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룽꺄 긴 경
Mn64 MAJJHIMA NIKâYA II II. 2. 4. Mahàmàlunkhyaputtasuttaü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에 세존께서는 사왓티의 제따 숲에 있는 아나타삔디까 승원에
머물고 계셨다. 거기에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라고. 그러자 비구들도
받들었다. "세존이시여."라고.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내가 설한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기억하고 있는가?"
이렇게 말씀하셨을 때 말룽꺄뿟따 존자가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저는 세존께서 설하신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말룽까뿟따여, 그대는 내가 설한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는가?"
"세존이시여, 저는 [불변하는] 존재 더미가 있다는 견해[有身見]를 세존께서 설하신 낮은 단계의 족쇄라고 기억하고 있습니다.
세존이시여, 저는 의심을 세존께서 설하신 낮은 단계의 족쇄라고 기억하고 있습니다.
세존이시여, 저는 계행과 의례의식에 대한 집착을 세존께서 설하신 낮은 단계의 족쇄라고 기억하고 있습니다.
세존이시여, 저는 감각적 쾌락을 세존께서 설하신 낮은 단계의 족쇄라고 기억하고 있습니다.
세존이시여, 저는 성냄(악의)를 세존께서 설하신 낮은 단계의 족쇄라고 기억하고 있습니다.
세존이시여, 저는 이와 같이 세존께서 설하신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말룽까뿟따여, 그대는 내가 누구에게 이런 식으로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설했다고
기억하고 있는가?
말룽까뿟따여, 그렇게 되면 참으로 다른 외도 유행승들이 어린아이의 비유로써 그대를 논박하지
않겠는가?"
말룽깟뿟따여, 참으로 어리고 유약하고 아직 뒤척이지도 못하고 반듯하게 누워만 있는 갓난
아이에게는 [불변하는] 존재더미라는 생각조차도 없는데 어떻게 [불변하는] 존재더미가 있다는 견해[有身見]가 생기겠는가? 그러나 그 아이에게는 [불변하는] 존재 더미가 있다는 견해가
잠재성향으로 내재해있다.
말룽까뿟따여, 참으로 어리고 유약하고 아직 뒤척이지도 못하고 반듯하게 누워만 있는 갓난
아이에게는 법이라는 생각조차도 없는데 어떻게 법에 대한 의심이 생기겠는가?
그러나 그 아이에게는 의심의 잠재성향이 잠재해있다.
말룽까뿟따여, 참으로 어리고 유약하고 아직 뒤척이지도 못하고 반듯하게 누워만 있는 갓난
아이에게는 계율이라는 생각조차 없는데, 어떻게 계율들에 대해 계행과 의례의식에 대한
집착이 생기겠는가? 그러나 그 아이에게는 계행과 의례의식에 대한 집착의 잠재성향이 잠재해
있다.
말룽까뿟따여, 참으로 어리고 유약하고 아직 뒤척이지도 못하고 반듯하게 누워만 있는 갓난
아이에게는 감각적 쾌락이라는 생각조차도 없는데 어떻게 감각적 쾌락들에 대해 감각적 쾌락이
생기겠는가? 그러나 그 아이에게는 감각적 쾌락의 잠재성향이 잠재해있다.
말룽까뿟따여, 참으로 어리고 유약하고 아직 뒤척이지도 못하고 반듯하게 누워만 있는 갓난
아이에게는 중생이라는 생각조차 없는데 어떻게 중생들에 대해 성냄이 생기겠는가? 그러나
그 아이에게는 성냄의 잠재성향이 잠재해있다.
말룽까뿟따여, 그렇게 되면 참으로 다른 외도 유행승들이 이러한 어린아이의 비유로써 그대를
논박하지 않겠는가?"
이렇게 말씀하셨을 때 아난다 존자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지금이 바로 그때입니다. 선서시여, 지금이 세존께서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해주실 바로 그때입니다. 세존으로부터 배워서 비구들은 잘
마음속에 새길 것입니다."
"비구들이여, 그렇다면 잘 듣고 잘 마음에 잘 새기도록하라. 나는 설하리라."
"그러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세존께 대답했다.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말씀하셨다.
2. "아난다여, 여기 거룩한 이를 알아보지 못하고 거룩한 가르침(法)을 알지 못하고 거룩한
가르침을 배우지 못한 무지한 보통사람(범부)이 있다. 그는 훌륭한 스승을 알아보지 못하고
훌륭한 스승의 가르침을 알지 못하고 훌륭한 스승의 가르침을 배우지 못해, 그의 마음이
[불변하는] 존재 더미가 있다는 견해[有身見]에 압도되고 [불변하는] 존재더미가 있다는 견해에 사로잡히며, 이미 일어난 [불변하는] 존재 더미가 있다는 견해에서 벗어남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지 못한다. 그 [불변하는] 존재 더미가 있다는 견해가 견고하여 제거되지 않으면, 그것이
그에게 낮은 단계의 족쇄가 된다.
그의 마음이 의심에 압도되고 의심에 사로잡히며, 이미 일어난 의심에서 벗어남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지 못한다. 그 의심이 견고하여 제거되지 않으면, 그것이 그에게 낮은 단계의 족쇄가
된다.
그의 마음이 계행과 의례의식에 대한 집착[戒禁取]에 압도되고 계행과 의례의식에 대한 집착에
사로잡히며, 이미 일어난 계행과 의례의식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남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지
못한다. 그 계행과 의례의식에 대한 집착이 견고하여 제거되지 않으면, 그것이 그에게 낮은
단계의 족쇄가 된다.
그의 마음이 감각적 쾌락에 압도되고 감각적 욕망에 사로잡히며, 이미 일어난 감각적 욕망에서
벗어남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지 못한다. 그 감각적 욕망이 견고하여 제거되지 않으면,
그것이 그에게 낮은 단계의 족쇄가 된다.
그의 마음이 성냄에 압도되고 성냄에 사로잡히며, 이미 일어난 악의에서 벗어남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지 못한다. 그 성냄이 견고하여 제거되지 않으면, 그것이 그에게 낮은 단계의 족쇄가
된다."
3. "아난다여, 여기 거룩한 이를 알아보고 거룩한 가르침(法)을 알고 거룩한 가르침을 배운
성스러운 제자가 있다. 그는 훌륭한 스승을 알아보고 훌륭한 스승의 가르침을 알고 훌륭한 스승의 가르침을 배워, 그의 마음이 [불변하는] 존재 더미가 있다는 견해에 압도되지 않고 [불변하는]
존재 더미가 있다는 견해에 사로잡히지 않으며, 이미 일어난 [불변하는] 존재 더미가 있다는
견해에서 벗어남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그 [불변하는] 존재 더미가 있다는 견해는
잠재성향과 더불어 그에게서 완전히 제거된다.
그의 마음이 의심에 압도되지 않고 의시메 사로잡히지 않으며, 이미 일어난 의심에서 벗어남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그 의심이 잠재성향과 더불어 그에게서 완전히 제거된다.
그의 마음이 계행과 의례의식에 대한 집착[戒禁取]에 압도되지 않고 계행과 의례의식에 대한
집착에 사로잡히지 않으며, 이미 일어난 계행과 의례의식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남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그 계행과 의례의식에 대한 집착이 잠재성향과 더불어 그에게서 완전히
제거된다.
그의 마음이 감각적 쾌락에 압도되지 않고 감각적 쾌락에 사로잡히지 않으며, 이미 일어난 감각적 쾌락에서 벗어남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그 감각적 쾌락이 잠재성향과 더불어 그에게서
완전히 제거된다.
그의 마음이 성냄에 압도되지 않고 성냄에 사로잡히지 않으며, 이미 일어난 성냄에서 벗어남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그 성냄이 잠재성향과 더불어 그에게서 완전히 제거된다."
4. "아난다여,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바른 길과 닦음이 있는 바,
어떤 사람이 그 바른 길과 닦음을 따르지 않고도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알게 되고
보게 되고 제거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근거가 없다.
아난다여, 예를 들면 고갱이를 가진 큰 나무가 서 있는데 외피를 자르지 않고 겉재목[白木質]을
자르지 않고도 심지를 자를 것이라는 것은 근거가 없는 것과 같다.
아난다여, 그와 같이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비른 길과 닦음이
있는 바, 어떤 사람이 그 바른 길과 닦음을 따르지 않고도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알게
되고 보게 되고 제거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근거가 없다.
아난다여,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바른 길과 닦음이 있는 바, 어떤
사람이 그 도와 도닦음을 따라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알게 되고 보게 되고 제거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근거가 있다.
아난다여, 예를 들면 고갱이를 가진 큰 나무가 서 있는데 외피를 자르고 겉재목을 자른 뒤
심지를 자를 것이라는 것은 근거가 있는 것과 같다.
아난다여, 그와 같이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바른 길과 닦음이
있는 바, 어떤 사람이 그 바른 길과 닦음을 따라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알게 되고
보게 되고 제거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근거가 있다."
"아난다여, 예를 들면 강가 강이 물로 가득 차있어 까마귀가 마실 수 있을 만큼 넘실댄다 하자.
이제 허약한 사람이 와서 '나는 두 팔로 헤엄을 쳐서 이 강가 강의 흐름을 가로질러 안전하게
저 언덕에 도착하리라.'라고 하더라도 그느 두 팔로 헤엄을 쳐서 강가 강의 흐름을 가로질러
안전하게 저 언덕에 도착하지 못하는 것과 같다.
아난다여, 그와 같이 존재 더미의 소멸을 위해 어떤 사람에게 법이 설해질 때 그의 마음이 그것에 드러가지 못하고 깨끗한 믿음을 가지지 못하고 안정되지 못하고 해탈하지 못한다면 그는 마치
저 허약한 사람과 같다고 여겨야 한다.
아난다여, 예를 들면 강가 강이 물로 가득 차있어 까마귀가 마실 수 있을 만큼 넘실댄다 하자.
이제 힘쎈 사람이 와서 '나는 두 팔로 헤엄을 쳐서 이 강가 강의 흐름을 가로질러 안전하게 저
언덕에 도착하리라.'라고 하면 두 팔로 헤엄쳐서 강가 강의 흐름을 가로질러 안전하게 저 언덕에
도착하는 것과 같다.
아난다여, 그와 같이 존재 더미의 소멸을 위해 어떤 사람에게 법이 설해질 때 그의 마음이 그것에 들어가고 깨끗한 믿음을 가지고 안정되고 해탈하면 그는 마치 저 힘센 사람과 같다고 여겨야
한다."
5. "아난다여, 그러면 무엇이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제거하기 위한 바른 길과 닦음인가?
아난다여, 여기 비구는 재생의 근거를 멀리 여의고 해로운 법들을 제거하고 몸의 무력증을
완전히 가라앉혀서 감각적 쾌락으로부터 멀어지고 선하지 않은 법[不善法]으로부터 멀어져, 거친 사유(일으킨 생각.尋)와 미세한 사유(지속적인 고찰.伺)을 지닌, 멀어짐(분리)으로부터 생겨난
기쁨[喜.희열]과 즐거움[樂.행복]이 있는 초선(初禪)에 들어 머문다.
그는 거기에 있는 물질과 느낌과 인식과 형성과 의식이라면 그것이 어떠한 것이든 그
법들은 모두 무상하다고 괴로움이라고 병이라고 종기라고 쇠살이라고 재난이라고 질병이라고
남[他]이라고 부서지기 마련인 것이라고 공한 것이라고 무아라고 바르게 관찰한다.
그는 이런 법들에서 마음을 돌려버린다. 그는 이런 법들에서 마음을 돌린 뒤 불사(不死)의 경지로 마음을 향하게 한다.[이것이 一致/合致/집중임.] '이것은 고요하고 이것은 수승하다. 이것은 모든 형성된 것들[行]이 가라앉음[止]이요, 모든 재생의 근거를 놓아버림[放棄]이요, 갈애의
멸진이요, 탐욕의 사라짐[離慾]이요, 소멸[滅]이요, 열반이다.'라고.
그는 여기에 확고하게 머물러 번뇌의 소멸을 얻는다[阿羅漢]. 만일 번뇌의 소멸을 얻지
못하더라도 이 법을 좋아하고 이 법을 즐기기 때문에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를 완전히
없애고 [정거천에] 화생하여 그곳에서 완전한 열반에 들어 그 세계에서 다시 돌아 오지 않는
법을 얻는다[不還者].
아난다여, 이것이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제거하기 위한 바른 길과 닦음이다.
"아난다여, 다시 비구는 거친 사유와 미세한 사유가 가라앉아, 안으로 고요해지고, 마음이 한 곳에 고정되어(心一境性), 거친 사유와 미세한 사유가 없는 삼매로부터 생겨난 기쁨과 즐거움이 있는
제2선(二禪)에 들어 머문다. …
아난다여, 다시 비구는 기쁨을 떠나 평정이 머무는, 마음챙김과 알아차림(正念.正知)을 지녀,
즐거움을 몸으로 느끼는, 거룩한 이들이 말하는 바, '평정과 마음챙김을 지녀 즐거움이 머문다.' 고 하는 제3선(三禪)에 들어 머문다. …
아난다여, 다시 비구는 즐거움이 끊어지고 괴로움이 끊어져, 이전의 기쁨과 근심이 사라진,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평정(upekkha.捨)을 통한 마음챙김의 청정[捨念淸淨]을 지닌 제4선
(四禪)에 들어 머문다.
그는 거기에 있는 물질과 느낌과 인식과 형성과 의식이라면 그것이 어떠한 것이든
그 법들은 모두 무상하다고 괴로움이라고 병이라고 종기라고 쇠살이라고 재난이라고 질병
이라고 남[他]이라고 부서지기 마련인 것이라고 공한 것이라고 무아라고 바르게 관찰한다.
그는 이런 법들에서 마음을 돌려버린다. 그는 이런 법들에서 마음을 돌린 뒤 불사(不死)의 경지로 마음을 향하게 한다.[이것이 一致/合致/집중임.] '이것은 고요하고 이것은 수승하다. 이것은 모든 형성된 것들[行]이 가라앉음[止]이요, 모든 재생의 근거를 놓아버림[放棄]이요, 갈애의 멸진
이요, 탐욕의 사라짐[離慾]이요, 소멸[滅]이요, 열반이다.'라고.
그는 여기에 확고하게 머물러 번뇌의 소멸을 얻는다[阿羅漢]. 만일 번뇌의 소멸을 얻지
못하더라도 이 법을 좋아하고 이 법을 즐기기 때문에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를 완전히
없애고 [정거천에] 화생하여 그곳에서 완전한 열반에 들어 그 세계에서 다시 돌아 오지 않는 법을 얻는다.
아난다여, 이것이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제거하기 위한 바른 길과 닦음이다."
"아난다여, 다시 비구는 일체의 물질적 현상에 대한 지각(인식)을 넘어서고, 장애에 대한 지각을
소멸하고, 갖가지 지각에 마음을 내지 않아 '끝이 없는 허공(무한한 허공)’이라고 하는 일체의
공간에 걸림이 없는 경지인 공무변처(空無邊處)에 들어 머문다.
그는 거기에 있는 [물질은 없다.] 느낌과 인식과 형성과 의식이라면 그것이 어떠한
것이든 그 법들은 모두 무상하다고 괴로움이라고 병이라고 종기라고 쇠살이라고 재난이라고
질병이라고 남[他]이라고 부서지기 마련인 것이라고 공한 것이라고 무아라고 바르게 관찰한다.
그는 이런 법들에서 마음을 돌려버린다. 그는 이런 법들에서 마음을 돌린 뒤 불사(不死)의 경지로 마음을 향하게 한다.[이것이 一致/合致/집중임.] '이것은 고요하고 이것은 수승하다. 이것은 모든 형성된 것들[行]이 가라앉음[止]이요, 모든 재생의 근거를 놓아버림[放棄]이요, 갈애의 멸진
이요, 탐욕의 사라짐[離慾]이요, 소멸[滅]이요, 열반이다.'라고.
그는 여기에 확고하게 머물러 번뇌의 소멸을 얻는다[阿羅漢]. 만일 번뇌의 소멸을 얻지
못하더라도 이 법을 좋아하고 이 법을 즐기기 때문에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를 완전히
없애고 [정거천에] 화생하여 그곳에서 완전한 열반에 들어 그 세계에서 다시 돌아 오지 않는
법을 얻는다.
아난다여, 이것이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제거하기 위한 바른 길과 닦음이다."
"아난다여, 다시 비구는 일체의 공간에 걸림이 없는 경지인 공무변처를 넘어선 ‘끝이 없는 의식
(무한한 의식)’이라고 하는 의식에 걸림이 없는 경지인 식무변처(識無邊處)에 들어 머문다.
그는 거기에 있는 느낌과 인식과 형성과 의식이라면 그것이 어떠한 것이든 그 법들은 모두
무상하다고 괴로움이라고 병이라고 종기라고 쇠살이라고 재난이라고 질병이라고 남[他]이라고 부서지기 마련인 것이라고 공한 것이라고 무아라고 바르게 관찰한다.
그는 이런 법들에서 마음을 돌려버린다. 그는 이런 법들에서 마음을 돌린 뒤 불사(不死)의 경지로 마음을 향하게 한다. '이것은 고요하고 이것은 수승하다. 이것은 모든 형성된 것들[行]이
가라앉음[止]이요, 모든 재생의 근거를 놓아버림[放棄]이요, 갈애의 멸진이요, 탐욕의 사라짐
[離慾]이요, 소멸[滅]이요, 열반이다.'라고.
그는 여기에 확고하게 머물러 번뇌의 소멸을 얻는다[阿羅漢]. 만일 번뇌의 소멸을 얻지
못하더라도 이 법을 좋아하고 이 법을 즐기기 때문에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를 완전히
없애고 [정거천에] 화생하여 그곳에서 완전한 열반에 들어 그 세계에서 다시 돌아 오지 않는
법을 얻는다.
아난다여, 이것이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제거하기 위한 바른 길과 닦음이다."
"아난다여, 다시 비구는 일체의 의식에 걸림이 없는 경지인 식무변처를 넘어선 ‘아무 것도 없다.’
라고 하는 아무것도 없는 경지인 무소유처(無所有處)에 들어 머문다.
그는 거기에 있는 느낌과 인식과 형성과 의식이라면 그것이 어떠한 것이든 그 법들은 모두
무상하다고 괴로움이라고 병이라고 종기라고 쇠살이라고 재난이라고 질병이라고 남[他]이라고 부서지기 마련인 것이라고 공한 것이라고 무아라고 바르게 관찰한다.
그는 이런 법들에서 마음을 돌려버린다. 그는 이런 법들에서 마음을 돌린 뒤 불사(不死)의 경지로 마음을 향하게 한다. '이것은 고요하고 이것은 수승하다. 이것은 모든 형성된 것들[行]이
가라앉음[止]이요, 모든 재생의 근거를 놓아버림[放棄]이요, 갈애의 멸진이요, 탐욕의 사라짐
[離慾]이요, 소멸[滅]이요, 열반이다.'라고.
그는 여기에 확고하게 머물러 번뇌의 소멸을 얻는다[阿羅漢]. 만일 번뇌의 소멸을 얻지 못하더라도 이 법을 좋아하고 이 법을 즐기기 때문에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를 완전히 없애고
[정거천에] 화생하여 그곳에서 완전한 열반에 들어 그 세계에서 다시 돌아 오지 않는 법을
얻는다.
아난다여, 이것이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제거하기 위한 바른 길과 닦음이다."
"세존이시여, 만일 이것이 다섯 가지 낮은 단계의 족쇄들을 제거하기 위한 바른 길과 닦음이라면
여기서 왜 어떤 비구들은 마음의 해탈[心解脫]을 증득하고 어떤 비구들은 지혜를 통한 해탈
[慧解脫]을 증득합니까?"
"아난다여, 그것은 그들의 기능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라고 나는 말한다."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설하셨다.
아난다 존자는 흡족한 마음으로 세존의 말씀을 크게 기뻐하였다.
Mahāmālukyasuttaṃ niṭṭhitaṃ catutthaṃ.
말룽꺄 긴 경(M64)이 끝났다.
'맛지마 니까야(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M066. 메추라기 비유 경(La?ukikopamasutta?) (0) | 2018.04.08 |
---|---|
[스크랩] M065.밧달리 경(Bhadd?lisutta?) (0) | 2018.04.08 |
[스크랩] M063. 말룽꺄 짧은 경(C??am?lukyasutta?) (0) | 2018.04.08 |
[스크랩] M062. 라훌라를 교계한 긴 경(Mah?r?hulov?dasutta?) (0) | 2018.04.08 |
[스크랩] M061. 암발랏티까에서 라훌라를 교계한 경(Ambala??hikar?hulov?dasutta?) (0) | 2018.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