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칙
길주(吉州) 탐원산(耽源山)의 진응(眞應) 서사가 국사의 곁을 하직하고 본사로 돌아가려 하면서 마조(馬祖)를 뵙고, 땅 위에다 원상(園相) 하나를 그리고, 방석을 펴고 절했더니, 마조가 물었다.
“그대는 부처가 되고 싶은가?”
선사가 대답했다.
선사가 대답했다.
“소승 눈을 비빌(目) 줄을 모릅니다.”
마조가 말했다.
“내가 그대만 못하구나.”
그러자, 선사는 아무 시늉도 하지 못했다.
염·송·어
설두(雪竇)가 염했다.
“비록 사나운 범이라도 새끼를 잡아먹지 않는다지만 오늘 말이 풍부하지 못한 바에야 어쩌랴. 여러분은 탐원을 알고자 하는가? 고작해야 몸을 숨기고 그림자를 드러내는 바보일 수밖에 없다.
감상
탐원은 원상(圓相)을 그려 마조의 코를 납작하게 하고 싶었다. 아니 스승에게 자기의 깨달음을 알린 다음 하직을 고하고 싶었다. 원상은 모자라지도 않고 남지도 않고 완전히 둥근 상으로 진여(眞如), 불성(佛性), 실상(實相) 등을 상징한다.
원상을 그리고 그 안에 들어가 마조에게 절했으니 마조가 당황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마조는 여기서 역습으로 나갔다.
네가 이러고 앉아 있는 것이 바로 부처가 되었다는 뜻이냐. 아니면 부처가 되고 싶다는 뜻이냐. 탐원도 여기서 물러서지 않았다. 그 또한 독하게 마음먹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소승은 눈을 비빌 줄 모릅니다.”
아마도 탐원의 입장에서 보자면, ‘저는 헛것을 일으킬 줄 모릅니다’ 라고 답한 것이다. 마조의 질문에 정면으로 답한 것은 아니지만, 탐원은 ‘이제 저는 헛것을 보지 않게 되었습니다’ 라고도 답한 것이리라.
이에 대해 마조의 답변이 뛰어나다.
“내가 그대만 못하구나.”
말의 표현으로 보자면, 마조가 제자인 탐원의 깨달음을 크게 칭찬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 말은 ‘너는 훌륭하기는 하지만 아직은 부족하구나’ 하는 뜻이다. 이 말뜻을 탐원이 알아들었기 때문에 그는 아무 시늉도 할 수 없었다.
왜 그러할까. 설두의 염이 날카롭다. 탐원은 일원상에 몸을 숨겼지만 자신의 그림자를 드러내었기 때문이다. 탐원이 그가 그린 일원상에 갇혀 있다는 것이다. 마조의 답은 그러므로, 새끼를 잡아먹은 범과 같다는 것이 설두의 통찰이다.
“내가 그대만 못하구나” 라는 마조의 답은 “아직 그림자에 갇혀 있으니 더 정진하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최동호/고려대 국문과 교수
출처 : 淨土를 그리며...
글쓴이 : 느린 걸음 원글보기
메모 :
'선문염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禪門拈頌 27. 여우(野狐) (0) | 2018.08.12 |
---|---|
[스크랩] 禪門拈頌 26. 들오리(野鴨子) (0) | 2018.08.12 |
[스크랩] 禪門拈頌 24. 일면불(日面佛) (0) | 2018.08.05 |
[스크랩] 禪門拈頌 23. 서강(西江)의 물 마시기 (0) | 2018.08.05 |
[스크랩] 禪門拈頌 22. 달구경(翫月) (0) | 2018.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