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 벽지불, 아라한의 깨달음은 무엇이 어떻게 다를까
불자들끼리 만나면 “성불 하세요” 라고 한다. 또 법회가 끝나면 사방을 향하여 합장 하며 “성불 하십시요” 하고 공손히 인사 한다. 참으로 보기 좋은 광경이다. 그런데 성불 하기 위해서는 과연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일까.
부처가 되기 위해서는 특별한 조건이 있는 것일까. 아무나 부처가 되기를 서원 하면 다 부처가 될 수 있을까. 밀교에서 즉신성불(卽身成佛)을 이야기 하는데 과연 금생에서 성불은 가능할까. 이러한 의문점에 대하여 상좌불교의 견해는 어떠 할까.
선근을 타고 나야
성불은 부처님이 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부처가 되기 위해서는 부처가 되는 서원을 세워야 한다. 목표를 부처로 잡는 것이다. 만일 아라한이 되기로 서원 하였다면 최종 목적지는 아라한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목표를 어디에다 두느냐가 중요하다. 보통 부처가 되기를 서원하는 사람을 보살이라고 한다. 보살을 다른 말로 구도자라고 말한다.
부처를 깨달은 사람이라고 말한다. 상좌부 불교에 의하면 깨달음에 이르는 존재는 크게 부처님, 벽지불, 아라한 이렇게 세 가지라고 한다. 먼저 부처님은 부처가 될 조건을 가지고 태어난 분이다. 그 조건은 무엇인가 바로 어리석지 않음(아모하, amoha), 성냄없음(아도사, adosa), 탐욕없음(아로바, alobha)의 선근을 가지고 태어 났다는 것이다. 이런 선근을 가지고 태어 나야 사마타선정을 닦을 경우는 선정과 신통을 얻을 수 있고, 위빠사나에 매진 할 때는 성스러운 도와 닙바나(Nibbhana)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선근 그냥 얻어 지는 것일까. 과거전생부터 닙바나에 대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행한 선행의 결과 일 것이다. 이렇게 선근을 타고난 부처님은 선근이 익어서 스스로 깨달아 부처님이 된 것이다.
다음으로 아라한이다. 아라한을 다른 말로 ‘성문(聲聞)’이라고도 한다. 이 말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깨달았다는 의미이다. 성문으로 불리우는 부처님의 제자는 사리뿟따와 목갈라나의 두 상수제자, 아누룻다 마하깟사빠 아난다와 같은 대제자 그리고 일반제자로 나눌 수 있다.
깨달은 존재 중에 또 ‘벽지불’이 있다. 벽지불은 산스끄리뜨어로 ‘빳쩨까붓다(pacceka-buddha)’라고 한다. 벽지불은 부처님의 교법이 사라진 시대에 태어나서 부처님 법에 의지하지 않고 홀로 깨달아서 법을 선포하지 않고 반열반에 든 분이라고 설명되고 있다. 즉 깨달았다는 뜻에서 부처님과 같지만 법을 선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부처님과 다르다는 것이다. 또한 부처님의 법을 의지 하지 않고 깨달았다는 점에서 아라한과 다르다. 이런 벽지불을 중국에서는 ‘독각’ 또는 ‘연각’이라고 번역 되었다. 영어로는 Silent buddha, Private buddha, Solitary buddha, Independently enlightend one 으로 불린다.
깨달음에 이르는 기간은 얼마나 될까
부처님, 벽지불, 아라한은 모두 깨달은 분들이지만 그 질은 다르다. 어떻게 다른 것일까. 보통 부처님의 깨달음이 최상이고, 벽지불의 깨달음은 부처님의 깨달음 보다는 떨어지지만 아라한의 깨달음 보다 뛰어나다고 한다.
부처님은 많은 중생들을 교화 하고 구제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벽지불은 홀로 지내는 부처님이어서 법을 가르치지 않기 때문에 중생들을 구제 할 수 없다. 아라한은 중생을 구제 할 수 있긴 하지만 부처님 처럼 한량 없는 중생들을 구제 하지 못한다. 그런데 이 세부류의 성자들이 바라밀행을 완성 하여 깨달음에 이르는 기간은 얼마나 될까.
세부류의 성자들 모두 어리석지 않음(아모하, amoha), 성냄없음(아도사, adosa), 탐욕없음(아로바, alobha)의 선근을 가지고 태어난 분들이다. 그러나 서원이 달랐기 때문에 부처가 되고, 벽지불이 되고, 아라한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고따마 붓다는 부처님이 되기를 서원하였기 때문에 부처님이 되었다. 따라서 그 기간도 다른 성자보다 훨씬 더 길었을 것이다. 마하시사야도의 ‘12연기’교재 역주에 나와 있는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부처님이 되기 위해서는 4, 8 또는 16아승지겁과 10만겁 동안 십바라밀을 완성시켜야 한다. 하지만 벽비불의 경우는 2아승지겁과 10만겁만이 필요하다. 성문 가운데 상수제자는 1아승지겁과10만겁이 필요하고, 일반적인 제지의 경우에는 한 생이나 백 생 또는 천생 또는 더 긴 시간이 필요 할 수 있다.
1아승지겁은 얼마나 긴 시간일까
여기서 1아승지겁은 얼마나 오랜 시간일까. 아비담마 길라잡이에 나와 있는 색계와 무색계의 수명표를 보면 다음과 같다.
세 상 |
영 역 |
수 명 |
||
무색계 |
|
31.비상비비상처 |
84,000 |
대겁
|
30. 무소유천 |
60,000 |
|||
29. 식무변천 |
40,000 |
|||
28. 공무변천 |
20,000 |
|||
색계 |
4선 |
27. 색구경천 |
16,000 |
|
26. 선견천 |
8,000 |
|||
25. 선현천 |
4,000 |
|||
24. 무열천 |
2,000 |
|||
23. 무번천 |
1,000 |
|||
22. 무상유정천 |
500 |
|||
21. 광과천 |
500 |
|||
3선 |
20. 변정천 |
64 |
||
19. 무량정천 |
32 |
|||
18. 소정천 |
16 |
|||
2선 |
17. 광음천 |
8 |
||
16. 무량광천 |
4 |
|||
15. 소광천 |
2 |
|||
초선 |
14. 대범천 |
1 |
아승지
|
|
13. 범보천 |
1/2 |
|||
12. 범중천 |
1/3 |
욕계천상 |
천상일 |
천상년 |
인간년 |
6.타화자재천 |
1,600 인간년 |
16,000 |
9,216백만(92억년) |
5. 화락천 |
800 인간년 |
8,000 |
2,304백만(23억년) |
4. 도솔천 |
400 인간년 |
4,000 |
576백만(5억7천년) |
3. 야마천 |
200 인간년 |
2,000 |
144백만(1억4천년) |
2. 삼십삼천 |
100 인간년 |
1,000 |
36백만(3천6백만년) |
1.사대왕천 |
50 인간년 |
500 |
9백만(9백만년) |
욕계천상의 경우 인간 바로 위의 사대왕천에 사는 존재의 수명은 인간년으로 따졌을 때 9백만년을 산다. 아승지 개념은 색계 초선의 대범천을 기준으로 잡을 수 있다. 그 이상은 대겁으로 부른다. 대겁은 어떻게 설명 될까. 먼저 겁에는 세가지 단위가 있다.
중간겁, 안따라깝빠(antara-kappa)
아승지겁, 아상케야깝빠(asankheyya-kappa)
대겁. 마하깝빠(maha-kappa)
여기에서 중간겁이란 인간의 수명이 열살에서 8만4천년으로 증가 하였다가 다시 열살로 감소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중간겁의 20배에 해당되는 기간이 아승지겁이고, 아승지겁이 넷이 모이면 대겁이 된다. 다음으로 1대겁의 기간은 얼마나 될까. 아비담마 길라잡이에 나오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대겁
사람이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한 요자나(7마일정도)가 되는 큰 바위를 백년에 한번씩 비단 옷자락으로 스치고 지나가서 그 바위가 다 닳아 없어지는 기간으로 부처님은 비유 하였다(SI5:5/ii181-82).
색계 초선천에 대범천이 있다. 대범천이 사는 세계의 수명은 1아승지겁이다. 그 이상의 세계는 대겁을 살게 된다. 색계 2선인 소광천의 수명은 2대겁이고 가장 높은 무색계의 비상비비상처는 무려 8만4천 대겁이다. 그런데 재미 있는 것은 색계초선천인 대범천까지 불에 의하여 주기적인 파괴가 일어 난다는 것이다. 그래서 대범천은 1아승지 겁 이상을 살 수 없다는 것이다.
부처가 되기 위해서 4, 8 또는 16아승지겁이 걸린다고 하였다. 불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파괴 되는 기간에 부처님이 출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부처님 한 분 나오기가 얼마나 어려운 가를 보여 주는 것 같다.
현실적으로 보았을 때
사찰에 가면 가끔 벽지불을 모셔 놓은 ‘독성각’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나반존자’로도 불리우는 벽지불은 복을 희구하는 신도들의 경배대상이 되고 있다고 한다. 흔히 칠성각과 산신각과 이 독성각을 합쳐서 삼성(三聖)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이런 삼성신앙은 한국불교의 토착화를 보여 주는 좋은 예일 것이다. 그러나 경전에서 벽지불은 남에게 법을 전수 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들이 얻은 깨달음은 귀먹고 말 못하는 사람이 꾼 꿈에 비유 된다고 한다. 그리고 벽지불의 지혜는 깨달음을 얻지 못한 보살 보다도 더 낮은 것으로 언급 되고 있다고 한다(J.iv.341)
남방상좌불교에서는 아라한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예류과를 얻어 예류자가 된 후에 단계적으로, 불래자, 불환자, 아라한이 되는 것이다. 예류자가 되면 7생이내에 열반에 들어 더 이상 이세상에 태어 나지 않는다고 한다. 따라서 예류자가 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선근 공덕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반면에 북방대승불교에서는 부처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래서 그런 구도자를 보살이라고 부른다. 누구나 부처 되기를 서원 하면 언젠가는 부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 세계에서 오직 한분의 부처만 출현한다. 과거 7불을 보아도 한 분 부처님이 나오기 까지 그 공백 기간이 무척 긴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가장 최근의 고따마 붓다를 비롯한 과거칠불을 보면 그 기간을 알 수 있다.
첫번째, 위빠시 붓다 (Vipassi Buddha)-91겁전에 출현
두번째, 시키 붓다 (Sikhi Buddha)-31겁전에 출현
세번째, 웻사부 붓다 (Vessabhu Buddha)- 시키붓다와 같은 겁에 출현
네번째, 까꾸산다 붓다 (Kakusandha Buddha)-현겁에 출현
다섯번째, 코나가마나 붓다 (Konagamana Buddha)- 현겁에 출현
여섯번째, 까사빠 붓다 (Kassapa Buddha)- 현겁에 출현
일곱째, 고따마 붓다 (Gotama Buddha)- 현겁에 출현
이렇게 겁 단위로 부처님이 출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사람이 보살의 서원을 세워 부처가 되어 한 세상을 제도 하는 것은 매우 아름다운 마음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갈 길이 너무 멀다. 차라리 전생의 선근공덕이 있다면 금생에 열심히 정진 하여 부처님법을 통하여 예류자를 얻어서 일곱생이내에 열반과 해탈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더 빠른 길일지 모른다. 실제로 부처님제자들은 부처님의 법을 듣고 아라한이 되었으며 부처님이 남겨 주신 법으로 아라한이 되었다는 이야기는 수 없이 많다.
2009-08-05
진흙속의연꽃
'초기 불교 Early Buddh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상은 괴로워하지 않는다. (0) | 2021.02.12 |
---|---|
붓다는 코뿔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고 절대로 말하지 않았다 (0) | 2021.01.31 |
네 가지 생활지침, 사의법 四依法 (0) | 2021.01.17 |
계율과 불교윤리 1 (0) | 2021.01.17 |
경전을 공부하는 방법과 지혜 (0) | 2021.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