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속성, ― 그 실체는 없다>
<금강경> 제18분 「일체동관분」에 나오는 「과거의 마음, 현재의 마음, 미래의 마음」에 관한 구절이다.
「如來說諸心 皆爲非心 示名爲心 所以者何 須菩提 過去心 不可得 現在心 不可得 未來心 不可得 - 여래가 말하는 모든 마음은 마음이 아니라 그 이름이 마음일 뿐이다. 그 까닭은 수보리야 과거의 마음도 얻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으며, 미래의 마음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먼저 ‘마음은 마음이 아니라 그 이름이 마음일 뿐이다’라는 구절을 보자.
「A는 A가 아니다. 그 이름이 A일뿐이다.」라는 구성의 문장은 <금강경>에 단골로 나오는 즉비(卽非) ― 초월의 문장이다.
즉비(卽非)란 어떤 개념이나 명제를 세웠다 하면, 세운 즉시 부정 ― 지양함으로써 어떤 대상에 꺼들리지 않고, ― 집착하지 않고, 초월하도록 돕는 초월의 논리학이다.
마음이라고 하는 고정된 실체가 없다. 무엇을 마음이라 하겠는가. 우리가 마음이라고 하는 것은 실체가 없이 인연 따라 생겨났다가 사라질 뿐이다.
그러니 마음이라는 이름만 있을 뿐이지 마음의 실체는 없다는 말이다.
따라서 마음이라고 이름 지어진 것은 마음이 아니란 말이다. 왜냐하면, 과거의 마음도 얻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으며, 미래의 마음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과거의 마음이나 미래의 마음이라는 생각만 있을 뿐이지 실제로 과거의 마음을 본 적도 써본 적도 없으며, 미래의 마음은 더욱 본 적도 없고 쓴 적도 없다.
과거에 쓴 마음도 쓸 때 그때뿐이었지, 그 순간이었지, 과거의 마음이라는 실체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그리고 미래의 마음이란 아직 오지 않은 것이니 당연히 본 적도 쓴 적도 없다.
그러니 마음이라 이름 지어진 것은 이름만 마음이지 실제로 마음 구실을 제대로 못하는, 마음이라는 말이다.
오직 우리가 쓸 수 있는 마음은 순간순간이었을 뿐이다. 우리는 늘 순간을 살고 있을 뿐이다. 시간이라는 것은 과거에서 현재를 거쳐 미래로 흘러간다고 우리가 정해 놓은 것이지 시간 또한 실체가 없는 공한 것이다. 우리는 오직 순간순간 즉한 상황만 있을 뿐, 시간 역시 실체가 없어, 과거도 현재도 미래도 그냥 이름만 그렇게 지어놓은 것이다.
과거라고 이름을 지어놓았지만 실체는 없다. 우리는 순간순간만 살았지 과거를 살아본 적이 없다. 한 번도 과거를 살아본 적이 없고 지금까지 순간순간을 살아왔을 뿐이다. 억지로 과거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미 과거는 흘러갔다. 과거의 마음은 이미 사라졌다. 과거의 마음은 텅 비어 있다. 그리고 과거라는 개념 자체가 우리가 그렇게 이름 지어놓은 것일 뿐 실체가 없는데 어떻게 과거의 마음이 있을 수 있겠는가.
미래도 마찬가지이다. 누가 미래를 본 적이 있는가. 살아본 적도, 있지도 않은, ― 실체가 없는 것에 다만 미래라는 이름만 붙어놓았을 뿐이다. 설사 언젠가 올 것이라 한들, 그리고 온들, 실체가 없으니 알 수도 없다. 그것은 가정일 뿐 현존인 것은 아니다. 그러니 어떻게 과거의 마음을 얻고 미래의 마음을 얻을 수 있겠는가.
지금까지 ‘나’를 살아오게 한 것은 지금 이 순간이었지 과거도 미래도 아니었다. 그렇다면 현재의 마음은 있는 것인가. 헌데 현재의 마음이란 것도 순간순간 인연 따라 찰나생 찰나멸 하는 것일 뿐, 현재의 마음이란 것도 무상한 것이다. 아무 것도 없는 공한 바탕에 인연의 상황이 전개되면 인연 따라 마음이 순간적으로 일어났다가 인연이 다하면 사라질 뿐이다.
즉, 마음이 일어나는 것은 독자적이지 않고 조건적이다. 평상심(平常心)이 인연이라는 조건을 만나면 그 조건과 상황에 따라 온갖 마음이 일어난다. 화날 때도 있고, 기뻐서 좋아할 때도 있으며, 신경질이 날 때도 있고, 슬퍼할 때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마음들이 조건에 따라 잠시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것이고, 이러한 마음들이 일어나기 이전의 본래 마음은 텅 비어 실체가 없다. 심즉공(心卽空)인 것이다. 그것이 마음의 속성이다.
그러니 없는 마음에 집착할 것이 없다. 마음이 없는데 어디에 집착할 것인가. 집착할 주체도 없고 집착할 대상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연히 마음을 스스로 만들어내어, 공연히 그 마음에 빠지고 집착하며, 또한 그 마음으로 인해 괴로워하고 즐거워하다가 그 마음이 다하면 아쉬워하고 서글퍼하는 이런 어리석고 공허한 일들이 우리 삶을 지배하고 있다.
그래서 <금강경>에 마음이 만들어낸 모든 것은 개시허망(皆是虛妄)이라 했다.
원효(元曉) 대사는 그의 저서 <금강삼매경론>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허공에 형상과 위상이 없듯이 마음 역시 형상과 처소가 없다. 그러므로 마음이라고 하는 것은 한갓 이름일 뿐이다. 그러나 허공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없듯이 마음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형상이 없는, ― 실체를 전혀 가늠할 수가 없는 마음을, 혹은 깨달음을 탐구하고 추구하는 것이 불교공부이다. 그래서 어렵다.
일상에서 흔히 쓰는 행복, 불행, 꿈, 사랑, 미움과 같은 단어들은 추상명사이지만 어느 정도 이해하고 정의할 수 있고, 그런 상황이나 대상이 있으므로 꽤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그러나 마음은 그 이름에 해당하는 실체가 없다.
더구나 일심(一心)에서 무량심(無量心)이 나온다. 그러니 마음의 갈래란 무궁무진하고 한량이 없어 허공과 같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도 깨닫고 보니, “얻은 바가 없는 것을 얻었다”고 하셨다. 그리고 그 후로도 많은 수행자들이 ‘마음’이라는 광범위한 실체가 없는 것을 잡으려 하기 때문에, ― 얻을 수 없는 것을 얻으려 하기 때문에 많은 장애를 겪고 있다.
마음이란 본래 얻을 것이 없다. 얻을 것이 없으므로 잃을 것도 없다. 잃을 것이 없으므로 또한 집착할 것도 없다.
마음이란 수행이나 실천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수행을 통해서 얻으려 한다면 허공에 사다리를 걸려고 노력하는 것과 같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실체가 없는 그 마음을 이미 얻어서 가지고 있고,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수행을 통해 마음을 닦아라, 마음을 비워라, 마음을 챙겨라 하지만 본래부터 마음이 비었음을 보면 다 되는 것이다. 그리고 부모미생전(父母未生前) 본래면목(本來面目)이니 본래불(本來佛) 혹은 불성(佛性)이라 하는 것도 빈 마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선지식들이 방하착(放下着), 수행하는 것보다 푹 쉬는 것이 낫다고 한 것이다
그런데 한 말 경허(鏡虛, 1849년~1912년) 선사는 그의 <열반송>에서 마음은 둥글다고 했다.
「심월고원 광탄만상 광경구망 부시하물(心月孤圓 光呑萬像 光境俱忘 復是何物)
마음만 홀로 둥글어 그 빛 만상을 삼켰어라 빛과 경계 다 공한데 또다시 이 무슨 물건이리요.」
경허 선사께서 마음이 둥글다 함은 둥근 형상이 아니고 마음이 허공과 같다는 뜻이다. 빛과 경계 둘 다 공하다 함은 빛과 물질의 경계가 둘 다 공하다는 말이다. 생각이 끊어진 이후의 일들을 글자로 묻고 답한다는 것은 토끼 뿔을 묻고 답하는 것과 같다. 그런 경계를 말하는 것이다.
중국 당나라 때의 황벽(黃壁希運, ?~850) 선사는 일심법(一心法)의 종풍을 드날리며, 「마음이 곧 부처[즉심시불(卽心是佛)]」라고 했다. 마음 밖에서 불도(佛道)를 구하거나 부처의 성품(佛性)을 찾는 것은 옳지 않은 것임을 그의 저서 <전심법요(傳心法要)>를 통해 시설하고 있다. 어디 황벽 스님뿐이겠는가. 당대의 모든 선지식들은 이 마음이 곧 부처이므로 평소의 일상적인 마음 밖에서 불법(佛法)의 진리를 찾는 것은 모두 그릇된 것임을 한결같이 주장했다.
그런데 임제(臨濟義玄, ?~867) 선사는 “마음의 법은 모양이 없어서 온 시방 세계를 꿰뚫으니, 눈에 있을 때에는 본다 하고, 귀에 있을 때에는 듣는다 하고, 코에 있을 때에는 냄새 맡는다 하고, 입에 있을 때에는 말한다고 하고, 손에 있을 때에는 잡는다 하고, 발에 있을 때에는 걷는다고 한다.”라고 했다.
그런가 하면, 고려 보조국사 지눌(知訥) 선사는 <진심직설(眞心直說)>에서 마음을 무저발(無底鉢) 혹은 몰현금(沒絃琴)과 같다고 했다.
무저발이란 밑이 없는 발우(鉢盂)란 뜻이다. 발우가 밑이 있으면 담는데 제한이 있고 한계가 있다. 그러나 마음은 무한하기 때문에 밑 없는 발우처럼 무한히 담을 수 있다. 무저발과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마음의 다른 표현이 몰현금(沒絃琴)이다. 몰현금이란 줄이 없는 거문고라는 말인데 줄이 없으므로 무한한 소리를 낼 수 있다. 줄이 있다면 줄이 가지고 있는 소리밖에 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보적경(寶積經)>에는 마음의 여러 가지 모습을 말하고 있다.
“애욕에 물들고. 분노에 떨고. 어리석음으로 아득하게 되는 것은 어떤 마음인가. 과거인가, 미래인가, 현재인가. 과거의 마음이라면 그것은 이미 사라진 것이다. 미래의 마음이라면 아직 오지 않은 것이고, 현재의 마음이라면 머무르는 일이 없다.
마음은 안에 있는 것도 아니고 밖에 있는 것도 아니며 또한 다른 곳에 있는 것도 아니다.
마음은 형체가 없어 눈으로 볼 수도 없고 만질 수도 없고 나타나지도 않고 인식할 수 없고 이름붙일 수도 없는 것이다.
마음은 어떠한 여래도 일찍이 본 일이 없고 지금도 보지 못하고 장차도 볼 수 없을 것이다.
그와 같은 마음이라면 그 작용은 어떤 것일까?
마음은 환상과 같아 허망한 분별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마음은 바람과 같아 멀리 가고 붙잡히지 않으며 모양을 보이지 않는다.
마음은 흐르는 강물과 같아 멈추는 일 없이 나자마자 곧 사라진다.
마음은 등불의 불꽃과 같아 인이 있어 연이 닿으면 불이 붙어 비춘다.
마음은 번개와 같아 잠시도 머물지 않고 순간에 소멸한다.
마음은 허공과 같아 뜻밖의 연기로 더렵혀진다.
마음은 원숭이와 같아 잠시도 그대로 있지 못하고 여러 가지로 움직인다.
마음은 화가와 같아 여러 가지 모양을 나타낸다.
마음은 한 곳에 머물지 않고 서로 다른 의혹을 불러일으킨다.
마음은 혼자서 간다.
마음은 왕과 같아 모든 것을 통솔한다.
마음은 원수와 같아 온갖 고뇌를 불러일으킨다.
마음은 모래로 쌓아올린 집과 같다. 무상한 것을 영원한 것으로 생각한다.
마음은 쉬파리와 같아 더러운 것을 영원한 것으로 생각한다.
마음은 낚싯바늘과 같아 괴로움인 것을 즐거움으로 생각한다.
마음은 적과 같아 항상 약점을 기뻐하며 노리고 있다.
마음은 존경에 의해서 혹은 분노에 의해 흔들리면서 교만해지거나 비굴해진다.
마음은 도둑과 같아 모든 선근을 훔쳐 간다.
마음은 불에 뛰어든 부나비처럼 아름다운 빛깔을 좋아한다.
마음은 싸움터의 북처럼 소리를 좋아한다.
마음은 썩은 시체의 냄새를 탐하는 멧돼지처럼 타락의 냄새를 좋아한다.
마음은 음식을 보고 침을 흘리는 종처럼 맛을 좋아한다.
마음은 기름접시에 달라붙는 파리처럼 감촉을 좋아한다.
이와 같이 남김없이 관찰해도 마음의 정체는 알 수 없다. 즉, 찾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법구경>에서는 위와 같은 마음의 속성들을 정리해서 우리들에게 알려준다. 그 첫 구절이 「마음은 모든 것에 앞선다. 마음이 모든 것을 지배하며, 마음이 모든 것을 창조한다.」라고 하면서 아래와 같이 정리해놓았다.
• 마음을 지배하면 지혜가 생긴다.
• 마음은 오온 가운데 하나이다.
• 마음은 무상하다.
• 마음은 찰나생 찰나멸 하는 것이다.
• 마음은 흐름이다.
• 마음은 대상을 아는 것이다.
• 마음은 반드시 대상이 있다.
• 마음은 연이생(緣起, 조건발생)이다.
• 마음은 변한다. 고정불변한 마음은 없다.
• 마음은 한 번에 한 가지 생각밖에 못한다. 한꺼번에 두 가지 세 가지 생각을 못한다.
• 그 대신 한 가지 생각은 다음 한 가지 생각으로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생각과 생각이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이런 현상을 두고 ‘생각은 흐름으로 이어진다.’고 하고 이를 등무간연(等無間緣)이라 한다.
마음의 속성이 이와 같으므로 마음을 절대화하면 안 된다. 그건 불교가 아니고 외도다. ‘절대’라는 말은 복종과 순종, 충성, 믿음의 대상이지 깨달음은 아니다. 불교의 믿음은 불ㆍ법ㆍ승에 대한 믿음으로 족하다. 무상ㆍ고ㆍ무아와 연이생을 보는 것이 해탈이다. 따라서 무상ㆍ고ㆍ무아는 해탈의 관문(vimokkha-mukha)이다.
마음을 절대화해버리면 깨달음에 이를 수 없다. 그리고 마음은 찰나생 찰나멸이라는 것이다. 이 사실을 잊어버리면 불교가 추구하는 진리가 오리무중이 된다. 이 처럼 마음(알음알이)을 위시한 모든 법(法)들은 무상(無常)하다. 그래서 <증지부>에서는 마음의 무상성(無常性)을 이렇게 표현한다.
“비구들이여, 이것과 다른 어떤 단 하나의 법(法)도 이렇듯 빨리 변하는 것을 나는 보지 못하나니, 그것은 바로 마음(citta)이다. 비구들이여, 마음이 얼마나 빨리 변하는지 그 비유를 드는 것도 쉽지 않다(A.i.9)”
마음은 생겨서 대상을 인지하는 본래 기능을 다하면 소멸한다. 이렇게 매 찰나찰나 마음은 일어나고 변하고 사라진다. 그래서 마음은 무상한 것이고, 그래서 괴로운 것이고, 실체가 없는 것[無我]이다. 이러한 사실을 아비담마에서는 찰나생 찰나멸로 규정하고 있으며 심찰나(心刹那)라는 말을 즐겨 쓴다. 즉, 마음이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그 기간을 심찰나(心刹那, citta-kkhana)라 한다. 그래서 손가락 한 번 튀기는 사이에 마음은 960번 일어났다가 소멸한다고도 한다.
「우리의 마음은 한 순간에 한 곳에만 머문다.
그림을 그릴 때 선을 긋는 한 점의 붓끝과 같이 우리의 마음은 세상을 그려내는 한 점 식(識)의 흐름이다. 한 찰나 동안 한 곳에만 머무를 수 있다. 마음의 이런 속성을 불교용어로 이심불구기(二心不俱起)라고 부른다.
“두 마음이 함께 일어나지 못한다.”는 뜻이다. 주관적으로 보면 ‘한 점 식(識)의 흐름’이 산하대지를 그려내지만, 객관적으로 보면 우리의 뇌 속에서 그에 해당하는 신경회로를 훑고 있다.
깨어있을 때는 뇌의 후두엽과 측두엽을 오가며 외부의 사물을 파악하고, 전두엽으로 건너가 근육의 움직임을 촉발하지만, 잠을 잘 때에는 운동영역은 쉬고 감각영역의 이곳저곳을 훑으면서 꿈을 만들어낸다.
불전에서는 이렇게 ‘명멸하는 한 점의 식’이 세상을 그려내는 과정을 ‘불 바퀴(旋火輪)’에 비유한다. 불씨를 빨리 돌리면 동그라미가 그려지듯이, 무상한 한 점의 식이 뇌신경 이곳저곳을 점화하면서 세상을 그려낸다. 지렁이든, 개구리든, 참새든, 돼지든, 닭이든 사람이든 그 마음의 본질은 같다. 한 점 식의 흐름일 뿐이다. 다만 감관의 질과 몸의 크기가 달라서 다른 체험을 할 뿐이다.」 ― 김성철
------------------------------------------------------------------------------------성불하십시오. 작성자 아미산(이덕호)
※이 글을 작성함에 많은 분들의 글을 참조하고 인용했음을 밝혀둡니다. 감사합니다.
==========================================================================
'지혜의 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 (1) | 2024.06.30 |
---|---|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 나옹선사 (0) | 2024.06.30 |
삼장 법사 현장 (0) | 2024.05.05 |
유명 한시모음 (1) | 2024.05.05 |
함월해원(涵月海源) 대사 (1) | 2024.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