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연기- 마하시 사야도 법문

[스크랩] 12연기...16. 상카라에서 어떻게 재생연결식이 일어나는가

수선님 2018. 7. 8. 13:04

HOW SAṄKHĀRA LEADS TO NEW VIÑÑĀṆA

 

It is very important but hard to understand how saṅkhāra gives rise to rebirth-consciousness.

 

16. 상카라(SAṄKHĀRA)에서 어떻게 재생연결식(VIÑÑĀṆA)이 일어나는가?

 

상카라에서 어떻게 재생연결식이 일어나는가를 이해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지만 이해하기는 어렵습니다.

 

 

 

Ledi Sayādaw points out that this part of the teaching on Paṭiccasamuppāda leaves much room for misunderstanding.

 

레다 사야도(Ledī Sayādaw)는 연기법에서 이 부분이 오해의 소지가 많다고 지적하셨습니다.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xtinction of the last consciousness (cuti citta)

together with all nāma-rūpa as well as the immediate arising of the rebirth-consciousness (Patisandhi citta) together with the new nāma-rūpa as a result of good or bad kammas in the case of living beings who are not yet free from defilements.

 

아직 번뇌에서 벗어나지 못한 중생의 경우 선업이나 불선업의 결과로 마지막 마음, 즉 죽음의 마음(cuti-citta)과 함께 모든 정신과 물질이 소멸되자마자, 새로운 정신과 물질과 함께 재생연결식이 일어난다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Lack of this understanding usually leads to the belief in transmigration of souls (sassatadiṭṭhi) or the belief in annihilation after death (ucchedadiṭṭhi) which is held by modern materialists.

 

이러한 이해가 결여되면 영혼의 전이에 대한 믿음인 상견(sassata-diṭṭhi)이나 현대의 유물론자들이 가지고 있는 죽고 나서 모든 것은 소멸된다는 단견(uccheda-diṭṭhi)에 놀아나기 쉽습니다.

 

 

 

The belief in annihilation is due to ignorance of the relation between cause and effect after death. It is easy to see how avijjā leads to saṅkhæra and how the sense-bases (āyatana), contact, sensation, craving, etc form links in the chain of causation for these are evident in the facts of life.

 

단견은 죽은 다음의 원인과 결과(因果)간의 관계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됩니다. 무명이 어떻게 상카라(行)에 이르고, 감각장소(六入), 감각접촉(觸), 느낌(受), 갈애(渴愛)등이 어떻게 인과관계의 사슬을 구성하고 있는지는 현실의 삶에서 분명히 드러나기 때문에 알기 쉽습니다.

 

 

 

But the emergence of new existence following death is not apparent and hence the belief that there is nothing after death.

 

하지만 죽은 다음에 새로운 생이 일어나는 것은 분명히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죽은 뒤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견해가 생기는 것입니다.

 

 

 

Learned people who think on the basis of faith usually accept the teaching that saṅkhāra gives rise to rebirth consciousness. But it does not lend itself to purely rational and empirical approach and today it is being challenged by the materialistic view of life.

 

믿음의 기반을 두고 사유하는 배운 사람들은 대개 상카라가 재생연결식을 일으킨다는 가르침을 받아들입니다. 하지만 이는 완전히 합리적이고 경험적인 접근방법이 못되기 때문에 오늘날 유물론적 인생관의 도전을 받고 있습니다.

 

 

 

The way rebirth takes place is crystal clear to the yogø who has practised vipassanā. He finds that the units of consciousness arise and pass always ceaselessly, that they appear and disappear one after another rapidly.

 

위빠사나 수행을 닦는 수행자는 어떻게 재생이 일어나는지를 맑고 투명하게 봅니다. 그는 식(識)의 단위들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사라지는 것을, 또한 차례로 일어났다가는 번개같이 사라지는 것을 발견합니다.

 

 

 

This is what he discovers by experience, not what he learns from his teachers. Of course he does not know so much in the beginning. He discovers the fact only when he attains sammāsana and udayabbaya insights.

 

이것은 그가 경험에서 발견하는 것이지 그의 스승들에게 배우는 것이 아닙니다. 물론 수행자는 처음에 그렇게 많이 알지는 못합니다. 수행자가 명상의 지혜(sammāsana-ñāṇa)와 일어나고 사라짐에 대한 지혜(udayabbaya-ñāṇa)를 얻었을 때야 비로소 그 실상을 보게 됩니다.

 

 

 

The general idea of death and rebirth mental units dawns on him with the development of paccaya-pariggaha insights but it is sammāsana and udayabbaya insights that leave no doubt about rebirth.

 

원인과 결과를 구별하는 지혜(paccaya-pariggaha-ñāṇa)가 생기면서 수행자는 죽음의 마음과 재생연결식에 대한 어렴풋한 개념이 생기기 시작하지만 재생(再生)에 대한 일말의 의심이 없게 되는 때는 명상의 지혜(sammāsana-ñāṇa)와 일어나고 사라짐에 대한 지혜(udayabbaya-ñāṇa)에서부터입니다.

 

 

 

On the basis of his insight he realizes that death means the disappearance of the last unit of consciousness and that rebirth means the arising of the first unit of consciousness in the manner of the vanishing and arising of consciousness-units that he notes in the practice of vipassanā.

 

    수행자는 이러한 지혜를 토대로 죽음이란 위빠사나 수행에서 본인이 주시하는 식(識) 단위들이 일어나고 사라지는 것처럼 마지막 식(識)의 단위가 사라짐을 뜻하고 또 재생이란 그러한 첫 식의 단위가 일어남을 뜻한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Those who do not have vipassanā insight miss the point. They believe in a permanent ego and identify it with the mind. It is rejected by those who have a good knowledge of Abhidhamma but it lingers in some people because of attachment to it in their previous lives.

 

위빠사나를 닦지 않는 사람들은 이 점을 놓칩니다. 그들은 영원한 자아가 있다고 믿으며 그것을 마음과 동일시합니다. 아비담마에 대한 깊은 지식이 있는 사람들은 이러한 견해를 부정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여러 전생에서 그러한 견해에 취착해왔기 때문에 여전히 유신견에 놀아납니다.

 

 

 

Even the contemplating yogi who is not yet intellectually mature sometimes feels tempted to accept it.

 

지혜가 아직 완전히 성숙되지 않은 관찰을 하는 위빠사나 수행자도 때로는 유신견을 받아들이려는 유혹을 느낍니다.

 

출처 : 슬기롭고 온화하게
글쓴이 : 금강화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