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 가지에 대한 알아차림 >
대념처경에서 말하는, 4 가지의 알아차림(四念處)이란 무엇인가? 위빠사나 수행은 알아차림을 확립하는 경인데 그 대상이 몸, 느낌, 마음, 법(마음의 대상), 4가지이기 때문에 4념처라고 한다.
몸과 마음을 말할 때 빨리어로는 나마 루빠(na-ma ru-pa, 정신과 물질, 名色)라고 해서, 몸과 마음이라고 하지 않고 정신과 물질이라고 말한다. 경전에 나오는 모든 용어는 나마 루빠, 정신과 물질이라고 말한다. 부처님은 몸이라고 말씀하지 않았다. 몸이라고 할 필요가 있는 신. 수. 심. 법을 말할 때에만 특별히 가야(ka-ya)라고 해서 몸이라는 표현을 하였다. 그래서 4념처 중에서 신념처(身念處)의 경우, 몸을 알아차리는 수행이라는 의미에서 가야누빠사나(ka-yanupassana-)라고 한다.
이와 같이 부처님은 몸을 물질로 보았다. 오온을 색수상행식(色受想行識)이라고 할 때 색은 물질을 말한다. 몸이라고 하지 않는다. 빨리어로 몸이라는 의미의 가야(ka-ya)가 씌여지는 경우는 경전에서 극히 드물다. 그런데 우리는 정신과 물질이라고 하지 않고 몸과 마음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몸은, 하나의 물질이 구조적으로 32가지 요소와 28가지의 빠라마타로 구성되어있다고 말할 때에 몸이지, 실제로는 물질로 이해하여야 한다.
몸을 알아차리는 수행(身念處)과 마음을 알아차리는 수행(心念處), 이것이 오온인 색수상행식 중에서 몸[色])과 마음[識]을 말하는데 이렇게 몸과 마음을 알아차리는 과정은 느낌[受]이라는 것을 통해서 알기 때문에 신, 수, 심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신.수.심으로(순서는 중요하지 않지만) 말하는 이유는, 몸[身]에서 혹은 마음[心]에서 느낌[受]이 교감하지 않으면 우리는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사실은, 신. 수. 심. 법 중에서 물질과 정신 두 가지밖에 없다. 그런데 이것을 느낌으로 안다. 법은 알아차릴 대상이므로 모두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몸과 마음을 느낌으로 보는데 이것을 대상으로 볼 때 법을 알아차린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몸으로 와야 한다. 무엇이든 몸으로 오는 것, 그리고 이것을 대상으로 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면 외부와 차단되고 밖의 것들이 보이지 않는다. 남편, 자식, 돈 주식...이런 것들 때문에 괴롭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것들을 유신견을 가지고 보지 않게 된다.
안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느낌에 의해서 아는 것이다. 우리가 부자가 되고 싶은 것도 느낌에 의해서 부자가 되고 싶은 것이고 화를 내는 것도 누구를 미워하는 것도 느낌이다. 결국 우리가 아는 것은 ‘느낌’으로, ‘하는 것을 아는 것’이다. 그래서 느낌은 뗄 수 없는 중요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알아차림을 하는데 이 사실을 통해 왜 수념처, 느낌을 넣었는가, 몸과 마음만 알아차리면 되었지 왜 느낌을 알아차리라고 했는가를 알게 된다.
결국 우리는 느낌 때문에 집착을 한다. 그래서 느낌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말하는 것이다. 또한 느낌에서 알아차림을 했을 때 우리는 비로소 자유로워질 수 있다. 술 먹을 때, 느낌으로 마신다. 배가 고플 때도 그것은 느낌이다. 사랑도 느낌이고 돈도 명예도 느낌이다. 일체지는 느낌이다. 안다는 모든 것은 느낌으로 아는 것이다.
그 다음, 법념처(法念處)로 들어가 보자. 법은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하나는 진리라는 뜻이고 두 번째는 마음의 대상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진리는 부처님의 말씀, 金句, 진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실제 수행에서 말하는 법은 마음의 대상이다. 몸과 마음이 있는데 그것을 대상으로 보려고, 알아차림의 대상으로 보려고 했을 때 비로소 그것이 수행이라는 것이 된다. 몸과 마음은 존재하고 있지만 우리는 이 몸과 마음을 대상으로 보지 않는다. 몸과 마음을 대상으로 할 때에만 비로소 수행이 되지만 우리는 외부세계에만 마음이 가 있다.
이런 전제하에 대념처경에서 말하는 4가지인 신. 수. 심. 법으로 들어가 보기로 한다.
'묘원법사님(한국명상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마타, 위빠사나 그리고 바라밀 ...묘원 (0) | 2019.02.17 |
---|---|
[스크랩] 깨달음은 순간의 정신적 상태...묘원 (0) | 2019.02.17 |
[스크랩] 대념처경이란...묘원 (0) | 2019.02.10 |
[스크랩] 경전이 생긴 배경...묘원 (0) | 2019.02.10 |
[스크랩] 단계별 수행방법...묘원 (0) | 2019.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