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와 가르침에 대한 붓다의 소원
붓다의 삶에 대한 의지 포기
붓다께서는 벨루와 마을에서 마지막 안거(vassa)를 보내셨다. 그 때에 그분께 극심한 통증이 일어났다. 안거의 보름날 과거의 업 때문에 날카롭고 참을 수 없는 등의 통증이 그를 덮쳤다.
과거 어느 생에서 사캬붓다가 될 우리의 보디삿따는 레슬러였다. 어느 날 그는 상대방을 내던져서 등뼈를 부러뜨렸다. 시간이 무르익자 그 악업이 과보를 초래했다. 그때가 붓다께서 빠리닙바나에 들기 10개월 전이었다. 그 통증은 업 때문이었다. 그 업보는 매우 강해서 죽을 때까지 계속되었던 것이다. 이런 고통을 '죽음으로 끝나는 느낌(m r antika vedan )'이라고 부른다. 그것은 죽음이 일어날 때에야 사라진다.
DA.II.3 Mah pariNibb na Sutta
붓다께서는 아라한과-선정에 들어가서 결심함으로써 통증이 일어나는 것을 막으셨다. 이것은 보통의 결심이 아니었다. 먼저 붓다께서는 물질의 7가지 방법과 정신의 7가지 방법으로 아라한과-선정에 들어가셨다. 이 위빠사나 수행 후, 아라한과-선정에 들어가기 바로 전에, 붓다는 이렇게 결심하셨다. '오늘부터 빠리닙바나에 들기까지 이 통증이 일어나지 않기를!' 그리고 나서 아라한과-선정에 들어가셨다. 아라한과-선정은 아라한과-의식이 닙바나를 대상으로 오랫동안 끊이지 않고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위빠사나 수행이 매우 강했기 때문에 아라한과-선정도 매우 강했다. 위빠사나와 아라한과-선정의 노력으로 그 통증은 빠리닙바나에 드는 날까지 10달 동안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분은 그날까지 매일 아라한과-선정에 들어가셔야만 했다.
법문7 참조
와사가 끝난 후, 붓다께서는 여기저기 유행하시다가 마침내 웨살리(바이샬리)에 도착하셨다. 웨사카 보름 3개월 전 2월 보름날, 짜빨라 쩨띠야 궁에서 붓다는 삶의 의지를 포기하기로 결심하셨다.
그 의미는 무엇인가? 그날 그분은 다음과 같이 결심하셨다.
DA.II.3 Mah pariNibb na Sutta 169
오늘부터 웨사카 보름날까지
나는 이 아라한과-선정을 수행하겠다.
그 보름날 이후에 나는 더 이상 아라한과-선정을 수행하지 않겠다.
붓다의 소원
그래서 그날 마하와나 수도원의 법당에 모인 비구 상가 앞에서 붓다께서는 삶의 의지를 포기한다고 선언하셨다. 그분은 비구 상가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D.ii.3 Mah paraNibb na Sutta
비구들이여,
내가 완벽하게 깨달은 진리를 모두 그대들에게 가르쳐 주었다.
그대들은 이 진리를 배우고, 진리를 실천하고, 진리를 끊임없이 개발해야 한다.
붓다께서는 직접 경험한 담마만을 가르치셨다. 여기서 붓다께서는 자신의 가르침에 대한 소원을 밝히고, 상가에게 다음과 같이 지시하셨다.
1. 상가는 붓다의 가르침(담마)을 온 마음으로 완전히 배워야 한다. 그러나 온 마음으로 배우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이것이 붓다의 첫 번째 소원이었다.
2. 그분 담마를 실천하라고 상가에 지시했다. 이것을 팔리어로는 asevitabba라고 부른다. 이것은 우리가 계속 수행해서 담마를 알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실천이라고 번역한다. 이것이 붓다의 두 번째 소원이었다.
3. 마지막으로 그분은 진리를 개발(bhavetabba)하라고 상가에 지시했다. 실천할 때만이 성장과 진보가 있다. 무슨 의미인가? 우리가 담마를 수행할 때, 유익한 법만이 우리의 인식과정에서 일어나야 한다. 즉, 유익한 계법(戒法), 유익한 정법(定法), 유익한 혜법(慧法)이 일어나야 한다. 이 유익한 법은 아라한을 증득할 때까지 계속해서 끊어지지 않고 일어나야 한다. 붓다의 제자가 아라한을 증득했을 때, 그의 수행은 끝이 난다. 그래서 붓다의 제자는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그의 가르침을 수행해야 한다. 아라한에 도달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수행해야 한다. 그 이유 때문에 붓다께서는 bahulikatabba라는 가르침을 주었다. 이것은 끊임없이 수행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 소원이 붓다의 인식과정에서 일어났다. 왜?
D.ii.3 Mah paraNibb na Sutta
그래서 그 순수한 가르침이
확립되고 오래도록 유지되기를!
즉, 그 이유는 순수한 가르침이 잘 보존되어, 오랜 세월 동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불자로서의 우리의 의무
모든 불자들이 이 순수한 가르침을 잃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노력해야 한다. 어떻게 노력하는가? 다시 반복하겠다.
1. 우리는 온 마음으로 완전히 붓다의 가르침(담마)을 배워야 한다.
2. 우리는 경험으로 알기 위해 붓다의 가르침을 수행해야 한다.
3. 우리는 아라한을 증득할 때까지 붓다의 가르침을 수행해야 한다.
이것이 모든 불자의 의무이다. 만일 불자라면, 이 3가지 가르침을 따라야 한다. 이것을 따르지 않는다면, 이름만 불자이지 진짜 불자가 아니다. 이 3가지 가르침을 따른다면, 진짜 불자다. 그래서 여러분은 오늘 결심을 해야 한다.
1. 우리는 온 마음으로 완전히 붓다의 가르침을 배우겠다.
2. 우리는 경험으로 알기 위해 붓다의 가르침을 수행하겠다.
3. 우리는 아라한을 증득할 때까지 붓다의 가르침을 수행하겠다.
어떻게 세상의 이익이 될 것인가?
그렇게 한다면, 우리는 붓다의 가르침에 따라서 숨을 쉰다고 말할 수 있다. 왜 우리는 그렇게 해야 하는가?
D.ii.3 Mah paraNibb na Sutta
세상에 대한 연민으로,
중생의 안녕과 행복을 위하여,
신과 인간의 안녕과 행복을 위하여.
붓다의 가르침에 따라 수행한다면, 우리는 미래세대에 유산으로 담마를 물려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신과 인간에게 다음과 같이 가르칠 수 있을 것이다.
1. 붓다의 가르침을 온 마음으로 배워야 한다.
2. 붓다의 가르침을 경험으로 알기위해 수행해야 한다.
3. 아라한을 증득할 때까지 붓다의 가르침을 수행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신과 인간은 닙바나를 얻을 때까지 이 세상에서 이익과 행복을 얻을 것이다. 그러나 온 마음으로 이 가르침을 배우지 않고 수행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붓다의 가르침을 배우도록 신과 인간을 가르칠 수 있겠는가? 이 가르침에 대한 지식없이 어떻게 이 가르침을 수행하는 방법을 가르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붓다의 가르침에 대해 강하고 충분한 믿음을 가지고 있는 불자라면 이 가르침을 온 마음으로 배우고, 수행을 통해 실천하고, 아라한이 될 때까지 개발해야 한다.
어떻게 믿음을 보여줄 것인가?
여러분은 붓다의 가르침에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는가?
가띠까라 숫따 주석서에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온다.
MA.II.iv.1 Ghat k ra Sutta
삼보에 대한 진정한 헌신자는
수행을 통해서 자기의 헌신을 보여주어야 한다.
만일 불자가 헌신을 보여주지 않는다면, 그는 진정한 헌신자라고 말할 수 없다. 우리가 붓다의 가르침에 대해 진정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면, 온 마음으로 그 가르침을 배우고, 수행하고, 아라한이 되기 전까지는 멈추지 말아야 한다. 이것이 붓다께서 가시기 전에 한 중요한 말씀이다. 붓다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면, 이 말씀에 복종해야 한다. 우리가 우리의 부모에게 믿음을 가지고 있다면 부모의 가르침에 복종해야 하는 것처럼, 우리는 우리의 아버지이신 붓다의 말씀에 복종해야 한다.
무엇을 배우고 수행해야 하는가?
그러면 무엇이 그 가르침인가?
D.ii.3 Mah paraNibb na Sutta 184
1. 4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
2. 4가지 바른 노력(四正勤)
3. 4가지 성취 수단(四如意足)
4. 5가지 조절 기능(五根)
5. 5가지 힘(五力)
6. 7가지 깨달음의 요소(七覺支)
7. 8가지 성스런 도(八正道)
모두 합해서 37가지 깨달음을 위한 필수품(三十七助道品)이다. 이것을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빨리 경전에서 붓다께서는 37조도품을 제자의 성향에 따라 각기 다른 방법으로 가르치셨다. 빨리 경전의 모든 가르침은 37조도품으로 압축될 수 있다. 이것을 다시 압축하면, 팔정도이다. 더 압축하면, 계 정 혜, 즉 삼학(三學)이다.
수행의 기초
우리는 먼저 계행을 닦는 것을 배워야 한다. 만일 계행을 닦는 것을 알지 못하면, 행위를 정화할 수 없다. 다음 마음을 조절하고 집중하기 위해, 사마타 명상을 배워야 한다. 사마타 명상을 모르고서, 어떻게 집중을 개발할 수 있겠는가? 집중을 수행하지 않고서 어떻게 마음을 조절할 수 있겠는가? 그 다음 지혜를 개발해야 한다. 지혜를 닦는 것을 모르고서, 어떻게 지혜를 개발할 수 있겠는가?
이와 같이 행위를 정화하고, 마음을 조절하고, 지혜를 개발하기 위해서, 우리는 먼저 담마를 온 마음으로 배워야 한다. 두 번째로 우리는 아라한에 이르기까지 그것을 닦고 개발해야 한다.
마하빠리닙바나 숫따에서 붓다께서는 이렇게 제자들에게 여러 번 강조하셨다.
D.ii.3 Mah paraNibb na Sutta 186
계는 그런 것이다.
선정은 그런 것이다.
지혜는 그런 것이다.
계에 의지해서 완전히 개발된 선정은 위대하다.
그 과보는 위대하다.
선정에 의지해서 완전히 개발된 지혜는 위대하다.
지혜를 완전히 개발한 마음은 욕망, 업, 사견, 무명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다.
우리는 모두 마음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계에 의지해서 마음을 조절할 수 있다면, 집중된 마음(삼매)의 힘은 놀라운 것이다. 그 마음은 궁극적 물질을 꿰뚫을 수 있다. 물질은 깔라파로 일어난다. 깔라파는 원자보다 더 작다. 우리의 몸은 깔라파로 이루어져 있다. 집중된 마음(삼매)은 그 깔라파를 분석할 수 있다. 집중된 마음은 궁극적 정신-물질을 꿰뚫을 수 있다. 집중된 마음은 그 원인도 꿰뚫을 수 있다. 집중된 마음은 정신-물질 그리고 그 원인의 일어나고 사라짐을 꿰뚫어 볼 수 있다. 이 통찰지를 지혜라고 부른다. 이 지혜는 계에 의지한 선정 때문에 증진된다. 집중된 마음과 지혜는 강한 의지력이다. 강한 의지력은 열반의 증득 그리고 모든 집착, 모든 오염원, 모든 괴로움의 파괴로 인도한다.
모든 사람은 마음을 가지고 있다. 마음이 삼매를 통해서 완전히 개발되었을 때, 통찰지 즉 지혜는 욕망의 얼룩과 윤회로부터 완전히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그 선정은 계에 기초해야 한다. 재가 신자에게는 오계가 필수적이다.
1. 살아있는 생명을 죽이지 말라.
2. 훔치지 말라.
3. 사음(邪淫)하지 말라.
4. 거짓말을 하지 말라.
5. 취하게 하는 것을 마시지 말라.
이 오계는 모든 불자에게 필수적이다. 이 중 하나라도 깨뜨린다면, 그는 진정한 불자가 아니다. 삼보에 대한 의지는 무효가 된다. 불자들은 나쁜 생업을 해서는 안 된다. 또 살생, 도둑질, 사음, 거짓말, 이간질, 거친 말, 실없는 말로 획득한 소유물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또 무기매매, 인신매매, 도살을 위한 동물매매, 주류판매, 독약판매의 5가지 나쁜 사업을 해서는 안 된다.
그래서 계는 열반을 얻거나, 죽은 후 행복한 곳에 가는 데에 아주 중요하다. 만일 행위가 정화되지 않는다면, 죽은 후 행복한 곳에 도달하기가 쉽지 않다. 왜냐하면 죽음의 순간에 그 잘못된 행위가 항상 마음을 찌르고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 잘못된 행위를 마음의 대상으로 취함으로써, 죽은 후에 4악도에 떨어진다.
계행은 금생에서 행복과 평화를 발견하기 위해서 또한 중요하다. 계청정 없이 행복과 평화를 발견할 수 없다. 나쁜 성격을 가진 사람은 자연적으로 적에게 둘러싸이게 된다. 많은 적을 가진 사람은 어떤 행복도 얻을 수 없다.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명상
그래서 붓다께서는 다음과 같이 가르치셨다.
Dhp.viii.10 Sahassa Vagga
계행도 없고 선정도 없이 백년을 산다 해도,
그런 삶은 칭찬할 가치가 없다.
계와 선정의 수행으로 단 하루를 사는 것이 훨씬 더 낫다.
왜 그러한가? 선정을 통해서 완전히 개발된 마음은 윤회의 끝인 닙바나를 보는 위대한 지혜를 낳을 수 있고, 모든 오염원과 괴로움을 파괴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계에 의지해서 사마타와 위빠사나를 수행해야 한다. 사마타와 위빠사나를 수행할 때, 우리는 4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을 수행해야 한다.
1. 몸에 대한 마음챙김(身念處)........................(k yanupassan satipa h na)
2. 느낌에 대한 마음챙김(受念處).....................(vedan nupassan satipa h na)
3. 마음에 대한 마음챙김(心念處).....................(citt nupassan satipa h na)
4. 법에 대한 마음챙김(法念處).........................(dhamm nupassan satipa h na)
몸(k ya)이란 무엇인가? 위빠사나에는 2가지 몸이 있다. 물질로 된 몸(r pa k ya)과 정신으로 된 몸(n ma k ya)이다. 물질로 된 몸은 28가지 물질 그룹이고, 정신으로 된 몸은 마음과 마음부수이다. 다른 말로 하면, 이 2가지 몸은 물질, 느낌, 지각, 상카라, 의식인 오온이다.
아나파나 사띠(호흡에 대한 마음집중), 몸의 32부분에 대한 명상, 혐오감 명상, 사대요소 명상 같은 사마타 명상 주제는 모두 몸이다. 이것들은 물질 덩어리이다. 예를 들어, 숨은 마음에서 생긴 깔라파 그룹이다. 이 깔라파를 분석하면, 거기에 9가지 물질이 있다. 땅의 요소, 물의 요소, 불의 요소, 바람의 요소, 색깔, 냄새, 맛, 영양소, 소리이다. 뼈 또한 깔라파의 덩어리이다. 살아있는 경우, 뼈에는 모두 5종류의 깔라파가 있다. 이 깔라파를 모두 분석하면, 거기에는 44가지 물질이 있다.
신념처에서 붓다께서는 2가지 명상을 가르치셨다.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이다. 신념처에서 붓다께서는 아나파나 사띠(호흡에 대한 마음집중), 몸의 32부분에 대한 명상, 혐오감 명상을 포함시켰다. 그래서 아나파나 사띠를 한다면, 신념처를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모든 사마타 수행은 신념처에 속한다. 수행자가 사마타 수행에 성공했다면, 위빠사나 수행으로 바꿔야한다. 그래서 28가지 물질을 식별한다. 이것 또한 신념처 수행이다. 정신을 식별할 때, 느낌을 식별한다면 수념처이고, 마음을 식별한다면 심념처이고, 접촉을 식별한다면 법념처이다. 그러나 오직 느낌, 마음, 접촉만을 식별하는 것으로는 충분치 않다. 그래서 우리는 나머지 마음부수도 식별해야 한다. 정신과 물질을 식별한 후에, 우리는 과거 현재 미래에서 그 원인을 식별해야 한다. 이것이 원인과 조건을 식별하는 지혜이다. 원인과 조건을 식별하는 지혜 후에 위빠사나에 도달했을 때 물질, 느낌, 마음, 접촉 중 하나만을 강조할 수 있다. 그러나 '강조한다'는 말은 하나만을 식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물질 하나만을 강조할 수 있다. 그러나 정신을 빠뜨려서는 안 된다. 즉 느낌, 마음, 법도 또한 식별해야 한다. 느낌을 강조할 수 있다. 그러나 느낌 하나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느낌과 관련된 정신현상, 감각토대, 대상을 같이 식별해야 한다. 이것은 마음과 법에서도 마찬가지다.
법념처의 법은 정신으로 된 몸의 나머지 구성물이다. 붓다께서는 법을 오온, 12처, 5장애, 7각지, 사성제로 설명하신다. 그러나 사실 법을 여러 가지로 나눈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하나는 다른 모든 것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성제를 완전히 이해하는 것은 팔정도를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다. 팔정도를 완전히 이해하는 것은 7각지를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정신-물질, 오온 그리고 12처를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다. 그래서 37조도품이 깨달음을 완전히 이해하는데 필요하다.
그래서 위빠사나는 정신-물질 그리고 그 원인의 무상 고 무아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일어나자마자 사라진다. 그래서 무상이다. 이 현상들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사라짐으로 해서 마음을 슬프게 한다. 그래서 괴로움이다. 이러한 현상 속에 안정되고 영원한 불멸의 자아가 없다. 그래서 무아이다. 정신-물질 그리고 그 원인의 무상 고 무아를 식별하는 것이 위빠사나이다. 사마타와 위빠사나를 수행할 때, 사념처를 수행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사념처를 수행할 때, 4가지 바른 노력(四正勤)이 충분히 일어나야 한다.
1. 아직 일어나지 않은 해로운 것을 일어나지 않게 하려는 노력.
2. 이미 일어난 해로운 것을 제거하려는 노력.
3. 아직 일어나지 않은 것을 일으키려는 노력.
(삼매의 유익한 법, 위빠사나의 유익한 법, 도의 유익한 법)
4. 그 유익한 것을 아라한까지 개발하려는 노력.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가? 사념처에 따라 수행해야 한다. 사념처를 수행할 때, 방금 언급한 4가지 바른 노력이 충분히 있어야 한다. '나의 살과 피가 마르고 뼈와 힘줄만 남을지라도, 나는 나의 명상을 포기하지 않겠다.'
이러한 것을 수행할 때, 4가지 성취수단(四如意足)을 가져야 한다.
1. 열의..............................................................................................................(chanda)
우리는 닙바나에 도달하려는 강한 열망을 가져야 한다.
2. 정진...............................................................................................................(v riya)
우리는 닙바나에 도달하려는 강한 정진력을 가져야한다.
3. 마음...............................................................................................................(citta)
우리는 닙바나에 도달하려는 강인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
4. 관찰...............................................................................................................(vima sa)
우리는 닙바나에 도달하려는 강한 통찰지를 가져야 한다.
만일 강하고 충분한 열망을 가지고 있다면, 목표에 도달할 것이다. 충분한 열망을 가지고 있다면, 성취할 수 없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만일 강하고 충분한 정진력이 있다면, 목표에 도달할 것이다. 충분한 정진력이 있다면, 성취할 수 없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만일 강하고 충분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면, 목표에 도달할 것이다. 강인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면, 성취할 수 없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만일 강하고 충분한 통찰지를 가지고 있다면, 목표에 도달할 것이다. 충분한 지혜를 가지고 있다면, 성취할 수 없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계에 의지해서 사마타-위빠사나를 수행할 때, 또한 5가지 조절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1. 믿음(信根)....................................................................................................(saddha)
우리는 붓다와 그의 가르침에 아주 강한 믿음을 가져야 한다.
2. 정진(精進根)...............................................................................................(v riya)
우리는 아주 강한 노력을 해야 한다.
3. 마음챙김(念根)...........................................................................................(sati)
우리는 명상의 대상에 강한 마음챙김을 해야 한다.
4. 삼매(定根)...................................................................................................(sam dhi)
우리는 사마타와 위빠사나 대상에 강한 집중(삼매)을 가져야 한다. 사마타 대상이라면, 아나파나 니밋따나 까시나 니밋따 같은 대상이 될 것이다. 위빠사나 대상이라면, 정신-물질, 그리고 그 원인이 될 것이다.
5. 지혜(慧根)....................................................................................................(pa a)
우리는 사마타 위빠사나 대상을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이 5가지 조절기능이 수행자의 마음을 조절하여 그래서 닙바나로 이끄는 팔정도에서 벗어나지 않게 한다. 만일 이 5가지 조절기능 중에 하나라도 가지고 있지 않다면, 목표에 도달할 수 없다. 이 5가지 조절기능은 마음을 조절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명상 대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한다. 그 힘을 의지력(bala)이라고 부른다. 이 의지력을 강조할 때, 이 5가지 조절기능을 5가지 힘(五力)이라고 부른다.
사념처를 수행할 때, 7가지 깨달음의 요소(七覺支) 또한 중요하다.
1. 마음챙김(念覺支).........................................................................................(sati)
2. 현상에 대한 관찰(擇法覺支).....................................................................(dhamma vicaya)
(이것은 통찰지이다)
3. 정진(精進覺支).............................................................................................(v riya)
4. 희열(喜覺支).................................................................................................(p ti)
5. 경안(輕安覺支).............................................................................................(passadhi)
6. 삼매(定覺支).................................................................................................(sam dhi)
7. 평온(捨覺支).................................................................................................(upekkh )
마지막으로 8가지 성스런 길(八正道)이 있다.
1. 바른 견해(正見)............................................................................................(samm di hi)
2. 바른 사유(正思惟)........................................................................................(samm sa kapa)
3. 바른 말(正語)................................................................................................(samm v c )
4. 바른 행위(正業)...........................................................................................(samm kammanta)
5. 바른 생계(正命)...........................................................................................(samm j va)
6. 바른 노력(正精進).......................................................................................(samm v y ma)
7. 바른 마음챙김(正念)...................................................................................(samm sati)
8. 바른 삼매(正定)...........................................................................................(samm sam dhi)
다른 말로 하면, 계 정 혜, 즉 삼학(三學)이다.
모두 합해서 37가지 깨달음을 위한 필수품(三十七助道品)이다. 제자들이 37조도품을 온 마음으로 배우고, 아라한이 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이 붓다의 소원이었다. 그렇게 한다면, 우리는 미래세대에게 유산을 물려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리와 미래세대는 아라한이 될 때까지 세상에서 이익과 행복을 얻을 것이다.
상가에 대한 붓다의 당부
붓다께서는 계속해서 말씀하셨다.
D.ii.3 Mhap riNibb na Sutta 185
비구들이여, 모든 형성된 것은 무너지기 쉽다.
방일하지 말고 부지런히 정진하라.
모든 정신-물질 그리고 그 원인을 형성된 것(sa kh ra)이라 부른다. 왜냐하면 이것들은 각각의 원인에 의해 생성되었기 때문이다. 형성된 것(有爲法)은 항상 무상하다.
그대는 무상의 성질을 잊어서는 안 된다. 무상의 성질을 잊기 때문에 자신, 아들, 딸, 가족 등을 열망한다. 무상의 성질을 알았다면, 그것으로부터 벗어나려고 노력해야 한다. 그러므로 붓다께서 우리에게 어떻게 당부하셨는지 잊어서는 안 된다.
비구들이여, 모든 형성된 것은 무상하다.
방일하지 말고, 부지런히 정진하라.
붓다께서는 계속해서 말씀하셨다.
여래가 빠리닙바나에 들 시간이 가까이 왔다.
지금부터 3개월 후 여래는 빠리닙바나에 들 것이다.
이 말씀은 듣기에 진정 슬픈 말이다.
붓다께서는 또 말씀하셨다.
나의 세월은 이제 완전히 노년에 접어들었다.
남아있는 수명은 아주 짧다.
붓다께서는 아난다 존자에게 당신의 나이를 다음과 같이 묘사하셨다.
D.ii.3 Mah paranibb na Sutta 165
이제 나는 망가지기 쉽다, 아난다여.
늙고, 나이들고, 세월 속에 멀리 지나갔다.
이것이 나의 80년이다.
나의 삶은 다 소비되었다.
낡아빠진 마차처럼, 아난다여.
많은 어려움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래서 여래의 몸은 참고 견디어서 겨우 지탱해 가고 있다.
아난다여, 여래의 몸이 편안할 때는
외부의 대상을 무시하고, 어떤 느낌도 소멸시키고,
무상삼매 속에 안주할 때뿐이다.
무상삼매 : 표상 없는 닙바나를 대상으로 들어간 아라한과 선정
붓다께서는 말씀을 계속하셨다.
D.ii.3 Mah paranibb na Sutta 185
나는 그대들로부터 떠나간다, 나 홀로 의지하면서.
이것은 당신이 제자들에게서 떠나서 빠리닙바나에 들거라는 것을 의미한다. 붓다께서는 아라한과까지 자신의 의지처를 만들었다.
비구들에게 하는 붓다의 충고
그것이 붓다께서 이렇게 말씀하신 이유이다.
D.ii.3 Mah paranibb na Sutta 165
그래서 아난다여,
자신을 섬으로 하고, 자신을 의지처로 하며, 외부에서 의지처를 구하지 말라.
담마를 섬으로 하고, 담마를 의지처로 하며, 외부에서 의지처를 구하지 말라.
아난다여, 비구는 어떻게
자신을 섬으로 하고, 자신을 의지처로 하며, 외부에서 의지처를 구하지 않는가?
담마를 섬으로 하고, 담마를 의지처로 하며, 외부에서 의지처를 구하지 않는가?
그 대답은 다음과 같다.
D.ii.3 Mah paranibb na Sutta 185
Appamatt satimanto sus l hotha bhikkhavo:
Susam hitasa kapp sacittamanurakkhatha.
방일하지 말고 부지런히 정진하라, 오 비구들이여,
마음을 챙기고, 계를 청정히 하며,
확고한 결심으로 마음을 보호하라.
Sus la hotha bhikkhavo는 이런 의미이다.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계행을 청정히 하라. 완벽한 계청정을 이룬 비구가 되도록 노력하라.' 이것은 계행에 대한 훈련, 즉 바른 말, 바른 행위, 바른 생계를 닦아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Susam hitasa kapp : Susam hita는 삼매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바른 노력, 바른 마음챙김, 바른 삼매를 말한다. sa kappa는 지혜의 훈련을 의미한다. 즉 바른 사유, 바른 견해이다.
Appamatt 는 통찰지로 현상의 무상 고 무아의 성질을 보는 것을 의미한다.
Santimanto는 계 정 혜, 즉 삼학을 수행할 때, 충분한 마음챙김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우리는 마음을 챙기고, 부지런히 노력해야 한다. 무엇을 마음챙김 하는가? 사념처에 대한 마음챙김, 정신-물질에 대한 마음챙김이다. 다른 말로 하면, 현상에 대해 마음을 챙겨야 한다.
마지막으로 붓다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담마와 계율을 진지하게 추구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윤회를 건너서, 괴로움의 끝에 도달할 것이다.
그래서 윤회의 끝에 도달하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붓다의 가르침, 즉 팔정도를 따라야 한다. 죽음이 일어나기 전에 열심히 정진하자.
모든 살아있는 존재가 행복하기를!
법문9
가장 수승한 보시
들어가는 말
2종류의 보시가 있다.
1. 헤아릴 수 없는 선한 과보를 가져오는 보시
2. 과보가 전혀 없는 보시
어떤 형태의 보시를 좋아하는가? 대답해보라. 나는 보시에 관한 붓다의 바램을 말하고자 한다. 여러분의 바램과 붓다의 바램이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닷킨나 위방가 숫따를 찾아보도록 하자.
M.III.iv.12 Offering Analysis Sutta
붓다께서는 카필라왓투 니그로다 공원에 있는 사캬족 마을에 살고 계셨다. 어느 날 마하파자파티 고따미가 한 벌의 새 가사를 가지고 붓다께 왔다. 그 가사는 그녀가 숙련된 솜씨로 만든 것이었다. 붓다에게 존경을 표한 후, 한 쪽에 앉아서, 그녀는 붓다에게 말했다. '반떼, 이 새 가사는 특별히 붓다를 위해서 제가 실을 돌리고, 제가 천을 짠 것입니다. 반떼, 연민으로 이것을 받아 주십시오.' 그때 붓다께서 말씀하셨다.
상가에 보시하십시오. 고따미여, 상가에 보시하면, 나와 상가 2군데 함께 보시한 것이 될 것입니다.
그녀는 붓다에게 3번을 요청했고, 붓다는 똑같이 3번을 대답했다. 그때 아난다 존자가 붓다께 말했다. "반떼, 이 새 가사를 마하파자파티고따미에게서 받으십시오. 마하파자파티고따미는 붓다께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비록 그녀가 붓다의 이모이지만, 붓다께 젖을 준 유모이자 양모입니다. 붓다의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그녀는 붓다께 젖을 먹였습니다. 붓다도 마하파자파티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마하파자파티고따미가 붓다 담마 상가를 의지처로 삼은 것은 붓다 때문입니다. 그녀가 살아있는 생명을 죽이지 않고, 주지 않는 것을 가지지 않고, 감각적 쾌락을 위해 사음을 저지르지 않고, 거짓말 하지 않고, 포도주나 증류주와 같은 취하게 하는 것을 마시지 않는 것은 붓다 때문입니다. 그녀가 붓다 담마 상가에 완벽한 믿음을 가지게 된 것도, 성자들에 사랑받는 계율을 지니게 된 것도 붓다 때문입니다. 그녀가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런 진리,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런 진리에 전혀 의심하지 않는 것도 붓다 때문입니다. 그래서 붓다께서도 역시 마하파자파티고따미에게 많은 도움이 된 것입니다."
스승의 은혜에 대한 제자의 보답
그러자 붓다께서 다음과 같이 대답하셨다.
그건 그렇다, 아난다여, 그건 그렇다.
제자가 스승 때문에 붓다 담마 상가를 의지처로 삼게 됐을 때, 제자가 일어나서 공손한 인사와 정중한 예배로 그분에게 존경을 표함으로써, 그리고 4가지 공양물을 올림으로써, 스승의 은혜에 보답하기란 쉽지 않다.
제자가 스승 때문에 살아있는 생명을 죽이지 않고, 주지 않는 것을 가지지 않고, 감각적 쾌락을 위해 사음을 저지르지 않고, 거짓말을 하지 않고, 포도주나 증류주와 같은 취하게 하는 것을 마시지 않게 되었을 때, 제자가 일어나서 공손한 인사와 정중한 예배로 그분에게 존경을 표함으로써, 그리고 4가지 공양물을 올림으로써, 스승의 은혜에 보답하기란 쉽지 않다.
제자가 스승 때문에 붓다 담마 상가에 완벽한 믿음을 가지게 되었고, 성자들에 의해 사랑받는 계를 지니게 되었을 때, 제자가 일어나서 공손한 인사와 정중한 예배로 그분에게 존경을 표함으로써, 그리고 4가지 공양물을 올림으로써, 스승의 은혜에 보답하기란 쉽지 않다.
제자가 스승 때문에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 괴로움이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런 진리,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런 진리에 전혀 의심하지 않게 되었을 때, 제자가 일어나서 공손한 인사와 정중한 예배로 그분에게 존경을 표함으로써, 그리고 4가지 공양물을 올림으로써, 스승의 은혜에 보답하기란 쉽지 않다.
여기서 붓다께서 하신 말씀의 의미를 새겨보자.
만일 제자가 스승의 지도 때문에 사성제를 알게 되었다면, 그의 사성제에 대한 통찰지는 스승에게 올리는 4가지 공양물과 정중한 예배보다 훨씬 더 이익이다. 만일 그가 수다원도의 지혜와 수다원과의 지혜를 통하여 사성제를 알게 됐다면, 그의 통찰지는 그가 4악도를 벗어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과보는 놀라운 것이다. 선행을 하는데 게으른 사람은 일반적으로 4악도를 헤매고 다닌다. 4악도는 그들의 집과 같다. 그들은 때때로 선처를 방문하기도 한다. 이것이 4악도를 벗어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이것은 스승에게 표하는 존경의 행위나 4가지 공양물과 비교할 수 없다.
다시, 제자가 사다함도의 지혜 그리고 사다함과의 지혜를 통해서 사성제를 알게 됐다면, 그는 인간계에 오직 1번만 돌아올 것이다. 그가 아나함도의 지혜 그리고 아나함과의 지혜를 통해서 사성제를 알게 됐다면, 그의 통찰지는 11군데 욕계로부터 벗어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는 확실히 범천에 태어날 것이다. 그는 결코 욕계에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 범천의 행복은 욕계의 즐거움보다 훨씬 더 뛰어나다. 범천에서는 남자, 여자, 아들, 딸, 가족도 없다. 다툼이나 싸움도 없다. 음식을 먹는 것도 불필요하다. 그들의 수명은 아주 길다. 그들의 행복을 망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들은 모든 위험으로부터 자유롭다. 그러나 그들도 아라한과를 얻지 않는 한, 늙음을 면할 수 없고 죽음을 면할 수 없으며 재생을 면할 수 없다.
다시, 제자가 아라한도 그리고 아라한과를 통해서 사성제를 알게 됐다면, 그의 통찰지는 윤회로부터 벗어나게 할 것이다. 그는 확실히 빠리닙바나에 들 것이다. 그는 더 이상 괴로움, 늙음, 재생, 죽음이 없다. 그래서 이 이익은 스승에게 올리는 4가지 공양물과 제자의 존경심의 표현보다 훨씬 더 가치가 있다. 심지어 제자가 메루산 높이만큼 공양을 올린다 해도 그 보시는 은혜를 갚기에 충분치 않다. 왜냐하면, 윤회로부터 벗어나고, 탄생, 늙음, 질병, 죽음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훨씬 더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제자가 깨달은 사성제는 무엇인가?
1.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 ..............................................................................(dukkha sacca)
이것은 오온이다. 제자가 스승에 의지해서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를 알게 됐다면,
이 통찰지는 스승에게 올린 4가지 공양물이나 존경의 행위보다 훨씬 더 가치가 있다.
2.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samudaya sacca)
이것은 연기이다. 제자가 스승에 의지해서 연기를 알게 됐다면,
이 통찰지는 스승에게 올린 4가지 공양물이나 존경의 행위보다 훨씬 더 가치가 있다.
3.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런 진리.................................................................(nirodha sacca)
이것은 닙바나이다. 제자가 스승에 의지해서 닙바나를 알게 됐다면,
이 통찰지는 스승에게 올린 4가지 공양물이나 존경의 행위보다 훨씬 더 가치가 있다.
4.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런 진리...............................(magga sacca)
이것은 팔정도이다. 다른 말로 하면, 이것은 통찰지이고 도의 지혜이다.
만일 제자가 스승에 의지해서 통찰지와 도의 지혜를 지니게 됐다면, 이 통찰지는 스승에게 올린 4가지 공양물이나 존경의 행위보다 훨씬 더 가치가 있다. 왜냐하면 이 통찰지는 윤회로부터 벗어나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4가지 공양물과 존경의 행위는 윤회를 벗어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없다. 다만 닙바나에 이르기 위해 사마타-위빠사나를 수행하는 사람에게 간접적인 원인이 될 뿐이다.
기회를 놓치지 말라.
여기서 더 설명을 하면 오온은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이다. 오온에는 물질무더기(色蘊)가 포함된다. 이 물질은 깔라파로 구성되어있다. 이 깔라파를 분석하면, 28가지 물질이 있는 것을 본다. 이 문제를 깊이 생각해 보자. 붓다의 가르침이 존재하지 않는 시대에는 이 물질의 종류와 물질을 분류하는 방법을 가르칠 수 있는 스승이 없었다. 오직 붓다와 그의 제자만이 물질을 식별하고, 분류하는 방법을 가르칠 수 있었다. 오온은 정신 무더기(n ma khanda)도 또한 포함한다.
재생연결식, 바왕가, 죽음의 마음을 제외하고 이 현상들이 인식과정에 따라서 일어난다. 붓다께서는 얼마나 많은 마음부수(cetasik )가 한 심찰라(하나의 마음)와 연관되어 있는지, 그것들을 어떻게 식별하고 분류하는지에 대해 가르치셨다. 이 정신현상들을 분명하게 보고 가르칠 수 있는 스승이 붓다시대 밖에서는 없다. 왜냐하면 완전히 깨달은 스승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석가모니 붓다의 제자가 붓다의 가르침에 따라서 열심히 체계적으로 수행한다면, 이 정신현상들을 분명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것은 불자에게 주어진 유일한 기회이다. 여러분은 이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
다시, 연기는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이다. 붓다께서는 또한 제자들에게 연기를 어떻게 식별하는지 가르치셨다. 붓다의 제자가 붓다의 가르침에 따라서 연기를 식별할 수 있을 때, 원인과 결과 사이의 관계를 완전히 깨달을 것이다. 그는 과거의 원인이 현재의 결과를 낳고, 현재의 원인이 미래의 결과를 낳는 것을 아는 통찰지를 얻을 수 있다. 그는 과거 현재 미래의 3기간에서 어떤 결과를 창조하는 창조자 없다는 것을 알고, 원인 없이 일어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안다. 이 지혜는 오직 붓다의 시대에만 얻을 수 있다. 여러분은 이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
제자가 연기를 식별할 때, 과거생과 미래생을 본다. 만일 많은 과거 생을 식별한다면, 어떤 악업이 악도에 떨어지게 했으며, 어떤 선업이 선처에 태어나게 했는지 아는 통찰지를 얻는다. 31개의 세계와 업의 법칙은 오직 붓다의 가르침에만 발견된다. 붓다의 시대 밖에서는 31개의 세계와 각 세계에 재생을 일으키는 업의 법칙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여러분은 이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
제자가 미래생에 원인과 결과를 식별한다면, 그는 또한 정신-물질의 소멸을 본다. 그는 정신-물질이 소멸할 때를 완전히 안다.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런 진리이다. 이 지혜는 오직 붓다의 시대에서만 얻을 수 있다. 여러분은 이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
다시, 붓다께서는 또한 소멸에 이르는 길인 사마타-위빠사나를 가르치셨다. 사마타-위빠사나는 팔정도를 의미한다. 정신-물질을 분석하는 지혜, 원인과 조건을 식별하는 지혜가 바른 견해(正見)이다. 정신-물질의 소멸의 지혜 또한 바른 견해이다. 팔정도의 지혜도 바른 견해이다. 사성제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바른 사유(正思惟)이다. 바른 견해와 바른 사유가 위빠사나이다. 위빠사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마타 삼매가 있어야 한다. 이것이 바른 노력(正精進), 바른 마음챙김(正念), 바른 삼매(正定)이다. 사마타-위빠사나를 실천할 때, 계청정을 이뤄야 한다. 이것이 바른 말(正語), 바른 행위(正業), 바른 생계(正命)이다. 계행에 의지해서 사마타-위빠사나를 수행하는 것은 팔정도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 팔정도는 붓다의 시대에만 있다. 여러분은 이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 왜 그러한가? 사성제의 통찰지는 제자로 하여금 윤회로부터 벗어나게 하기 때문이다.
개인에게 하는 14종류의 보시
보시는 윤회로부터 해탈하는데 도움이 된다. 닥킨나위방가 숫따에서 붓다께서는 개인에게 하는 14가지 종류의 보시를 설명하셨다.
아난다여,
여기에 개인에게 하는 14가지 보시가 있다.
1. 붓다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첫 번째 종류의 개인에게 하는 보시이다.
2. 빳쩨까 붓다(벽지불)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두 번째 종류의 개인에게 하는 보시이다.
3. 아라한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세 번째 종류의 개인에게 하는 보시이다.
4. 아라한과를 실현하는 길에 들어선 사람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네 번째 종류의 개인에게 하는 보시이다.
5. 아나함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다섯 번째 개인에게 하는 보시이다.
6. 아나함과를 실현하는 길에 들어선 사람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여섯 번째 하는 보시이다.
7. 사다함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일곱 번째 개인에게 하는 보시이다.
8. 사다함과를 실현하는 길에 들어선 사람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여덟 번째 개인에게 하는 보시이다.
9. 수다원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아홉 번째 개인에게 하는 보시이다.
10. 수다원과를 실현하는 길에 들어선 사람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열 번째 개인에게 하는 보시이다.
11. 선정을 얻음으로써 감각적 욕망으로부터 벗어난 사람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열한 번째 개인에게 하는 보시이다.
12. 계를 지키는 속인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열두 번째 개인에게 하는 보시이다.
13. 계를 지키지 않는 속인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열세 번째 개인에게 하는 보시이다.
14. 동물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열네 번째 개인에게 하는 보시이다.
붓다께서는 이 14가지 이익에 대해 설명하셨다.
순수한 마음으로 짐승에게 보시함으로써, 그 보시는 100배로 보답을 받는 것이 기대된다.
이것은 100생 동안에 그 과보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순수한 마음'은 받는 사람의 어떤 도움 같은 것을 기대하지 않고 보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업의 법칙에 강한 믿음을 가지고, 선업을 쌓기 위해서만 보시한다. 어떤 사람이 '이것은 나의 개다'라는 생각으로 먹이를 준다고 가정해보자. 그러한 생각은 순수한 마음이 아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이 비둘기 같은 새에게 먹이를 준다면, 그 보시는 순수하다. 왜냐하면 그는 새로부터 어떤 것도 기대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또한 뒤에 언급한 예에서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이것이 사업에서 성공을 가져올 것이다'라는 생각으로 비구에게 생필품을 보시한다면, 이것은 순수한 마음으로 한 보시가 아니다. 이런 종류의 보시는 수승한 이익을 가져오지 않는다.
붓다의 설명이 계속 이어진다.
계를 지키지 않는 속인에게 순수한 마음으로 보시함으로써,
그 보시는 1000배로 보답을 받는 것이 기대된다.
계를 지키는 속인에게 보시함으로써,
그 보시는 10만 배로 보답을 받는 것이 기대된다.
선정을 얻어서 감각적 욕망으로부터 벗어난 사람에게 보시함으로써,
그 보시는 1000억 배로 보답을 받는 것이 기대된다.
수다원과를 실현하는 길에 들어선 사람에게 보시함으로써,
그 보시는 셀 수 없고, 측량할 수 없는 보답을 받는 것이 기대된다.
수다원, 사다함과를 실현하는 길에 들어선 사람, 아나함과를 실현하는 길에 들어선 사람, 아나함, 아라한과를 실현하는 길에 들어선 사람, 아라한, 벽지불, 온전히 깨달으신 분 붓다에게 보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뭐라고 말해야 하나?
여기서 보시는 단 한번의 식사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시자가 여러 날, 여러 달을 보시한다면, 그러한 이익에 대해서는 묘사할 단어가 없다. 이것이 여러 종류의 개인에게 하는 보시이다.
상가에게 하는 7종류의 보시
그때 붓다께서 아난다 존자에게 설명하셨다.
아난다여, 상가에게 하는 7종류의 보시가 있다.
1. 붓다가 계시는 비구와 비구니 상가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상가에게 하는 첫 번째 형태의 보시이다.
2. 붓다가 빠리닙바나에 든 후 비구와 비구니 상가에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상가에게 하는 두 번째 형태의 보시이다.
3. 비구 상가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상가에게 하는 세 번째 형태의 보시이다.
4. 비구니 상가에게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상가에게 하는 네 번째 형태의 보시이다.
5. '상가로부터 나에게 많은 비구와 비구니를 지정하기를'
이렇게 생각하면서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상가에게 하는 다섯 번째 형태의 보시이다.
6. '상가로부터 나에게 많은 비구를 지정하기를'
이렇게 생각하면서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상가에게 하는 여섯 번째 형태의 보시이다.
7. '상가로부터 나에게 많은 비구니를 지정하기를'
이렇게 생각하면서 하는 보시가 있다. 이것이 상가에게 하는 일곱 번째 형태의 보시이다.
이것이 상가에게 하는 7종류의 보시이다. 그 때 붓다께서는 개인에게 하는 보시와 상가에게 하는 보시를 비교하셨다.
미래에, 아난다여, 계를 지키지 않고 악한 성격의 가사를 걸친 도둑이 있을 것이다.
사람들이 상가를 대표해서 그 가사를 걸친 도둑에게 보시할 것이다. 그때조차도 상가에게 한 보시가 셀 수 없고 측량할 수 없다고 나는 말한다. 상가에게 한 보시는 개인에게 한 보시보다 훨씬 더 큰 결과를 가져온다.
이것은 상가에게 한 보시가 개인에게 한 보시보다 훨씬 유익하다는 의미이다. 만일 마하파자파티고따미가 붓다가 계시는 상가에게 가사를 보시했다면, 훨씬 더 이로웠을 것이다. 그 결과는 셀 수 없고 측량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붓다께서는 그녀에게 상가에 보시하라고 권하셨던 것이다.
붓다께서는 또한 4가지 보시청정에 대해 설명하셨다.
4종류의 보시청정
4가지 보시청정이 있다. 무엇이 4가지인가?
1. 받는자가 아니라, 주는자에 의해서 청정하게 되는 보시가 있다.
2. 주는자가 아니라, 받는자에 의해서 청정하게 되는 보시가 있다.
3. 주는자에 의해서도, 받는자에 의해서도 청정하게 되지 않는 보시가 있다.
4. 주는자와 받는자 둘 다에 의해서 청정하게 되는 보시가 있다.
(1) 무엇이 받는자가 아니라 주는자에 의해서 청정하게 되는 보시인가? 여기서 주는자는 계행이 있고 착한 성격이고, 받는자는 계행이 없고, 악한 성격이다. 그래서 그 보시는 받는자가 아니라, 주는자에 의해서 청정하게 된다.
(2) 무엇이 주는자가 아니라, 받는자에 의해서 청정하게 되는 보시인가? 여기서 주는자는 계행이 없고 악한 성격이고, 받는자는 계행이 있고 착한 성격이다. 그래서 그 보시는 주는자가 아니라, 받는자에 의해서 청정하게 된다.
(3) 무엇이 주는자에 의해서도, 받는자에 의해서도 청정하게 되지 않는 보시인가? 여기서 주는자는 계행이 없고 악한 성격이고, 받는자도 계행이 없고 악한 성격이다. 그래서 그 보시는 주는자에 의해서도, 받는자에 의해서도 청정하게 되지 않는다.
(4) 무엇이 주는자와 받는자 둘 다에 의해서 청정하게 되는 보시인가? 여기서 주는자는 계행이 있고 착한 성격이고, 받는자도 역시 계행이 있고 착한 성격이다. 그래서 그 보시는 주는자와 받는자 둘 다에 의해서 청정하게 된다.
이것이 4종류의 보시청정이다. 붓다께서는 계속해서 설명하셨다.
계행이 있는 사람이 계행이 없는 사람에게, 깨끗하고 오염 없는 마음으로 업의 결과가 크다는 믿음을 가지고 올바르게 획득한 물건을 보시할 때, 주는자의 덕이 보시를 청정하게 한다.
최상의 이익을 얻기 위해서, 주는자는 4가지 조건을 이행해야 한다. 그때에 비록 받는자가 계행이 없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보시는 주는자에 의해서 청정하게 된다.
주석서에서는 웨싼따라의 경우를 언급한다. 우리의 보디삿따께서 과거생에 웨싼따라였을 때, 자기 아들과 딸(미래의 라훌라와 웁빨라완나)을 계행이 없고 악한 성격의 주자까 바라문에게 주었다. 그 보시는 웨싼따라가 이행해야 할 마지막 보시바라밀이었다. 이 마지막 바라밀을 이행한 후, 그는 깨달음을 얻을 준비가 되었다. 그는 때가 무르익기를 기다릴 뿐이었다. 이 보시바라밀과 이전의 보시바라밀 때문에 그는 이제 전지전능한 지혜를 얻는 것이 확실했다. 그래서 우리는 그 보시가 깨달음을 얻는데 도움이 되었다라고 말할 수 있다. 이 보시가 웨싼따라에 의해서 청정하게 된 것이었다. 그 때에 그는 계행이 있고, 착한 성격이었다. 그의 보시물은 정당하게 얻은 것이었다. 그의 마음은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단 하나의 소원뿐이어서 깨끗하고 순수했다. 그는 업의 법칙과 그 결과에 대한 강한 믿음이 있었다. 그래서 그 보시는 주는자에 의해서 청정하게 되었다.
마음이 깨끗하지 못하고, 집착과 미움으로 가득 찬 사람, 업의 법칙에 믿음도 없는 사람이 옳지 않는 방법으로 획득한 것을 계행이 있고 덕이 있는 사람에게 보시할 때, 받는자에 의해서 청정하게 되는 보시가 있다. 주석서에서는 어부의 경우를 언급한다. 스리랑카의 깔야니 강의 어귀에서 살고 있는 어부가 아라한인 마하테라에게 탁발음식을 3번 공양했다. 죽음의 순간에 그 어부는 마하테라에게 한 보시를 기억했다. 천상계의 좋은 표상이 그의 마음에 나타났다. 그래서 그는 죽기 전에 친척들에게 말했다. '그 대장로께서 나를 구했다.' 죽은 후에 그는 천상계에 갔다. 이 경우에 그 어부는 계행이 없고 나쁜 성격이었으나, 받는자는 계행이 있고 덕이 있었다. 그래서 그 보시는 받는자에 의해서 청정하게 되었다.
계행이 없는 사람, 마음이 깨끗하지 못하고 집착과 미움으로 가득 찬 사람, 업의 법칙에 믿음도 없는 사람이 옳지 못한 방법으로 얻은 물건을 계행이 없는 사람에게 보시할 때, 그 보시는 주는자와 받는자 둘 다에 의해서 청정하게 되지 않는다. 주석서에서는 사냥꾼의 경우를 언급한다. 그는 죽어 아귀계로 갔다. 그때 그의 아내가 계행이 없고 나쁜 성격을 가진 비구에게 탁발음식을 공양했다. 그래서 그 아귀는 '사두(훌륭하다)!라고 소리칠 수 없었다. 왜? 주는자도 역시 부도덕하고 계행이 없었다. 왜냐하면 사냥꾼의 아내는 남편이 짐승을 죽이는데 함께 했기 때문이다. 또한 그녀의 보시물은 옳지 못한 방법으로 얻은 것이었다. 그것은 죽인 짐승이었다. 그녀의 마음은 깨끗하지 못했다. 왜냐하면 마음이 깨끗하고 지혜가 있었다면, 남편을 따라 다니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녀는 업의 법칙에 대한 충분한 믿음도 없었다. 왜냐하면 그녀가 업의 법칙에 충분한 믿음이 있었다면, 죽인 짐승을 가지지 않았을 것이다. 받는자도 역시 계행이 없었고 나쁜 성격이었기 때문에 그 보시는 주는자와 받는자 둘 다에 의해서도 청정하게 되지 않았다. 그녀가 똑같이 3번이나 탁발음식을 공양했지만, 좋은 결과가 일어나지 않았다. 그래서 아귀는 소리쳤다. '저 부도덕한 녀석이 3번씩이나 나의 재산을 훔쳤어' 그 이후에 그녀는 계행이 있는 비구에게 탁발음식을 공양했다. 그 때 그 비구가 보시를 청정하게 했고, 그 아귀는 소리쳤다. '사두(훌륭하다)!' 그리고 아귀계로부터 벗어났다.
(여기서 나는 대중들에게 말하고 싶다. 만일 여러분이 보시로 인해서 좋은 결과를 원한다면, 여러분은 아래의 4가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1. 당신은 계를 지켜야 한다.
2. 당신의 공양물은 정당하게 얻은 것이어야 한다.
3. 당신의 마음은 깨끗하고 순수해야 한다.
4. 당신은 업의 법칙과 그 과보에 대한 충분한 믿음을 가져야 한다.
게다가 받는자라면 주는자에 대한 자비심이 가득해야 한다. 그리고 계를 지켜야 한다. 만일 계행이 선정과 통찰지와 함께 한다면, 훨씬 더 좋다. 왜 그러한가? 이런 보시는 주는자에게 훨씬 더 좋은 결과를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이제 네 번째 보시청정에 대해서 살펴보자. 주는자와 받는자 둘 다에 의해서 청정하게 되는 보시가 있다. 이 때 주는자는 4가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1.주는자는 계를 지켜야 한다.
2.주는자의 공양물은 정당하게 얻은 것이어야 한다.
3.주는자의 마음은 깨끗하고 순수해야 한다.
4.주는자는 업의 법칙과 그 과보에 대한 충분한 믿음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받는자도 또한 계를 지켜야 한다.
이같은 보시에 대해 붓다께서 말씀하셨다.
아난다여, 이같은 보시는 무한한 과보를 가져올 것이다.
이 보시는 무한하고 헤아릴 수 없는 과보를 가져올 것이다. 또한 받는자의 계행이 선정, 통찰지, 도와 과의 지혜와 함께 한다면 이 보시공덕은 최상이다.
무량한 보시의 6가지 요건
여기서 또 다른 경, 앙굿따라 니까야의 찰랑가다나 숫따를 살펴보자. 한때 붓다는 사왓티 근처의 아나타삔디까 공원의 제따와나 수도원에 계셨다. 그때 붓다의 재가신자이며 웰루깐다까에 살고 있는 난다의 어머니가 탁발음식을 공양했다. 그녀의 공양은 6가지 요건을 갖추고 있었다. 받는자는 사리풋다와 목갈라나 존자가 있는 상가였다. 붓다는 천안으로 그 보시를 보았다. 그리고 비구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A.VI.iv.7 찰랑가다나 숫따, 보시의 6가지 요건
비구들이여, 웰루깐다까의 재가신자가 사리풋다와 목갈라나 존자가 상수로 있는 상가에게 6가지 요건을 갖춘 보시를 준비하고 있구나.
비구들이여, 어떤 것이 6가지 요건을 갖춘 것인가?
비구들이여, 주는자는 3가지 요건을 갖추고, 받는자 또한 3가지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무엇이 주는자의 3가지 요건인가? 비구들이여,
1.보시하기 전에 시주자는 마음이 매우 즐거워야 한다.
2.보시하는 동안 시주자의 마음은 만족스러워야 한다.
3.보시한 후에 시주자는 기쁨으로 가득 차야 한다.
이것이 주는자의 3가지 요건이다.
무엇이 받는자의 3가지 요건인가? 비구들이여,
1.받는자는 집착으로부터 벗어났거나, 집착을 깨뜨리는 중이다.
2.받는자는 성냄으로부터 벗어났거나, 성냄을 깨뜨리는 중이다.
3.받는자은 어리석음으로부터 벗어났거나, 어리석음을 깨뜨리는 중이다.
이것이 받는자의 3가지 요건이다.
모두 합해서 6가지 요건이다. 보시가 이 6가지 요건을 갖추었다면, 무량하고 성스런 과보를 가져온다.
붓다의 말씀은 계속해서 이어진다.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이 이렇게 말한다고 하자. '이 많은 것이 공덕의 산물이다. 미래의 복덕을 위해 저축된 것이고, 행복을 무르익게 하며, 하늘에 이르게 하고, 행복으로 이끌며, 갈망하고 바라는 최상의 복덕이다.' 이렇게 말함으로써 보시의 공덕을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 진실로 공덕의 양은 계산할 수 없고 측량할 수 없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말하면서 오대양의 물을 측량하기란 쉽지 않다. '거기에는 수많은 항아리의 물이 있다. 100개의 항아리, 1000개의 항아리, 10만개의 항아리 분량의 물이 있다.' 이렇게 말함으로써 6가지 요건을 갖춘 공덕을 측량하기란 쉽지 않다. 진실로 많은 공덕의 양은 계산할 수 없고 측량할 수 없다.
왜 그러한가? 그녀는 닥킨나위방가 숫따에서 언급한 4가지 요건을 갖추고 있었다.
1. 그녀는 계를 지켰다.
2. 그녀의 시주물은 정당하게 얻은 것이었다.
3. 그녀의 마음은 깨끗하고 순수했다.
4. 그녀는 업의 법칙과 그 과보에 대한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그녀는 찰랑가다나 숫따에 언급된 3가지 요건을 갖추고 있었다.
1. 보시하기 전에 그녀는 마음이 매우 즐거웠다.
2. 보시하는 동안 그녀의 마음은 만족했다.
3. 보시한 후 그녀는 기쁨으로 가득 찼다.
이런 조건이 시주자에게 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측량할 수 없는 무량한 좋은 과보를 기대한다면, 이 요건을 이행해야 한다. 닥킨나위방가 숫따에 따르면, 받는자도 역시 계를 지켜야 한다. 그리고 찰랑가다나 숫따에 따르면, 사마타-위빠사나를 아라한까지 수행한 비구 또는 비구니이거나, 탐욕 성냄 어리석음을 깨뜨리기 위해 사마타-위빠사나를 수행중인 사람이어야 한다.
집중수행기간에 한 보시
지금 이 위뚱사에는 많은 비구와 비구니가 있다. 그들은 탐욕 성냄 어리석음을 완전히 부수기 위해 사마타-위빠사나 명상을 수행하고 있다. 이들은 또한 계를 지키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지금 여기 보시를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들이 있다.
■시주자들은 계를 지킨다.
■그들의 마음은 깨끗하고 순수하다.
■보시한 물건은 정당하게 얻은 것이었다.
■그들은 삼보와 업의 법칙 그리고 그 과보에 대한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보시하기 전에 즐거웠다.
■그들은 보시하는 동안 만족스러웠다.
■그들은 보시한 후 기쁨이 가득했다.
그래서 우리는 이 2달 수행기간에 한 보시를 붓다의 바램에 따른 것이었다라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신성한 보시이다.
시주자의 발원
만일 시주자가 미래에 좋은 과보를 기대한다면, 확실히 이 선업이 그들의 기대를 충족시켜줄 것이다. 왜 그러한가? 붓다께서는 다누빠빳띠 숫따에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A.VIII.I.iv.5 Almsgiving rebirth Sutta
비구들이여, 계를 지키는 사람의 서원은 확실히 이루어질 것이다.
그래서 계를 지키는 사람의 서원은 사실로 나타나게 된다.
■붓다가 되기를 원한다면, 그는 붓다가 될 수 있다.
■빳쩨까붓다(벽지불)가 되기를 원한다면, 그는 빳쩨까붓다가 될 수 있다.
■상수제자가 되기를 원한다면, 그는 상수제자가 될 수 있다.
■대제자가 되기를 원한다면, 그는 대제자가 될 수 있다.
■일반제자가 되기를 원한다면, 그는 일반제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그의 바라밀이 성숙했을 때이다. 원하는 것만으로 이런 깨달음을 얻기에는 충분치 않다.
■죽은 후에 인간의 행복을 원한다면, 그는 인간계에서 행복을 얻을 수 있다.
■죽은 후에 욕계 하늘에 가기를 원한다면, 그는 욕계 하늘에 갈 수 있다.
■죽은 후에 색계에 가기를 원한다면, 이 선업이 색계에 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한가? 보시 전이나 중간이나 후에, 그의 마음이 기쁨으로 가득하고 순수하며 행복하다. 그리고 받는 사람을 자애명상의 대상으로 택한다. 받는 사람에 대해 그의 마음은 자애심으로 가득하다. 그 때에 자애명상을 한다면, 자애삼매는 죽은 후에 색계로 그를 인도할 것이다. 이렇게 그의 보시는 색계에 가는데 도움을 준다. 그래서 죽은 후에 색계에 가기를 원한다면, 그는 자애명상으로 삼매를 얻어야 한다. 만일자애삼매를 얻은 후에 탁발음식을 공양했다면, 그의 선업은 그가 색계에 가는데 가장 큰 도움을 줄 것이다. 그러므로 미래에 선한 과보를 원한다면, 자애삼매를 얻어야 한다. 3가지 행복, 즉 인간의 행복, 욕계의 행복, 색계의 행복 중에서 색계의 행복이 가장 높다. 색계의 행복보다 더 뛰어난 세간의 행복은 없다. 이것이 31개의 세계에서 가장 수승하다.
세상에서 가장 수승한 보시
이것이 오늘 법문을 시작하면서 이야기 한 첫 번째 종류의 보시, 즉 무량한 복을 받는 보시이다. 여러분은 이런 종류의 보시를 좋아하는가? 그렇다면, 닥킨나위방가에 나오는 아래의 문구를 말해보겠다.
비구들이여, 한 아라한이, 깨끗하고 순수한 마음으로, 업의 과보가 크다는 믿음을 갖고서, 정당하게 얻은 것을, 다른 아라한에게 보시 할 때 그 보시는 세상의 모든 보시 중에서 가장 수승하다.
이 경우에 시주자는 4가지 요건을 갖추고 있다.
1. 주는자는 아라한이다.
2. 주는자의 시주물은 정당하게 얻은 것이다.
3. 주는자의 마음은 깨끗하고 순수하다.
4. 주는자는 업의 법칙과 그 과보에 대해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섯 번째 요건도 갖추고 있다.
5. 받는자도 역시 아라한이다.
붓다께서는 한 아라한이 다른 아라한에게 한 보시가 세상의 보시 중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가르치셨다. 왜 그러한가? 이 보시는 과보가 없기 때문이다. 시주자는 어리석음과 삶에 대한 모든 집착을 부셔버렸다. 무명과 갈망은 업의 주된 원인, 즉 상카라(의지적 형성력, 行)이다. 이 경우에 상카라는 보시를 하는 선한 행위를 말한다. 그러나 이 업은 어떠한 과보도 일으키지 않는다. 왜냐하면 거기에는 업을 일으키는 원인이 없기 때문이다. 거기에는 무명과 갈애가 없다. 뿌리가 완전히 뽑힌 나무는 열매를 맺을 수 없다. 이와 같이 아라한의 보시는 어떠한 과보도 일으킬 수 없다. 왜냐하면 무명과 갈애 등과 같은 뿌리가 완전히 뽑혀버렸기 때문이다. 그는 미래의 삶에 어떠한 기대도 없다. 라따나 숫따에는 다음과 같은 짧은 붓다의 말씀이 나온다.
Sn.ii.1 Jewel Sutta
아라한은 모든 선업과 악업을 소진시켰다.
새로운 선업과 악업은 그에게 일어나지 않는다.
그들은 재생의 씨를 말려버렸다.
그들은 미래의 삶에 대한 어떠한 기대도 없다.
기름과 심지가 다 타버린 기름등잔처럼,
그들의 모든 정신과 물질은 소멸될 것이다.
이 진리에 의해 모든 존재들이 행복하고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기를!
이것이 진리에 대한 천명이다. 이 진리의 천명으로 모든 웨살리(바이샬리) 사람들이 위험으로부터 벗어났다.
아라한의 보시는 가장 수승하다. 왜냐하면 미래에 과보가 없기 때문이다. 미래의 삶이 없다면, 탄생, 늙음 그리고 죽음도 없다. 이것이 가장 수승하다. 이것이 오늘 법문 초기에 언급한 2번째 종류의 보시, 즉 과보가 없는 보시이다.
그러나 첫 번째 종류의 보시, 즉 인간계의 행복, 욕계 하늘의 행복, 색계의 행복 같은 과보가 있는 보시의 경우에는 여전히 괴로움이 있다. 시주자는 여전히 재생하기 마련이고, 늙기 마련이고, 병들기 마련이고, 죽기 마련이다. 만일 시주자가 감각적 대상, 그것이 생물이든 무생물이든 거기에 집착한다면, 그 대상이 파괴되거나 죽게 되었을 때 그는 슬픔, 비탄, 육체적 고통, 정신적 고통, 절망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이 문제를 깊이 숙고해보라. 그 보시가 탄생, 늙음, 병듦, 죽음, 슬픔, 비탄, 육체적 고통, 정신적 고통, 절망을 일으킬 때, 그것이 수승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래서 붓다께서는 두 번째 보시가 가장 수승하다고 칭찬하셨다. 이제 여러분은 이 법문의 의미를 이해할 것이다. 앞에서 이미 2가지 종류의 보시를 언급했다.
1. 헤아릴 수 없는 선한 과보를 가져오는 보시
2. 과보가 전혀 없는 보시
여러분은 어떤 종류의 보시를 좋아하는가? 스스로 대답해 보기 바란다.
가장 수승한 보시를 하는 방법
그러나 만일 시주자가 아라한이 아니라면, 어떻게 두 번째 종류의 보시를 할 것인가? 앞에 언급한 찰랑가다나 숫따에서 붓다께서는 할 수 있는 2가지 길이 있다고 가르치셨다. 받는 사람이 탐욕 성냄 어리석음에서 벗어났거나, 탐욕 성냄 어리석음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는 중이고, 시주자 역시 탐욕 성냄 어리석음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위빠사나를 수행한다면, 그 보시는 가장 수승하다라고 말할 수 있다.
■그가 자신의 정신-물질을 식별하고, 그 정신-물질의 무상 고 무아를 식별한다면.
■그가 외부의 정신-물질, 특히 받는 사람의 정신-물질의 무상 고 무아를 식별한다면.
■그가 시주물에서 궁극적 정신-물질의 무상 고 무아를 식별한다면.
■그가 보시하는 동안 마음에서 일어나는 모든 정신현상의 무상 고 무아를 식별한다면.
그가 시주물에서 4대요소를 볼 때, 그는 쉽게 깔라파를 본다. 그가 깔라파를 분석할 때 땅, 물, 불, 바람, 색깔, 냄새, 맛, 영양소의 8가지 요소를 식별한다. 그 깔라파들은 온도에서 생긴 물질이다. 그는 그 물질에서 무상 고 무아를 식별한다. 시주자가 이런 식으로 위빠사나를 수행할 수 있다면, 그의 탐욕 성냄 어리석음이 보시하는 동안 사라지기 때문에 그 보시는 과보를 일으키지 않는다. 이런 보시가 가장 수승하다고 말할 수 있다.
시주자는 보시하기 전 중간 후에 이런 식으로 위빠사나를 할 수 있다. 그러면 그의 위빠사나는 강해지고 힘이 넘칠 것이다. 적어도 무너짐의 지혜 단계까지 수행해야 이런 식의 위빠사나가 가능하다. 이런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
이 기회는 붓다의 시대에만 존재한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통찰지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어떻게 이렇게 보시를 할 수 있겠는가? 그때에는 '이 보시가 닙바나를 얻는데 도움이 되기를!'이라고 생각하면서 보시하기를 권하고 싶다. 왜냐하면 붓다께서는 닙바나를 원하면서 시주하기를 거듭 가르치셨기 때문이다.
이상으로 라따나 숫따에 나오는 붓다의 말씀을 반복하면서 법문을 모두 마치고자 한다.
아라한은 모든 선업과 악업을 소진시켰다.
새로운 선업과 악업은 그에게서 일어나지 않는다.
그들은 재생의 씨를 말려버렸다.
그들은 미래의 삶에 기대가 전혀 없다.
기름과 심지가 다 타버린 등잔처럼,
그들의 모든 정신-물질은 소멸될 것이다.
이 진리에 의해 모든 존재들이 행복하고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기를!
모든 존재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요 약
원본에서는 저자의 서문이지만 서문으로는 너무 길고 원문의 내용을 요약한 성격을 띠고 있어서 요약이라는 제목으로 뒤에 첨부한 것이다.(역주)
붓다의 시대
어느 날 세존께서는 꼬띠가마에서 왓지안족과 함께 거주하고 계셨다. 그때 세존께서는 비구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S.V.XII.iii.1 Pa hamako igama Sutta
비구들이여,
그대들과 내가 오랫동안 윤회 속에서 헤매고 다닌 것은 4가지 성스런 진리(四聖諦)를 이해하지 못하고 통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무엇이 4가지인가?
비구들이여,
그대들과 내가 오랫동안 윤회 속에서 헤매고 다닌 것은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苦聖諦)를 이해하지 못하고 통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비구들이여,
그대들과 내가 오랫동안 윤회 속에서 헤매고 다닌 것은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集聖諦)를 이해하지 못하고 통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비구들이여,
그대들과 내가 오랫동안 윤회 속에서 헤매고 다닌 것은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런 진리(滅聖諦)를 이해하지 못하고 통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비구들이여,
그대들과 내가 오랫동안 윤회 속에서 헤매고 다닌 것은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런 진리(道聖諦)를 이해하지 못하고 통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성제는 이렇게 붓다의 가르침의 출발점이다. 붓다의 설명은 이어진다.
비구들이여,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를 이해하고 통찰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를 이해하고 통찰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런 진리를 이해하고 통찰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런 진리를 이해하고 통찰해야 한다.
존재에 대한 갈망을 잘라버려야 한다. 존재하려는 성향을 부셔버려야 한다. 그러면 더 이상 새로운 삶이 없으리라.
완전히 깨닫기 위해 필요한 것
태어남의 끝이자 고통의 완전한 소멸인 닙바나! 세 번째 성스런 진리를 실현하기 위해 붓다께서는 사성제를 우리에게 가르치셨다. 그러나 그것은 올바른 조건이 아니면 불가능하다. 붓다께서는 고통의 완벽한 소멸이 불가능하게 되는 조건을 꾸따가라 숫따에서 설명하신다.
S.V.XII.v.4 작은 뾰쪽 탑은 여기서 4개의 기둥을 가진 집이다. 4개의 기둥 위에 들보가 얹어져 있고, 그 들보의 끝이 첨탑을 향해 점점 가늘어져 가는 높은 지붕을 지탱하고 있는 단층집이다. 그래서 중간에 방을 만들지 않으면 무너져 버리는 구조를 갖고 있다.
진실로,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이 '작은 뾰쪽 탑에 방을 만들지 않고 지붕을 얹으리라'라고 말한다면,
그러한 일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만일 어떤 사람이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를 있는 그대로 깨닫지 않고,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를 있는 그대로 깨닫지 않고,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런 진리를 있는 그대로 깨닫지 않고,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런 진리를 있는 그대로 깨닫지 않고,
'나는 괴로움을 완전히 끝내리라' 이렇게 말한다면, 그러한 일은 불가능하다.
이것은 우리가 첫 번째 성스런 진리(苦)와 두 번째 성스런 진리(괴로움의 일어남)를 완전히 깨닫지 않고서, 세 번째 성스런 진리(닙바나)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진리를 깨달았을 때만이 출세간의 네 번째 성스런 진리인 팔정도를 실현할 수 있다. 이 깨달음을 얻는 유일한 길은 세간의 성스런 진리, 세간 의 도의 진리를 먼저 수행하는 것이다. 그것은 세간의 팔정도, 즉 3가지 수행(三學)이다.
1. 계...............................................................................(s la)
2. 정...............................................................................(sam dhi)
3. 혜...............................................................................(pa a)
비구들에게 계는 빠띠목카(계목)의 단속이요, 신도에게는 8계 또는 5계이다. 우리가 계율을 지킬 때, 근접삼매나 본삼매를 개발할 수 있고, 지혜의 개발로 나아갈 수 있다. 지혜란 위빠사나 명상이다. 위빠사나 명상은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와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의 무상 고 무아를 깨닫는 것이다. 그 때에만이 위빠사나를 훌륭히 그리고 완전히 수행할 수 있고, 이 2가지 성스런 진리를 완전히 깨달을 수 있다. 그래서 출세간의 도의 진리, 즉 수다원도, 사다함도, 아나함도, 아라한도와 출세간의 네 번째 성스런 진리, 즉 출세간의 팔정도를 실현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네 번째 성스런 진리(팔정도)의 목표는 세 번째 성스런 진리(닙바나)를 실현하는 것이다. 그것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성스런 진리(괴로움과 괴로움의 일어남)를 완전히 깨달아야만 성취할 수 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성스런 진리
그러나 첫 번째와 두 번째 성스런 진리는 무엇인가? 담마짯깝빠왓따나 숫따에서 붓다께서 설명하신다.
S.V.XII.ii.1 전법륜경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이다.
태어남도 괴로움이요, 늙음도 괴로움이요,
병듦도 괴로움이요, 죽음도 괴로움이다.
싫어하는 것과 만나는 것도 괴로움이요,
좋아하는 것과 헤어짐도 괴로움이요,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함도 괴로움이다.
간략히 말하면, 집착하는 오온(五取蘊)이 괴로움이다.
붓다께서는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를 가르치실 때 오온을 가르치신다. 오온을 알고 보라고 가르치신다. 인간계는 오온의 존재이다. 오온을 알지 못하면, 붓다의 가르침을 깨달을 수 없다. 이것을 붓다께서는 뿜빠 숫따에서 설명하신다.
S.III.II.v.2 Flower Sutta
여래가 완벽한 지혜로 깨달은 세계의 궁극적 실재는 무엇인가?
물질(色).....................................................(r pa)
느낌(受).....................................................(vedan )
지각(想).....................................................(sa a)
상카라(行)..................................................(sa kh ra)
의식(識)......................................................(vi na)
비구들이여, 이것이 여래가 완벽한 지혜로 깨달은 세계의 궁극적 실재이다. 이렇게 깨닫고서, 여래가 그것을 설명하고 가르치고 선언하고 확립시키고 펼쳐 보인다. 여래가 설명하고 가르치고 분석하고 펼쳐 보일 때, 이것을 알지도 보지도 못하는 사람이 있다면, 알지도 보지도 못하는 눈 먼 장님에게 내가 어떻게 할 수 있겠는가?
여기서 붓다께서 설명하고 있는 세계의 실재는 오온이다. 그것은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이다. 붓다께서는 대념처경에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D.ii.9 대념처경(또는 M.I.i.10)
비구들이여, 간단히 말해서, 5가지 집착의 무더기가 어째서 괴로움인가?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집착하는 물질의 무더기(色取蘊).......................(r pup d nakkhandho)
집착하는 느낌의 무더기(受取蘊).......................(vedanup d nakkhandho)
집착하는 지각의 무더기(想取蘊).......................(sa up d nakkhandho)
집착하는 상카라의 무더기(行取蘊)...................(sa kh r p d nakkhandho)
집착하는 의식의 무더기(識取蘊).......................(vi up d nakkhandho)
그래서 칸다 숫따에서 붓다께서는 5가지 집착의 무더기를 11가지로 분석하고 설명하신다.
S.III.I.6
그리고 비구들이여, 무엇이 5가지 집착의 무더기인가?
어떤 종류의 물질이든 거기에는,
(1-3) 과거의 것이든, 현재의 것이든, 미래의 것이든,
(4-5) 안의 것이든, 밖의 것이든,
(6-7) 미세한 것이든, 거친 것이든,
(8-9) 저열한 것이든, 수승한 것이든,
(10-11) 먼 것이든, 가까운 것이든,
오염되고 집착하게 되는 11가지 무더기가 있다. 이것을 집착하는 물질의 무더기라고 부른다. 어떤 종류의 느낌이든, 지각이든, 상카라이든, 어떤 종류의 의식이든, 거기에는 과거의 것이든, 현재의 것이든, 미래의 것이든, 안의 것이든, 밖의 것이든, 미세한 것이든, 거친 것이든, 저열한 것이든, 수승한 것이든, 먼 것이든, 가까운 것이든, 오염되기 쉽고 집착하게 되는 무더기가 있다. 그것을 집착하는 의식의 무더기라고 한다. 비구들이여, 이것을 집착하는 다섯 무더기(五取蘊)라고 부른다.
이 집착하는 다섯 무더기는 첫 번째 성스런 진리, 즉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이다. 붓다께서 설명하셨듯이 그것은 11가지로 구성한다. 오온을 알고 보아야 한다는 것은 11가지 무더기를 각각 알고 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온의 첫 번째는 물질이라고 부른다. 나머지 넷(느낌, 지각, 상카라, 의식)은 함께 정신이라 부른다. 이렇게 집착하는 오온을 정신-물질이라고 부른다.
정신-물질을 있는 그대로 알고 보기 위해서, 우리는 이것들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알고 보아야 한다. 즉 우리는 오온의 세계에서 정신이 물질에 어떻게 의존하고 있는지 알고 보아야 한다. 오온의 세계에 대해 붓다께서는 로까 숫따에서 설명하신다. 여기서 붓다께서는 정신-물질을 18가지 요소(dh tu)로 설명하신다. 즉 여섯 감각의 문(六門), 여섯 감각의 대상(六境), 여섯 식(六識)이다.
S.II.I.v.4
비구들이여, 세계의 기원은 무엇인가?
눈(眼)과 형상(色)에 의존해서 안식(眼識)이 일어난다.
이 3가지가 만남으로 해서 감각접촉이 일어난다.
접촉을 조건으로 느낌이…….
느낌을 조건으로 갈애가…….
갈애를 조건으로 취착이…….
취착을 조건으로 존재가…….
존재를 조건으로 태어남이…….
태어남을 조건으로 늙음, 죽음, 슬픔, 비탄, 괴로움, 절망 등이 일어난다.
귀와 소리에 의존해서…….
코와 냄새에 의존해서…….
혀와 맛에 의존해서…….
몸과 감촉에 의존해서…….
마음과 법에 의존해서…….
여기 18가지 요소에서 법(마음의 대상)은 16가지 미세 물질과 모든 마음부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법(마음의 대상)을 말할 때는 5가지 감성물질, 16가지 물질, 6가지 마음, 52가지 마음부수, 닙바나, 개념을 모두 포함한다. 그러나 원래 닙바나와 개념까지 포함해야 하지만, 닙바나와 개념은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물질도 정신도 아니고 그래서 첫 번째, 두 번째 성스런 진리도 아니다. 이것은 로까 숫따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정신-물질을 알고 보기 위해서 우리는 이렇게 알고 볼 필요가 있다.
1. 감각의 문
2. 감각의 문에 부딪치는 대상
3. 그것에 의해서 일어나는 마음(識)과 마음부수(心所)
붓다께서 설명하셨듯이 여섯 가지 감각의 문이 있다.
1. 눈의 문(眼門).................................................(cakkhu dv ra)
2. 귀의 문(耳門).................................................(sota dv ra)
3. 코의 문(鼻門).................................................(gh na dv ra)
4. 혀의 문(舌門).................................................(jivh dv ra)
5. 몸의 문(身門).................................................(k ya dv ra)
6. 마음의 문(意門, 바왕가)........................(mano dv ra)
의(意)를 여기서는 마음이라고 번역을 했으나, 정확히 말하자면 이 단어는 빨리어 마노(mano)에 해당한다. 마노(意)는 식(識, vi na)이 일어나는 감각기관 또는 감각 기능이다. 즉 마노(意, mano)를 통해서 일어나는 식(識,vi na)이 의식(意識,mano-vi na)이다.(역주)
처음 다섯 감각의 문은 물질이다. 그래서 다섯 감각토대와 같다. 그러나 여섯 번째 감각의 문, 즉 마음의 문(바왕가)은 정신이다. 그것은 심장토대라는 물질에 의존한다.
다섯 물질의 문은 물질만을 대상으로 택한다. 반면에 정신인 마음의 문은 위의 다섯 대상과 자기 자신을 대상으로 택한다. 운나바브라마나 숫따에 붓다의 설명이 나온다. 거기서는 기능(indriya)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기능(根)은 토대, 문(門), 요소(界)와 같은 의미이다. (S.V.IV.v.2 U bha Brahmin Sutta)
브라민이여, 이 다섯 가지 기능은 고유의 분야와, 고유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기 다른 분야와 영역을 경험하지 못한다. 무엇이 5가지 기능인가?
눈의 기능(眼根)............................................(cakkhundriya )
귀의 기능(耳根)............................................(sotindriya )
코의 기능(鼻根)............................................(gh nindriya )
혀의 기능(舌根)............................................(jivhindriya )
몸의 기능(身根)............................................(k yindriya )
브라민이여, 이 다섯 기능은 독립된 분야와 독립된 영역을 가지고 다른 분야와 다른 영역을 경험하지 못하며 마음을 의지처로 갖는다. 그리고 마음은 이들 모두의 분야와 영역을 경험한다.
물질 대상이 물질 감각의 문에 부딪칠 때, 동시에 마음의 문에도 부딪친다. 마음의 문에만 홀로 부딪치는 대상은 정신-물질이 아닌 것과 요소(界)가 아닌 것도 포함한다. 대상은 모두 합해서 6가지가 있다.
파아욱 또야 사야도께서는 앗따살리니에 나오는 비유를 들어 말씀하신다. 햇빛이 가지에 앉은 새에 부딪칠 때, 그림자가 동시에 땅에 떨어진다. 이와 같이 대상이 물질의 문에 부딪칠 때, 동시에 마음의 문에도 나타난다.
1. 색깔(형상)...................................................(r paramma a)
2. 소리..............................................................(sadd ramma a)
3. 냄새..............................................................(gandh ramma a)
4. 맛..................................................................(ras ramma a)
5. 감촉..............................................................(pho hobb ramma a)
6. 법..................................................................(dhamm r mmana)
법(마음의 대상)은 앞의 5가지 대상을 제외한 모든 대상을 말한다. 법에는 다시 6가지가 있다.
1. 5가지 거칠고 투명한 감성 물질(다섯 감각의 문).....(pas da r pa)
2. 16가지 미세한 물질..........................................................(sukhuma r pa)
3. 6가지 식(識)........................................................................(vi na dh tu)
4. 52가지 마음부수...........................................................(cetasika)
5. 닙바나(무위법)...............................................................(Asa khata dh tu)
6. 무한히 많은 개념들....................................................(pa atti)
5감성 물질 : 눈, 귀, 코, 혀, 몸의 문이라는 감성 물질은 마음(마노)의 대상이다.
16 미세 물질 : 28가지 물질 가운데 5가지 감성의 물질과 7가지 대상인 물질(색, 성, 향, 미, 땅의 요소, 불의 요소 바람의 요소)을 제외한 16가지가 마음(마노)의 대상이다.
6식 : 지금 일어나고 있는 마음(識)이 아니라, 방금 전에 일어난 마음(識)은 마노(意)의 대상이다.
52마음부수 : 52가지 마음부수(느낌, 의도, 감정 등)는 마음(마노)의 대상이다.
닙바나 : 수다원 이상에서는 마음이 닙바나를 대상으로 들고 나기 때문에 마음(마노)의 대상이다.
개념 : 구경법의 관점에서 보면 실재하지 않지만, 마음(마노)의 대상이다.(역주)
(예를 들어 숨이라는 개념, 까시나 대상, 없으면 대화가 불가능한 명칭들)
붓다께서 설명하셨듯이 여섯 감각의 문에 대상이 나타날 때 마음(識)이 일어난다. 마음(識)에는 여섯 가지가 있다.
1. 안식(眼識)..................................................................(cakkhu-vi na)
2. 이식(耳識)..................................................................(sota-vi na)
3. 비식(鼻識)..................................................................(gh na-vi na)
4. 설식(舌識)..................................................................(jivh -vi na)
5. 신식(身識)..................................................................(k ya-vi na)
6. 의식(意識)..................................................................(mano-vi na)
붓다께서 브라민에게 설명하셨듯이 대상이 다섯 물질 감각의 문에 부딪칠 때, 그것은 또한 정신 감각의 문에도 부딪친다. 강한 삼매를 개발한 사람은 그 대상이 동시에 마음의 문에도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물질 감각의 문에 일어난 식은 매우 약한 것을 알 수 있다. 물질 감각의 문은 단지 대상을 취할 뿐이다. 실제로 대상을 아는 것은 뒤에 일어난 일련의 의식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물질 대상이 눈의 문(眼門)이라는 물질에 부딪치고 동시에 마음의 문에 부딪칠 때, 의식(意識)이 안식(眼識)에 뒤따라서 일어난다. 이 때 안식은 대상을 모른다. 대상이 색깔(또는 형상)인지를 모른다. 대상을 알게 되는 것은 뒤따라 일어나는 의식에 의해서다.
정신과 물질을 알기 위해서는 각각의 정신과 물질을 알아야 하고, 그것들이 함께 작용하는 것을 알고 보아야 한다.
1. 문(門)이라는 물질.
2. 대상이라는 물질.
3. 물질의 문과 마음의 문에서 일어나는 정신.
색깔이 눈의 문에 부딪칠 때, 눈의 문과 그 대상(색깔)과 거기서 일어나는 안식과 의식을 모두 알고 보아야 한다. 눈의 문이라는 물질 없이 안식이 일어나지 않는다. 심장 토대라는 물질 없이 의식은 일어나지 않는다. 대상이라는 물질 없이 안식과 의식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렇게 귀, 코, 혀, 몸에서도 알아야 한다. 의식은 홀로 아는 대상이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그것은 심장토대라는 물질에 의존해서 일어난다.
그러나 이러한 실재를 개념으로서만 알아서는 안 된다. 대상이 나타난 대로만 알고 보는 것은 붓다께서 말씀하신 어리석은 사람, 알지도 보지도 못하는 눈먼 장님이다. 사물을 있는 그대로 알고 보기 위해서는 궁극적 실재를 꿰뚫어 보아야 한다. 궁극적 정신-물질을 알고 보아야 한다.
첫 번째 성스런 진리를 알고 보는 방법
우리는 모든 정신을 알고 보아야 한다. 우리는 감각토대에서 2가지 마음(識), 즉 '한 쌍의 전오식(前五識)' 중 하나가 일어나는 것을 보아야 한다.
1. 유익한 과보의 마음....................................................(kusala vip ka vi na)
2. 해로운 과보의 마음....................................................(akusala vip ka vi na)
이것이 10가지 마음이다. 그리고 심장토대에서 나머지 모든 마음이 일어난다.
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의 각각의 마음(5識)에 2가지(유익한, 해로운)가 있으니 모두 합해서 10가지(5■2=10)이다.
■12가지 해로운 마음..................................................(acusala citta)
■8가지 뿌리 없는 마음..............................................(ahetuka citta)
(한 쌍의 전 오식과 같은 마음)
■24가지 욕계의 아름다운 마음................................(k ma sobhana citta)
■15가지 색계의 마음..................................................(r pav c ra citta)
■8가지 출세간의 마음................................................(lokuttar citta)
이것이 89가지 마음이다. 이러한 마음 중의 하나가 일어날 때 거기에 많은 마음부수(心所)가 따라 일어난다. 마음부수에는 52가지가 있다. 이렇게 정신은 89가지 마음과 52가지 마음부수를 포함한다.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를 있는 그대로 알고 보기 위해서, 모든 마음과 마음부수를 직접 알고 보아야 한다.
그리고 붓다께서 설명하셨듯이, 오온에서 정신은 물질에 의존해서 일어나고, 마음은 토대에 의존해서 일어난다. 이것은 물질 또한 알고 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질을 있는 그대로 알고 보기 위해서, 어떻게 물질이 깔라파라는 소립자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고 보아야 한다. 깔라파는 아주 빠르게 일어났다 사라진다. 그러나 그것은 관념적일 뿐이지 궁극적 실재가 아니다. 물질을 있는 그대로 알고 보기 위해서는 깔라파의 관념을 꿰뚫어 보아야 한다(견고한 관념의 미망을 꿰뚫어 보아야 한다).
그리고 개개의 깔라파를 구성하고 있는 궁극적 실재를 보아야 한다. 마하고빨라까 숫따에서 붓다께서는 비구들에게 실재를 보기위해 물질을 보는 지혜를 설명하신다.
M.I.iv.3 Mah gop laka Sutta
비구가 어떻게 물질에 대한 지혜를 얻는가? 여기에 비구는 '어떤 종류이든지 모든 물질은 4대요소와 4대요소로부터 파생된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라고 있는 그대로 이해한다. 이것이 비구가 물질에 대한 지혜를 얻는 방법이다.
그리고 붓다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신다.
이 지혜 없이 비구는 담마와 계율의 발전, 진보, 완성이 있을 수 없다.
이것은 모든 28가지 물질을 알고 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세한 내용은 법문4의 표1 참조.
근본 물질:
■4대요소.............................................................,..............(mah bh ta)
(땅의 요소, 물의 요소, 불의 요소, 바람의 요소)
24가지 파생물질:
■5가지 투명물질................................................,.............(pas da r pa)
(눈, 귀, 코, 혀, 몸 투명요소, 이것은 물질 감각의 문을 구성한다)
■4가지 감각 대상의 물질...............................,.............(gocara r pa)
(색깔, 소리, 냄새, 맛)
감촉은 땅, 불, 바람의 3대(三大)이다.
■영양소..............................................................................(oj )
■생명기능..........................................................................(j vitindriya)
■심장물질..........................................................................(hadaya r pa)
(의식과 마음부수의 물질 토대)
첫 번째와 두 번째 성스런 진리를 알고 보는 방법
삼매를 개발하라
깔라파 속의 궁극적 물질을 보기 위해서는 강한 삼매가 필요하다. 강한 삼매만이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삿짜 상윳따의 사마디 숫따에 붓다의 설명이 나온다.
S.V.XII.i.1 Concentration Sutta
비구들이여, 삼매를 개발하라. 삼매를 얻으면 비구는 담마를 있는 그대로 안다.
여기서 담마는 사성제 모두 또는 사성제 중의 하나를 말한다.
비구가 무엇을 있는 그대로 아는가?
그는 '이것이 괴로움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안다.
그는 '이것이 괴로움의 원인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안다.
그는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안다.
그는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안다.
비구들이여, 삼매를 개발하라. 삼매를 얻으면 비구는 담마를 있는 그대로 안다.
이것이 파아욱 센터에서 아나파나 사띠(호흡에 대한 마음집중)나 10개의 까시나를 이용해서 선정(본삼매)을 개발하는 방법, 또는 사대요소 명상을 이용해서 근접삼매를 개발하는 방법을 제일 먼저 가르치는 이유이다.
지혜의 빛을 개발하라
강한 집중은 강한 빛을 일으킨다. 강한 빛으로 궁극적 실재를 꿰뚫어 볼 수 있다. 이것은 앙굿따라 니까야의 아바와가에 나온다.
A.IV.III.v.1-5 bha-, Pabh -, loka-, Obh -, and Pajjota Sutta
■비구들이여, 네 가지 광휘가 있다. 무엇이 네 가지인가?
달의 광휘, 태양의 광휘, 불의 광휘, 지혜의 광휘이다.
■비구들이여, 네 가지 빛남이 있다. 무엇이 네 가지인가?
달의 빛남, 태양의 빛남, 불의 빛남, 지혜의 빛남이다.
■비구들이여, 네 가지 빛이 있다. 무엇이 네 가지인가?
달의 빛, 태양의 빛, 불의 빛. 지혜의 빛이다.
■비구들이여, 네 가지 광채가 있다. 무엇이 네 가지인가?
달의 광채, 태양의 광채, 불의 광채, 지혜의 광채이다.
■비구들이여, 네 가지 밝음이 있다. 무엇이 네 가지인가?
달의 밝음, 태양의 밝음, 불의 밝음, 지혜의 밝음이다.
또한 붓다께서는 최초의 설법이 담긴 담마짝깝빠왓따나 숫따에서 빛에 대해 말씀하신다. 그 때에 붓다께서는 당신의 깨달음을 설명하신다.
S.V.XII.ii.1 초전 법륜경
이렇게, 비구들이여, 전에 들어본 적이 없는 담마에 관한 통찰지, 직관, 지식, 지혜, 빛이 나에게서 떠올랐다.
세간의 통찰지는 강한 '깨달음의 빛'을 일으킨다. 그러나 출세간의 통찰지는 극도의 강한 빛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세존의 깨달음의 빛은 삼천대천세계에 퍼져나간다.
Vs.xx Vipassanupakkilesa Kath B634 그 빛은 수행의 결과이며, 그 자체는 장애가 아니나, 수행자가 거기에 집착하고 사견(邪見)을 일으키면 도와 과를 얻는데 장애가 된다.
이 빛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깊은 삼매의 마음은 통찰지와 연관되어 있다. 그러한 마음은 아주 밝은 마음에서 생긴 물질을 발생시킨다. 그 빛을 이용해서 궁극적 실재를 꿰뚫어볼 수 있다.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 그것은 어두운 방에 들어가 대상을 보기 위해서는 빛이 필요한것과 같다.
삼매를 보호하라
그러나 깊은 삼매를 개발하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궁극적 실재를 꿰뚫어볼 수 있는 깊고 심오한 삼매가 찾아오면 이 절호의 기회를 잃어버려서는 안 된다. 그래서 우리는 자기 자신과 삼매를 보호하기 위해서 본삼매나 근접삼매까지 사무량심을 개발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A. VI.I.ii.3 Niss ra ya Sutta 또는 M.II.ii.2 Mah r hulov da Sutta, 질의응답2.2 참조.
1. 자애(慈)..........................................................................................................(mett )
증오나 미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질의응답7.13 참조.
2. 연민(悲)..........................................................................................................(karu )
악의나 잔인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3. 같이 기뻐함(喜)...........................................................................................(mudit )
질투를 극복하기 위하여
4. 평온(捨)..........................................................................................................(upekkh )
존재에 대한 무관심을 극복하기 위하여
똑같은 이유로 우리는 본삼매 또는 근접삼매까지 4보호명상을 가르친다.
1. 자애관............................................................................................................(mett )
다른 존재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A.XI.ii.5 mett Sutta에 자비관 수행의 이익이 나온다. 질의응답2.2 참조.
2. 붓다에 대한 회상........................................................................................(buddh nussati)
다른 존재의 위험이나 두려움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S.I.XI.i.3 Dhajagga Sutta.
3. 혐오감 명상..................................................................................................(asubha bh van )
욕망이나 탐욕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4. 죽음에 대한 명상........................................................................................(m r anussati)
긴박감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
A.VI.ii.10&11 Pa hama-, & Dutiyam r assati Sutta.
이미 성취한 본삼매와 근접삼매로 인해 이 명상들을 개발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궁극적 실재를 통찰하라
궁극적 물질 식별하라
만일 그대가 강한 삼매를 얻은 사마타 수행자라면, 우리는 그대에게 사대요소 명상을 이용해서 물질을 알고 보는 법을 가르친다. 그러나 사마타 명상을 좋아하지 않고 근접삼매만을 개발하고자 한다면, 곧장 사대요소 명상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우리는 여러 가지 이유로 먼저 물질에 대한 식별을 가르친다. 하나의 이유는 물질을 식별하는 것이 매우 미세하고 깊이가 있기 때문이다. 물질이 초당 100만 번 변하지만 정신은 훨씬 더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일단 물질을 식별하게 되면 정신을 식별하는 것은 아주 쉬워진다. 그리고 마음이 의존하는 특유의 물질을 볼 수 없다면, 결코 정신을 볼 수 없다. 정신을 보기 위해서는 물질의 일어남을 보아야 한다.
이것이 Vs.xviii. n mar papariggaha Kath B667-671에 설명되어 있다.
사대요소 명상은 물질의 4대요소를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먼저 자신의 몸의 물질, 즉 붓다께서 '안으로'라고 불렀던 물질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붓다께서 대념처경에서 사대요소 명상을 설명하신다.
D.ii.9 사념처경(M.I.i.10) 또는 M.II.ii.2 Mah r hulov da Sutta.
다시, 비구여, 이 몸이 어떻게 위치하고 있거나 놓여져 있거나 간에 요소라는 이름으로 이 몸을 관찰한다.
'이 몸에는
1.땅의 요소..................................................................(pathav -dh tu)
2.물의 요소..................................................................(apo-dh tu)
3.불의 요소..................................................................(tejo-dh tu)
4.바람의 요소...............................................................(v yo-dh tu)
가 있다’라고.
자기 자신의 물질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더 쉽다. 왜냐하면 자기 자신의 물질(안의 물질)이 뜨거운지 또는 차가운지 단단한지 또는 부드러운지를 아는 것이 다른 사람의 물질(밖의 물질)을 아는 것보다 훨씬 쉽기 때문이다. 안의 물질을 식별하는 것이 능숙해지면 붓다께서 열거하셨던 나머지 10가지 물질을 식별해야 한다. 10가지는 과거, 현재 미래, 밖, 거친 것, 미세한 것, 저열한 것, 수승한 것, 먼 것, 가까운 것이다.
붓다께서는 궁극적 실재를 보게 하기 위해서 사대요소 명상을 가르치셨다. 먼저 그대는 4대요소의 각각의 특징들을 식별하는 능력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하나의 물질 덩어리로 특징들을 보아야 한다. 명상이 능숙해지고 집중이 깊어지면, 결국에는 깔라파를 볼 수 있다. 그러면 삼매의 빛이 나타나고, 그 빛을 이용해서 견고한 관념의 미망을 꿰뚫어보고 궁극적 실재를 볼 수 있다. 각 깔라파 속의 여러 가지 요소들을 분석하고 확인할 수 있다.
궁극적 정신 식별하라
궁극적 물질을 식별했으면, 이제 궁극적 정신을 관찰해야 한다. 감각토대나 감각의 문의 방법으로 정신을 식별할 수 있다. 이미 앞에서도 감각의 문의 방법으로 물질을 식별했기 때문에, 정신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해야 한다고 청정도론에서는 말한다. '이렇게 물질을 식별했을 때, 감각의 문에 따라서 정신을 식별하는 것은 훨씬 쉽다.' 주석서에서는 문의 방식을 식별하는 것이 혼란이 없다고 말한다.
감각토대의 방법으로 식별할 때, 감각토대에 의지해서 일어나는 마음과 마음부수를 식별해야 한다. 예를 들어, 눈의 토대(눈 투명요소)를 식별하고, 그리고 나서 눈의 토대에 의지해서 일어나는 안식(1)과 마음부수(7)를 식별해야 한다.
감각의 문의 방법으로 식별할 때에는 각 문에서 일어나는 인식과정에서 마음과 마음부수를 식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안문 인식과정에서 일어나는 마음과 마음부수를 식별해야 한다.
Vs.xviii N mar papariggaha Kath B664
VsTi. N mar papariggaha Kath 다섯 감각토대에서는 거기에 해당하는 식(識)만이 일어난다. 그러나 심장토대에서는 모든 식(識)이 다 일어난다. 인식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마음(識)에 대한 아비담마 이론에 친숙하지 않으면, 많은 혼란이 일어난다.
앞에서 언급했던 감각의 문과 대상을 다시 한번 나열해 본다.
1. 눈의 문 : 이것은 색깔(형상)이라는 대상을 취한다.
2. 귀의 문 : 이것은 소리라는 대상을 취한다.
3. 코의 문 : 이것은 냄새라는 대상을 취한다.
4. 혀의 문 : 이것은 맛이라는 대상을 취한다.
5. 몸의 문 : 이것은 감촉이라는 대상을 취한다.
6. 마음의 문(바왕가) : 이것은 앞의 다섯 감각의 문과 다섯 대상 그리고 법(마음의 대상)이라는 대상을 취한다.
여섯 가지 대상 중 하나가 그에 해당하는 문에 부딪칠 때, 일련의 마음(citta)이 일어난다. 그 마음에는 많은 마음부수(cetasik )가 따라 일어난다. 이것은 마음의 자연의 법칙(citta ni yma)에 따른 것이다. 그런 마음과 마음부수를 인식과정(v thi)이라 부른다. 이 인식과정에는 6가지가 있다.
1.눈의 문 인식과정..............................................(cakkhu-dv ra v thi)
2.귀의 문 인식과정..............................................(sata-dv ra v thi)
3.코의 문 인식과정..............................................(gh na-dv ra v thi)
4.혀의 문 인식과정..............................................(jivh -dv ra v thi)
5.몸의 문 인식과정..............................................(k ya-dv ra v thi)
6.마음의 문 인식과정...........................................(mano-dv ra v thi)
물질의 대상이 물질의 문에 부딪칠 때, 전오문(前五門)의 인식과정이 일어난다. 이것을 오문(五門)인식과정이라고 부른다.
전에 언급했듯이, 5가지 물질 대상 중 하나가 물질의 문에 부딪칠 때, 동시에 마음의 문(바왕가)에도 부딪친다. 그러면 오문(五門)과 의문(意門) 인식과정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색깔이 눈의 문(眼門)에 부딪칠 때, 동시에 마음의 문(意門)에도 부딪친다. 그러면 안문 인식과정이 일어나고, 이어서 의문 인식과정이 일어난다. 이것은 마음의 자연의 법칙에 따라서 일어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정신을 보기 위해서는 먼저 물질을 보아야 하는 것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인식과정을 보기 위해서는 먼저 감각의 문과 대상을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물질을 식별할 때 이미 관찰했었다.
정신을 식별할 때에는 먼저 인식과정의 종류를 식별해야 한다. 이것은 인식과정 속에 얼마나 많은 심찰라가 있는지 식별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하나의 인식과정에서 심찰라의 종류를 식별해야 한다. 그러나 심찰라를 식별했다고 해서 궁극의 실재를 본 것이 아니다. 물질 깔라파에서 견고한 관념의 미망을 깨뜨리는 것이 필요하듯이, 여기서도 인식과정이라는 견고한 관념의 미망을 깨뜨리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1.3 참조.
인식과정은 심찰라(citta kkhana)로 구성되어 있다. 심찰라는 마음과 마음부수가 일어나서 머물다 사라지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마음은 홀로 일어나지 않는다. 마음은 항상 마음부수와 함께 일어난다. 이와 마찬가지로 마음부수도 홀로 일어나지 않는다. 마음부수는 항상 마음과 함께 일어난다. 그래서 마음과 마음부수는 견고한 그룹으로 일어나는 것처럼 보인다. 이 견고한 관념을 깨뜨리기 위해서 각각의 심찰라를 분석하고, 개개의 마음과 마음부수를 보아야 한다. 그것이 궁극적 정신을 보는 것이다. 이것은 물질 요소를 보는 것보다 훨씬 미세하다. 그러나 이미 증득한 삼매의 강한 빛과 물질을 분석할 때 개발했던 식별력 때문에 쉽게 이 과정을 통과할 것이다.
정신은 89가지 마음과 52가지 마음부수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에 8가지 마음은 출세간의 마음(4가지 도의 마음과 4가지 과의 마음)이므로 제외한다. 그래서 81가지 중 하나와 관련된 마음부수가 위빠사나를 수행할 때 일어난다. 다른 말로 하면, 위빠사나 수행의 대상은 세간의 81가지 마음과 마음부수이고, 위빠사나 수행의 결과는 8가지 출세간의 마음이다.
81가지 마음에는 삼매가 포함된다. 그대가 삼매를 얻지 못했다면, 삼매의 마음은 식별할 수 없다. 사마타 수행을 하지 않고, 곧장 위빠사나를 수행한 순수 위빠사나 수행자라면, 삼매의 마음을 식별하는 것은 제외해야 한다.
대념처경에서 붓다께서는 식별 가능한 마음에 대해 설명하신다.
M.I.i.10
다시, 비구여, 어떻게 비구가 마음을 마음으로 관찰하면서 머무는가?
여기서, 비구들이여,
비구는 탐욕이 있는 마음을 탐욕이 있는 마음으로 알아차린다.
그는 탐욕에서 벗어난 마음을 탐욕에서 벗어난 마음으로 알아차린다.
그는 성냄이 있는 마음을 성냄이 있는 마음으로 알아차린다.
그는 성냄이 없는 마음을 성냄이 없는 마음으로 알아차린다.
그는 어리석음이 있는 마음을 어리석음이 있는 마음으로 알아차린다.
그는 어리석음이 없는 마음을 어리석음이 없는 마음으로 알아차린다.
그는 나태한 마음을 나태한 마음으로 알아차린다.
그는 산란한 마음을 산란한 마음으로 알아차린다.
그는 확장된 마음을 확장된 마음으로 알아차린다.
D.ii.9 확장된 마음은 색계와 무색계 선정에서 일어나는 마음이고, 확장되지 않은 마음은 욕계의 마음에서 일어난다.
그는 확장되지 않은 마음을 확장되지 않은 마음으로 알아차린다.
그는 열등한 마음을 열등한 마음으로 알아차린다.
그는 수승한 마음을 수승한 마음으로 알아차린다.
D.ii.9 열등한 마음은 욕계의 마음이고, 수승한 마음은 색계와 무색계에서 일어나는 마음이다.
그는 집중된 마음을 집중된 마음으로 알아차린다.
그는 집중되지 않은 마음을 집중되지 않은 마음으로 알아차린다.
D.ii.9 집중된 마음은 근접삼매와 본삼매의 마음이고, 집중되지 않은 마음은 삼매가 없는 마음이다.
그는 해탈한 마음을 해탈한 마음으로 알아차린다.
그는 해탈하지 않은 마음을 해탈하지 않은 마음으로 알아차린다.
D.ii.9 여기서 해탈한 마음은 삼매로 일시적으로 해탈한 마음을 말한다. 왜냐하면 장애는 삼매에 의해서는 해탈하지 못하고, 잠시 억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그는 안으로, 마음으로 마음을 관찰하면서 머문다.
또는
그는 밖으로, 마음으로 마음을 관찰하면서 머문다.
또는
그는 안팎으로, 마음으로 마음을 관찰하면서 머문다.
여기에서 붓다께서는 정신을 16가지 마음으로 구성하고 있음을 설명한다. 그것은 한 쌍으로 관찰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탐욕이 있는 마음과 탐욕에서 벗어난 마음을 있는 그대로, 여섯 감각의 문에서 안으로 밖으로 안팎으로 동시에 보아야 한다. 그리고 나면 궁극적 정신을 식별할 수 있고,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
삼청정(三淸靜)
정신-물질을 있는 그대로 보았다면, 삼청정을 실현해야 한다. 청정도론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Vs.xviii. di hi-visuddhi Niddesa B587
1.계청정(戒淸靜)..........................................................(s la visuddhi)
빠띠목카(계목)의 단속으로 시작하는 4가지 계율에 대한 청정이다.
4가지 청정한 계
1. 계목의 단속에 관한 계 : 비구의 경우 227계(북방은 250계)를 지키는 것을 말한다. 비구니, 사미, 사미니의 경우도 그에 해당하는 계를 지키는 것을 말한다.
2. 감각기능의 단속에 관한 계 : 대상이 감각기관을 두드릴 때, 탐욕 등의 마음이 일어나지 않도록 마음챙김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3. 생계 청정에 관한 계 : 탁발을 통해 음식을 구하거나, 정당한 방법으로 생필품을 구하고, 부적당한 방법으로 구하거나 청정치 못한 필수품을 피해야 한다.
4. 필수품에 관한 계 : 4가지 필수품(음식, 의복, 거처, 약)에 대한 탐욕을 버리고, 법답게 구한 필수품을 통찰지로써 반조한 뒤 수용하는 것을 말한다. (역주)
2.심청정(心淸靜)..........................................................(citta visuddhi)
근접삼매와 본삼매(8선정)를 말한다.
3.견청정(見淸靜)..........................................................(di hi visutthi)
정신-물질을 정확히 보는 것이다.
두 번째와 세 번째 성스런 진리를 알고 보라
닙바나를 얻기 위해서,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를 보아야 한다. 이 진리에 대한 붓다의 설명은 담마짝깝빠 숫따에 나온다.
S.V.XII.ii.1 전법륜경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이다.
즐거움과 탐욕이 함께 하며,
여기저기서 즐거움과 탐욕을 구하면서,
새로운 탄생으로 이끄는 것은,
바로 이 갈애이다.
1.감각적 쾌락에 대한 갈애..................................(k mata h ),
2.존재에 대한 갈애..............................................(bhavata h ),
3.단멸(斷滅)에 대한 갈애.....................................(vibhavata h )
붓다께서는 12연기로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를 자세히 설명하신다.
A.III.II.ii.1 Titth yatana Sutta
비구들이여, 무엇이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인가?
■무명을 조건으로
■상카라(의지적 형성력)가,
■상카라를 조건으로 식(識)이,
■식을 조건으로 정신-물질이,
■정신-물질을 조건으로 여섯 감각토대가,
■여섯 감각토대를 조건으로 접촉이,
■접촉을 조건으로 느낌이,
■느낌을 조건으로 갈애가,
■갈애를 조건으로 취착이,
■취착을 조건으로 존재가,
■존재를 조건으로 태어남이,
■태어남을 조건으로 늙음, 죽음, 슬픔, 비탄, 괴로움, 절망이 일어난다.
이것이 괴로움의 원인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을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라고 부른다.
이것을 있는 그대로 알고 보려면, 한 생에서 5가지 원인(무명, 상카라, 갈애, 취착, 존재)이 어떻게 재생을 일으키는지 보아야 하고, 그 재생의 5가지 결과(식, 정신-물질, 여섯 감각토대, 접촉, 느낌)를 보아야 한다. 이 진행과정이 금생에서 다음 생으로 어떻게 계속되는지 보아야 한다.
세 번째 성스런 진리를 알고 보라
그러나 현상의 일어남만으로 연기를 보는 것으로는 충분치 않다. 또한 현상의 소멸을 보아야 한다.
A.III.II.ii.1 Titth yatana Sutta
비구들이여, 무엇이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런 진리인가?
■무명의 소멸로
■상카라(의지적 형성력)가 소멸하고,
■상카라의 소멸로 식이 소멸하고,
■식의 소멸로 정신-물질이 소멸하고,
■정신-물질의 소멸로 여섯 감각토대가 소멸하고,
■여섯 감각토대의 소멸로 접촉이 소멸하고,
■접촉의 소멸로 느낌이 소멸하고,
■느낌의 소멸로 갈애가 소멸하고,
■갈애의 소멸로 취착이 소멸하고,
■취착의 소멸로 존재가 소멸하고,
■존재의 소멸로 태어남이 소멸하고,
■태어남의 소멸로 늙음, 죽음, 슬픔, 비탄, 괴로움, 절망이 소멸한다.
이것이 괴로움의 완전한 소멸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을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런 진리라고 부른다.
심찰라와 심찰라 사이에 일어나는 현상이 찰라간에 소멸하는 것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세간의 괴로움의 진리를 보는 것이다. 계속해서 미래에 아라한과를 얻을 때까지 그리고 빠리닙바나에 이를 때까지 관찰해야 한다.
미래에 아라한에 도달하면 무명은 부서져 나간다. 무명이 소멸하면 상카라, 갈애, 취착이 남김없이 소멸한다. 그러면 괴로움의 원인이 소멸된 것이다. 그러나 괴로움 그 자체는 아직 소멸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과거의 업의 결과가 여전히 작용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붓다께서도 오온이 남아 있고, 즐겁고 괴로운 느낌으로 고통 받았다. 오온이 남김없이 소멸하는 것은 빠리닙바나 때이다. 괴로움이 소멸하는 것은 빠리닙바나 때이다. 이것은 2가지 소멸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 아라한과를 증득했을 때의 소멸.
2. 빠리닙바나 때의 소멸.
이 2가지 소멸의 원인은 아라한도의 지혜이다. 그 지혜가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런 진리, 즉 닙바나를 알고 본다. 그러나 지금 이 단계에서는 아라한의 증득이나 빠리닙바나를 보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여기서는 닙바나를 볼 수 없고, 현상을 일으키는 5가지 원인이 소멸하는 때를 보는 것이다. 거기에는 더 이상 일어나는 현상이 없다. 그 지혜로 빠리닙바나가 실현될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이다.
이렇게 보지 않고는 사문과 바라문의 목표인 닙바나를 실현할 수 없다고 붓다께서 말씀하신다.
S.II.ii.3 Sama abr hma a Sutta
비구들이여, 그러한 사문과 바라문들은
늙음과 죽음을 알지 못한다.
그들은 늙음과 죽음의 원인을 알지 못한다.
그들은 늙음과 죽음의 소멸을 알지 못한다.
그들은 늙음과 죽음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알지 못한다.
그들은 태어남을 알지 못한다. 존재를…. 갈애를…. 취착을…. 느낌을…. 접촉을…. 여섯 감각토대를…. 정신-물질을…. 식을…. 상카라, 이것의 기원, 이것의 소멸 그리고 이것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모른다. 이들을 나는 사문으로서 올바른 사문, 바라문으로서 올바른 바라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런 사람들은 스스로의 지혜로 이 진리를 깨달아서 금생에서 사문과 바라문의 목표에 들어가서 안주하지 못한다.
그러나 그대들은 수행의 목표에 들어가서 안주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대들은 삼매를 개발했기 때문이다. 붓다께서는 칸다쌍윳따의 사마디 숫따에서 삼매를 강조하신다.
S.III.I.i.5
비구들이여, 삼매를 개발하라. 삼매를 얻으면 비구는 담마(사성제)를 있는 그대로 안다.
그가 무엇을 있는 그대로 아는가?
물질의 일어남과 사라짐.
느낌의 일어남과 사라짐.
지각의 일어남과 사라짐.
상카라의 일어남과 사라짐.
마음(識)의 일어남과 사라짐이다.
연기를 알고 보라
지혜의 광휘, 빛남, 빛, 광채, 밝음이 정신-물질을 따라서 현재로부터 금생의 탄생의 순간으로, 전생의 죽음의 순간까지 되돌아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같은 방법으로 수많은 과거 생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또한 미래를 들여다보고, 자신의 빠리닙바나의 시간까지 올라갈 수 있다. 그리고 정신-물질의 구성요소를 관찰함으로써 원인과 결과를 식별할 수 있다.
부지런히 정진해서 삼매를 얻고, 강한 삼매로 마음을 정화하고, 그 정화된 마음으로 궁극적 정신-물질을 식별할 수 있게 되면, 미래의 어느 날 마지막 소멸인 닙바나를 보게 될 것이다. 그러나 수행을 중도에서 멈추게 되면 조건은 변화하게 된다. 이 경우 미래의 결과도 또한 변하게 된다.
이것의 좋은 예가 보석상인의 아들 마하다나와 그의 아내의 경우이다. 그들은 둘 다 많은 재산을 상속받았다. 그러나 마하다나는 술과 오락으로 재산을 탕진했다. 결국 그와 그의 아내는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게 되었고, 길거리에서 구걸하는 신세가 되었다. 붓다께서는 그것을 보고 아난다에게 설명하셨다. '만약 마하다나가 젊었을 때, 비구가 되었다면 아라한이 되었을 것이고, 그가 중년의 나이에 비구가 되었다면 아나함이 되었을 것이다. 그가 장년의 나이에 비구가 되었다면 사다함이 되었을 것이다. 그것이 그의 바라밀이었다. 그러나 술 때문에 그는 아무것도 얻지 못하고 길거리에서 지금 거지가 되었다. 이것은 우리의 미래가 현재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Dhp.A.xi.9 Mah dhanase hiputtavatthu(보석상인의 아들 마하다나의 경우)
그것이 이유이다. 깊은 명상을 끊임없이 수행할 때에 금생이나 미래에 자신의 빠리닙바나를 보게 될 것이다. 과거생과 미래생을 보지 않고, 연기를 있는 그대로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 어떻게 과거의 원인이 현재의 결과를 낳고, 현재의 원인이 미래의 결과를 가져오는지, 그리고 어떻게 원인의 소멸이 결과의 소멸을 가져오는지 알고 보는 것이 연기를 있는 그대로 알고 보는 것이다. 연기를 보지 않고서,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를 알고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것이 청정도론에 설명되어 있다.
Vs.xvii. Bhav c kka Kath B659
거기에는 아무것도 없다,
꿈속에서 조차도.
무시무시한 윤회로부터 벗어날 자 아무도 없다,
벼락처럼 모든 것을 파괴하는 윤회로부터.
장엄한 삼매의 숫돌위에 잘 갈려진 지혜의 칼로
냉엄하게 잘라버리지 않는 한,
깊은 심연 때문에 바닥조차 보이지 않는 존재의 바퀴,
거기에서 방법의 미로 때문에 벗어나기가 힘들다.
붓다께서는 다음과 같이 설하셨다.
이 연기는 심오하다, 아난다여.
심오하게 나타난다, 아난다여.
이것을 사람들은 알지 못하고, 꿰뚫어 보지 못한다.
이 세대는 갈대 침대의 밑바닥에 깔린
헝클어진 실타래, 뒤얽힌 실꾸러미 되어,
윤회로부터 벗어나는 길을 발견하지 못한다.
상실의 상태, 불행한 목적지…, 지옥.
두 번째 성스런 진리인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를 있는 그대로 알고 보았다면, 시간을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누는 것에 대한 의심을 극복했을 것이다. 이것에 대해 청정도론에서 설명하고 있다.
Vs.xix Paccayapariggaha Kath B679
이렇게 정신-물질의 일어남이 조건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면, 과거에도 역시 조건에 의해서 일어났고, 미래에도 또한 조건에 의해서 일어날 것이라고 안다.
이 단계에 도달하면 의심의 극복에 의한 청정을 실현한 것이다. 위빠사나 수행의 시작은 이 단계부터이다. 왜냐하면 궁극적 실재를 알고 보는 것은 이 단계이기 때문이다. 담마(사성제)를 있는 그대로 보지 않는 한, 위빠사나를 수행할 수 없다.
위빠사나를 수행하라
위빠사나 수행을 시작할 때, 다시 되돌아가서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 11가지 정신-물질의 일어남과 사라짐을 알고 보아야 한다. 특히, 이때는 이것들의 무상 고 무아를 알고 보아야 한다. 현상을 있는 그대로 보고, 붓다께서 두 번째 설법에서 말씀하신 가르침에 따라 숙고해야 한다. 붓다의 두 번째 설법이 아낫따락카나 숫따에 나온다.
S.III.I.II.i.7
어떻게 생각하는가? 비구들이여,
물질이 무상한가 아니면 영원한가?
(무상합니다, 세존이시여.)
그 무상한 것이 괴로움인가 아니면 즐거움인가?
(괴로움입니다, 세존이시여.)
그 무상하고, 괴롭고, 변하기 마련인 것을 '이것은 나의 것이다. 이것이 나다. 이것이 나의 자아다.' 이렇게 보는 것이 옳은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그래서 비구들이여, 어떤 종류의 물질이 있든지 간에, 과거의 것이든, 현재의 것이든, 미래의 것이든, 안의 것이든, 밖의 것이든, 거친 것이든, 미세한 것이든, 저열한 것이든, 수승한 것이든, 먼 것이든, 가까운 것이든, 모든 물질을 올바른 지혜로 있는 그대로 보아야 한다. '이것은 나의 것이 아니다. 이것은 내가 아니다. 이것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 이렇게 보아야 한다.
칸노와다 숫따의 주석서에는 이렇게 설명되어 있다.
'이것은 나의 것이 아니다'는 무상에 대한 고찰이다.
'이것은 내가 아니다'는 괴로움에 대한 고찰이다.
'이것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는 무아에 대한 고찰이다.
어떤 종류의 느낌이 있든지 간에…. 어떤 종류의 지각이 있든지 간에…. 어떤 종류의 상카라가 있든지 간에…. 어떤 종류의 식이 있든지 간에…. 이렇게 올바른 지혜로 있는 그대로 보아야 한다. '이것은 나의 것이 아니다, 이것은 내가 아니다, 이것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
다른 말로 하면, 현상(상카라), 즉 정신-물질과 그 원인은 일어나자마자 사라진다. 그것이 무상인 이유이다. 그것들은 끊임없이 일어나고 사라지기 마련이다. 이것이 괴로움인 이유이다. 그것들은 자아 또는 고정된 실체가 없다. 그것이 무아인 이유이다.
형성되지 않는 것(無爲法)을 알고 보라
현상의 일어남과 사라짐을 관찰하고, 그 다음에 현상의 사라짐만을 관찰하고 나면, 이제 나머지 지혜를 통해 진보해야 한다. 그러면 결국에는 형성되지 않은 것, 닙바나를 알고 보게 될 것이다. 형성되지 않은 것(無爲法)을 보게 될 때, 불멸(Amata)을 보게 된다. 이것을 붓다께서 설명하신다.
Sn.v.15 Moghar jam avapucch (젊은 바라문 모가라자의 질문)
그에게 세상을 비어있는 것으로 보게 하라.
이렇게, 모가라자여, 항상 마음을 챙겨라.
그는 자아에 대한 믿음을 포기함으로써,
죽음의 손아귀에서 벗어날 수 있다.
죽음의 왕도 그 사람을 볼 수 없다,
이런 식으로 세상을 보는 사람을.
붓다께서 세상을 비어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말씀하실 때, 영원한 것의 비어있음, 행복의 비어있음, 자아의 비어있음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상적인 말로 한다면, 절대 영을 보아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음이 절대 영이라는 것은 아니다. 마음은 완전히 깨어 있어야 한다. 마음이 보는 것은 절대 영이라는 대상이다. 마음이 완전히 알아차리는 대상은 닙바나 요소, 즉 형성되지 않은 것(무위법)이다. 8가지 요소 모두(팔정도)가 닙바나를 대상으로 택할 때, 이것이 출세간의 팔정도를 실현한 것이다.
사성제(四聖諦)를 완전히 깨달으라
사성제를 있는 그대로 깨닫거나, 깨달을 조건이 갖추어지는 것이 이 단계이다. 붓다께서는 어떠한 조건이 괴로움의 완벽한 소멸을 가능하게 하는지 꾸따가라 숫따에서 설명하신다.
S.V.XII.v.4 Pinnacled House Sutta
결국,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이 '나는 작은 뾰쪽 탑에 방을 만들고 나서 지붕을 얹겠다'라고 말한다면, 그러한 일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어떤 사람이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를 있는 그대로 깨닫고 나서,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를 있는 그대로 깨닫고 나서,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런 진리를 있는 그대로 깨닫고 나서,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런 진리를 있는 그대로 깨닫고 나서,
'나는 완벽하게 괴로움을 끝내겠다.'라고 말한다면, 그러한 일은 가능하다.
그리고 붓다께서는 덧붙이셨다.
그래서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이다'라고 깨닫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서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일어남이다'라고 깨닫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서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이다'라고 깨닫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서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이다'라고 깨닫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모든 존재들이 괴로움을 완전히 끝내기 위해 노력하기를!
모든 존재들이 사성제(四聖諦)를 깨닫기를!
파아욱 또야 사야도
파아욱 또야 명상센터
역자후기
내가 미얀마에 온지도 1년이 다 되간다. 이곳저곳 명상센터를 전전해 봤다. 대부분의 명상센터는 수도 양곤에 있거나 그 근방이어서 도시 특유의 번잡스러움과 시끄러움이 있다. 하기야 시골이라 해도 이곳저곳에서 틀어 대는 확성기 소리에 시끄럽기는 마찬가지다.
여기는 양곤에서 저녁 7시에 버스를 타면, 그 뒷날 아침에 떨어지는 먼 바닷가 쪽 몰라민이라는 곳이다. 미얀마에는 산도 흔하지 않지만 여기 이 명상센터는 산 속에 위치하고 있다. 절이 그런대로 풍수지리에 따라서 좌청룡 우백호의 중앙에 명상홀이 들어서 있고, 거기서 100개의 계단 아래로부터 수행자의 거주처인 꾸띠(오두막집)가 늘어서 있다. 이곳이 사마타 수행을 하기에 가장 중요한 요건인 고요함이 유지되는 곳이다.
이곳 생활은 아침 3시 30분 기상 목탁이 울리면서 하루가 시작된다. 하루에 5번 1시간 30분 또는 2시간씩 명상홀에 올라가 명상을 한다. 그 외에는 혼자 명상을 하든지 휴식을 취하든지 마음대로이다. 아침과 점심 공양은 탁발 복장으로 15분 거리의 공양간에 가서 음식을 받는다. 음식은 자기 꾸띠로 돌아가서 먹든지 아니면 공양간에서 먹든지 자유다. 식사는 채식이며 일체 고기는 먹지 않는다.
이곳은 다른 명상센터와 달리 인터뷰도 그렇게 강제적이거나 규칙적이지만은 않다. 자기가 의심이 나거나 경계가 일어나면 언제든지 가서 물을 수 있다. 초기에는 별로 물을 일이 안 생기겠지만, 수행이 진보되어 니밋따가 뜨기 시작하면 자주 찾아가서 점검을 받아야 한다.
이곳 사야도의 수행이론은 빈틈이 없고 치밀하다. 온갖 경전이나 청정도론 등에서 그 근거를 제시한다. 그 때문에 여기에 의심이 전혀 없으며, 오히려 이 공부방법이 진정한 붓다의 정통 수행법이라는 느낌이 팍 온다.
한국에는 이 명상센터의 수행법이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대부분 마하시 계열의 수행법이 알려져 있고, 거기서 대체로 수행체험을 하고 간다. 그래서 미얀마에는 그것이 전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나는 이 새로운 수행법을 접하고서 이것이야 말로 모든 사람이 밟아야 할 정통 풀코스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쉬는 시간에 망상 떨지 말고, 이 책을 번역하여 한국에 소개하고픈 강한 욕구가 일어났다. 혹시 화두 수행으로 성취가 별로 없는 수행자가 이 수행법과 과거의 인연이 있었다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화두나 염불이나 주력 등 여러 가지 수행을 하던 중에 니밋따나 광명이 일어나는 현상이 일어나면, 우리나라에서는 그것을 무시해 버려서 아까운 기회를 놓쳐 버리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그 니밋따를 이용해서 사선정을 성취한다면, 그 다음 단계는 아주 쉬워질 것이고, 세세생생 수행의 기초가 될 것이다.
번역을 시작할 때는 의도도 좋고 의욕도 있었지만, 수행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에 번역을 했기에 기간이 오래 걸리고 점점 의욕은 사그라들고 지루해져 갔다. 하지만 성취욕과 진정한 부처님의 가르침이란 이런 것이다라는 것을 한국에 알려야 한다는 투철한 사명감으로 이 책을 마무리 짓는다.
내가 남방불교를 접한 기간도 짧고 아는 것도 별로 없어서 혹시 번역이 잘못될 가능성이 많다. 책에 인용한 경전 문구는 일체 다른 번역책을 참고하지 않고 그냥 영어 원문을 그대로 번역했기 때문에 단어는 틀릴 수도 있을 것이다. 독자 여러분은 이 점을 이해하시고, 나는 미리 죄송하다는 말씀을 올린다.
이 책이 너무 어려우시면 2~3번 읽어 주시기 바라고 아비담마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다른 책을 참고 하시기 바란다.
이 책은 판매용이 아닌 법보시용으로 사야도의 허락을 받았기 때문에 서점에서는 구할 수 없을 것이다.
누구든지 이 책을 법보시 용으로 출판하실 분은 역자의 허락을 받지 않고 출판해서 공덕을 쌓기 바란다. 다만 내용은 변경해서는 안 된다.
이 책을 번역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신 지산 스님과 교정을 보아 주신 김지영보살님 그리고 출판을 맡으신 지운스님 그 외에 같이 정진하시는 여러 스님께 감사드린다.
불기 2547년 11월
미얀마 파아욱에서
무념 합장
파아욱 명상 센터에 관한 정보
주소
Pa-Auk Forst Monastery
c/o Major Kan Saing (Rtd.)
653 Lower Main Road
Malamyine Myanmar
찾아가는 길
양곤에서 고속버스 정류장에서 몰라민으로 가는 에어컨 버스가 매일 저녁 7시에 출발해서 그 뒷날 아침 7시 30분에 도착한다. 버스는 여러 가지 회사가 있는데 아웅 익스프레스가 우등고속이어서 편하다. 거리는 양곤에서 187마일이지만 미얀마의 도로 사정이 별로 좋지 않아서 한나절이 걸린다. 비행기는 일주일에 한번 뜬다. 파아욱 명상센터는 몰라민에서 택시를 타면 기본요금으로 갈 수 있다.
준비물
비상약 : 감기약(특히 목감기에 잘 걸린다), 지사제, 이질약, 밴드, 기타.
사진 : 비자연장을 위한 여권용 사진 12매 이상, 오래 살 사람은 여유있게 준비하자.
큰 우산 : 우기에는 비가 양곤의 2배 이상 내린다. 비가 오지 않은 날이 거의 없다.
전기담요, 밍크담요, 배게 : 우기(6~9월)나 겨울(12~2월)은 춥다. 그리고 절에서 주는 침구는 깔끔한 한국인들은 사용하기가 힘들다.
휴대용 정수기 : 브리타 정수기가 가장 좋다고 한다. 필터도 오래 살고자 하는 사람은 그 기간만큼 준비하자. 미얀마 등 열대 지방은 물에 석회수가 섞여 있고, 불순물이 많아서 그냥 먹으면 배탈 설사를 피할 수 없다.
전기 포트 : 안전을 위해 물은 반드시 끊여 먹도록 하자.
기타 : 손전등, 수건, 슬리퍼 등
미얀마 다른 지역에 비해 전기 사정은 좋아서 24시간 전기가 공급된다. 전원은 220볼트이다.
브리타 정수기, 전기담요, 약은 한국에서 구입해야 하며, 나머지는 미얀마에서 구입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다.
명상
공식적인 좌선 시간은 다음과 같다. 정해진 시간 이외에도 계속 정진할 수 있다.
오전 : 4:00~5:30, 7:00~9:00
오후 : 12:30~2:00, 3:00~4:30, 6:00~7:30
인터뷰는 비구와 남자요기는 파아욱 사야도께서 직접 지도해 주시고. 비구니와 여자요기는 젊은 사야도께서 지도해 주신다. 처음에는 이틀에 한 번 나중에는 일주일에 두 번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언어는 영어와 미얀마를 사용한다. 통역이 없기 때문에 언어가 통하지 않는 사람은 아예 가지 않는 것이 좋다.
무인아제 님의 블로그 http://blog.daum.net/moonceo/357 에서 복사한 글임을 밝힙니다.
'참수행법(간화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선(參禪) 수행 (0) | 2018.02.04 |
---|---|
불법의 교학(敎學)적 이해 (0) | 2018.02.04 |
법문7. 닙바나를 얻기 위해 통찰지를 개발하는 방법, 일어남과 사라짐의 지혜를 개발하는 방법 (0) | 2018.01.28 |
법문5. 정신을 분석하는 방법, 법문6. 12연기를 관찰하는 방법 (0) | 2018.01.28 |
법문4. 물질을 식별하는 방법 (0) | 2018.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