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암록(碧巖錄)> 제27칙에는 운문 화상의 유명한 가을바람에 진실이 모두 들어난 체로금풍(體露金風)의 법문을 다음과 같이 싣고 있다.
어떤 스님이 운문 화상에게 질문했다. ‘나무가 시들어 메마르고 잎이 떨어졌을 때는 어떻습니까?’ 운문 화상이 대답했다. ‘가을바람에는 나무의 본체가 완전히 드러나지(體露金風).’
擧. 僧問雲門, 樹凋葉落時如何. 雲門云, 體露金風.
원오는 ‘평창’에 이 공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나무가 시들어 메마르고 잎이 떨어졌을 때는 어떤 사람의 경계인가? 이것은 분양 화상의 18가지 질문 가운데 선지식의 역량을 시험하는 질문(辨主問), 또는 사건을 빌린 질문(借事問)이라고 한다. 운문 화상은 조금도 흔들리지 않고 그에게 ‘가을바람에 나무의 본체가 완전히 드러나지’라는 대답은 아주 훌륭하고, 또한 그 질문에 위배되지 않았다. 즉 질문한 스님도 안목이 있었고, 대답 또한 분명했다.”
운문 화상에게 어떤 스님이 찾아와서 “나무가 시들어 메마르고 잎이 떨어졌을 때(樹凋葉落)는 어떻습니까?”라고 질문하고 있다. 수조엽락(樹凋葉落)은 마치 겨울철에 나무에 물이 마르고 낙엽이 져서 나무 잎이 떨어지고 가지만 앙상하게 남아있는 풍경을 연상하게 한다. 물론 이 질문은 그러한 앙상한 겨울나무의 자연풍경을 문제로 삼고 질문하는 것은 아니다.
질문하는 스님이 제시한 ‘나무가 시들어 메마르고 잎이 떨어졌을 때(樹凋葉落)의 경지’는 사실 〈대반열반경〉 제35권에 부루나가 비유로 설하는 다음과 같은 고사를 토대로 한 문제제기 인 것이다. 즉 “부루나가 말했다. ‘한 가지 비유를 들어서 말씀 올리니 들어 주십시오.’ 부처님이 말씀했다. ‘좋은 일이지. 그대 마음대로 말해보게나.’ ‘세존이시여! 마치 큰 마을 앞에 사라나무 숲이 있고, 그 숲 가운데 한 그루의 나무가 숲보다 먼저 생겨서 백년이 넘었습니다. 그 숲의 주인은 물을 주면서 철에 따라 가꾸었는데, 그 나무가 오래되어 껍질과 나뭇가지와 잎은 모두 다 탈락하고, 굳은 고갱이만 남아 있습니다. 여래도 그와 같아서 낡은 것은 모두 제거해 없어지고 오직 진실한 법만 남아 있습니다.’”
〈마조어록〉에 마조 대사가 어느 날 약산에게 “그대 요즘 정법 안목에 대한 견해(見處)는 어떠한가?”라고 질문하자, 약산이 “피부가 완전히 탈락되어 오직 하나의 진실만 남아 있습니다”라고 대답하고 있는데, 이 일단도 〈열반경〉의 고사를 배경으로 한 선문답이다.
또한 〈한산시〉에도 〈열반경〉의 고사를 시로 읊고 있으며, 송대 황산곡(黃山谷.庭堅 : 1045~1105)은 〈한산시〉에 의거하여 “피부와 터럭 모두 떨쳐버리니 오직 진실만 있네”라고 시구에 응용하여 읊고 있다. 〈육조단경〉에 “낙엽이 떨어져 근본으로 되돌아간다(葉落歸本)”고 주장하고 있는 말도 같은 의미인데, 이 말은 〈노자〉 16장에서 주장하는 “대개 사물은 번창하지만 각기 그 근본으로 되돌아간다. 근본으로 되돌아 간 것을 정(靜)이라고 한다. ”는 주장을 토대로 한 말이다. 〈신심명〉에도 “근본으로 되돌아가면 종지를 체득하고, 사물에 비친 대상을 ?으면 근본을 잃어버린다”고 읊고 있다. 선불교에서는 ‘만법이 하나로 되돌아간다(萬法歸一)’는 주장처럼, 일체의 번뇌 망념의 숲에서 본래인 불심의 집으로 되돌아가는 환원성(還源性)의 구조이다. 〈대승기신론〉에서 번뇌 망념의 중생심(不覺)에서 본래인 진여 자성의 불심(本覺)으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회귀성(回歸性)의 종교사상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선어록 등장하는 피부나 나무 잎, 혹은 초목과 풀 등은 숲(사바)의 세계인 번뇌 망념을 의미하는 말이다. 그래서 동산양개 화상도 번뇌 망념이 없는 깨달음의 세계를 “멀고 먼 곳에 풀이 하나도 없는 곳(萬里無寸草)을 향해 가라”고 주장하고 있은데, 일체의 번뇌 망념이 없는 절대 평등의 무일물(無一物)의 경지인 진실된 법신(法身: 불성)을 깨닫도록 지시하는 법문이다.
나무가 시들어 메마르고 잎마저 떨어진 수조엽락(樹凋葉落)은 〈열반경〉에서 부루나가 비유로 말하고 있는 오래된 사라나무의 껍질과 가지와 잎이 완전히 탈락된 앙상한 고목은 본래 모습인 진실만 남았다고 하는 이야기를 토대로 한 것인데, 즉 여래의 진실한 법신은 일체의 번뇌 망념(皮膚)의 먼지가 완전히 없어진 청정한 불심의 심경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나무가 시들고 메말라 잎이 완전히 떨어져 없어진 것은 아상(我相) 인상(人相)과 일체의 번뇌 망념이 완전히 탈락된 본래(本來) 무일물(無一物)인 법신의 진실을 비유하고 있는 것이다. 즉 〈열반경〉에 의거하여 일체의 번뇌 망념이 탈락한 불성상주(佛性常住), 혹은 법신상주(法身常住)의 경지를 말하고 있다.
님은 “번뇌 망념이 완전히 탈락된 깨달음의 경지(法身)는 어떻습니까?”라고 질문하고 있다. 즉 본래 무일물(無一物)인 열반적정인 법신 경지를 체득한 입장에서 질문하고 있는 것이다. 운문 화상은 “가을바람에 나무의 본체가 완전히 드러나지(體露金風)”라고 대답했다. 체로(體露)는 본래의 모습인 근본이 완전히 들러난 것으로 〈광등록〉 제8권에 백장이 신령스런 빛이 홀로 빛나니 육근 육진의 경계를 초월하고, 법신이 그대로 드러났다(體露眞常)」고 설하고 있는 것처럼, 가을바람에 불법의 참된 모습(實相)이 완전히 드러났다는 의미이다. 오행(五行)에서 가을(秋)은 금(金)이기 때문에 금풍(金風)은 추풍(秋風)을 말한다. 〈임제록〉에도 “금풍(金風)이 옥피리를 불면 누가 그 소리를 알아 듣는가?”라고 묻고 있다.
운문은 늙은 피부가 남아 무상에 파괴되고 있는 육신을 통해서 법신의 지혜작용을 꿰뚫어 보고 있다. 운문은 화신이라고도 법신이라고도 말하지 않고도 확실한 자기 존재의 근본 당체(본래면목)를 체로금풍(體露金風)이라는 한마디로 분명히 밝히고 있다. 즉 가을바람에 나무의 본체가 숨김없이 완전히 드러난 것처럼, 일체의 번뇌 망념을 초월하여 깨달음의 지혜로운 삶을 사는 법신은 “가을바람에 흔들리며 법음(法音)을 울리고 있다”고 대답한 것이다. 피부는 물론, 몸과 마음(身心)까지 완전히 탈락한 경지에 살고 있는 자신의 본래면목(법신)의 지혜작용이 분명하고도 당당하게 전부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원오는 운문의 대답에 “하늘을 떠받치고 땅을 버티고 있다”라고 착어하고 있는데, 온 천지(天地) 가득히 가을바람인데 감추고 숨길 곳이 없다는 의미이다. 〈화엄경〉에 “법신(佛身)은 온 법계에 가득 충만되어 있다”는 말과 같다. 만법의 진실(법신)은 감춤이 없고, 여실하고 여법하게 이와 같은 모습(諸法實相)으로 모두 드러나 있는 것이다. 운문은 지금 여기에서 자기 자신은 일체의 번뇌 망념을 초월한 법신의 경지에서 “가을바람에 진실이 그대로 모두 드러났다(體露金風)”는 법음을 설하고 있는 모습으로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두는 이 공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게송으로 읊고 있다. “질문에 이미 종지가 있었고, 대답 역시 또한 그렇다” 선문답은 원래 질문 가운데 대답이 있는 법이다. 운문 화상은 스님의 질문에 충분히 종지가 있음을 파악하였고, 스님의 질문 역시 훌륭했다고 칭찬하고 있다.
“삼구(三句)를 판별해야 한다”는 말은 운문의 삼구(三句)설법으로 판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즉 운문이 대답한 체로금풍(體露金風)이라는 일구(一句)에 천지가 하나된 함개건곤(函蓋乾坤)의 구(句)와 일체의 번뇌망념을 끊은 중류절단(衆流截斷)의 구(句), 학인의 근기에 맞추어 지혜를 살리는 수피축랑(隨波逐浪)의 구(句)라는 삼구(三句)가 구비되어 있는가를 판별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한 화살이 허공을 통과하네”라고 읊고 있는 것은 운문 화상이 체로금풍(體露金風)이라고 대답한 한마디는 하나의 화살이 되어 천지를 꿰뚫고 시방세계의 허공을 날아가는 것처럼, 결코 삼구(三句)나 일구(一句)로 논의 하거나 해석하는 경지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운문의 대답(一句)을 운문의 선사상인 삼구(三句)로서 견주어 판별하여 볼 수 있는 안목을 체득하고는 삼구와 일구를 초월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성본스님/동국대 불교문화대 교수
'벽암록 해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碧巖錄] 제29칙 大隋劫火洞然 - 대수화상의 시방세계를 멸망시키는 불길 (0) | 2018.07.22 |
---|---|
[스크랩] [碧巖錄] 제28칙 南泉不說底法 - 남전화상 설하지 않은 불법 (0) | 2018.07.22 |
[스크랩] [碧巖錄] 제26칙 百丈大雄峰 - 백장화상과 기특(奇特)한 일 (0) | 2018.07.22 |
[스크랩] [碧巖錄] 제25칙 蓮花峰拈拄杖 - 연화봉 암주의 지팡이 (0) | 2018.07.15 |
[스크랩] [碧巖錄] 제24칙 鐵磨到潙山 - 유철마가 위산을 참문하다 (0) | 2018.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