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엄경

[스크랩] <개운조사 일대기>

수선님 2018. 1. 1. 12:06

<개운조사 일대기>




*** 개운 조사(開運 祖師)일대기와 수행의 증과 ***



조선조 후기, 우리나라에서는, 크게 득도(得道)한, "선도인"(仙道人)들이, 계속, 배출되었다...

그들 중에서, 불가(佛家)의 스님으로서, "천선"(天仙)의 경지에, 오른 분이 있었다...

"개운 조사"(開雲 祖師) 라는 스님이, 바로, 그 분이다...



개운조사는, 1790 년에, 경상북도, 상주에서, 태어났다...

속성(俗性)은, 김 씨(金 氏)이고, 어머니는, 양 씨(楊 氏) 였다...

개운조사는, 외동 아들이었다...



개운 조사의 아버지는, 개운 조사가, 3살 되던 해에, 돌아가셨다...

그 2 년 뒤에는, 어머니 마저, 세상을 떠나셨다...

그러자, 외삼촌 부부가, 개운 조사를 데려다가, 아들처럼 길렀다...

외삼촌 부부는, 아이가 없었다...

한데, 외삼촌도, 개운조사가, 7 살 때, 돌아가셨다...

이에, 개운조사가, 상주(喪主)가 되어, 3 년 상을 치렀다...

그 후, 외숙모도, 2 년 뒤에, 돌아가셨다...

개운 조사는, 혼자서, 외숙모의 3년상을, 치루었다...

마을 사람들은, 그의 효심(孝心)에, 큰 감동을 받아, 개운 조사를,
양효동(楊孝童) 이라고 불렀다...

9 살에는, 외숙모 마저 여의고, 고아가 된, 개운 조사는,
인생의 무상(無常)함을, 뼈저리게 느꼈다...

또, 피붙이들을, 모두 앗아간, "죽음"이, 너무도, 두렵고, 싫었다...

죽음을, 이기는 길을, 알고 싶었다...

그래서, 어른들을, 만날 때마다, 죽음에서, 벗어나는 방법이, 없느냐고 물었다...

사람들은, 이런 질문을, 받을 때마다, 어이없어 했다...

쓸데없는 생각을 한다고, 비웃는 사람도 많았다...

모두, 개운 조사의 머리가, 좀 잘못되어 간다고, 생각했다...

그래도, 개운 조사는, 포기하지 않았다...

낯선 사람을, 만날 때마다, 그 질문을 던졌다...



하루는, 어느 스님을 만나서, 똑같은 질문을 했더니, 그 스님이 대답하기를,

"불법(佛法)을 닦으면, 죽음에서, 해탈할 수 있다."

라고, 대답해 주었다...

스님의 대답은, 개운 조사한테는, 크나 큰, 광명이었다...

개운 조사는, 너무나 기뻐, 외숙모의 첫 번째 제사를 지낸 다음,
곧 바로, 출가(出家) 했다...

이때, 그의 나이, 13 살 이었다...

개운 조사가, 출가하여, 찾아 간 절은, 문경의 "봉암사" 였다...

당시, 봉암사에는, 혜암 선사(慧庵 禪師)가, 주석하고 있었다...

혜암 선사가, 개운 조사의 머리를, 깎아 주었다...

개운 조사는, 혜암 선사의 시자(侍子)가 되어, 그의 가르침을 받았다...

한데, 혜암 선사도, 1년 후에, 입적했다...

개운 조사는, 혈욱뿐 아니라, 스승까지도, 너무, 어린 나이에 잃었다...

죽음은, 이제, 개운 조사가 풀어야 할, 일생의 화두(話頭)가 되었다...



개운 조사는, 혜암 선사가, 입적한 뒤에도, 6년 동안, 봉암사에 머물면서, 불법(佛法)을 닦았다...

그리고, 19 세 때, 큰 스승을 찾아, 봉암사를 떠났다...

개운 조사가, 만나고자 하는, "큰 스승" 은, 도(道)를, 완성한 사람이었다...

죽음으로 부터 해방된, 대도인(大道人)을 찾아서, 10 여년 동안, 방방곡곡을, 두루 헤맸다...

발이 닳도록, 명산대찰을, 이곳 저곳, 떠돌아 다녔다...

하지만, 간절히 고대하는 스승은, 쉽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이었다...

개운 조사는, "쓸데없이, 쇠신만 닳게 하며, 분주히 돌아다닌다."

라는, 고승의 시를 읽었다...

꼭, 자기 처지를, 말하는 것 같았다...

개운 조사는, 문득, 깨달아지는 바가 있어, 봉암사로 돌아왔다...

이때, 그의 나이, 30 이었다...



본사로, 돌아와서는, 산내 암자인, "환적암"에 머물며, 수행에 전념했다...

침식도, 자주 거르며, 열심히, 기도하고, 참선했다...

한데, 기도나, 참선 중에, 온갖 환상이, 꼬리를 물고 나타났다...

어여쁜 여인, 황금, 비단, 아름다운 음악 등이, 개운조사를 유혹했다...

개운 조사는, 그 유혹에, 동요하지 않았다...

호랑이, 엄청나게 큰 구렁이, 강도 등이, 나타나기도 했다...

개운 조사는, 그래도, 두려워하지 않았다...

온갖 환상과 싸우며, 어느 덧, 일년을 보냈다...

하루는, 웬 미치광이 거지스님이, 환적암을 찾아왔다...

그가 입은 옷은, 다 떨어진 누더기였고, 그의 몸은, 부스럼으로, 뒤덮여 있었다...

부스럼에서는, 진물이, 줄줄 흘렀다...

또, 고약한 냄새가, 진동했다...

그러나, 개운 조사는, 이 스님을, 공경히 맞아, 함께 살며, 잘 봉양했다...

거지 스님은, 행패도, 아주 심했다...

툭하면, 욕설을 퍼 붓고, 개운 조사를, 마구 때렸다...

그러다가, 갑자기, 정색을 하고, 입에, 침이 마르도록, 개운조사를, 칭찬하기도 했다...



그러나, 개운 조사의 마음은, 어떤 일을 당해도, 고요했다...

맞아도, 속상하지 않았고, 칭찬을 들어도, 즐겁지 않았다...

마음은, 언제나, 잔잔한 호수와 같았다...

거지스님과 함께 지낸 지, 한달 쯤이, 지나서 였다...

하루는, 밤중에, 거지스님이, 개운 조사를, 조용히 불러서, 이렇게 말했다...

"너는, 마음을, 참 잘 다스렸구나...
틀림없이, 크게, 득도(得道) 하겠다...
그 동안, 부처님께, 어떤 기도를 바쳤느냐...?"

개운 조사는, 이 스님이, 아무래도, 범상치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하며,
공손히, 큰 절을 올리고, 이렇게 대답했다...

"참 스승을 만나, 불법(佛法)을, 바르게 닦는 것입니다..."

그러자, 거지스님이,

"내가, 너의 스승이 되면, 어떻겠느냐?"

라고 물었다...

개운 조사는, 감격에 겨워서, 눈물을 흘리며, 제자가 될 것을, 간청했다...




거지스님은, 개운조사를, 제자로 받아 들이고, "희양산" 중턱으로 데려갔다...

거기에는, 커다란, 너럭바위가 있었다...

두 사람이, 바위로 올라서자, 매우 기이한, 이적(異蹟)이 일어났다...

바위 위에, 암자 하나가, 저절로, 세워지는 것이었다...

개운 조사는, 그 암자에서, 스승과 함께, 이렛동안 머물렀다...

거지스님은, 이렛동안, 가르침을 준 후에, 희양산을 떠났다...

개운조사에게, 작별을 고하고는, 하늘 높이, 날아서 갔다...

그 순간, 바위 위에, 세워졌던 암자도, 온데 간데 없이, 사라졌다...

개운 조사는, 백련암으로 내려와서, 스승의 가르침에 따라, 용맹정진을 했다...

백련암에서, 수행한 지, 100 여일 만에, "수다원과"를 얻었다...
(현재도, 봉암사 왼편 위로 올라 가면, 환적암 밑에, 백련암이 있다.)




불가에서는, 수다원과를 얻어야, 비로소, 성자(聖者)들의 세계에, 입문한 것으로 친다...

"수다원" 다음의 경지는, "사다함"이고,

그 다음은, "아나함", 아나함 다음 경지가, "아라한" 이다...

"아라한"의 위는, "보살"과 "부처" 이다...

개운 조사가, 희양산, 백련암에서 얻은, "수다원과"의 경지는, 어떤 것일까?




"유가수련증험설"(개운조사가, 주석을 단, 능엄경에 들어 있음.)이라는 글에는,
이런 얘기가 나온다...


"수다원과를 얻으면, 입에, 단침이 괸다...

몸에, 지닌 병이, 저절로 낫는다...

단전(丹田)이, 따뜻해지고, 용모가, 맑아진다...

탐욕이, 일지 않는다."




개운 조사는, 봉암사의 백련암에서, 사다함의 연금득주(煉金得珠)를 한 뒤에,
속리산의 동쪽에 자리잡은, 도장산의 "심원사"로, 들어갔다...

도장산은, 한자(漢字)로, "길 도(道)" 자에, "감출 장(藏)" 자를 쓴다...

이름이, 기이하다...

"도(道)가, 감추어져 있다." 라는 뜻인데, 범상치가 않다...

또, 심원사는, "깊을 심(深)" 자에, "근원 원(源)" 자를 쓴다...

이 이름에도, 예사롭지 않다...

무슨 도(道)가, 감춰져 있으며, 무엇의 깊은 근원이란 말일까?




도장산(道藏山)은 속리산과 맞붙어 있다.

속리산의 지산(支山)중 하나이다.

도장산 연봉들은 생김새가 하나 같이 매우 단아하며 수려하다.

생기가 철철 넘친다.

그 봉우리들에 둘러싸여 심원사가 오롯이 자릴 잡고 앉아 있다.

개운조사는 도장산 심원사에서 쉰한살 되던 해까지 머물렀다.

정진을 계속하여 여기서 保妊出胎하고 乳汁林景하는 '사다함과'와 '아나함과'를 얻었다.

'유가수련증험설'은 사다함과 아나함의 경지에 대해서 이렇게 설명했다.


'사다함과를 얻으면, 기운이 충만하여 몸이 나는 듯 가벼워진다.

눈에서는 번개같은 광채가 뿜어 나온다.

시력이 아주 좋아져서, 백걸음 밖에 있는, 머리카락도 볼 수 있다.

또, 흉터와 주름살이, 저절로 없어진다.

음식을 안 먹어도, 배가 부르다.

며칠씩 굶어도, 힘이 넘친다.

아나함과를 얻으면, 붉은 피가, 하얀 기름으로 바뀐다.

노인네는, 도로 젊어진다.

하얀 백발이 검게 변하며, 빠졌던 이도 다시 난다.

또, 손을 대지 않고도, 다른 사람의 병을 고친다.

입김으로 수은을 말릴 수도 있다.

추위나 더위를 전혀 안 탄다.

맨손으로 바위에다 글씨를 새길 수 있다.

자태는 옥(玉)으로 다듬어 놓은 나무와 같이 아름다워진다.

피부는, 금빛이 돌며, 투명해진다.

정신이, 한없이, 밝고, 맑아서, 잠이 없어진다.

오랫동안, 잠을 안 자도, 전혀, 피로해지지 않는다.'



불가(佛家)에선 사다함을 '일래과(一來果)', 아나함을 '불래과(不來果)'라 부른다.

사다함과를 얻은 사람은 한번 더 욕계(欲界, 마음에 욕망이 남아 있는 존재들이 머무는 세계)로,
온다는 뜻에서 일래과(一來果)라 하는 것이며,

아나함의 경지에 오른 이는 더 이상 욕계로 내려오지 않기 때문에 불래(不來)라 부르는 것이다.


그리고 아라한과를 얻자 개운조사의 용모는 완연한 선인(仙人)의 모습으로 변했다.

그야말로 선풍도골(仙風道骨)이었다.

그리고 개운조사의 주변에서는 신비로운 이적이 자주 일어났다.

이 소문이 도장산밖으로 조금씩 펴져 나갔다.

많은 사람들이 개운조사를 만나기 위해 도장산을 찾아왔다.

그들로부터 양봉래(楊逢來)라는 별명을 얻었다.

사람들이 '신선들께서 머무시는 봉래산(逢來山)에서 왔다'는 뜻으로 이런 별명을 붙여줬다.

한 해 두 해 지나면서 세속인들의 왕래가 더욱 잦아 졌다.

개운조사는 조용히 정진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쉰 한 살이 되던해(1840)에, 유가심인정본수능엄경의 期緣이, 아직 이르다하고,
경전을 심원사의 경가천장에 숨겨두고, 후일을 기약하고, 面璧(虛空分碎)이 급하다 하시고,
지리산으로 떠날 결심을 했다.


개운조사는 지리산으로 가기 전에 불공삼장으로 받은 <능엄경>의 주석을 달았다.

간략하게 자신의 자서전도 썼다.

책의 말미에다가 이런 얘기도 덧붙여 두었다.

"이 책을 심원사 천장에 숨겨둔다.
도장산 계곡물에 사는 용들에게 이 책을 잘 보호하라 일렀다.
앞으로 1백년 후에 인연이 닿는 사람이 이 책을 발견하여 세상에 전할 것이다.
그때에 가면 바른 도(道)가 널리 퍼지리라.
큰 도를 이루는 사람들이 많이 나올 것이다.
이 책을 읽는 사람들은 의심하지 말고 정진해라.
나는, 바위에다, 맨손으로, 글씨를, 새겨 놓았다.
이것이 정법(正法)을 따라 정진하여 내가 도(道)를 이룬 증거이다."


떠날 때에도, 마지막으로, 매우, 신비로운 이적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개운조사가 떠나던 날이었다.

개운조사의 도반 한 사람이 심원사에 놀러왔다.

개운조사는 그 도반과 바둑을 두었다.

두 사람은 바둑을 두면서 평소와 다름없이 이런 저런 담소를 나눴다.

그런데 바둑이 끝나자 개운조사는 갑자기 친구한테 웃으면서 작별을 고했다.

그리고는 바둑돌 몇 알을 손에 쥐고 '나 이제 갈라네'했다.

그 순간 개운조사의 모습은 온데 간데 없이 사라졌다.

개운조사가 앉았던 자리에는 바둑알 몇개만 덩그러니 남아 있었다.

개운조사는 지리산 반야봉에 자리잡은 묘향대로 갔다.

묘향대에 묘향암이란 작은 암자가 있다.

묘향암은 아주 빼어난 수도터다.

지금도 묘향대에는 수행자의 발길이 끊기질 않는다.

개운조사가 이곳 묘향대에서 얼마나 머물렀는지, 또 어떤 경지에 올랐는지 아무도 모른다.

묘향대를 떠나 그 다음엔 어디로 갔는지도 알 수 없다.

개운조사는 도장산 심원사에서 出胎 分身의 '아라한과'를 얻었으니,
지리산에서는 더 높은 경지에 올랐을 것이다.

아라한' 보다 높은 경지는 '보살의 경지'이다.

이 보살도를 행하기 위해서 최종적으로 공부를 마무리하는 과정이 面璧이다.

이 면벽을 위해서 개운조사는 심원사를 떠나 지리산으로 떠났다.

'아라한'은 불사불멸의 존재다.

선가(仙家)에서 보면, 선인(仙人)가운데, "천선"(天仙)의 경지에, 오른 것을 말한다.


개운조사는, 아라한 과를 증득한 후에, 面璧(면벽)수행을 위해서,
지리산으로 떠나면서, 남긴 것이, 불공삼장 번역본의 능엄경이고,
유가심인 증험설과 바위에 洞天(동천)을, 손가락으로 새겨 놓으시고,
손톱으로, 閑坐를 써 놓아서, 불법의 修證의 果를, 후세에 남겨놓으셨다.
(*洞天의 글씨는, 상주군 화북면 용유리에, 현재까지, 남아 있으나,
마을 사람들은, 문중의 서책을, 근거로 해서, 양봉래의 글씨라고, 주장을 하고 있다.)


'유가수련증험설'은 '아라한'에 관해서 이렇게 설명한다.


'아라한이 되면, 티 하나 없이 맑고 드높아져서 하늘과 일치한다.

마음은 항상 화엄국(극락, 천국, 仙界)에서 노닌다.

세상과 인간의 일을 모두 알 수 있다.

아득한 과거의 일, 까마득한 미래의 일도 모두 환하게 헤아린다.

또 공덕과 수행이 부처님을 빼닮는다.

눈에는 붉은 노을이 가득하고 금빛 광채가 온몸을 감싼다.

주위에 오색구름이 둘러싸며 몸이 자유자재로 움직인다.

하늘 높이 날기도 하고, 한 순간에 수천 수만리 떨어진 곳을 옮겨가기도 한다.



개운조사가 도장산을 떠나며 바위에다 새겨둔 글씨는 지금도 남아있다.

속리산 동편, 경북 상주군 화북면 용유동에서 심원사로 가는 길가 바위에 새겨져 있다.

이 일대에는, 옛날에 어떤 선인(仙人)이 도장산에서 살았는데,
그이가 맨손으로 글씨를 새겼다는 이야기가 전설처럼 전해온다.





*1950년대의 일이다.

양성(陽性)이란 스님이 심원사에 들러 잠시 머물게 되었다.

심원사에 온지 며칠 안 지나 양성스님은 아주 묘한 체험을 하게 되었다.

밤이 깊어 잠을 자려고 누웠는데 갑자기 이상한 환상(幻像)이 보이는 것이었다.

환상은 점차 뚜렷해졌다.

처음에는 노인의 모습이 보였다.

그 다음에 두툼한 책이 나타났다.

나중엔 노인이 陽性스님을 향해 받으라는 듯이 책을 내밀었다.

양성스님은 왜 헛것이 보일까 의아해 하다가 그냥 잠이 들었다.

한데, 이튿날에도 똑같은 환상이 나타났다.

양성스님은 아무래도 심상치 않은 일이라 생각했다.

천장에 뭔가 있는 것 같았다.

그래서 하루는 용기를 내어 천장을 열어 보았다.

천장 속엔 개운조사가 주석하고 불공삼장이 번역한 <능엄경>이 있었다.

'내가 떠난 뒤 백년 후에 인연 닿는 사람이 이 책을 발견하리라'한,
개운조사의 예언이 이루어진 것이다.

양성스님은 책을 읽어보고 깜짝 놀랐다.

그리고, 그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베꼈다.

그런다음 원본은 천장에 도로 넣어두고 필사본만 가지고서 심원사를 떠났다.

양성스님이 심원사를 다녀 간지 사흘만에 심원사에는 큰 불이 났다.

모든 건물이 남김없이 다 타버렸다.

개운조사가 쓴 책도 건물과 함께 재로 변했다.

양성스님은 개운조사가 당부한 대로 이 책을 출판하여 널리 전했다.

(불공삼장 역, 개운조사 주, 유가심인정본 수 능엄경에, 수록되어 있는,
"개운조사 유서"에서, 인용한 글이며, 이 능엄경이, 불공삼장이 번역하고,
개운조사가, 주해한 것으로, 불공삼장이, 우리나라의 개운스님에게,
"유가심인 증험록"과 함께 전해준, 경전이다.)



(출처 - 능엄선회)

출처 : 출리심 보리심 공
글쓴이 : 하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