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법실상

[스크랩] 이것이 바로 제법실상(諸法實相)이다. 6

수선님 2018. 6. 24. 11:38

일체만법은 오직 인연으로 말미암을 뿐, 결코 거기에는 <짓는 자>(作者)가 없는 겁니다.
<짓는 자>가 없는데 어떻게 <짓는 바>(所作)가 혼자서 이루어지겠어요?

이와 같은 사실은 정신적인 지각작용이나, 물리적인 모든 현상이 다 예외가 아닌 거예요.

사람들이 연기법(緣起法)의 깊은 뜻을 알지 못해서, 
생성과 소멸이 실제로 일어나는 것인 줄 오인하고, 
따라서 거기에 <작용의 주체>를 세워서 업(業)을 짓게 되고, 
그에 따라서 보(報)를 받게 되는 겁니다. 
모든 일은 다만 인연으로 말미암을 뿐, 
결코 거기에는 주재자(主宰者)를 세울 수 없다는 사실을 우선 철저히 사무쳐야 합니다. 
따라서 '연기법'이 행해지는 곳에는 실다운 법이 하나도 없는 거예요. 
때문에 이 세상사가 통틀어 꿈과 같고 메아리와 같다고 하는 겁니다. 
<참되고 여여한 법의 성품>(眞如法性)은 이름 그대로 본래 움직이는 일이 없으며, 
다만 인연에 감응(感應)해서 온갖 법을 나투되, 
마치 꿈속의 그것처럼 나투는 새 없이 나투는 겁니다. 
마치 빈 골짜기가 소리에 응해서 메아리를 나투되, 
거기에는 <나투는 자>나 <나투는 바>를 찾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에요. 
또 저 바다의 물결은 종일토록 출렁거리지만, 그 모두가 인연으로 말미암을 뿐, 
'물결' 스스로가 작용을 일으키는 게 아니 듯이 말입니다. 
알기는 환히 아는데, 거기에 <아는 자>가 없는, 
그러므로 <아는 바>도 없는 것이 바로 <부처 지혜>의 <앎이 없는 앎>이요, 
그래서 이것을 <신령한 깨달음의 성품>(靈覺性)이라고 하는 겁니다. 
헤아려 알고, 짐작해서 아는 것은 '마음의 광명'(心光)이 아니고, 
그것은 마치 거울에 비치는 그림자와 같은 의식(意識)인 거예요. 
사람들이 어리석어서 무시이래의 <생사의 근본>인 이 '의식'을 붙잡아 
'내 마음'인 줄 알고 섬겨왔기 때문에 도무지 편안할 날이 없는 겁니다. 
마치 꿈속에서 <아는 자>도 있고, <아는 바>도 있으나, 
그 모두가 작용이 없는 허망한 꿈속의 일이듯이, 
우리들이 이른 바 '현실'이라고 알고 있는 이 세상사도 몽땅 꿈속의 그것처럼,
작용이 없는 공적한 것임을 간파하는 게 바로 제법실상(諸法實相)을 밝히는 
지혜작용임을 알아야 합니다. 
<본래 마음>은 스스로 항상 빛을 놓으므로 전혀 공력(功力)을 들이는 일이 없이 
스스로 환히 안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궁리하고 천착하고 쥐어짜듯이 알아내는 것은 
마음의 광명이 아니고 허망한 '의식'이라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 * *
만법은 본래 나(生)는 일이 없는 데, 
사람들이 안목이 어두워서 그림자나 메아리와 같은 것을 
실재(實在)인 양 오인하고 살고 있는 것이 중생살이에요. 
모든 비유는 이 <남이 없는 도리>를 이해시키기 위해서 쓰는 말인데, 
― '그림자'는 그렇다 치고, 다시 그 '나무'는 어디서 났느냐고 물으면, 
달걀과 닭의 이야기와 무엇이 다르겠어요? 
<깨달음으로 가는 외길 ··· >을 읽었다니 이야긴데, 
다시 한번 찬찬히 읽어보도록 하세요. 
그 책은 한 번 읽고 말 그런 책이 아니에요. 
몇 번이고 되풀이해서 읽다 보면 지금의 그와 같은 의증 정도는 웬만큼 해소 될 겁니다. 
존재에 대한 안목이 열리지 않는다면 한 걸음인들 나갈 수 있겠어요? 
사실 제법실상(諸法實相)을 밝히는 일이야말로 
'공부'의 시작이요 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모름지기 서둘지 말고, 
우선 <저 바깥에 무엇인가가 있는 듯 한 이 미혹>
다스리는 일에 총력을 기울여 보도록 하세요. 
* * *
이 세상 일체 만유는 <다른 것>으로써 <나>를 삼았기 때문에 
'자체의 성품'이 없는 겁니다. 이것을 불가에서는 의타기성(依他起性)이라고 하죠. 
예컨대, 여기 손바닥 위에 세 개의 성냥개피가 있다고 칩시다. 
이 세 개의 성냥개피를 각각 끝과 끝이 맞닿도록 배열하면 삼각형의 모양이 되지 않겠어요? 
이 때 사람들은 '삼각형'이 생겼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생겨난 것은 하나도 없지 않습니까? 
이 세상의 모든 것, 그것이 '존재'이건, '일어나는 일'이건 그 모두가 예외가 아닙니다. 
지금 이렇게 말하고, 또 이 말을 듣고 하는 것도 전혀 인연으로 말미암을 뿐, 
그와 같은 작용을 일으키는 '주체'는 없는 겁니다. 
만약 <밥이나 반찬, 물, 공기 등의 힘>을 빌리지 않고도 말하고 듣고 할 수 있겠어요? 
그렇기 때문에 '붓다'도 "나는 법을 설하는 자가 아니다"라고 스스로 말했던 겁니다. 
범부나 이승(二乘)들의 지견은 
<있음을 배제한 없음>과 <없음을 배제한 있음>만을 알고 있기 때문에 
'있다'고 말하면 '있는 줄'만 알고, '없다'고 말하면 '없는 줄'만 알아서, 
유무 사이에서 항상 이쪽 저쪽 하면서 쉴 틈이 없죠. 
그러나 보살의 지견이라면 그렇지가 않아서, 
'없다'는 말을 들으면 '있음'만 보내는 것이 아니고 '없음'도 함께 보냅니다. 
그래야만 비로소 <'없음'의 참 뜻>을 알 수 있는 가능성이라도 생기지 않겠어요. 
그렇게 함으로써 유무 양변(有無兩邊)을 몰록 넘어선 
'걸림 없는 지혜'를 얻어서 담담히 여여한 '본원'(本源)으로 돌아가 합하는 겁니다. 
* * *
모든 법의 실상(實相)을 알아본다는 것은 
이 세상의 모든 존재가 '자체의 성품'이 없다는 것을 밝히는 겁니다. 지금은 어떻습니까? 
간단히 말해서, 
눈에 보이면 '있음'이고, 눈에 보이지 않으면 '없음'이고, 그런 것 아닙니까? 
만약 그렇다면 한 번 물어봅시다. 
지금 바깥에 나가서 "하!···" 하고 입김을 내뱉어 보세요. 어떻습니까? 
아무 것도 보이지 않지요? 
앞으로 날씨가 몹시 추워져서 모두들 움츠리고 있을 때는 어떨까요? 
하얗게 입김이 드러나지 않습니까? 
여기서 내뱉은 입김의 성분은 조금도 다르지 않은데, 
다만 인연 따라서 '입김'이 보이기도 하고, 
보이지 않기도 하는 게 실상(實相)이 아닙니까? 
이와 꼭 마찬가지로 
제법실상(諸法實相)은 본래는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닌데, 
다만  인연을 따르면서 <있음의 모습>을 나투기도 하고, 
<없음의 모습>을 나투기도 하는 겁니다. 
따라서 진실은 유·무(有無)가 본질면에서는 조금도 다르지 않는 건데, 
중생들이 다만 <보고 듣는 데>(見聞)에만 매달리기 때문에 
온갖 그림자 같고 메아리 같은 것을 실체(實體)로 보아서 집착을 일으키는 겁니다. 
따라서 고인(古人)이 이르기를, 
「<보고 듣고 깨닫고 아는 것>(見聞覺知)이 
실제로 그런 일이 일어나는 것인 줄 아는 자는 제도하지 못한다」고 했던 겁니다. 
한 마디만 더 보태지요.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이라는 말 들어본 적 있지요? 
이 말을 새겨서 말하면 
「모든 존재가  그대로 허공이고, 허공이 곧 그대로 모든 존재이다」라는 뜻이에요.  
* * *
모든 존재가 '제 성품'(自性)이 없는 건데 그것이 실체성이 있는 것인 줄로 알고 
그 모습과 성질을 '실유'(實有)로 오인하고 살아온 지가 수천만 년이 지났습니다. 
그렇게 하는 동안에 <업으로 받은 경계>(報境)가 바로 이 세상인 겁니다. 
만약 <업보로 받은>(報得) 경계라면 티끌 하나도 마음대로 하지 못합니다. 
이것을 일러서 질애(質碍)라고 하는 것이며, 
이것이 우리들 범부의 삶을 사사건건 장애하는 이른바 업장(業障)인 거예요. 
그러므로 제법실상(諸法實相)을 깨닫는다는 것은 
목전에 전개되는 모든 법이 자체의 성품이 없는, 
마치 허깨비 같은 허망한 존재라는 사실을, 
말로써만이 아니라 실제로 증험하는 겁니다. 
그렇게 해서 모든 경계에 더 이상 그 마음이 장애를 받지 않게 된다면, 
그렇게 해서 본래 여여한 '본래의 마음 자리'를 얻어서, 
그 자리에서 되돌아 모든 법을 세우고 굴리고 하기를 끊임없이 한다면, 
또한 그렇게 하면서도 뜻했던 바대로 
되는지 안 되는지 등에 대해서도 전혀 마음을 쓰지 않게 된다면, 
머지 않아서 모든 법이 내 마음이 짓는 바대로 나툰다는 걸 알게 될 것입니다
( ⇒ 成所作智). 
마치 저 꿈이 전혀 내 마음의 헛된 분별로 말미암아 생겨나는 것처럼 말입니다. 
꿈속에서 은산철벽(銀山鐵壁)에 갇혀서 애쓰는 걸 가지고 어찌 실제라고 할 수 있겠어요? 
꿈에서 깨고 나면 본래 아무 일도 없는 건데 말입니다. 
또한 설사 그렇게 해서 모든 법이 마음대로 내고 들이고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 모두가 꿈 같고 허깨비 같아서 
티끌만한 한 법도 성취(成就)되는 것은 없다는 걸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출처 : 현정선원 / 大愚禪師님
출처 : 출리심 보리심 공
글쓴이 : - 삼매 -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