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復次須菩提 隨說是經 乃至四句偈等
當知此處 一切世閒天人 阿修羅皆應供養
如佛塔廟 何況有人 盡能 受持讀誦
須菩提 當知 是人 成就最上第一希有之法
若是經典 所在之處 則爲有佛 若尊重弟子"
尊重正敎分 第十二
復次須菩提야 隨說是經호대 乃至四句偈等하면
當知此處는 一切世間天人阿修羅가 皆應供養을
如佛塔廟어든 何況有人이 盡能受持讀誦가
須菩提야 當知是人은 成就最上第一希有之法이니라
若是經典所在之處에는 則爲有佛커나 若 尊重弟子이니라
금강경 강의 (12) / 해안 스님
※ 경문.
復次須菩提 隨說是經 乃至四句偈等
當知此處 一切世閒天人 阿修羅皆應供養
如佛塔廟 何況有人 盡能 受持讀誦
復次須菩提 야 隨說是經 하되 乃至 四句偈等 하면
부차수보리 야 수설시경 하되 내지 사구게등
當知此處 는 一切世間天人 阿修羅 皆應供養 을
당지차처 는 일체세간천인 아수라 개응공양
如佛塔廟 어던 何況有人 盡能 受持讀誦 이리요
여불탑묘 어던 하황유인 진능 수지독송
※주석.
그리고. 또 수보리야,
이경에 내지 사구게 등만 따라서 설 할지라도, 마땅히 알라,
이곳은 일체 세간의 하늘과 사람과 아수라가 다 응당 공양 하기를
부처님의 탑과 절 같이 할것 이어늘,
어찌 하물며 사람이 있어, 다 능히 수지하며 읽고 외움 이겠느냐.
※ 해설.
사구게만 설 하는 곳 이라도,
이 곳은 부처님의 사리(신령한 구슬) 를 모신 탑이나,
부처님을 모신 절과 같이,모든 세간의 하늘이며, 사람이며,
아수라 (육취중에 싸움을 좋아 하는 중생) 들이 와서 공양 하거늘
하물며 어떤 사람이 이 경전 전부를 수지독송(受持讀誦) 한다면 어찌 되겠는가.
※ 경문.
須菩提 當知 是人 成就最上第一希有之法
若是經典 所在之處 則爲有佛 若尊重弟子
須菩提 야 當知 하랴 是人 은 成就最上第一 稀有之法 이니
수보리 야 당지 하랴 시인 은 성취최상제일 희유지법
若是經典 所在之處 는 卽爲有佛 과 若尊重弟子 니라
약시경전 소재지처 는 즉위유불 과 약존중제자.
※주석.
수보리야, 마땅히 알라.
이사람은 가장 상 (上) 가는 제일 희유한 법을 성취한 것이니,
만약 이경전이 있는 처소는, 곧 부처님과 존중하신 제자가 계심이 되느니라.
※ 해설.
사구게를 수지하여,남을 일러주는 공덕도 한량없이 크거늘,
경 전부를 수지독송 한 사람이야 말로 가장 잘사는 법을 성취한 사람이다.
이경이 있는곳은 불 법 승 삼보가 있음이 되나니,
부처님이 계시므로 이법을 설하시고 이법을 설 하셨으므로
이 법을 믿는 제자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아뇩다라 삼먁 삼 보리법은 아 인 중생 수자상이 없어,
제도 할자도 없고, 제도 받을자도 없으며,
이 없다는 상까지도 없다고, 저 위에서 말씀하고, 이 대문에 와서,
이경이 있는 곳에는, 부처와 법과 승 이 있다고 말씀 하시니,
앞의 말과 뒤의 말에 전도가 아닐가, 의심할지 모르나,
저 위에서 (응무소주이생기심) 의 강의를 살펴보면 알것이다.
가장 잘사는 법은 아무 걸림이 없이 된 법이기 때문이다.
【언해본】
“또 다음으로 須菩提야, 좇아서 이 經을 일러(說하여) 四句偈들에 이르기까지 마땅히 알아라.
이 곳은 一切 世間의 天(上)?人(間)?阿修羅가 모두 마땅히 供養하되 부처님의 塔廟(와) 같이 할
것이다. 하물며 (어떤) 사람이 다 能히 (이) 經을 受持, 讀誦함이겠느냐?
須菩提야, 이(런) 사람이 가장 높은 第一(의) 希有한 法을 이룰 것을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니, 만약 이 經典(이) 있는 곳(이라면 그 곳)은 부처님과 尊重한 弟子(가) 있는 곳이다
(계시는 곳이다).??
【범어본】
또 須菩提여, 어떤 地方에서든지 이 法門으로부터 사행시의 하나라도 끄집어내어 얘기하거나 說明해
들려준다면, 그 地方은 신과 人間과 阿修羅 世界의 塔廟가 될 것이다.
하물며 이 法門을 남김없이 受持·讀誦·학수하고, 남을 爲해 상세히 들려주는 자가 있다면 須菩提여,
그들은 가장 뛰어난 希有한 자가 될 것이다.
그리고 須菩提여, 그러한 地方에는 大師가 머물거나, 또는 갖가지 智慧를 갖춘 스승의 地位에 있는
자가 살게 된다.
【몽고본】
또 수부티여, 어떠한 方處에서는 이 法門에서 四句의 偈頌 程度라도 찾아내든지 혹은 讀誦한다면,
그들의 地方은 天과 人과 阿修羅를 갖춘 世界의 供養의 塔소가 되는데, 하물며 만약 누군가가 이 法門을 受持하고 讀誦하고 憶念하여 法과 같이 作意하는 자는 오로지 不可思議 最勝이 될 것은 물론이다.
또 그러한 地方에는 導師·敎師·上人과 같은 사람도 住在하리라.
憶念(억념)깊이 생각에 잠김, 단단히 기억(記憶)함. 또는, 그 기억(記憶).
導師· 정도(程度)를 설법하여 중생(衆生)을 불도(佛道)ㆍ오계(悟界)로 이끌어 제도(濟度)하는 이. 곧, 부처ㆍ보살(菩薩)의 통칭. 법회(法會)나 장의(葬儀)에서 여러 중을 거느리고 의식(儀式)을 행하는 중
【티베트본】
“또한, 쑤부띠여, 이 法門으로부터 四行詩의 偈頌 하나 만이라도 포교하거나 가르치는 그 地方은 神과
人間과 阿修羅가 사는 世界의 聖地가 될 것이다. 누군가가 이 法門을 받아서 보고 受持하고 讀誦하고
記憶하고 올바로 熟考하는 자는 가장 놀라운 驚異를 成就할 것이라는 것은 말할 나위가 없다.
그 地方에는 스승이나 라마와 같은 適當한 분이 머문다.”
【용성】
또한 다시 須菩提야 이 經 說하심을 따라서 四句偈에 이르러 마땅히 알라.
이 곳은 一切 世間 천상 人間 阿修羅가 다 應當 고양하되 부처님 塔廟와 같이 하거든
어찌 하물며 어떠한 사람이 다 能히 受持하며 讀誦함이겠느냐? 須菩提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가장 第一 높은 希有한 法을 成就하리라.
만일 이 經典 있는바 곳은 곧 부처님과 존중한 제자가 있는 것과 같으리라.
【운허】
“또 須菩提야! 어디서나 이 經을 말할 때 네 글귀로 된 한 偈頌만이라도 말하면 온 世界의 하늘사람이나 世上 사람이나 阿修羅들이 마땅히 恭敬하기를 부처님의 塔과 같이 하리니
하물며 어떤 사람이 이 經을 온통 받아 지니고 읽고 외움에 있어서랴
須菩提야! 이 사람은 가장 높고 第一이고 希有한 法을 成就할 줄을 알지니 이 經이 있는 데는
곧 부처님이 계시고 거룩한 제자가 계신 데가 되느니라.”
【신소천】
다시 須菩提야! 이 經을 說함에 내지 四句偈 등이라도 마땅히 알아라,
이곳은 一切世間에 하늘, 사람, 阿修羅가 다 應當 供養하되 부처님의 塔과 묘와 같이 하거든
하물며 사람이 있어 이 經을 다 能히 受持하며 讀誦함이겠느냐?
須菩提야! 마땅히 알아라 이 사람은 가장 높은 第一가는 드문 法을 成就하리라.
만일 이 經典이 있는 곳이면 곧 부처님이 계심이어서 제자가 존중히 여김 같을 것이다.
【권상로】
다시 須菩提야 따라 이 經을 說하되 내지 四句偈등이라도 마땅히 알거라 이곳은 一切 世間 하늘이나
사람이나 阿修羅가 모두 應當 供養하기를 부처님의 塔廟와 같이 하겠거든
하물며 어떤 사람이 다 能히 受持하며 讀誦함이랴
須菩提야 마땅히 알아라 이 사람은 第一 希有한 法을 成就한 것이며 이러한 經典이 있는 곳은
곧 부처님이나 또는 부처님의 尊重한 弟子가 있음이니라
【명봉】
“다시 須菩提야 이 經을 說하되 내지 四句偈만 하더라도 마땅히 알라.
이곳은 一切 世間과 天人?阿修羅가 다 應當히 供養하기를 부처님의 塔廟와 같이 할지니
어찌 하물며 사람이 다 能히 受持 讀誦함이겠는가.
須菩提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가장 높은 第一 希有한 法을 成就함이며,
만약 이 經典 있는 곳은 곧 부처님 계심이 되고 존중한 제자와 같느니라.”
【기산】
다시 須菩提야! 있는 바의 處所에 따라서 이 法門을 說하여 내지 四句偈 등에 이를 지도 마땅히 알라.
이곳은 一切 世間의 천·인·阿修羅가 다 마땅히 供養하기를, 부처님의 塔廟와 같이 할 것이다.
하물며 어떤 사람이 다 能히 受持 讀誦함이랴.
須菩提야! 마땅히 이 사람은 最上 第一로 希有한 法을 成就할 것이다.
이 같은 經典이 있는 데는 곧 부처님과 尊重한 弟子가 있게 되기 때문이다.
【해안】
그리고 또 須菩提야! 이 經에 내지 四句偈 등만 따라서 說할지라도 마땅히 알라,
이곳은 一切世間의 하늘과 사람과 阿修羅가 다 應當 供養하기를 부처님의 塔과 절 같이 할 것이거늘,
어찌 하물며 사람에 있어, 다 能히 受持하며 읽고 외움이겠느냐?
須菩提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가장 상(上)가는 第一 希有한 法을 成就한 것이니,
만약 이 經典이 있는 處所는 곧 부처님과 존중하신 제자가 계심이 되느니라.
【청담】
“그리고 또 須菩提야, 이 經에 내지 四句偈 만이라도 따라서 일러 준다면, 마땅히 알라.
이곳은 一切 世間의 하늘?사람?阿修羅가 다 마땅히 부처님의 塔과 절같이 恭敬할 것인데
하물며 어떤 사람이 能히 받아 지니어 읽고 외는 것이겠느냐.
須菩提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最上의 第一 가는 希有한 法을 成就한 것이니, 만일 이 經典이 있는
곳이면 곧 부처님이 계신 곳이 되고 尊敬 받는 제자가 있는 곳이 되느니라.”
【탄허】
復次 須菩提야! 이 經을 따라 說하되 내지 四句偈등을 하면 마땅히 알라.
此處는 一切 世間·천·인·阿修羅가 다 應當 供養함을 불의 塔廟와 같이 할 것 이어든
어찌 하물며 어떤 사람이 다 能히 受持하고 讀誦함이랴
須菩提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最上 第一 希有한 法을 成就함이니 만일 이 經典의 있는 바 곳은
곧 불과 및 존중한 제자가 있음이 되나니라.
【광덕】
“그리고 또 須菩提야! 이 經을 說함에서는 내지 四句偈 등만이라도 마땅히 알아라.
이곳은 一切 世間의 천상과 人間과 阿修羅가 다 마땅히 供養하기를 부처님의 塔묘와 같이 하려던
어찌 하물며 사람이 있어 能히 다 받아 지니며 읽고 외움이랴.
須菩提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가장 높은 第一가는 希有한 法을 成就하리라.
만약 이 經典이 있는 곳이면 곧 부처님과 존중하신 제자가 계심이 되느니라.”
【월운】
“또 須菩提야! 어디서나 이 經을 말하되 四句偈만 說明하더라도 온 世界의 하늘무리나 世上 사람이나
阿修羅들이 모두가 恭敬하기를 부처님의 塔과 같이 할 것 이어늘, 하물며 어떤 사람이 끝까지
다 지니어 읽거나 외울 때이겠는가?
須菩提야! 이 사람은 가장 높고 第一이고 希有한 法을 成就하게 되리니,
이 經이 있는 곳은 곧 부처님이나 혹은 거룩한 제자들이 계신 곳이 되느니라.”
【무비】
“그리고 또 須菩提야, 어디서나 이 經을 說하되 四句偈만이라도 說한다면, 마땅히 알라.
이 곳은 一切 世間의 천상?人間?阿修羅 등이 供養하기를 부처님의 塔廟와 같이 할 것이거늘,
어찌 하물며 어떤 사람이 能히 經을 다 受持하고 讀誦함이겠는가.
須菩提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最上이며, 第一인 希有한 法을 成就하리라.
만약 이 經典이 있는 곳에는 곧 부처님과 존중할 제자가 계심이 되느니라.”
【석진오】
그리고 또 須菩提여, ‘소재의 처’에 이르러서 四句偈 등을 說하면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곳은 모든 世間의 신과 人間과 阿修羅 모두가 應當 供養하기를 부처님의 塔廟와 같이 할 것이다.
그런데 하물며 사람이 있어서 이 經을 受持하고 讀誦함에 있어서는 더 말할 것이 있겠는가?
須菩提여,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러한 사람은 가장 높고 第一 가는 가장 귀한 眞理를 얻을 것이다.
이 經典이 있는 곳에는 부처님과 또 존중받는 제자가 있느니라
【홍정식】
그리고 또 須菩提야 어느 곳에서라도 이 經에 나와 있는 四句偈 하나만이라도 說明한다면 그곳은
모든 世間의 하늘과 사람과 阿修羅가 다 마땅히 부처님의 사리塔이나 부처님이 계신 절처럼 供養하게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런데 하물며 어느 사람이 이 經典 전부를 能히 알고 깨달아 읽고 외는 것이 그렇지 않겠느냐.
須菩提야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 사람은 가장 높고 第一 希有한 法을 成就한 사람이니
이 經典이 있는 곳은 곧 부처님이 계신 곳이 되고, 또 높고 거룩한 제자가 있는 곳이 된다는 것을
【김기추】
“다시 須菩提야! 이 經을 說하되 이에 四句偈 등이라도 따르면, 마땅히 알지어다.
이 곳은 온갖 世間의 하늘과 사람과 阿修羅가 다 應當 供養하기를 부처님의 塔廟와 같이 하거든
어찌 하물며 사람이 있어서 다 能히 받아 가지고 읽고 외움이리요. 須菩提야! 마땅히 알지어다.
이 사람은 가장 위로 第一 가는 드문 法을 成就함이니,
만약 이 經典이 있는 곳에는 곧 부처님과 존중받는 제자들이 계시느니라??
【이기영】
“그리고 또 須菩提여, 이 經을 說함에 있어서는 四句偈 등에 이르기까지 마땅히 알아야 하느니라.
이곳은 모든 世間의 천·인·阿修羅 등이 다 應當 供養하기를, 부처님의 塔廟와 같이 하거늘,
하물며 사람에 있어 이 經을 受持하고 讀誦함에 있어서랴!
須菩提여, 마땅히 알지어다.
이 사람은 가장 높고 第一가는 希有한 法을 成就하노라. 만약 이 經典이 있는 곳이라면 곧 거기는
부처님이나, 혹은 존중받는 제자가 계신 곳이라 할 것이니라.”
【송찬우】
“다음으로 須菩提야, 이 經典을 따라서 行한 說明이 네 句節로 이루어진 偈頌 분량과 같은 정도에까지만 이른다 해도 마땅히 알라. 說法을 행했던 곳은 一切 世間의 천상·人間·阿修羅들 모두가 應當 供養을 올리기를 塔 속에 모셔진 불상처럼 해야 한다는 것을.
하물며 모조리 다 受持하고 讀誦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더더욱 어떤하겠느냐.
須菩提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끝내 最上이고 第一이고 希有한 菩提法을 成就하게 된다는 것을.
가령 이 經典이 소재한 곳이라면 바로 그곳이 부처님이 계신 곳과 같으므로 이 經典을 說法하는 제자들
을 존중하듯 해야만 한다.
【이제열】
“또 須菩提야, 이 經이나 이 經의 四句偈 하나만이라도 說할 때는 마땅히 다음과 같이 알아야 한다.
이 經이 說해지는 곳에는 一切 世間의 하늘과 사람과 阿修羅가 마땅히 供養하기를 부처님의 塔廟와 같이
하겠거늘, 하물며 사람이 이 經을 받아 지니고 읽음에 있어서는 더 말할 나위가 있겠는가.
須菩提야, 마땅히 알라.
그러한 사람은 가장 높고 第一 가는 希有한 眞理를 成就한 것이니라.
이 經典이 있는 곳은 부처님이나 존경받는 부처님의 제자가 있는 것과 같으니라.
【문제현】
다시 말씀하셨다.
“須菩提야! 이 經의 네 글귀 偈頌만이라도 따라 말하여 준다면 모든 世間의 天人과 阿修羅가
모두 마땅히 부처님의 塔廟에 하듯 供養하게 된다는 것을 알아라.
하물며 사람이 모두 받아 지녀 읽고 외우는 것이겠는가.
須菩提야! 이 사람은 가장 높고 第一 希有한 法을 成就했다는 것을 마땅히 알아라.
이 經典이 있는 곳에 곧 부처님과 존귀한 제자들이 같이 있게 되느니라.”
【김용옥】
“이제 다음으로 須菩提야! 어디서나 이 經을 說하되, 四句偈 하나라도 說하는데 이른다면, 마땅히 알라, 바로 그곳이 一切世間의 하늘과 人間과 阿修羅가 모두 기꺼이 供養하는 부처님의 塔廟와도 같은 곳이
되리라는 것을 하물며 어떤 사람이 있어 이 經 全體를 受持하고 讀誦함에 있어 서랴!
須菩提야! 마땅히 알지니, 이 사람은 最上이며 第一인 希有의 法을 成就하리라는 것을 그리고 이 經典이 있는 곳이 바로 부처님과 그의 尊敬스러운 제자들이 계신 곳이 된다는 것을.”
【조현춘】
須菩提야! 이 經의 四句偈를 說하는 곳은 모든 世上의 하늘과 사람과 阿修羅가 모두 부처님의 塔에
供養하듯이 供養할 것이다.
하물며 이 經 전체를 받아 지녀 읽고 외우는 사람에 대해서야 더 말할 나위가 있겠느냐!
須菩提야! 이런 사람들은 참으로 거룩한 法을 이룰 것이다.
이 經을 說하는 곳에는 부처님이나 부처님의 훌륭한 제자들께서 항상 함께 하실 것이다”
【백성욱】
다시 다음에 須菩提야! 이 經에 내지 네 글귀 偈頌을 따라 설한다면 마땅히 알라.
이곳은 一切 世上 하늘 사람 阿修羅가 다 뻑뻑이 그 곳을 공양하기를 마치 부처님 塔廟와 같이 할
것이다. 하물며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다 받아 가지고 읽고 외운다면 須菩提야! 마땅히 알거라
이 사람은 참 가장 높은 제일 希有한 법을 成就한 것이니라. 만약 이 經典이 있는 곳은 곧 부처님이
계시거나 그렇지 않으면 부처님의 가장 尊重한 弟子가 있는 곳이니라.
【김운학】
다시 또 須菩提야., 이경의 내지 四句偈등을 따라 설해 주면, 마땅히 알라,
이곳은 일체 世間의 天人과 阿修羅들이 다 應當 供養하기를 부처님의 탑과 절과 같이 할 것인데,
하물며 사람이 있어 다 잘 받아 지니고 讀誦하면 말한 나위 있겠느냐?
須菩提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최상의 제일 希有의 법을 성취한 것이다.
이 경전이 있는 곳에는 불과 및 尊重의 弟子가 있다.
【오진탁】
또한 須菩提여! 金剛經에서 四句偈만이라도 다른 사람에게 전해 주면 그가 있는 곳은 모든 世間의 하늘, 사람, 阿修羅들이 마치 부처님의 塔과 사찰처럼 봉양할 것이다.
하물며 어떤 사람이 이 經典을 곁에 지니고 讀誦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두말할 나위도 없지 않은가!
須菩提여! 그 사람은 世上에서 드문 最上의 眞理를 成就할 것이다.
또 이 經典이 갖춰진 곳이 바로 부처님과 그의 尊敬받는 弟子가 있는 곳이다."
..
'금강경, 반야심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離相寂滅分 第十四 (0) | 2019.01.20 |
---|---|
[스크랩] 如法受持分 第十三 (0) | 2019.01.20 |
[스크랩] 無爲福勝分 第十一 (0) | 2019.01.13 |
[스크랩] 莊嚴淨土分 第 十 (0) | 2019.01.13 |
[스크랩] 一相無相分 第九 (0) | 2019.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