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연기- 마하시 사야도 법문

[스크랩] 12연기...15. 상카라(SAṄKHĀRA)를 원인으로 식(VIÑÑĀṆA)이 일어난다

수선님 2018. 7. 8. 13:04

SAṄKHĀRA CAUSES VIÑÑĀṆA

 

Because of avijjā there is saṅkhāra which in turn causes viññāṇa. As the result of the good or bad kamma in the previous life there arises the stream of consciousness beginning with rebirth consciousness in the new life.

 

15. 상카라(SAṄKHĀRA)를 원인으로 식(VIÑÑĀṆA)이 일어난다.

 

무명을 원인으로 상카라가 생기고, 다시 상카라는 식(識)의 원인이 됩니다. 전생에서의 선업이나 불선업을 원인으로 하여, 새로운 생에서 재생연결식을 시작으로 하는 식(識)의 흐름이 생깁니다.

 

 

 

Evil deeds may, for example, leads to the four lower worlds. After that there arises the stream of viññāṇa called bhavaṅga-citta which functions ceaselessly when the six kinds of vithi consciousness do not occur at the moment of seeing, hearing, smelling, eating, touching and thinking.

 

예를 들면 악행은 네 가지 낮은 세계에 떨어지게 합니다. 재생연결식이 일어나고 난 다음에 바왕가의 마음(有分心 bhavaṅga-citta)이라고 하는 식(識)의 흐름이 일어납니다. 이 바왕가의 마음이란 보고, 듣고, 냄새 맡고, 감촉하고, 생각하는 여섯 가지 식(識)이 일어나지 않을 때 끊임없이 작용하는 것입니다.

 

 

 

In other words, bhavaṅga is the kind of subconsciousness that we have when we are asleep. We die with this subconsciousness and it is then called cutti-citta. So the rebirth-consciousness, the subconsciousness and the cuti or death consciousness represent the mind which results from the kamma of previous life.

 

다른 말로 하면 바왕가는 잠들어 있을 때의 잠재의식의 일종입니다. 우리가 죽을 때에도 이 잠재의식을 가지고 가는데, 이를 죽음의 마음(死心 cuti-citta)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재생연결식, 바왕가, 죽음의 마음은 전생의 업에서 기인한 마음을 나타냅니다.

  

 

 

The five kinds of consciousness associated with the five unpleasant sense-objects such as unpleasant eye-consciousness, ear-consciousness, etc., are due to unwholesome kamma as are (1) the consciousness that is focussed on these five sense-objects and (2) the inquiring (santirana) consciousness.

 

즐겁지 않은 안식(眼識)과 이식(耳識)과 같은 다섯 가지 괴로운 감각대상들과 결부된 다섯 가지 마음은 불선업에 기인하고 (1) 받아들이는 마음(sampaṭicchana-citta) (2) 조사하는 마음(santīraṇa-citta)도 그러합니다.

 

 

 

There are altogether seven types of consciousness that stem from bad kamma

(apuññā-abhisaṅkhāra). As for aneñja-abhisaṅkhāra, because of the four arūpakusala-dhammas there arises the resulting arūpa-consciousness in the four immaterial worlds in the form of rebirth-consciousness in the beginning, the bhavaṅga citta in the middle and the cuticitta as the end of existence.

 

그러므로 공덕이 되지 않는 행위(apuññā-abhisaṅkhāra)에 기인하는 마음에는 모두 일곱 가지가 있습니다. 흔들림 없는 행위(aneñja-abhisaṅkhāra)에는 네 가지 무색계 선법(arūpa-kusala-dhamma)이 있기 때문에 그 결과로 네 가지 무색계에서 초기에는 재생연결식, 중간에는 바왕가, 존재의 마지막 순간에는 죽음의 마음의 형태로 무색계 과보의 마음이 생깁니다.

 

 

 

Similarly because of the five rūpakusala-dhammas there arise five rūpa vipākacittas in rūpabrahmā worlds. Then there are eight mahāvipākacittas corresponding to eight good kammas in the sensual sphere. They form the rebirth, bhava³ga and cuti cittas in the human words and six devaworlds.

 

마찬가지로 다섯 가지 색계선법(rūpa-kusala-dhamma)으로 인하여 색계 범천계에서 다섯 가지 색계과보의 마음(rūpa-vipāka-citta)이 생깁니다. 그리고 욕계의 여덟 가지 선업에 해당하는 여덟 가지 욕계 과보의 마음(mahā-vipāka-citta)이 있습니다. 그것들은 인간계와 육욕천의 재생연결식, 바왕가, 죽음의 마음을 이룹니다.

 

 

 

They also register pleasant sense-objects (tadærammana) after seven impulse-moments (javana) that occur on seeing, hearing, etc.

 

그것들은 또한 즐거운 감각대상을 등록(tadārammaṇa)하는 기능도 합니다.

 

 

 

Also due to good kamma of the sensual sphere are the five kinds of consciousness associated with five pleasant sense-objects, the registering consciousness, the joyful, inquiring consciousness and the nonchalant, inquiring consciousness.

 

또한 욕계의 선업으로 인하여, 다섯 가지 즐거운 감각대상과 연관된 다섯 가지 종류의 마음, 받아들이는 마음, 기쁨이 함께하는 조사하는 마음, 평온이 함께하는 조사하는 마음, 모두 합쳐서 여덟 가지가 있습니다.

 

 

 

Hence the resulting (vipāka) consciousness is of thirty two kinds, viz., four arūpavipāka, five rūpavipāka, seven akusala vipāka and sixteen kusala vipāka in sensual sphere. All these thirty-two vipāka are resultants of saṅkhāra.

 

그러므로 과보의 마음(vipāka-citta)에는 32가지, 즉 불선한 과보의 마음(akusala-vipāka-citta) 7가지, 무색계 과보의 마음(arūpa-vipāka-citta) 4가지, 색계 과보의 마음(rūpa-vipāka-citta) 5가지, 선한 과보의 마음(kusala-vipāka-citta) 16가지가 있습니다. 이 모든 32가지 과보의 마음(vipāka-citta)은 상카라(saṅkhāra)의 결과입니다.

 

 

 

 

출처 : 슬기롭고 온화하게
글쓴이 : 금강화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