁舟, 而西逝矣.”

乃言曰, “吾自出世, 志於道, 願欲敬敷天敎, 誧濟海□□□□□□去

世, 奈何急.” 其居士等, 聽之迴舟, 有後期而去矣. 爾後得年算之遐

長, 致貫花之益誠, 是謂, ‘神通夢穸, 靈驗幽明矣.’

211) 현덕이년(顯德二年):현덕은 후주(後周) 세종(世宗) 때의 연호. 현덕 2년은 955

년(광종 6).

212) 빈용(嚬容):몸이 불편하여 얼굴을 찡그린 표정.

213) 천교(天敎):불교를 지칭한다.

214) 포(誧):대(大) 또는 보(普)의 뜻이다.

215) 관화(貫花):꽃을 꿴다는 말이니, 장엄(莊嚴)을 이룸. 즉 곧 훌륭한 업적을 많이

남겼다는 말이며, 한편, 화엄(華嚴)의 종지를 선양함을 말한다.

216) [苑] [總覽]에는 軆. [全文]의 禮는 軆의 오자임.

대사께서 문인들에게 이르기를, “성군(聖君)이 나를 스승이라 일컬으므

로, 나는 부처님의 가호(加護)로 임금께 보답하려 하노라.”고 하며, 부처님

을 존숭한 공덕으로 옥황217)의 만수무강을 빌기 위해 삼존(三尊) 금불상

(金佛像)을 조성하였다. 이로 인하여 성업(聖業)의 치적(治績)이 봉력218)

에 실려 오직 홍도(鴻圖)를 새롭게 하려 하였다. 유혁건(有赫乾) [결락] 대

내에 대장경 법회를 열고, 급히 지검(芝檢)219)을 보내어 주궁220)으로 초빙하

였다. 대사는 산사(山寺)의 연비(蓮扉)를 떠나 경사(京師)의 금지(金地)221)

에 도착하였다. 대왕이 높은 스님과 중신(重臣)의 사신을 보내서 내도량222)

으로 영입(迎入)하여 융숭하게 대하는 예우(禮遇)가 더욱 돋보였으니, 공

경함이 부처님과 같았다. 따로 마납가사223)와 아울러 백마노염주(白碼碯念

珠)를 헌납하였다. 그리고 이 해 9월에 새로 귀법사(歸法寺)를 창건하니,224)

물은 잔잔하게 구비구비 돌아 흐르고225) 산은 험준하여 청룡·백호가 병풍

처럼 휘감았고 전망(前望)이 확 트였다.226) 불상을 모신 전당(殿堂)은 (결

락) 이에 개사(開士)가 연거227)하기에 알맞는 정경(淨境)이며, 진인(眞人)

이 서식(栖息)할 만한 청재(淸齋)이므로 대사를 초빙하여 주지(住持)하도

록 하였다. 대사가 이 절에 가서 거주하니 장엄(莊嚴)하기가 마치 화성(化

城)과 같았다. 별도로 계금가사228)와 아울러 법의를 송정하였다.

大師告門人曰, “聖君, 致我稱師, 報君以佛.” 奉爲祝玉皇之万

壽, 鑄金像之三尊. 因得鳳曆, 惟新鴻圖. 有赫乾229)□□□□

□, 大內, 置230)大藏經法會, 遽飛芝檢, 徵赴珠宮. 大師, 別山

寺之蓮扉, 到京師之金地. 大王遣緇素重使, 迎入內道場, 禮之

加焯然, 敬之如如來. 別獻磨衲袈裟, 幷白碼 231)念珠. 是歲秋

九月, 以新刱歸法寺, 水潺湲而練遶, 山巘崿而屛開. 像殿□□

□□□時232)乃開士宴居之淨境, 寔眞人栖息之淸齋, 遂請大師

住焉. 大師往居之, 儼若化城. 別233)送罽錦袈裟, 幷法衣.

217) 옥황(玉皇):광종 임금을 지칭한다.

218) 봉력(鳳曆):달력. 봉황(鳳凰)은 능히 천시(天時)를 안다 하여, 봉자(鳳字)를 역

자(曆字) 앞에 두었다. 유신(庾信), 「소하락素夏樂」 , “龍圖華命 鳳曆歸昌”.

219) 지검(芝檢):임금의 칙서(詔書). 「원종대사혜진탑비문」 주144)지검芝檢 본서(本

書) p.259 참조.

220) 주궁(珠宮):구슬로 장식한 어전(御殿)이다. 전(轉)하여 도원(道院)을 지칭하기

도 하는데, 여기에서는 어전을 가리킨다. 은요공(殷堯恭), 「보허시步虛詩」, “玉

洞花長發 珠宮月最明”.

221) 금지(金地):절을 말한다.

222) 내도량(內道場):궁안에 있는 내불당(內佛堂).

223) 마납가사(磨衲袈裟):마납은 정교하게 짠 고려산 비단을 말한다. 「법경대사보조

혜광탑비문法鏡大師普照慧光塔碑文」 주80)마납摩衲 [고려편1] p.224.

224) 시세추구월이신창귀법사(是歲秋九月以新刱歸法寺):귀법사는 963년(광종 14)

가을 9월에 경기도 개성 탄현문(炭峴門) 밖에 창건되었다.

225) 수잔원이연요(水潺湲而練遶):물이 잔잔히 흘러 구비구비 휘감아 흐른다는 뜻

이다. 잔원이란 물이 흐르는 모양 또는 그 소리. 『초사楚辭』「구가九歌」‘상부인湘

夫人’, “荒忽兮遠望 觀流水兮潺潺”.

226) 산헌악이병개(山巘崿而屛開):산은 높이 낭떠러지 절벽으로 솟아있고, 전망은

확 트였다는 뜻이다. 헌악이란 층애(層崖) 또는 절벽. 이백(李白),「명고가鳴皐

歌」, “尋幽居兮越巘崿”.

227) 연거(宴居):연좌안거(宴坐安居)의 준말이니 참선하는 것을 말한다.

228) 계금가사(罽錦袈裟):모직(毛織)이나 비단으로 만든 가사. 계는 ①고기 잡는 그

물 계字. ②틀로 짠 모직이니, 현응(玄應)의 『일체경음의一切經音義』권1에 “織

毛曰 罽”라 하였다.

229) [總覽]에는 乾. [苑] [全文]의 乹은 乾의 속자임.

230)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置임.

231) [總覽]에는 碯. [苑]에는 . [全文]에는 瑙. 는 碯의 오자이고, 瑙는 碯와 同字

이다.

232)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時임.

233) [全文]에는 別과 送 두 字 사이에 別字가 더 있는데, 이는 삭제하여야 한다.

저후234)도 우리 스님을 신향(信向)하였으니, 그 정성스러움이 부왕인 광

종과 다름없었다. 저후도 역시 따로 법의와 아울러 한(漢)의 명차(茗茶),

만(蠻)의 선향235) 등을 헌증하였다. 그리고 이 해 10월236)에 대왕이 대사를

석문(釋門)의 종주(宗主)로 모시고, 험한 세상을 인도하는 스승237)으로 섬

겼으며, 스님은 달람(怛纜)의 비종(秘宗)을 연설238)하고 부상(扶桑)의 생민

(生民)을 교화하였다. 이에 왕이 스님의 도덕을 존중하고 깊은 대자비에

감득(感得)하여, 스님(緇)과 세간(素)의 중사를 보내 소(疏)를 받들어 왕

사(王師)로 모시고자 간청하였다. 대사가 이에 사양하며 말하기를, “나는

아직 마음의 구슬이 밝지 못하고 눈의 거울이 비춤이 없어 왕사가 되는

것은 잘못된 일이니, 소승이 어찌 감히 받아들일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

였다. 이에 대하여 대왕이 말하기를, “과인이 스님을 높은 산처럼 앙모(仰

慕)함이 어찌 하루라도 잊을 수 있겠습니까. 장차 혼돈(混沌)의 근원을

묻고자 하오니, 이는 공동(崆峒)의 초청239)에 간절한 마음입니다.”하였다.

儲后, 信向吾師, 誠如聖旨. 別獻法衣, 幷漢茗蠻香等. 是歲冬

十月, 大王, 以大師, 釋門宗主, 險道導師, 演呾240)纜之秘宗,

化扶桑之□□. 於是, 尊241)崇道德, 深感大慈, 迺遣緇素, 重使

奉䟽, 請爲王師. 大師迺讓曰, “心珠靡瑩, 目鏡無縣,242) 謬爲王

師, 卽僧豈敢.” 大王乃言曰, “高山仰止, 何日忘之, 將開243)混

沌之源, 寔切崆峒之請.”

234) 저후(儲后):저군(儲君), 황태자(皇太子), 동궁(東宮), 춘궁(春宮), 저궁(儲宮), 저

이(儲貳) 등과 같은 뜻이다. 저는 후보란 뜻이고, 후는 군(君)이란 말이니, 곧 광

종의 장남(長男)인 주(伷)를 지칭한다. 주(伷)는 광종을 이어 976년에 즉위하였

으니 그가 바로 경종(景宗)이다. 이름은 주이고 자는 장민(長民). 어머니는 대목

왕후(大穆王后) 황보씨(皇甫氏)이다.

235) 한명만향(漢茗蠻香):한명은 중국산 다료(茶料). 만향은 인도나 주변국에서 생

산되는 향료(香料).

236) 시세십월(是歲十月):964년 10월.

237) 험도도사(險道道師):‘험한 길의 도사’라는 말이다. 험도란 중생이 살고 있는 험악

하고 위험한 삼계(三界)와 육도(六道)를 뜻함이고, 도사란 이와 같이 삼계(欲界·

色界·無色界)화택(火宅)과 사생(胎生·卵生·濕生·化生)고해(苦海)의 험한 길을

인도하는 길잡이라는 뜻이다.

238) 연달람지비종(演呾纜之秘宗):달람의 비종을 연창하였다는 것이니, 계경(契經)

의 그윽한 요체를 연설하였다는 뜻이다. 달(怛) 또는 달(呾)이라고도 쓴다. 달람

(怛纜)은 소달람(素怛纜)의 준말이니, 수다라(修多羅 sūtra:즉 경(經)이라 번역

한다)를 오인도(五印度)의 차음(差音)에 따른 번역자 즉 역주(譯主)에 의하여 그

음역(音譯)이 신구역(新舊譯)에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로 나타나 있다. 구역에

는 수단라(修單羅), 수투로(修妬路), 수다란(修多蘭) 등이고, 신역에는 소달람(素

怛纜), 소달람(素呾纜), 소다라(蘇多羅), 소달라(蘇呾羅) 등이니, 계경(契經), 성경

(聖經), 경(經) 등으로 번역된다.

239) 공동지청(崆峒之請):광종 임금이 법인국사를 궁중으로 초청하여 치국지도(治

國之道)를 듣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 「지증대사적조탑비문智證大師寂照塔碑

文」 주408)공동지미崆峒之美 [신라편] p.336;「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문」 주

334)공동지청崆峒之請 본서 p.166;「진공대사보법탑비문」 주124)공동지문崆峒

之問 [고려편1] p.101 등 참조.

240) [苑] [全文] [總覽]의 組는 怛 또는 呾의 오자임.

241) [苑] [全文]에는 尊. [總覽]의 眞은 尊의 오자임.

242) [苑] [總覽]에는 懸이지만, [全文]에는 縣이다. [苑]과 [總覽]의 懸이 오자임.

243) [苑] [全文]에는 開. [總覽]의 問은 開의 오자임.

대사가 말하기를, “소승은 오직 마음을 귀불(歸佛)에만 둘 뿐이요, 진실

로 임금님을 돕는 데는 무력244)하오나, 오히려 지나친 성은을 입어245) 더

이상 굳게 사양할 수 없습니다.” 하였다.246) 이에 태상(太相)인 김준암(金

遵巖) 등으로 하여금 휘호247)를 받들게 하여 왕사 홍도삼중대사248)라 하고,

다음 날 대왕이 몸소 내도량(內道場)에 나아가서 절하고 왕사로 삼았다.

이 때 “임금이 되어 나라를 경륜(經綸)하는 방법은 하늘을 법받아 항상 주

의하고,249) 부처님께 귀의하여 사람을 교화하는 도에 의지하고, 바다와 같

이 깊이 심불(心佛)을 관하셔야250)합니다.”라고 한 다음, 약언(藥言)으로써

드날려 잠계(箴誡)를 베풀었다. 그러한 까닭에, 스님의 법력을 우러러 의

지하여 정심(精心)을 배나 더하였으며, 따로 계금가사와 더불어 황흑마노

염주(黃黑碼 念珠)를 헌납하기도 하였다.

大師251)乃言, “僧唯有心於歸佛, 苟無力於致君, 尙以過沐□252)

□□末253)由254)膠255)讓256).” 迺257)使太相金遵巖等, 奉徽號爲王

師, 弘道三重大師, 翌日大王, 躬詣內道場, 拜爲師. 於是, “爲

君經國之方, 法天注意, 依佛化人之道, 觀海沃心.” 遂乃颺以

藥言, 施之箴誡. 所以, 仰依法力, 倍罄精心, 別獻罽錦袈裟,

幷黃黑碼 念珠.256)257)

244) 구무력어치군(苟無力於致君):스님 자신이 진실로 임금의 치국(致國)을 도울 만

한 능력이 없다고 겸손해하는 말이다.

245) 과목□□□(過沐□□□):스님이 그동안 왕(王)의 은총을 지나치게 입었다고

감사하는 말이다.

246) 말유교양(末由膠讓):강하게 사양할 수 없었다는 뜻이다.

247) 휘호(徽號):스님의 아름다운 도덕을 찬양하기 위하여 임금이 내린 호.

248) 삼중대사(三重大師):본비문 주6)삼중대사三重大師 p.294 참조.

249) 법천주의(法天注意):하늘을 법받아 뜻을 오롯하게 치국안민(治國安民)에만 기

울인다는 말이다.

250) 관해옥심(觀海沃心):해옥과 같은 마음을 관한다는 뜻이니, 곧 바다와 같이 깊

고 넓은 심불(心佛)을 관한다는 말이다.

251) [苑] [全文]에는 師. [總覽]의 王은 師의 오자임.

252) [總覽]에는 過沐 뒤에 한 字가 탈락됨.

253)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末임.

254)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由임.

255)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膠임.

256)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讓임.

257)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迺임.

개보 5년258) 대사는 특히 저후의 나이가 학수(鶴壽)와 같아259) 날마다 용

260)를 왕성하게 하며, 옥의261)를 붙들어 아름다운 덕을 쌓게 하며,262)

263)를 도와 항상 경사스러움을 연설하였다. 천불도량(千佛道場)에 들어

가 향을 사르고 기도하던 중, 7일째 되는 날 밤264) 꿈에 5백 명의 스님이 찾

아와서 말하기를, “스님의 소원을 부처님께서 들어주셨음을 알려드리니,

화사(畵師)를 청하여 오백나한(五百羅漢)의 탱화를 그려 안선보국원(安

禪報國院)에 모시도록 하십시오.”라고 권했다. 대사가 꿈에 이 같은 지시

를 받고 말하기를, “옛날 내가 보원사(普願寺)에 있을 때, 삼본(三本) 화엄

경(華嚴經)을 봉지(奉持)하고, 날마다 중야(中夜)에 불상을 모신 법당에서

경행(經行)하기를 몇 년을 계속하였다.

開寶五年, 大師特爲儲后, 年齊鸖算, 日盛龍樓, 扶玉扆以儲

休, 佐瑤圖而演慶, 迺入千佛道場, 焚禱經七日夜夢, 有五百僧

來曰, “師所願者, 佛之聽之, 故奏請畵師, 敬畵五百羅漢, 安

置於安禪報國院.” 大師乃言之, “昔吾在普願寺, 奉持三本華

嚴經, 每265)以中266)夜, 經行像殿, 不絶數年.

258) 개보오년(開寶五年):개보는 송 태조 때의 연호. 개보 5년은 972년(광종 23).

259) 학산(鸖算):장수(長壽)의 뜻이다.

260) 용루(龍樓):한(漢)나라 때 태자 궁문의 이름이었으나, 전(轉)하여 태자의 궁전

을 지칭한다. 『한서』「성제기成帝紀」, “帝爲太子 居桂宮 上嘗急召 太子 出龍門樓

不敢絶馳道”.

261) 옥의(玉扆):임금이 남향(南向)하고 앉아 있는 자리.

262) 저휴(儲休):아름다운 공덕을 쌓아 모은다는 뜻이니, 곧 태자를 위하여 기도하

며 덕을 저축한다는 말이다.

263) 요도(瑤圖):왕실(王室)의 대통(大統)과 자손.

264) 분도경칠일(焚禱經七日):향(香)을 사루면서 기도하여 7일이 경과된 날이다.

265)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每임.

266)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中임.

홀연히 어느날 밤 삼보전(三寶前) 객실(客室) 앞에 한 스님이 있기에

‘스님은 어디서 오셨습니까?’라고 물었다.267) 대답하기를, ‘성주원(聖住院)

에 주지268)하는 오백승(五百僧)인데 인연따라 제각기 지나게 되어 이 곳을

경과하게 되었으니,269) 원컨대 여기에 머물도록 해주십시오.’하고 입방(入

榜)을 요청하였다.270) ‘지객(知客)인 삼보271)에게로 가라’고 하였는데, 발을

씻고 내 방 쪽으로 가기에 내가 먼저 방으로 돌아가서 들어오라고 청하였

으나 응하지 않고 어디론가 가버렸는데 갑자기 폭우272)가 쏟아졌다.”273)

하였다.

忽一夜三寶前, 有一僧問曰, ‘僧來奚自.’ 乃曰, ‘聖住院, 住持

五百僧, 隨緣赴感, 經過此地, 遣僧起居.’ 乃 ‘往三寶’, 洗脚

訖, 向吾房而去, 吾先歸房, 請入不應而去, 驟雨忽滂沲.274)

267) 승래해자(僧來奚自):“스님은 어디에서 오셨습니까?”라는 뜻이다.

268) 성주원주지(聖住院住持):여기서 주지란 사원 주지의 직책이 아니고, 성주원(聖

住院)에 거주(居住)한다는 뜻이다.

269) 수연부감(隨緣赴感):“인연에 따라 제각기 지낸다.”는 뜻이다.

270) 견승기거(遣僧起居):스님네가 기거(起居)하는 곳으로 보내달라고, 즉 그 절에

있게 해달라고 부탁하는 것이다.

271) 삼보(三寶):삼보(三輔) 또는 삼보(三甫)라고도 하니, 사원의 지객소임(知客所

任)을 가리킨다.

272) 취우(驟雨):집중적으로 퍼붓는 호우.

273) 방타(滂沲):폭우가 내리는 모양. 沲는 沱와 같은 字이다.

274) [苑] [總覽]의 沲와 [全文]의 沱는 相通하는 字이다.

다음 날 아침 사존275)에게 “어제 밤에 객스님이 온 적이 있었는가?”라고

물었더니, 사존은 “밤새도록 아무 스님도 온 적이 없습니다.”라고 대답했

다. 다만 뜰에 가득 범의 발자국만 있을 뿐이므로 “내가 십만게(十萬偈)인

잡화경276)을 봉지하고 옥상277)에 귀의한 탓이며, 오백나한이 연궁278)에 강

림한 까닭으로 영자279)를 감득하게 된 것이다.”하였다. 그 후 이 성스러운

나한의 덕을 갚기 위하여 해마다 춘추가절(春秋佳節)에 나한의 묘재(妙

齋)를 베풀게 되었는데, 그 까닭이 참으로 할 만하여 그렇게 된 것이기에

제자들이 이를 항례(恒例)로 기록하였다.280)

詰旦, 向司存, 問, “夜有客僧來” 曰,“終夜無僧來.” 滿庭有虎

跡, “迺281)驗爲吾持十万雜華, 歸依玉像故, 五百羅漢, 光降蓮

宮故, 爲感靈姿.” 醻,聖德, 每春秋之佳節, 設羅漢之妙齋, 所

以然而282)然283)也, 弟子識之.

275) 사존(司存):지객 소임을 맡은 스님을 말한다.

276) 십만잡화(十萬雜華):10만 게송(偈頌)의 80권 『화엄경』을 가리킨다.

277) 옥상(玉像):불상을 지칭한다.

278) 연궁(蓮宮):사원을 가리킨다.

279) 영자(靈姿):꿈에 나타난 나한(羅漢)을 일컫는다.

280) 제자지지(弟子識之):스님의 제자가 이 사실을 듣고 그 날짜를 기록해 두고 매

년(每年) 춘추가절(春秋佳節)에 나한재(羅漢齋)를 지내게 되었다. 識는 기록할

지字이다.

281)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迺임.

282) [全文]에는 而字가 탈락됨.

283) [全文]에는 然字가 탈락됨.

개보 8년284) 정월에 스님은 쇠모(衰貌)에 당하여 고산(故山)에 돌아가기

를 간청하였다. 그러나 대왕은 오히려 스님의 자애로운 모습(慈顔)과 이

별하는 것이 아쉬워285) 개성에 있는 귀법사(歸法寺)에 주석하도록 청하였

으니, “말니286)상진이 그 빛을 감추고 깊은 산중에 있는 것이 옳다고만 할

수 있겠습니까. 청컨대 인간 세상에 나타내 보이셔서 삼천대천세계(三千

大千世界)를 환하게 비추어 주는 것이 제자의 소원입니다.”라 하였다. 대

사가 말하기를, “소승의 몸이 벽동(碧洞)에서 지내지 아니하고 화려하고

복잡한 경도(京都)에서만 살고 있으니,287) 해마다 청산(靑山)이 눈 앞에 선

하며, 날마다 다만 시작이 있고 끝이 있어 그러저러한 유위법(有爲法)에만

반연하고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開寶八年, 春正月, 大師, 以適當衰皃, 請歸故山. 大王, 尙慊

別慈顔, 請住歸法寺, 遂言曰, “末尼上288)珍, 匿289)耀在深山, 其

可耶, 請, 見在人間,290) 炤透三千界, 弟子之願也.” 大師乃言

曰, “僧, 不爲栖身碧洞以過, 年年寓目靑山而閑, 日日, 但緣

有始有卒, 念玆在玆.”

284) 개보팔년(開寶八年):개보는 송 태조 때의 연호. 개보 8년은 975년(광종 26).

285) 대왕상겸별자안(大王尙慊別慈顔):“대왕이 오히려 스님의 자비로운 모습과 이

별하는 것이 싫어서”라는 뜻이다.

286) 말니(末尼):마니(摩尼 mani)와 같은 말이니, 주(珠), 보(寶), 여의(如意) 등으

로 번역된다.

287) 승불위서신벽동이과(僧不爲栖身碧洞以過):소승이 몸을 벽동에서 지내지 못한

다는 뜻이니, 벽동이란 푸른 산 속의 동굴(洞窟)을 뜻하나, 도교(道敎)의 도관(道

觀)이라는 뜻도 있다.

288) [苑] [全文]에는 上. [總覽]의 土는 上의 오자임.

289) [總覽]은 결락이나 [苑] [全文]에는 匿임.

290) [苑] [全文]의 閒과 [總覽]의 間은 뜻으로는 相通하나, [總覽]의 間이 옳다.

대왕이 비록 옥호291)를 연모하나 보원사로 돌아가려는 발걸음을292) 멈추

게 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대사를 위하여 구름과 더불어 동심(洞心) 속에

머물게(栖息) 하였으니, 마치 달과 함께 허공에 있는 것과 같았다. 그 지혜

(智慧)는 일방(一方)을 교화하고 그 덕화는 사방으로 멀리 향기로왔으니,

군신이 찬앙(鑽仰)하고 나라의 스승(師資)이 되기에 마땅하다 하겠다. 모

두가 보월(寶月)의 광명(光明)을 품고 다 같이 자운(慈雲)의 그늘 밑으로

들어가게 하였으니, 금생에 서로 만남이 다겁생(多劫生)의 인연이라 여겨

공경하는 태도는 겸겸293)하고 말과 생각은 간간294)하였다. 휘호(徽號)를 받

들어 국사(國師)가 되어 달라고 청하였으나, 대사가 늙고 병 들었음을 핑

계로 사양하였다.

大王雖戀玉毫, 難留蓮步, 乃以爲大師. 身與雲栖洞心, 齊月在

空. 慧化一方, 德馨四遠, 正宜君臣鑽仰, 邦國師資295)□也. 咸

懷寶月之光, 盡入慈雲之蔭, 則是今生際會, 多劫因緣, 致敬謙

謙, 言懷懇懇. 奉徽號, 請爲國師, 大師, 辭以老且病.

291) 옥호(玉毫):부처님의 특상인 32상(相) 중 미간백호(眉間白毫)이니, 부처님을 가

리킨다.

292) 연보(蓮步):위대한 사람이나 미인(美人)이 우아하게 걷는 모양이지만, 여기서

는 법인국사가 보원사(普願寺)로 떠나는 걸음을 말한다.

293) 치경겸겸(致敬慊慊):아무리 존경을 해도 항상 마음에 만족스럽지 않은 모양을

뜻한다.

294) 언양간간(言懹懇懇):말함에 있어 항상 정성스러움을 간직한다는 뜻으로, 간간

이란 지성(至誠)스러운 모양을 말한다.

295) [苑] [全文] [拓本]은 資이니, [總覽]의 範도 뜻으로는 상통(相通)한다.

그러나 대왕은 마음을 기울여서 다시 간청하였다. 대사가 말하기를, “소

승은 도를 닦은 공이 미미하고, 스승이 될 만한 덕이 옅음에도 불구하고

성은을 입음이 적지 않았으므로 과분한 요청이지만 더 이상 사양할 수 없

겠습니다.”라고 하였다. 대왕이 몸소 도량(道場)에 나아가 조복(朝服)을

입고 면류관을 쓰고는 대사에게 예배하고 피석(避席)의 의(儀)를 갖추어

서신(書紳)의 예(禮)를 편 다음, 도를 물어 말씀해 주기를 빌었다. 대사가

말하기를, “소승은 다만 금생의 인연이 포류(蒲柳)의 앞에 당하였고 쇠퇴

함은 연라296)의 정경(淨境)에서 쉬고자 할 뿐입니다. 몸은 비록 소나무 밑

에 있으나 마음은 항상 예궁297)에 있어 우러러 용안을 연모하여 오직 대왕

의 봉조(鳳祚)를 빌고 있을 뿐 입니다.”298)하였다.

大王, 傾心請矣, 稽首言之. 大師言曰, “僧學道功微, 爲師德

薄, 猶且荷聖之恩不淺, 當仁之讓無由.” 大王, 躬詣道場, 服

冕拜爲國師□299)之以避席之儀, 展之以書紳之禮, 于以問道,

于以乞言. 大師言曰, “僧, 但緣當蒲柳之先, 衰憩煙蘿之淨境.

身歸松徑, 心在蘂宮, 仰戀龍顔, 唯祈鳳祚而已.”

296) 연라(煙蘿):안개가 자욱히 덮힌 칡넝쿨. 곧 고요한 난야(蘭若)를 뜻한다.

297) 예궁(蘂宮):천자(天子)의 궁전을 가리킨다. 향초(香草)가 아름답고 번창한 궁전

이란 뜻으로, 예자(蘂字)는 작(芍)·예(蕊)·예(蕋) 등과 모두 같은 字이니, 꽃술

예字(花心鬚)이다.

298) 유기봉조(唯祈鳳祚):‘오직 임금의 복을 기원할 뿐’이라는 뜻이다.

299) [苑] [全文]에는 2字의 결락 표시가 있고, [總覽]에는 한 자의 결락 표시가 있음.

이 말을 들은 대왕은 감사하여 말하기를, “법운이 드리운 그늘에 감로

(甘露)를 계속 뿌리니 제자도 법화를 입어 멀지 아니합니다.”라고 하며, 정

성을 바침이 더욱 간절하였다. 이제 이별하게 되어300) 행장(行裝)을 갖추

게 하고, 자라법의301)와 승가(僧伽)의 모자, 자색(紫色) 실로 삼은 신발,302)

운명차303) 천향,304) 상겸,305) 무곡306) 등을 드리는 한편, 승유307)

석혜윤(釋惠允)과 원보(元補)인 채현(蔡玄) 등에게 명하여 호위 전송하도록 하고,

대왕은 백관을 인솔하고 동쪽 교외308)의 조석309)까지 행행하여 송별연(送

別宴)을 베풀고 친히 다과를 올리는 등 성총(聖寵)을 극진히 하였다.

大王謝曰, “法雲聯蔭, 甘露繼垂, 弟子, 蒙法化以非遙.” 展精

誠而益切. 方當別路, 爲備行裝, 贈以紫羅法衣, 僧伽帽, 紫

結絲鞋, 雲茗天香, 霜縑霧縠等, 艿命僧維, 釋惠允, 元輔蔡玄

等, 衛送, 大王, 率百官, 幸東郊祖席, 與儲后, 親獻茶菓, 仍

寵許.

300) 방당별로(方當別路):‘바야흐로 스님과 왕이 서로 이별하는 길을 당하여’라는

뜻이다.

301) 자라법의(紫羅法衣):자색 비단으로 만든 가사이니, 이는 율제(律制)에 따른 삼

종괴색(三種壞色)에 의한 것이 아니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때 측천무후(則天武

后)가 처음으로 법랑(法郞)스님 등에게 하사하였다.

302) 자결사혜(紫結絲鞋):자색 실로 삼은 신발.

303) 운명(雲茗):차(茶)의 이름. 곧 구름 같은 차.

304) 천향(天香):향(香)의 이름. 곧 하늘 같은 향.

305) 상겸(霜縑):서리와 같이 희고 고운 옷감.

306) 무곡(霧穀):안개와 같이 부드럽고 아름다운 옷감.

307) 승유(僧維):승직(僧職)이니, 승록(僧錄) 또는 소현승(昭玄僧)과 같다.

308) 동교(東郊):동방의 교외(郊外). 옛날 입춘일(立春日)에 동교의 들판에서 봄 제

사(祭祀)를 지냈는데, 전하여 ‘봄날의 들녁’이라는 뜻이다. 『예기』「월령月令」,

“立春之日 天子親帥三公九卿諸侯大夫 以迎春於東郊”.

309) 조석(祖席):조연지석(祖宴之席)의 준말. 조연(祖宴)·조연(祖筵)·조음(祖飮)·

송별연(送別宴) 등과 같은 말로써, 길 떠나는 사람에게 금품(金品)을 선물하거

나, 시가(詩歌)를 읊어 전별(餞別)하는 자리, 곧 송별연을 말한다. 조(祖)는 도신

(道神)에게 제사지낼 조字이다(祭道神). 한유(韓愈),「조석시祖席詩」, “祖席洛橋

邊 親交共黯然”.

대사의 문하승(門下僧) 중에 명망이 있어 대사(大師)와 대덕(大德)이 될

만한 이가 20명이나 되었다. 그리고 남쪽 들판의 토지 1,000경과 노비 50

명을 베풀었는데, 국사가 감사하며 말하기를, “넉넉히 성택(聖澤)을 더하

여 스님들에게 지극한 존경과 공양을 베풀었으니,310) 이는 천생 동안 받을

복이므로 헛되지 않을 것이며, 길이 만겁 동안 닦은 공덕이니 어찌 그 수

승(殊勝)함을 이루 헤아릴 수 있겠습니까.”라 하였다. 이 말을 들은 임금께

서는 절을 하고 말하기를, “제자는 스님의 자비하신 위력(威力)에 의지하

여 몸을 닦으며, 묘법(妙法)에 귀의하여 사람을 교화하겠으니, 간절히 스

님께 바라옵건대 처음 가졌던 그 마음으로 되돌아가311) 다시 경읍(京邑)으

로 오시어 길이 길이 자비하신 지도를 바랍니다.”라고 하였다.

大師門下僧, 有名行者, 可大師, 大德, 二十人. 納南畝一千

頃, 佛奴五十人, 國師謝曰, “優加聖澤, 壯觀僧田, 千生之福,

不唐捐, 万劫之功, 何勝計矣.” 上頂拜曰, “弟子, 倚慈威而修

已, 歸妙法以化人, 必望法體, 復初它312)心如舊, 再歸京邑, 永

示慈悲.”

310) 장관승전(壯觀僧田):왕이 스님들에게 융숭한 존경과 공양을 베풀었다는 말이

다. 승전이란 공양 공경하면 복전(福田)이 되는 스님을 뜻한다.

311) 부초타심여구(復初它心如舊):“처음 가졌던 마음으로 되돌아가다.”의 뜻이다.

312) [苑] [全文]에는 它. [總覽]의 宅은 它의 오자임.

대사가 말하기를, “전생(前生)에 맺은 인연으로313) 금생에 폐하의 국토

에 태어나서314) 황왕(皇王)의 은혜를 입은 것이 너무나 지중(至重)하여 창

해(滄海)의 깊음으로도 비교할 수 없습니다. 이제 고산(故山)에 돌아가 만

약 여천(餘喘)의 연장을 얻게 된다면315) 곧 바로 운궐316)로 돌아와서 다시

천안316)17)을 대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만, 만약 흘러가는 물을 붙잡아 둘

수 없는 것처럼318) 남은 여생을 머물게 하지 못한다면, 바라건대 내생에는

다시 사문(沙門)이 되어 더욱 법연(法緣)을 증험하고, 우러러 왕화(王化)

의 깊은 은혜를 보답하겠습니다. 해가 이미 저물었습니다.”319)라 하고 절을

한 다음 눈물을 흘리면서 이별하였다. 대왕은 스님의 상헌320)을 바라보면

서 목송(目送)하고, 호석321)을 생각하면서 마음이 스님 곁을 떠나지 않았

다. 그후로도 임금이 탄 난가(鸞駕)를 스님이 계신 곳에 멈추거나322) 때로

는 어거(御車)를 세우기도323) 하였으니, 기회가 있을 때마다 들러서 문안

을 올렸다.324) 뿐만 아니라 계속 안부를 묻는 사신325)을 보냈고, 자주 슬프

고 연모하는 마음을 담은326) 편지를 보내기도 하였다.327) 스님들과 신도가

물결처럼 모여들었고328) 팔부신장(八部神將)과 호법영지(護法靈祗) 등이

항상 스님을 옹호하였다.329)

大師言, “宿締因緣, 今生國土, 荷皇王之恩重, 勝滄海之波深.

今歸故山, 得延330)餘喘, 卽望再赴雲闕, 更對天顔. 儻若逝水

難停,330) 殘生莫駐, 卽願必當來世, 更作沙門, 益驗法緣, 仰醻,

王化. 日云暮矣.” 拜稽首泣別. 望象軒而目送, 想虎錫以心傾.

于以停鑾, 于以駐蹕, 繼降起居之星使, 頻傳愴戀之綸言, 自

是, 黑白奔波, 神祇擁路.

313) 숙체인연(宿締因緣):‘전생에 맺은 인연으로’라는 뜻이다.

314) 금생국토(今生國土):금생에 임금의 나라에 태어났다는 말이다.

315) 득연여천(得延餘喘):여천의 생명을 연장하고자 하는 뜻이다. 여천이란, 죽음에

가까운 사람의 천식(喘食)이 심하여 호흡이 끊어 질듯 말듯하는 상태. 곧 죽음에

가까운 사람의 명(命)을 말함이니, 남은 여생(餘生)이 있다면의 뜻이다. 소순흠

(蘇舜欽)·소순원(蘇舜元), 「비이자연구悲二子聯句」, “餘喘尙能鼓 老憤知己結”.

316) 운궐(雲闕):구름과 같이 높이 솟은 궁궐. 포조(鮑照), 「대륙평원군자유소사행代

陸平原君子有所思行」, “西出登雀臺 東下望雲闕”.

317) 천안(天顔):용안(龍顔)과 같은 뜻이니 천자의 어안(御顔)을 가리킨다. 『남제서

南齊書』「예장왕억전豫章王嶷傳」, “永侍天顔 以惟畢世”.

318) 서수난정(逝水難停):흘러가는 물은 멈출 수 없다는 말이다. 서수를 서천(逝川)

이라고도 한다. 곧 시냇물은 한번 흘러가면 다시 그 자리로 되돌아 오지 못한다

는 비유이니, 전하여 늙어진 몸은 다시 젊음으로 돌아갈 수 없음에 비유한다. 왕

포(王襃), 「위지강묘비尉遲綱墓碑」, “逝水詎停 光陰不借”;증공(曾鞏), 「虞美人

草詩」, “滔滔逝水流今古 漢楚興亡兩丘土”;『논어』「자한子罕」, “子在川上曰 逝者

如斯夫 不舍晝夜”.

319) 일운모의(日云暮矣):해는 이미 저물었다는 뜻이다.

320) 상헌(象軒):스님이 타고 가는 큰 수레, 즉 연(輦)이란 뜻이다.

321) 호석(虎錫):해호석(解虎錫)의 준말. 육환장(六環杖)을 가리킨다. 제(齊)나라 때

승조(僧稠)스님이 육환장을 날려 호랑이의 싸움을 말린 데서 온 말이다. 「정진

대사원오탑비문」 주89)호석장虎錫杖 [고려편1] p.397.

322) 우이정란(于以停鑾):임금이 탄 난가(鑾駕)를 멈춘다는 뜻으로, 난이란 임금이

타는 수레인데 사마표(四馬鑣)와 팔란(八鑾)으로 되어 있다. 곧 임금이 친히 스

님을 잠깐 방문하려 왔다는 말이다.

323) 주필(駐蹕):주연(駐輦)·주가(駐駕)·주란(駐鑾)·정가(停駕) 등과 같은 뜻으로,

행신(行辛)하는 도중에 어거(御車)를 정차하는 것. 또는 일시(一時) 정차하여 그

곳에 머무는 일을 말한다.

324) 계강기거지성사(繼降起居之星使):계속해서 기거에 대한 문안을 하는 성사를

보낸다는 뜻이니, 기거란 거지(擧止)·동정(動靜)·거동(擧動) 등과 같은 뜻으로

안부를 말한다.

325) 성사(星使):천자의 사자(使者) 또는 칙사(勅使). 옛날 천문가(天文家)들이 말하

기를, ‘천상(天上)에 사성(使星)이란 별이 있어서 인간(人間) 천자의 사신을 주

관한다.’고 하여 천자의 사자를 성사라고 하게 되었다고 한다.

326) 빈전창련지륜언(頻傳愴戀之綸言):자주 창련한 마음을 알리는 윤언을 전한다는

뜻이다. 창련이란 슬프고 연모하는 마음을 가리킨다.

327) 윤언(綸言):윤음(綸音)과 같은 뜻으로, 곧 천자의 말을 가리킨다. 천자의 말은

입에서 처음 나올 때는 마치 실날같이 가늘지만, 한 번 출언(出言)된 말은 천하

에 도달(到達)할 때까지 마치 밧줄과 같이 굵고 힘이 있어 끊어짐이 없어야 천

하를 다스릴 수 있기 때문이다.

328) 흑백분파(黑白奔波):출가 제자인 스님(緇衣)과 재가 불자인 신도(白衣)가 마치

물결처럼 모여든다는 뜻이다.

329) 신기옹로(神祇擁路):팔부신장(八部神將:天神)과 영기등중(靈祇等衆:地神)이

항상 스님의 길을 옹호한다는 뜻이다.

330) [苑] [總覽]에는 延. [全文]의 廷은 延의 오자임.

우러러 마음을 기울여(傾心)의 공경을 이루었으니 어찌 포발(布髮)의

영접331)을 필요로 하겠는가. 스님의 일행이 가야산사332)에 당도하니, 그 절

의 스님들이 부처님을 영접하듯 하였으며, 선악(仙樂)도 갖추었다. 이 때

번개333)가 구름처럼 날리고 발라334)는 우뢰와 같이 진동하였다. 선교승(禪

敎僧) 1,000여명이 영접하여 절로 모셨다. 대사가 문인과 제자들에게 명하

기를, “나는 곧 서거(逝去)할 것이니, 석실(石室)을 만들어 거기에 시신을

두되, 적당한 위치를 잡을 것이니,335) 내가 상용하던 의발(衣鉢)은 곽 속에

넣어서 몸을 따르게 하고,336) 법구(法具)는 문도들에게 나누어 주라.”고 하

였다. 대왕이 이를 듣고 상의337)공봉시랑인 직문338)에게 명하기를, “특별히

유념하여 선약(仙藥)을 가지고 가서 곁에 있으면서 조석으로 간호하라.”

고 하였다.

仰致傾心之敬, 何殊布髮之迎. 行至迦耶山寺, 其僧徒等, 如迎

佛, 具仙樂. 於是, 幡盖雲飛, 鉢螺雷吼. 敎禪一千餘人, 迎奉

入寺. 大師, 艿命門弟子等曰, “吾當逝矣, 爲石室安厝之, 汝

曹相其地, 便捨衣鉢隨身, 法具施與門徒等.” 大王, 命尙醫供

奉侍郞直文, “別䝴仙藥, 晨夕侍護.”

331) 포발지영(布髮之迎):포발엄니(布髮掩泥)라고도 한다. 머리카락을 풀어 진흙땅

에 펴서 부처님의 발이 흙에 묻지 않게 하였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석존(釋

尊)께서 과거 인행시(因行時), 유동(儒童)으로 보살행을 닦을 때, 정광불(錠光佛)

을 위해 흙길위에 머리를 풀어 즈려 밟게 하였던 일로 그 때 정광불은 유동에

게 미래의 부처가 될 것이라는 수기(授記:예언)를 주었다. 『수행본기경修行本

起經』권상(대정장3, p.462b);『육도집경六度集經』권8(86);『유동수결경儒童受決

經』(대정장3, p.47c)에 “昔者菩薩 生鉢摩國 時爲梵志 名曰儒童 爾當於彼 拯濟衆

生 時獲度者 難爲等算 儒童心喜 踊在虛空 去地七仞 自空來下 以髮布地 令佛踏

之 世尊跨畢 告諸比丘 有智之士 峙刹于玆 與受決同”이라고 하였으며, 『대지도

론大智度論』(대정장25, p.87a)에는 “是中 菩薩 七枝靑蓮華 供養燃燈佛 敷鹿皮衣

布髮掩泥 是時燃燈佛 便授其記 汝當來世作佛 名釋牟尼”라고 하였다.

332) 가야산사(迦耶山寺):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가야산 보원사.

333) 번개(幡盖):괘번(掛幡)과 산개(傘盖). 번은 괘번이라고도 하는데, 삼신번(三身

幡) 또는 오방번(五方幡)과도 같다. 종이나 비단에 부처님의 명호(名號) 또는 법

구(法句)를 써서 법당이나 도량에 건다. 개란 산개(傘盖)로써 뜨거운 태양볕을

가리는 것으로 양산 또는 차일(遮日)과 같다.

334) 발나(鉢螺):나발과 소라. 불교 무용인 승무(僧舞)를 출 때 반조(伴助)하는 불교

의 악기이다. 발은 발(鈸)이라고도 하는데 방울을 말하고, 나는 소라이니 산 고

동소리로서 바라[哱囉] 또는 법나(法螺) 등을 가리킨다. 『법화경法華經』, “云 若

使人作樂 擊鼓吹角貝 簫笛琴箜 琵琶鐃銅鈸 如是衆妙音 盡持以供佛”.

335) 여조상기지(汝曹相其地):“너희들은 그 석실을 안치할 땅을 잡으라.”는 뜻이다.

상은 땅을 상본다는 것이니, 터를 선택한다는 뜻이다.

336) 의발수신(衣鉢隨身):가사와 바리때를 곽 속에 시신과 함께 넣어달라는 말이다.

337) 상의(尙醫):상의서(尙醫署)는 봉의서(奉醫暑)라고도 하는데, 고려 때의 관청

이다. 왕실에서 사용하는 약을 조제하는 일을 맡아 보았다. 목종(980~1009) 이

래 상약국(尙藥局)이라고 하던 것을 충선왕 2년(1310)에 장의서(掌醫暑)로 고쳤

다가 얼마 후 봉의서로 개칭하였다. 1356년에 상의국(尙醫局)으로, 1362년에는

다시 봉의서로, 1369년에 다시 상의국으로, 1372년 또 다시 봉의서로 고쳤는데,

1391년에 이르러 전의시(典醫寺)와 병합되었다.

338) 직문(直文):상의공봉시랑(尙醫供奉侍郞)의 이름이다

대사가 시랑(侍郞)에게 이르기를, “노승(老僧)의 병에는 구제할 약(救藥)

이 없으니, 청컨대 시랑은 곧 상궐339)로 돌아가서 용지340)를 잘 시호(侍護)

할 것이지 어찌 노승을 위하여 오랫동안 머물러 있겠는가.”하였다. 가히 유

마거사의 병에는 동군341)의 약을 필요로 하는 것과 같다고 할 것이다.

大師曰, “老僧之病, 更無聖救342)藥, 請侍郞, 旋歸象闕, 好侍龍

墀.” 何爲老僧, 久滯山寺, 可爲維摩之疾, 不假桐君之藥.

339) 상궐(象闕):상위(象魏)와 같다. 궁성의 문을 지칭한다.

340) 용지(龍墀):궁중의 뜰을 말한다. 여기에서는 임금을 지칭한다. 지(墀)는 대궐뜰

지字이다.

341) 동군(桐君):중국 황제(黃帝) 때의 사람이다. 일찍이 약을 캐면서 도를 구하였

다. 항상 절강성(浙江省) 동려현(桐廬縣) 동쪽 산의 오동나무 곁에서 살았다고

하며, 어떤 사람이 그의 성(姓)을 물으면 그는 오동나무를 가리켜 보였으므로

세인(世人)들이 그를 동군이라고 하였다. 그 후부터 그 현을 동현(桐縣), 강을 동

강(桐江), 계를 동계(桐溪), 영을 동령(桐嶺), 산을 동군산(桐君山)이라 부르게 되

었다고 한다. 한편 그는 초목(草木)과 금석(金石)의 성미(性味)를 잘 알아 삼품

약(三品藥)을 정하고, 『채약별록採藥別錄』을 지었다고 한다.

342) [總覽]에는 聖. [苑] [全文][拓本]에는 救이니 聖이 오자임.

대사는 항상 마음을 몸의 주인으로 삼았고, 몸으로 마음의 스승을 삼았

다. 음식은 여러 가지를 먹지 않았고 옷은 계절에 따라 바꾸어 입지 않았

으니,343) 그의 60년 동안 살아온 자취가 이와 같았다. 태사대왕344)도 마땅히

우리 스님에게 예배(禮拜)하였으니, 어찌 저 부처님께 귀의함과 다르랴.

그러므로 예의가 돈후(頓厚)하고 은총(恩寵)이 숭우(崇優)하였다. 계금법

의(罽錦法衣)를 보내 드리고 사륜345)선찰346)로 문의하였다. 공양하는 시물

(施物)을 보내지 않는 달이 없었고,347) 붓으로 친히 써서 보내는 편지가 끊

어지질 않았으니,348) 저 한(漢)나라 명제(明帝)가 마등(摩騰)스님을 존경하

349) 오(吳)나라 손권(孫權)이 강승회(康僧會)스님을 존중한 것을350) 가히

동년의 선상에 놓고 말할 수 있겠는가!

大師, 心爲身主, 身作心師. 食不異粮, 衣必均服, 其六十餘年,

行事也如是. 太師大王, 必當禮足於吾師, 何異歸心於彼佛. 故

乃禮之厚, 寵之優. 贈之以罽錦法衣, 問之以絲綸仙札.351) 贄無

虛月, 笔不絶書, 彼漢帝之敬摩騰, 吳主之尊僧會, 不可同年而

語哉.

343) 균복(均服):한 벌의 옷 또는 단벌의 옷을 말한다. 여러 벌의 옷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는 뜻이다.

344) 태사대왕(太師大王):광종대왕(949~975 재위).

345) 사륜(絲綸):사언(絲言)이라고도 하며, 천자의 조서, 임금의 친서를 가리킨다.

임금의 말은 실과 같이 가늘지만, 신하(臣下)는 이를 거행(擧行)할 때 마치 굵은

끈처럼 무겁게 여기기 때문에 붙여진 말이다. 『예기』「치의緇衣」, “子曰 王言如

絲 其出如綸 王言如綸 其出如綍”.

346) 선찰(仙札):선찰이란 임금이 보내는 편지, 친서를 말한다.

347) 지무허월(贄無虛月):임금이 사사공양(四事供養)에 대한 시물(施物)을 보내지

않은 달이 없었다는 말이다.

348) 필부절서(笔不絶書):임금이 스님에게 문안의 편지를 끊이지 않게 하였다는 뜻

이다.

349) 한제지경마등(漢帝之敬摩騰):한나라 명제(明帝)가 불교를 들여오기 위해 처음

으로 서역(西域)의 마등스님을 초빙하여 공경하였다는 말이다. 「지증대사적조

탑비문」 주21)한징패일漢徵佩日 [신라편] p.296, 주38)섭등동입葉騰東入 [신라

편] p.298;「진철대사보월승공탑비문眞澈大師寶月乘空塔碑文」 주116)마등선척

한왕지전摩騰先陟漢王之殿 [고려편1] p.29;「통진대사보운탑비문」 주10)마등

부한摩騰赴漢, 「원종대사혜진탑비문」 주188)마등부한摩騰赴漢 본서 p.266 참

조.

350) 오주지존승회(吳主之尊僧會):오나라 임금인 손권(孫權)이 불교 전파를 위해 처

음으로 입국한 강승회(康僧會)스님을 지극히 존경하였다는 말이다. 「지증대사적

조탑비문」 주40)강회남행康會南行 [신라편] p.298;「진철대사보월승공탑비문」

주117)강거승회시승오주지거康居僧會始昇吳主之拒 [고려편1] p.29;「통진대사

보운탑비문」 주9)승회유오僧會遊吳 [고려편1] pp.349~350;「원종대사혜진탑비

문」 주189)승회유오僧會遊吳 본서 p.266 참조.;대정장50, p.325a 등 참조.

351) [苑]에는 札. [全文]과 [總覽]에는 扎. 扎은 札의 속자(俗字)임

개보 8년352) 용집(龍集) 을해(乙亥) 3월 29일, 대사께서 곧 열반에 들고

자 하여 목욕을 하고나서 대중을 모아 놓고 유훈을 내리시기를, “사람은

노소가 있으나 불법에는 선후가 없다. 부처님께서도 구시나가라 사라쌍수

(娑羅雙樹) 밑에서 입멸을 고하셨으니,353) 만법(萬法)은 마침내 공(空)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나는 곧 먼 곳으로 떠나려 하니 너희들은 잘 지내면서

여래(如來)의 정계(正戒)를 잘 보호하고 부지런히 정진하라.”354)고 말씀하

신 후 방으로 들어가서 엄연(儼然)하게 가부좌를 맺고 당사(當寺) 법당(法

堂)에서 입멸하였으니, 세수(世壽)는 76세요, 승랍은 61이었다. 이날 새벽

산빛은 성지(聖地)에 무너지고,355) 달은 법당 앞 향정(香庭)에 떨어졌다.356)

인령357)이 모두 애통해하고 송백(松栢)은 처참하였다. 문하의 스님들은 모

두 위락(萎落)의 탄식을 일으켜358) 이젠 누구를 의지하랴 하고 슬픔을 머

금고359) 벽용360)하면서 통곡하니 그 울음소리가 암곡(巖谷)을 진동하였다.

신좌361)를 받들어 가야산(迦耶山) 서쪽 능선으로 옮겨서 우선 임시로 석호

(石戶)를 만들어 봉폐(封閉)하였다. 빛은 금지(金地)를 참담하게 하였고362)

소리는 옥경(玉京)에까지 들렸다.363)

開寶八年, 龍集乙亥, 春三月, 十九日, 大師將化往, 盥浴訖,

房前命衆, 迺遺訓曰, “人有老少, 法無先後, 雙樹告滅, 万

法歸空, 吾將遠遊, 爾曹好住, 如來正戒, 護之勗之哉.” 言畢

入房, 儼然趺364)坐, 示滅于當寺法堂, 俗年七十六, 僧臈365)六

十一. 是晨也, 山頹聖地, 月墜香庭. 人靈, 於是哀哀, 松栢, 因

而慘慘. 門下僧等, 起其萎之歎, 含安仰之悲, 擗踴慟哭, 聲振

巖谷. 奉遷神座于迦耶山西崗, 權施石戶366)封367)閉.368) 色慘金

地, 聲聞玉京.

352) 개보팔년(開寶八年):개보는 송 태조 때의 연호. 개보 8년은 975년(광종 26).

353) 쌍수고멸(雙樹告滅):부처님께서 구시나가라 사쌍팔척(四雙八隻)으로 된 사라나

무 사이에서 열반에 드신 것을 가리킨다. 곧 사라쌍수(娑羅雙樹) 사이에서 입멸

(入滅)하셨다는 말이다. 「원종대사혜진탑비문」 주229)학수鶴樹 본서(本書) p.271

참조.

354) 호지욱지재(護之勗之哉):“받은 바 부처님의 정계(正戒)를 잘 보호하고 더욱 힘

써 지키라.”는 당부의 말이다.

355) 산퇴성지(山頹聖地):산빛이 성지로 무너져 내렸다는 말이다.

356) 월추향정(月墜香庭):달이 법당 앞 뜰인 향정에 떨어졌다는 말이다.

357) 인령(人靈):사람과 그 외 모든 생령(生靈)들을 말한다.

358) 기기위지탄(起其萎之歎):그 빛나던 위업이 사라졌음을 탄식하는 마음을 일으

키는 것을 말한다.

359) 함안앙지비(含安仰之悲):이젠 누구를 의지할 것인가하고 슬퍼하는 마음을 머

금는다는 말이다.

360) 벽용(擗踴):가슴을 치고 발을 구르며 슬퍼하는 것 또는 통곡하는 것을 말한다.

벽은 손으로 가슴을 때리는 것이고 용은 발로 땅을 치는 것이다. 『효경孝經』「상

친장喪親章」, “擗踴哭泣 哀以送之”.

361) 신좌(神座):시신을 담은 영구(靈柩)를 가리킨다.

362) 색참금지(色慘金地):도량이 참담함을 말한다.

363) 성문옥경(聲聞玉京):법인국사가 입멸소식이 옥경인 왕궁까지 전해졌다는 말이다.

364) [苑]에는 趺. [全文] [總覽]의 跌은 趺의 오자임.

365) [苑] [總覽]에는 臈. [全文]의 盥은 臈의 오자이며, 납(臈)은 납(臘)과 같은 자임.

366) [苑] [總覽]에는 戶. [全文]의 后는 戶의 오자임.

367) [苑] [總覽]에는 封. [全文]의 土는 封의 오자임.

368) [苑] [總覽]은 閁, [全文]은 閉. 閁는 閉의 속자임.

광종대왕(光宗大王)이 부음(訃音)을 듣고 크게 진도(震悼)하였으니, 깨

달음의 꽃무리(覺花)가 앞서 떨어짐을 슬퍼하고 지혜의 달(慧月)이 일찍

빠짐을 개탄하였다. 편지로 조문하고369) 곡물로 부의하여 조촐한 공양(淨

供)에 충당하여 현복(玄福)을 넉넉히 지었다.370) 영정(影幀) 일정(一 )을

조성하고 이어 국공(國工)으로 하여금 층총371)을 세우도록 하니, 문인들

이 호곡하면서 색신(色身)을 받들어 가야산 서쪽 등에 탑을 세웠으니 이

는 상법(像法)을 준수한 것이다. 거기에 법을 전해 받은 큰 제자인 삼중대

사(三重大師) 영찬(靈撰)과 일광(一光), 그리고 대사(大師)인 명회(明會)·

병림(苪林)·윤경(倫慶)·언현(彦玄)·홍렴(弘廉)과 대덕(大德)인 현오(玄

悟)·영원(靈遠)·현광(玄光)·진행(眞幸) 등은 모두 석문의 귀경(龜鏡)이

며 법원372)의 경종373)으로 지거(智炬)의 여휘(餘輝)를 계승하고,374) 자헌(慈

軒)의 왕철(往轍)을 종습하였다.375) 스님의 은혜에 감사하여 뼈 속 깊이 사

무쳤으며376) 성화(聖化)에 귀의하여 항상 마음에 잊지 아니하였다.

光宗大王, 聞之震悼, 嗟覺花之先落, 慨慧月之早沉. 吊以書,

賻377)以穀, 所以, 資淨供, 贍玄福, 敬造眞影壹 , 仍令國工,

封層冢, 門人等, 號奉色身. 竪378)塔于迦耶山西崗, 遵像法矣.

厥有傳379)法大弟子三重大師靈撰, 一灮, 大師明會, 苪林, 倫

慶, 彦玄, 弘廉, 大德玄悟, 靈遠, 玄光380), 眞幸等, 並釋門龜

鏡, 法苑381)鯨鍾, 繼智炬之餘輝, 踵慈軒之往轍. 感師恩而篆

骨, 歸聖化以懸心.

369) 조이서(吊以書):왕이 친서를 보내어 조의(弔意)를 표하였다는 말이다.

370) 섬현복(贍玄福):명복을 위해 넉넉히 도왔다는 뜻이다.

371) 층총(層冢):층으로 된 무덤이므로 사리탑(舍利塔)을 가리킨다.

372) 법원(法苑):법의정원(法義庭苑)의 준말. 일체세간(一切世間)의 진실과 의미인

법의(法義)가 망라되어 실려(叢在) 있으므로 법원(法苑)이라고 한다.

373) 경종(鯨鍾):경음(鯨音)이라고도 하는데, 큰 종 또는 경종(警鐘)이므로, 곧 범종

(梵鐘)을 지칭한다. 육유(陸游),「옹희청궤노소雍熙請机老疏」, “鯨鐘囂鼓 無非塗

毒家風 蘿月谿雲 盡是放翁供養”. 「원종대사혜진탑비문」 주253)경종鯨鐘 본서

(本書) p.275 참조.

374) 계지거지여휘(繼智炬之餘輝):「통진대사보운탑비문」 주106)계지거지여휘繼智

炬之餘輝 [고려편1] p.358;「원종대사혜진탑비문」 주255)계법거지여휘繼法炬之

餘輝 본서(本書) p.275 참조.

375) 종자헌지왕철(踵慈軒之往轍):「통진대사보운탑비문」 주105)종자헌지왕철踵慈

軒之往轍 [고려편1] p.358;「원종대사혜진탑비문」 주254)종자헌지왕철踵慈軒之

往轍 본서(本書) p.275 참조.

376) 전골(篆骨):마치 문신처럼 뼈 속 깊이 새겨 둔다는 뜻이다.

377) [全文]에는 賻. [總覽] [苑][ 拓本]에는 賵. 賻와 賵은 뜻으로는 상통하나 여기서

는 賻가 더 적절한듯하다.

378) [苑] [全文]에는 竪. [總覽]의 堅은 竪의 오자임.

379) [全文]에는 傳자가 탈락됨.

380) [苑]에는 灮, [全文] [總覽]에는 光. 灮은 光의 本字이다.

381) [苑] [全文] [總覽]의 菀은 苑의 오자임

지금의 임금이382) 벽(璧)에 당하여383) 왕위를 계승하였다.384) 몽령385)

나이에 보위(寶位)에 올라 인풍(仁風)을 드날려 세속을 제도하고 불일(佛

日)을 도와 삼보(三寶)를 존숭하였다.386) 왕이 제지(制旨)를 내려 이르기

를, “선조387)국사 고가야산 홍도대사는 취령(鷲嶺)의 현언(玄言)을 상고하

며 용궁(龍宮)의 오지388)를 연구하였으며, 이에 불교를 중흥하고 그 빛으

로 우리나라를 교화하였으므로 성고(聖考:光宗)께서 받들어 국사로 모시

되 공경하기를 부처님과 같이 하였다. 현화(玄化)는 널리 온 누리에 퍼져

나갔고389) 자풍(慈風)은 그 빛 또한 온 천하390)에 입혔다. 나는 오히려 하늘

의 명을 받아(命勅) 스님으로 하여금 돌아가시지 않도록 간여하지 못하였

으니, 중생들이 모두 배움의 길이 끊어졌음을 원망하는 바이다.”라고 하였

다. 선지(先志)를 계승하여 휼추391)하고, 숭덕(崇德)하는 원인을 나타내고

자 멀리서 역명(易名)의 의전392)을 거행하였다. 그리하여 시호를 법인(法

印), 탑명(塔名)을 보승(寶乘)이라 추증하였다.

伏遇今上, 當璧承祧. 夢齡襲美, 扇仁風而濟俗, 撝佛日以尊

僧. 制曰, “先朝國師故迦耶山弘道大師, 考鷲393)嶺之玄言, 究

龍宮之奧旨, 聿興聖敎, 光化仁方故, 乃聖考, 奉以爲師, 敬之

如佛. 玄化誕敷於普率, 慈風光被於寰瀛. 余尙慊天不憖遺, 衆

其絶學.” 繼之先志, 奉以遹追, 欲旌崇德之因, 遠擧易名之典.

故追諡曰, 法印, 塔名寶乘.

382) 금상(今上):제5대 경종 임금을 지칭한다.

383) 당벽(當璧):모든 왕자의 이름을 무작위로 쓴 구슬을 사직(社稷)의 제사하는 뜰

에 묻어 놓고, 구슬 바로 위에 서서 절하는 왕자를 선택하여 왕위(王位)를 계승

하게 하였다는 데서 온 고사이다. 「원종대사혜진탑비문」 주132)당벽當璧 본서

(本書) p.258 참조.

384) 승조(承祧):왕위를 계승하였다는 뜻. 조(祧)는 체천(遞遷)한 신주(神主)를 모신

사당(祠堂), 곧 천묘(遷廟)로써 태조로부터 체천한 7대를 봉안한 종묘이니, 원조

(遠祖)를 함께 모신(合祀)한 사당이다. 천자는 7묘(廟)이니 삼소(三昭) 삼목(三

穆)이고, 제후(諸侯)는 5묘이니 이소(二昭) 이목(二穆)이며, 대부(大夫)는 3묘이

니 일소(一昭) 일목(一穆)이고, 하사(下士)는 1묘이다.

385) 몽령(夢齡):몽령(蒙齡)이라고도 하니, ‘나이어린 때’라는 말이다. 금상 즉 경종

이 955년에 탄생하여 976년에 즉위(卽位)하였으므로, 21살의 어린 나이에 왕이

되었다는 말이다.

386) 휘불일이존승(撝佛日以尊僧):부처님의 광명인 불일(佛日)을 도우며, 스님들을

존경하였다는 말이다.

387) 선조(先朝):태조, 혜종, 정종, 광종 등 4대를 지칭한다.

388) 용궁지오(龍宮之奧):용궁이란 용궁해장묘만법(龍宮海藏妙萬法)의 줄임말이다.

경율론(經律論) 삼장(三藏)을 담고 있는 팔만대장경의 오지(奧旨)를 가리킨다.

389) 현화탄부어보솔(玄化誕敷於普率):현화가 크게 보솔에 퍼져 있다는 말이다. 보

솔이란 보천솔토(普天率土)의 준말로써 온 누리를 뜻한다.

390) 환영(寰瀛):신선이 거주하는 곳, 또는 ‘깊은 산골과 바다 속의 작은 섬에 이르기

까지’의 뜻이므로, 천하 방방곡곡을 가리킨다.

391) 휼추(遹追):선인(先人)의 뜻을 흠모하여 봉행하면서 따라간다는 뜻이다.

392) 역명지전(易名之典):이름을 바꾸어 시호(諡號)를 부르게 하는 의식. 곧 왕이 죽

은 이에게 시호를 추증하는 것을 말한다. 『예기』「단궁」‘하’, “公孫文子 卒 其子戌

請諡於君 曰 日月有時 將葬矣 請所以易其名者”.

393) [苑] [總覽]에는 鷲. [全文]의 驚은 鷲의 오자임.

그 보여줌이 더욱 아름답고 그 전적(傳跡)이 썩지 않게 하기 위하여 이

에 스님의 본말행적394)을 담은 비석을 세워 길이 송문(松門)을 빛나게 하려

고 허락한 것이라 하였다. 그러므로 문인과 제자들이 서로 경하해 하면서

멀리 선조 대대로 임금이 불교를 외호해 준 은혜에 감사하니 애(哀)와 영

(榮)이 망극하고, 큰 은혜를 오늘에까지 입으니 총우(寵遇)가 매우 깊도다.

대왕의 은혜를 받들어395) 대사의 행장을 모아 올렸다. 임금이 이 행장396)

을 받아 정언(廷彦)에게 하조(下詔)하였으니,396) “경은 국사수찬관(國史修撰

官)이 되어397) 직접 많은 전적398)을 보았을 것이니 국사의 비문을 짓도록

하라.”는 사륜(絲綸)이 드디어 나의 손까지 닿았다.399) “해바라기가 태양을

향해 돌듯 마음을 다하라.400) 선왕께서 고명(顧命)하시어 학사(學士)를 더

하여 대우하였으니,401) 그대는 마땅히 국사의 비명을 지어 은혜에 보답하

도록 하되, 큰 붓을 잡아 행장을 적어서 비석402)에 새기고 스님의 도덕을

기록하라.”고 하셨다.

爲其示以彌芳, 傳之不朽, 乃許勒本末石, 耀雲松403)門, 乃門弟

子等, 相慶曰, “感玄造於先朝, 哀榮罔極, 沐鴻恩於今日, 寵

遇方深, 奉大王恩, 狀大師行進, 上乃詔廷彦曰, “乃嘗爲國史,

躬覽載籍.” 絲綸遂掌. “葵藿傾心, 顧先王加學士以待之, 若宜

銘國師以報之, 提鴻筆以立言, 勒龜珉而紀德.”

394) 본말(本末):법인국사의 생(生)에서 사(死)에 이르기까지, 곧 종초지말(從初至

末)의 행적을 가리킨다.

395) 감현조어선조(感玄造於先朝):멀리 선조(先朝) 대대로 임금들이 불교를 외호(外

護)해 준 은혜에 감사한다는 뜻이다.

396) 행진(行進):행장(行狀)을 지칭한다.

397) 상위국사(嘗爲國史):김정언(金廷彦)이 일찍이 감수국사관(監修國史官)을 역임

한 바 있었다는 뜻이다.

398) 재적(載籍):서적 또는 도서관이란 뜻이다. 『후한서』「반고班固」, “博貫載籍 九流

百家之言 無不窮究”.

399) 사륜수장(絲綸遂掌):사륜은 윤음(綸音), 사음(絲音), 윤언(綸言) 등과 같은 말로

써 왕의 조칙, 곧 임금의 친서를 말하므로, 왕의 조서를 맡아 처리하는 직책을

맡았다는 말이다. 『예기』「치의」, “子曰 王言如絲 其出如綸 王言如綸 其出如綍”.

400) 규곽경심(葵藿傾心):규곽경양(葵藿傾陽) 또는 규경향일(葵傾向日)과 같은 말.

해바라기가 태양을 향하여 도는 것과 같이, 신하(臣下)가 임금을 향해 일편단심

의 충성을 다한다는 말이다. 심약(沈約),「수죽탄감초문修竹彈甘蕉文」, “非有松

柏後凋之心 蓋闕葵傾陽之識”. 「원종대사혜진탑비문」 주33)규원저미葵園著美

본서(本書) p.242 참조.

401) 고선왕가학사이대지(顧先王加學士以待之):돌아 보건대 선왕(先王)께서 경(卿)

을 한림학사(翰林學士)로 임명하여 우대하였다는 말이다.

402) 구민(龜珉):정민(貞珉)과 같은 말로, 비문이 새겨질 재료인 다듬어진 돌이다.

403) [苑] [全文]에는 松. [總覽]의 釋은 松의 오자임.

신이 사양하여 아뢰길, “전하(殿下)께서 다시 신에게 이르시기를, ‘자네

는 내봉령(內奉令)으로 이 일이 직책과도 관련이 되는 것이니,404) 제구405)

의 명문(銘文)을 지으라는 것은 덕을 갚되 글로 하라는 것이다.’하셨습니

다. 그윽하고 깊음(玄)을 탐색하여 빼어남(茂)을 기록하려 하나, 신은 문

사(文詞)가 황견(黃絹:絶) 유부(幼婦:妙)에 부끄럽고, 학문은 객아(客兒)

에게 사양하여야406) 합니다. 천근(淺近)한 작은 재주로 현미(玄微)하고 아

름다운 스님의 행적(行蹟)을 기록하는 것은 마치 약한 수레에 무거운 짐

을 싣고407) 짧은 두레박 줄로 깊은 우물의 물을 길으려 하는 것408)과 다를

바 없습니다. 공연히 못난 여인이 미인이 되려고 찡그리는 표정을 흉내내

는 것409)과 같아서, 실로 다른 사람에게 용기(勇氣)를 끼쳐줄 능력이 없습

니다.410) 하고자 하는 마음은 간절하지만 손에 상처를 입힐까 부끄럽습니

다.”411)고 하였다.

臣, 謝曰, “殿下謂臣, ‘彩毫比事, 齏臼屬辭, 俾報德以文.’ 探

玄紀茂, 而臣, 詞慙幼婦, 學謝客兒. 以淺近之麽才, 記玄微

之芳躅, 其猶車之弱也, 載重, 綆之短者, 汲深. 空有效顰,412)

實413)無賈勇. 啓心雖切, 傷手是慙.”

404) 채호비사(彩毫比事):김정언이 궁내에서 왕명(王命)을 받아 전달하는 직책이 왕

명을 기록(彩毫)하여 처리하는 것, 곧 ‘왕을 친근(親近)하게 모시는 신사(臣事;

比事)’라는 뜻이다. 『傳』, “使汝遠於惡俗 比近臣我宗 多爲順道”.

405) 제구(齏臼):잘 다듬어진 문사(文辭)의 뜻이다. ‘황견유부외손제구黃絹幼婦外孫

虀臼’의 은어인 ‘절묘호사絶妙好辭’의 사(辭)에 해당한다. 齏는 虀와 동자이다.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문」 주105)제구虀臼 본서 p.129;「숭복사비문崇福寺碑

文」 주269)혹해팔자或解八字 [신라편] p.272;「진공대사탑비문眞空大師塔碑文」

주111)제구虀臼 [고려편1] p.152; 「원종대사혜진탑비문」 주258)유부지문사幼

婦之文辭 본서 p.275 참조.

406) 학사객아(學謝客兒):객아에게 사양한다는 말이다. 객아란 남송조(南宋朝) 때

사령운(謝靈雲)의 아이때 이름(小名)으로, 미리부터 양육시켜 기른 아들이란 뜻

이다. 「종영시품鍾嶸詩品」에 처음에는 전당(錢唐)의 두명사(杜明師)가 야몽(夜

夢)에 동남(東南)의 어떤 사람이 학관(學館)에 들어오는 꿈을 꾸었는데, 그날 밤

사영운이 회계(會稽)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지 열흘 만에 아버지인 사원

(謝元)이 죽자 외아들의 장수(長壽)를 위하여 두치(杜治)에게 보내어 양육시켰

으나, 15일 만에 또다시 서울로 옮겨오게 되자 세칭(世稱) 그를 객아라고 하였

다고 한다.

407) 거지약야재중(車之弱也載重):수레는 약한 데 무거운 짐을 실었다는 뜻이다.

408) 경지단자급심(綆之短者汲深):짧은 두레박 줄로 깊은 샘의 물을 떠 올리려는 것

과 같다는 뜻이다.

409) 효빈(効嚬):찡그리는 모습을 흉내내다의 뜻. 효빈(效顰) 또는 효빈(效矉)이라고

도 한다. 「통진대사보운탑비문」 주207)효빈效顰 [고려편1] p.366.

410) 고용(賈勇):남에게 끼칠 만한 도력(道力)이나 학력(學力)이 없다는 말이다. 「통

진대사보운탑비문」 주205)고용지여賈勇之餘 [고려편1] p.366.

411) 상수시참(傷手是慙):모든 일에 자신이 없어 주저한다는 뜻이다. 「지증대사적조

탑비문」 주404)매우상수每憂傷手 [신라편] p.335;「대경대사현기탑비문大鏡大

師玄機塔碑文」 주106)상수지우傷手之憂 [고려편1] p.79 「통진대사보운탑비문」

주208)착우상수斲憂傷手 [고려편1] p.366 등 참조.

412) [苑] [總覽]의 顰과 [全文]의 嚬은 같은 글자임.

413) [苑] [總覽]에는 實. [全文]의 卑는 實의 오자임.

임금께서 말씀하시기를,414) “그대는 이제 그만 사양하고 비문을 짓는데

힘써야 하니 물러 가서 깊이 생각하라.”415)하셨다. 대개는 이른바 무에서

유를 창출하고 고요함을 두들겨 소리를 구하니, 돌이 말을 가지고 있으나

산이 빛남을 보지 않으며,416) 거북은 돌아보지 않으나 석간수(石澗水)의

부끄러워함은 듣는다.417) 감히 붓을 잡는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공연히 도

끼 자루를 베는데 부끄럽도다. 오히려 쫓는 듯 가는 듯하여 스스로 그 나

아가는 데로 적합하니, 설사 동쪽으로 봉도산(蓬嶋山)이 무너지고418) 서쪽

으로는 개자성(芥子城)이 텅 비어지더라도419) 신묘한 행적은(妙蹟)은 그대

로 남아 있기를 기대하며, 그윽한 공덕(玄功)은 더욱 오랫동안 전해지기

를 바라는 바이다. 감히 거듭 그 뜻을 펴고자 하여 드디어 명(銘)을 지어

이르노라.

上曰, “兪汝勉420)之,421) 退惟之.” 盖所謂, 當無責有, 扣寂求音,

石有言而莫覩山輝, 龜無顧而唯聞澗媿. 敢言載筆, 空媿伐柯.

尙以如琢如磨, 自適其適, 設使東陊422)蓬嶋,423) 西空芥城, 期妙

蹟之猶存, 望玄功之可久 424)敢重宣其義, 遂爲銘云.

414) 상왈유(上曰兪):응답할 유(兪). 상이 말씀하시기를, “너의 말대로 그렇다고는

하나”라는 뜻이다.

415) 여면지퇴유지(汝勉之退惟之):“경(卿)은 마땅히 비문 찬술에 힘쓸 것이니 물러

가서 깊이 생각하라.”는 뜻이다.

416) 석유언이막도산휘(石有言而莫覩山輝):비문에 새긴글에 혹여 지혜의 안목이 없

을까 염려하는 뜻이다.

417) 귀무고이유문간괴(龜無顧而唯聞澗媿):비신(碑身)을 등에 업고 있는 귀부(龜扶)

의 영험함마저 두려워 함이니, 글을 짓는 김정언에게 있어 유정무정(有情無情)

이 모두 가외(可畏)의 대상임을 말한 것이다.

418) 동치봉오(東陊蓬嵨):‘동쪽으로는 봉오산(蓬嵨山)이 무너지더라도’라는 뜻이다.

419) 서공개성(西空芥城):서쪽으로는 개성의 개자(芥子)가 모두 사라졌다는 뜻이다.

개성(芥城)이란 개자겁(芥子劫)을 지칭하며, 헤아릴 수 없는 무량한 시간을 뜻

한다. 「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문朗空大師白月栖雲塔碑文」 주181)개성수진芥

城雖盡 [고려편1] p.333;「통진대사보운탑비문」 주222)개성芥城 [고려편1] p.411

등 참조.

420) [全文]에는 勉字가 탈락됨.

421) [全文]에는 之字가 탈락됨.

422) [苑] [總覽]에는 陊는 阤와 같다. 산사태날 치. [全文]의 侈는 陊의 오자임.

423) [苑] [全文] [總覽]의 嶋는 島(섬 도字)와 같다.

424) [苑] [全文]에는 因. [總覽]의 囙는 因의 속자임

모래 수와 같은 천백억세계425)를 보라.

그 속에 천백억화신426)이 계신다.

인(仁)을 베푸신 그 공덕 헤아릴 수 없고,

팔만 사천 그 법문(法門), 변제(邊際)를 알 수 없다.

진제(眞諦)와 속제(俗諦)를 남김없이 총괄하여,

그 광명(光明) 인간(人間)과 천상(天上)에 두루 비추네.

자비로운 그 은혜 백억계(百億界)에 충만하고

삼천세계(三千世界) 중생들 모두 교화하셨네.

大觀沙界.

中有金僊.

施仁不測,

示敎無邊.

括囊眞俗,

光被人天.

恩加百億.

化度三千.[其一]

425) 사계(沙界):갠지스강의 모래 수와 같은 헤아릴 수 없이 크고 많은 삼천대천세

계(三千大千世界)를 지칭한다.

426) 금선(金僊):부처님을 지칭한다.

진리가 어찌 먼 곳에 있다 하겠는가.427)

누구나 진실하면 곧 그 곳에 있는 것.

이러한 불법진리 아는 자 누구인가.

오직 우리 법인국사 그 스님 뿐 일세.

부처님은 이 도리를 전해 주셨고,

뒤를 이어 역대조사(歷代祖師) 상승(相承)하였네.

고요히 인산(仁山)에서 연좌428)정진하고서는,

방방곡곡 다니면서 법수(法水)를 뿌렸네.

道豈遠而.

行之則是.

誰其識之.

唯我大士.

眞佛傳心,

覺賢襲美.

宴坐仁山,

優游法水.[其二]

427) 도기원이행지칙시(道豈遠而行之則是):도가 어찌 먼 곳에 있겠는가. 바르게 행

하면 일상생활이 바로 도라는 말이다.

428) 연좌(宴坐):좌선(坐禪)하기 위하여 고요한 곳에 앉아 있는 것을 말하며, 좌선과

같은 뜻이다.

일찍부터 심오한 불법 닦고 닦아서,

보리(菩提)에서 움 튼 싹 정성껏 길러내어,

스님의 도덕은 용수보다 더 높고,429)

넓고 트인 그 지혜 부처님과 통하였네.430)

사람을 지도하니 도리성혜(桃李成蹊) 이루고,431)

중생을 제도하니 도마죽위(稻麻竹葦) 같았네.432)

스님께선 왕사(王師)와 국사(國師) 두루 거쳐서,

향기로운 그 도덕(道德) 국민의 모범이라.

早修勝果,

益驗善芽,

道高龍樹,

識洞佛華.

誘人桃李,

濟衆稻麻.

爲師王國,

垂範邦家.[其三]

429) 도고용수(道高龍樹):“스님의 도덕이 용수보살(龍樹菩薩)같이 높다.”는 말이다.

430) 식동불화(識洞佛華):“지식이 부처님과 같이 빛난다.”는 말이다.

431) 도리(桃李):도리불언 하자성혜(桃李不言 下自成蹊)의 준말. 「대경대사현기탑비

문」 주43)도리성혜桃李成蹊 [고려편1] p.73;「법경대사보조혜광탑비문」 주89)

도리성혜桃李成蹊 [고려편1] p.225;「징효대사보인탑비문澄曉大師寶印塔碑文」

주59)도리무언桃李無言 [고려편1] pp.246~247;「정진대사원오탑비문」 주148)

점성도리지혜漸成桃李之蹊 [고려편1] p.404 등 참조.

432) 도마(稻麻):도마죽위(稻麻竹葦)의 준말로써 한량없이 많은 수를 나타내는 말이

다. 「법경대사보조혜광탑비문」 주87)도마稻麻 [고려편1] p.225;「통진대사보운

탑비문」 주220)도마稻麻 [고려편1] p.411 등 참조.

물 위에 활짝 핀 연꽃처럼 아름답고,

뭇 별중에 뛰어난 달처럼 비추었네.

저 많은 사부대중(四部大衆) 정성껏 귀의하니,

어찌 진흙에 포발(布髮)함과 다르련가.

지혜의 그 광명 온 누리에 비추었고,433)

덕(德)을 덮고 빛을 감춰 장랑하지 않으나,434)

앙모하는 그 신심(信心)은 더 더욱 높았고,

비춰주는 그 법등(法燈) 등등(燈燈)이 무진했네.

水上之蓮,

星中之月.

凡有歸心,

何殊布髮.

圓照溥天,

葆光如佛.

仰之彌高,

酌之不竭.[其四]

433) 원조부천(圓照溥天):스님의 둥근광명이 널리 하늘까지 비춘다는 뜻이다.

434) 보광(葆光):빛을 감추고 덕을 숨겨서 나타내지 않는 것. 『장자莊子』「제물론齊

物論」, “注焉而不滿 酌焉而不竭 而不知其所由來 此之謂葆光”.

자재한 그 법력(法力) 용(龍)과 같이 변화하고,

당당한 그 모습은 봉(鳳)과 같이 거룩했다.

때로는 자상한 가르침의 아버지435)이고,

때로는 방황하는 길손의 안내자가 되었다네.

손도 천 개 눈도 천 개 두루 갖추신 분,

관세음보살처럼 대자대비(大慈大悲)하시니,

스님의 일거일동(一擧一動) 모두가 본받을 것,436)

스님을 생각하면 기쁜 마음 가득했네.

如龍變化,

似鳳來儀.

或爲敎父,

或作導師.

千手千眼,

大慈大悲,

是則是効,

念玆在玆.[其五]

435) 교부(敎父):교화하는 아버지, 교육하는 아버지, 불교의 아버지 등의 뜻이다. 태

(胎)·란(卵)·습(濕)·화(化) 즉 일체생명의 자비로운 아버지. 사생자부(四生慈

父)와 같은 말이다.

436) 시칙시효(是則是効):옳다고 생각되는 것은 무엇이든 곧 본받아 실천한다는 뜻

이다.

이제야 비로소 법신(法身)이라 일컬었으니,

다만 생사(生死)를 초월하여 상주하실 뿐.437)

슬프다! 양영438)에 눕는 꿈을 꾸었고,

이미 구시나가라성(拘尸那伽羅城) 쌍수(雙樹)에서 입멸(入滅)했도다.

행적(行跡)을 새겨둔 비석439)만 남아 있을 뿐,

자비하신 그 모습 언제 다시 만나리.440)

슬피 우는 눈물은 비오듯 흐르는데,

호천통곡(號天痛哭) 불러봐도 붙들 길 전혀 없네.

方謂法身,

只期常住.

傷哉兩楹,

已矣雙樹.

法碣唯銘,

慈顔曷遇.

泣雨空垂,

號天莫駐.[其六]

437) 상주(常住):영원불멸의 법신(法身)을 가리킨다.

438) 양영(兩楹):공자(孔子)가 자신의 죽음에 앞서 두 기둥 사이에 눕는 꿈을 꾼 것

을 말한다. 「진경대사보월능공탑비문眞鏡大師寶月凌空塔碑文」 주104)양영지

몽兩楹之夢 [신라편] p.360;「광자대사비문廣慈大師碑文」 주144)양영홀몽兩楹

忽夢 [고려편1] p.303 등 참조.

439) 법갈(法碣):법덕(法德)의 행적을 담은 비갈(碑碣)을 가리킨다. 비는 사각형이

고, 갈은 타원형으로 된 비석이다.

440) 자안갈우(慈顔曷遇):“자비하신 스님의 모습을 어찌 다시 만날 수 있겠는가.”라

는 뜻이다.

태평흥국 3년441) 용집 섭제442) 4월 일 세우고,

김승렴(金承廉)은 글자를 새기다.

太平興國三年, 龍集攝提, 四月日, 立,

金承廉, 刻字

441) 태평흥국삼년(太平興國三年):태평흥국은 송 태조 때의 연호. 태평흥국 3년은

978년(경종 3).

442) 섭제(攝提):문장이 탈락되었는데, 태평흥국 3년은 무인(戊寅)이므로, 고갑자

(古甲子)에 의하면 무(戊)는 저옹(著雍)이고, 인(寅)은 섭제격(攝提格)이므로 마

땅히 저옹섭제격이어야 한다.

[비신(碑身)의 높이(高)는 7척7촌(七尺七寸), 폭(幅)은 3척8촌(三尺八寸), 글자의 간격은 5

분(五分)이며, 해서(楷書)이다. 제액(題額)의 글자 간격은 1촌3분(一寸三分)이며 전서(篆書)

이다.]

[揭載] 『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 上, pp.334~355.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上, pp.223~232.

『한국금석전문韓國金石全文』 中世 上, pp.41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