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나만디까 경
M78 MAJJHIMA NIKâYA II II. 3. 8. Samõamõdikàsuttaü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사왓티의 제타 숲에 있는 아나타삔디까 승원에 머물고 계셨다. 그 무렵 사마나만디까의 아들인 욱가하마나 유행승은 삼백 명이나 되는 유행승의 큰 무리들과 함께 말리까의 원림에 머물렀다. 그곳은 토론 장소였고 띤두까 나무로 지어졌고 하나의 강당만이 있었다.
빤짜깡가 목수는 한낮에 세존을 뵙기 위해 제타 숲으로 향했다. 빤짜깡가 목수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지금은 세존을 뵙기에 적당한때가 아니다. 세존께서는 홀로 머뭄에 들어 계신다. 마음으로
존경 받을 만한 비구들을 뵙기에도 적당한 때가 아니다. 마음으로 존경 받을 만한 비구들도 홀로
머뭄에 들어 계신다. 그러니 나는 이제 토론 장소이고 띤두까 나무로 지어졌고 하나의 강당만이
있는 말리까의 원림으로 사마나만디까의 아들인 욱가하마나 유행승을 만나러 가야겠다."
빤짜깡가 목수는 토론 장소이고 띤두까 나무로 지어졌고 하나의 강당만이 있는 말리까
원림으로 사마나만디까의 아들인 욱가하마나 유행승을 만나러 갔다.
사마나만디까의 아들 욱가하마나 유행승은 많은 유행승의 회중과 함께 앉아서 시끄럽게
떠들면서 높고 큰 목소리로 여러가지 쓸데없는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즉 왕 이야기, 도둑
이야기, 대신들 이야기, 군대 이야기, 공포에 관한 이야기, 전쟁 이야기, 음식 이야기, 음료수
이야기, 옷 이야기, 침대 이야기, 화환 이야기, 향 이야기, 친척 이야기, 수레 이야기, 마을에
대한 이야기, 성읍에 대한 이야기, 도시에 대한 이야기, 지방에 대한 이야기, 여자 이야기, 영웅
이야기, 거리 이야기, 우물 이야기, 옛적 유령 이야기, 하찮은 이야기, 세상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 바다와 관련된 이야기, 이렇다거나 이렇지 않다는 이야기였다.
사마나만디까의 아들 욱가하마나 유행승은 빤짜깡가 목수가 오는 것을 멀리서 보고 자신의 회중을 조용히 하도록 했다.
"존자들은 조용히 하시오. 존자들은 소리를 내지 마시오. 사문 고따마의 제자인 빤짜깡가 목수가 오고 있소. 사문 고따마의 제자들인 흰옷을 입은 재가자들이 사왓티에서 살고 있는데 이 자는
그들 가운데 한 사람인 빤짜깡가 목수라오. 그런데 저 존자는 조용함을 좋아하고 조용함으로
길들여져 있고 조용함을 칭송한다오. 이제 우리 회중이 조용한 것을 알면 그가 우리에게 다가올
것이라 생각하오."
그러자 그 회중은 침묵하였다.
2. 빤짜깡가 목수는 사마나만디까의 아들인 욱가하마나 유행승에게 다가갔다. 가서는
사마나만디까의 아들인 욱가하마나 유행승과 함께 환담을 나누었다. 유쾌하고 기억할만한
이야기로 서로 담소를 하고서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빤짜깡가 목수에게 사마나만디까의
아들인 욱가하마나 유행승은 이렇게 말했다.
"빤짜깡가 목수여, 나는 네 가지 법을 구족한 인간을 유익한 법을 갖춘 자, 최상의 유익함을
가진 자, 최고의 경지를 얻은 자, 대적할 수 없는 사문이라 천명합니다. 무엇이 넷인가?
목수여, 여기 몸으로 나쁜 업을 짓지 않고 나쁜 말을 하지 않고 나쁜 사유를 하지 않고 나쁜
생계로 삶을 영위하지 않는 것입니다.
빤짜깡가 목수여, 나는 네 가지 법을 구족한 인간을 유익한 법을 갖춘 자, 최상의 유익함을 가진 자,
최고의 경지를 얻은 자, 대적할 수 없는 사문이라 천명합니다."
빤짜깡가 목수는 사마나만디까의 아들인 욱가하마나 유행승의 말을 인정하지도 못하고
공박하지도 못했다. 인정하지도 못하고 공박하지도 못한 채 '세존께 가서 이 말의 뜻을 정확히
알아 보리라.'라고 생각하면서 자리에서 일어나 돌아왔다.
빤짜깡가 목수는 세존을 뵈러 갔다. 가서는 세존께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아서 빤짜깡가 목수는 세존께 사마나만디까의 아들인 욱가하마나 유행승과 함께 나누었던
대화를 모두 말씀드렸다. 이렇게 말씀드리자 세존께서는 빤짜깡가 목수에게 이처럼 말씀하셨다.
3. "빤짜깡가여, 참으로 그와 같다면 사마나만디까의 아들인 욱가하마나 유행승의 말에 의하면
어리고 아무것도 모르고 아직 뒤척이지도 못하고 반듯하게 누워만 있는 갓난아이가 유익한 법을 갖춘 자, 최상의 유익함을 가진 자, 최고의 경지를 얻은 자, 대적할 수 없는 사문이 될 것이다.
빤짜깡가여, 왜냐하면 어리고 아무것도 모르고 아직 뒤척이지도 못하고 반듯하게 누워만 있는
갓난아이에게는 몸이라는 [개념도] 없이 단지 움직일 뿐인데 어떻게 몸으로 나쁜 업을 짓겠는가?
빤짜깡가여, 어리고 아무것도 모르고 아직 뒤척이지도 못하고 반듯하게 누워만 있는
갓난아이에게는 말이라는 [개념도] 없이 단지 울 뿐인데 어떻게 나쁜 말을 하겠는가?
빤짜깡가여, 어리고 아무것도 모르고 아직 뒤척이지도 못하고 반듯하게 누워만 있는 갓난
아이에게는 사유라는 [개념도] 없이 단지 부루퉁할 뿐인데 어떻게 나쁜 사유를 하겠는가?
빤짜깡가여, 어리고 아무것도 모르고 아직 뒤척이지도 못하고 반듯하게 누워만 있는 갓난
아이에게는 생계라는 [개념도] 없이 단지 어머니의 젖을 먹을 뿐인데 어떻게 나쁜 생계로 삶을
영위함이 있겠는가?
빤짜깡가여, 참으로 그와 같다면 사마나만디까의 아들인 욱가하마나 유행승의 말에 의하면
어리고 아무것도 모르고 아직 뒤척이지도 못하고 반듯하게 누워만 있는 갓난아이가 유익한 법을 갖춘 자, 최상의 유익함을 가진 자, 최고의 경지를 얻은 자, 대적할 수 없는 사문이 될 것이다."
4. "빤짜깡가여, 나는 이런 네 가지 법을 구족한 인간은 유익한 법을 갖춘 자가 아니며, 최상의
유익함을 갖춘 자가 아니며, 최고의 경지를 얻은 자가 아니며, 대적할 수 없는 사문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는 단지 어리고 아무 것도 모르고 아직 뒤척이지도 못하고 반듯하게 누워만 있는
갓난 아이의 특징을 얻었을 뿐이라고 말한다. 무엇이 넷 인가?
빤짜깡가여, 여기 몸으로 나쁜 업을 짓지 않고 나쁜 말을 하지 않고 나쁜 사유를 하지 않고 나쁜
생계로 삶을 영위하지 않는 것이다.
빤짜깡가여, 나는 이런 네 가지 법을 구족한 인간은 유익한 법을 갖춘 자가 아니며, 최상의
유익함을 갖춘 자가 아니며, 최고의 경지를 얻은 자가 아니며, 대적할 수 없는 사문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는 단지 어리고 아무 것도 모르고 아직 뒤척이지도 못하고 반듯하게 누워만 있는 갓난 아이의 특징을 얻었을 뿐이라고 말한다.
빤짜깡가여, 나는 열 가지 법을 구족한 인간을 유익한 법을 갖춘 자, 최상의 유익함을 가진 자,
최고의 경지를 얻은 자, 대적할 수 없는 사문이라 천명한다.
빤짜깡가여, '이것이 해로운[不善] 계행이다.'라고 알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빤짜깡가여, '해로운 계행은 이것에서 일어난다.'라고 알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빤짜깡가여, '여기서 해로운 계행이 남김없이 소멸한다.'라고 알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빤짜깡가여, '이와 같이 길(道)을 닦을 때 해로운 계행을 소멸하기 위해 길을 닦는 것이다.'라고
알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빤짜깡가여, '이것이 유익한[善] 계행이다.'라고 알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빤짜깡가여, '유익한 계행은 이것에서 일어난다.'라고 알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빤짜깡가여, '여기서 유익한 계행이 남김없이 소멸한다.'라고 알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빤짜깡가여, '이와 같이 길을 닦을 때 유익한 계행을 소멸하기 위해 길을 닦는 것이다.'라고
알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빤짜깡가여, '이것이 해로운 사유다.'라고 알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빤짜깡가여, '해로운 사유는 이것에서 일어난다.'라고 알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빤짜깡가여, '여기서 해로운 사유가 남김없이 소멸한다.'라고 알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빤짜깡가여, '이와 같이 길을 닦을 때 해로운 사유를 소멸하기 위해 길을 닦는 것이다.'라고
알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빤짜깡가여, '이것이 유익한 사유다.'라고 알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빤짜깡가여, '유익한 사유는 이것에서 일어난다.'라고 알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빤짜깡가여, '여기서 유익한 사유가 남김없이 소멸한다.'라고 알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빤짜깡가여, '이와 같이 길을 닦을 때 유익한 사유를 소멸하기 위해 길을 닦는 것이다.'라고
알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5. "빤짜깡가여, 무엇이 해로운 계행인가?
해로운 몸의 업, 해로운 말의 업, 삿된 생계이다.
빤짜깡가여, 이를 일러 해로운 계행이라 한다.
빤짜깡가여, 이 해로운 계행은 어디에서 일어나는가?
그들의 일어남도 설했나니 마음에서 일어난다고 말한다. 어떠한 마음인가?
빤짜깡가여, 마음은 다양하고 여러 종류이고 여러 형태인데 탐욕을 가지고 성냄을 가지고
어리석음을 가진 마음이 있다. 그것에서 해로운 계행이 일어난다.
빤짜깡가여, 그러면 어디서 이 해로운 계행은 남김없이 소멸하는가?
그들의 소멸도 설했다.
빤짜깡가여, 여기 비구는 몸의 나쁜 행위를 제거하고 몸의 좋은 행위를 닦는다.
말의 나쁜 행위를 제거하고 말의 좋은 행위를 닦는다.
마음의 나쁜 행위를 제거하고 마음의 좋은 행위를 닦는다.
그릇된 생계를 제거하고 바른 생계로 삶을 영위한다
여기서 이 해로운 계행은 남김없이 소멸한다.
빤짜깡가여, 어떻게 닦을 때 해로운 계행을 소멸하기 위해 닦는 것인가?
빤짜깡가여, 여기 비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나쁘고 해로운 법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하며 마음을 다잡고 힘을 쓴다(애를 쓴다).
여기 비구는 이미 일어난 나쁘고 해로운 법들은 제거하기 위해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하며 마음을 다잡고 힘을 쓴다.
여기 비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유익한 법들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하며 마음을 다잡고 힘을 쓴다.
여기 비구는 이미 일어난 유익한 법들은 지속하게 하고 사라지지 않게 하고 증장하게 하고 충만하게 하고 닦기 위해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하며 마음을 다잡고 힘을 쓴다.
빤짜깡가여, 이렇게 닦을 때 해로운 계행을 소멸하기 위해 닦는 것이다."
6. "빤짜깡가여, 무엇이 유익한 계행인가?
유익한 몸의 업, 유익한 말의 업, 청정한 생계이다.
빤짜깡가여, 이를 일러 유익한 계행이라 한다.
빤짜깡가여, 이 유익한 계행은 어디에서 일어나는가?
그들의 일어남도 설했나니 마음에서 일어난다고 말한다. 어떠한 마음인가?
마음은 다양하고 여러 종류이고 여러 형태인데 탐욕을 여의고 성냄을 여의고 어리석음을 여읜
마음이 있다. 그것에서 유익한 계행이 일어난다.
빤짜깡가여 그러면 어디서 이 유익한 계행은 남김없이 소멸하는가?
그들의 소멸도 설했다.
빤짜깡가여, 여기 비구는 계를 지니지만 계를 지니는 데 그치지 않고 마음의 해탈[心解脫]과
통찰지를 통한 해탈[慧解脫]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여기서 이 유익한 계행은 남김없이 소멸한다.
빤짜깡가여, 어떻게 닦을 때 유익한 계행을 소멸하기 위해 닦는 것인가?
빤짜깡가여, 여기 비구는 여기 비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나쁘고 해로운 법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하며 마음을 다잡고 힘을 쓴다(애를 쓴다).
여기 비구는 이미 일어난 나쁘고 해로운 법들은 제거하기 위해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하며 마음을 다잡고 힘을 쓴다.
여기 비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유익한 법들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하며 마음을 다잡고 힘을 쓴다.
여기 비구는 이미 일어난 유익한 법들은 지속하게 하고 사라지지 않게 하고 증장하게 하고 충만하게 하고 닦기 위해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하며 마음을 다잡고 힘을 쓴다.
빤짜깡가여, 이렇게 닦을 때 해로운 계행을 소멸하기 위해 닦는 것이다."
7. "빤짜깡가여, 무엇이 해로운 사유인가?
감각적 쾌락에 대한 사유, 성냄(악의)에 대한 사유, 해코지에 대한 사유이다.
빤짜깡가여, 이를 일러 해로운 사유라 한다.
빤짜깡가여, 이 해로운 사유는 어디에서 일어나는가?
그들의 일어남도 설했나니 인식에서 일어난다고 말한다. 어떠한 인식인가?
인식은 다양하고 여러 종류이고 여러 형태인데 감각적 쾌락에 대한 인식, 성냄에 대한 인식,
해코지에 대한 인식이 있다. 그것에서 해로운 사유가 일어난다.
빤짜깡가여, 그러면 어디서 이 해로운 사유는 남김없이 소멸하는가?
그들의 소멸도 설했다.
빤짜깡가여, 여기 비구는 감각적 쾌락으로부터 멀어지고 선하지 않은 법[不善法]으로부터 멀어져, 거친 사유(일으킨 생각.尋)와 미세한 사유(지속적인 고찰.伺)을 지닌, 멀어짐(분리)으로부터 생겨난 기쁨[喜.희열]과 즐거움[樂.행복]이 있는 초선(初禪)에 들어 머문다..
여기서 이 해로운 사유는 남김없이 소멸한다.
빤짜깡가여, 어떻게 닦을 때 유익한 계행을 소멸하기 위해 닦는 것인가?
빤짜깡가여, 여기 비구는 여기 비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나쁘고 해로운 법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하며 마음을 다잡고 힘을 쓴다(애를 쓴다).
여기 비구는 이미 일어난 나쁘고 해로운 법들은 제거하기 위해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하며 마음을 다잡고 힘을 쓴다.
여기 비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유익한 법들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하며 마음을 다잡고 힘을 쓴다.
여기 비구는 이미 일어난 유익한 법들은 지속하게 하고 사라지지 않게 하고 증장하게 하고 충만하게 하고 닦기 위해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하며 마음을 다잡고 힘을 쓴다.
빤짜깡가여, 이렇게 닦을 때 해로운 계행을 소멸하기 위해 닦는 것이다."
8. "빤짜깡가여, 무엇이 유익한 사유인가?
출리(出離)에 대한 사유, 악의 없음에 대한 사유, 해코지 않음[不害]에 대한 사유이다.
빤짜깡가여, 이를 일러 유익한 사유라 한다.
빤짜깡가여, 이 유익한 사유는 어디에서 일어나는가?
그들의 일어남도 설했나니 인식에서 일어난다고 말한다. 어떠한 인식인가?
인식은 다양하고 여러 가지이고 여러 형태인데 출리(出離)에 대한 인식, 성냄 없음에 대한 인식,
해코지 않음에 대한 인식이 있다.
그것에서 유익한 사유가 일어난다.
빤짜깡가여, 그러면 어디서 이 유익한 사유는 남김없이 소멸하는가?
그들의 소멸도 설했다.
빤짜깡가여, 여기 비구는 거친 사유와 미세한 사유가 가라앉아, 안으로 고요해지고, 마음이
한 곳에 고정되어(心一境性), 거친 사유와 미세한 사유가 없는 삼매로부터 생겨난 기쁨과 즐거움이 있는 제2선(二禪)에 들어 머문다.
여기서 이 유익한 사유는 남김없이 소멸한다.
빤짜깡가여, 어떻게 닦을 때 유익한 계행을 소멸하기 위해 닦는 것인가?
빤짜깡가여, 여기 비구는 여기 비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나쁘고 해로운 법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하며 마음을 다잡고 힘을 쓴다(애를 쓴다).
여기 비구는 이미 일어난 나쁘고 해로운 법들은 제거하기 위해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하며 마음을 다잡고 힘을 쓴다.
여기 비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유익한 법들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하며 마음을 다잡고 힘을 쓴다.
여기 비구는 이미 일어난 유익한 법들은 지속하게 하고 사라지지 않게 하고 증장하게 하고 충만하게 하고 닦기 위해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하며 마음을 다잡고 힘을 쓴다.
빤짜깡가여, 이렇게 닦을 때 해로운 계행을 소멸하기 위해 닦는 것이다."
9. "목수여, 그러면 어떤 열 가지 법을 구족한 인간을 유익한 법을 갖춘 자, 최상의 유익함을
가진 자, 최고의 경지를 얻은 자, 대적 할 수 없는 사문이라고 나는 천명하는가?
빤짜깡가여, 여기 비구는 무학(無學)의 경지인 바른 견해를 구족한다.
무학의 경지인 바른 사유를 구족한다. 무학의 경지인 바른 말을 구족한다.
무학의 경지인 바른 행위를 구족한다. 무학의 경지인 바른 생계를 구족한다.
무학의 경지인 바른 정진을 구족한다. 무학의 경지인 바른 마음챙김을 구족한다.
무학의 경지인 바른 삼매를 구족한다. 무학의 경지인 바른 지혜를 구족한다.
무학의 경지인 바른 해탈을 구족한다.
빤짜깡가여, 나는 이러한 열 가지 법을 구족한 인간을 유익한 법을 갖춘 자, 최상의 유익함을
가진 자, 최고의 경지를 얻은 자, 대적 할 수 없는 사문이라고 나는 천명한다."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설하셨다.
빤짜깡가 목수는 흡족한 마음으로 세존의 말씀을 크게 기뻐하였다.
Samaṇamuṇḍikasuttaṃ niṭṭhitaṃ aṭṭhamaṃ.
사마나만디까 경(M78)이 끝났다.
'맛지마 니까야(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M080. 웨카낫사 경(Vekhanasasuttaṃ) (0) | 2018.04.15 |
---|---|
[스크랩] M079. 사꿀루다이 짧은 경(Cūḷasakuludāyisuttaṃ) (0) | 2018.04.15 |
[스크랩] M077. 사꿀루다이 긴 경(Mahāsakuludāyisuttaṃ) (0) | 2018.04.15 |
[스크랩] M076. 산다까 경(Sandakasuttaṃ) (0) | 2018.04.15 |
[스크랩] M074. 디가나카 경(D?ghanakhasutta?) (0) | 2018.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