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성스님의 아함경 강의·법담법화

마성스님의 아함경 강의 <37> - 법설의설경(法說義說經)

수선님 2021. 10. 3. 13:58
연기법(緣起法)의 법에 대한 설명[法說]과 뜻에 대한 설명[義說]을 설한 경전

법설의설경(法說義說經)

 

[원문]

(二九八) 如是我聞: 一時, 佛住拘留搜調牛聚落. 爾時, 世尊告諸比丘: “我今當說緣起法, 法說․義說. 諦聽, 善思, 當為汝說. 云何緣起法法說? 謂此有故彼有, 此起故彼起, 謂緣無明行, 乃至純大苦聚集, 是名緣起法法說. 云何義說? 謂緣無明行者. 彼云何無明? 若不知前際․不知後際․不知前後際, 不知於內․不知於外․不知內外, 不知業․不知報․不知業報, 不知佛․不知法․不知僧, 不知苦․不知集․不知滅․不知道, 不知因․不知因所起法, 不知善不善․有罪無罪․習不習․若劣若勝․染污清淨, 分別緣起, 皆悉不知; 於六觸入處, 不如實覺知, 於彼彼不知․不見․無無間等․癡闇․無明․大冥, 是名無明. 緣無明行者, 云何為行? 行有三種, 身行․口行․意行. 緣行識者, 云何為識? 謂六識身, 眼識身․耳識身․鼻識身․舌識身․身識身․意識身. 緣識名色者, 云何名? 謂四無色陰, 受陰․想陰․行陰․識陰. 云何色? 謂四大․四大所造色, 是名為色. 此色及前所說名, 是為名色. 緣名色六入處者, 云何為六入處? 謂六內入處, 眼入處․耳入處․鼻入處․舌入處․身入處․意入處. 緣六入處觸者, 云何為觸? 謂六觸身, 眼觸身․耳觸身․鼻觸身․舌觸身․身觸身․意觸身. 緣觸受者, 云何為受? 謂三受, 苦受․樂受․不苦不樂受. 緣受愛者, 彼云何為愛? 謂三愛, 欲愛․色愛․無色愛. 緣愛取者, 云何為取? 四取, 欲取․見取․戒取․我取. 緣取有者, 云何為有? 三有, 欲有․色有․無色有. 緣有生者, 云何為生? 若彼彼眾生, 彼彼身種類一生, 超越和合出生, 得陰․得界․得入處․得命根, 是名為生. 緣生老死者, 云何為老? 若髮白露頂, 皮緩根熟, 支弱背僂, 垂頭呻吟, 短氣前輸, 柱杖而行, 身體黧黑, 四體班駮, 闇鈍垂熟, 造行艱難羸劣, 是名為老. 云何為死? 彼彼眾生, 彼彼種類, 沒․遷移․身壞․壽盡․火離․命滅, 捨陰時到, 是名為死. 此死及前說老, 是名老死. 是名緣起義說.” 佛說此經已, 諸比丘聞佛所說, 歡喜奉行.

 

[역문]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구류수(拘留搜)의 ‘소를 길들이는 마을’에 계셨다.
그때 세존께서는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이제 연기법(緣起法)에 있어서 법에 대한 설명[法說]과 뜻에 대한 설명[義說]을 말하리라. 자세히 듣고 잘 생각하여라. 마땅히 너희들을 위해 설명하리라. 무엇이 연기법의 법에 대한 설명인가? 이른바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나기 때문에 저것이 일어난다’고 하는 것이니, 즉 무명을 조건으로 행이 있고 …(내지)… 순전히 괴로움뿐인 큰 무더기가 일어나느니라. 이것을 연기법의 법에 대한 설명이라고 하느니라.

무엇이 연기법의 뜻에 대한 설명인가? 이른바 ‘무명을 조건으로 행이 있다’고 한다면, 무명(無明)이란 무엇인가? 만일 과거를 알지 못하고 미래를 알지 못하고 과거와 미래를 알지 못하며, 안을 알지 못하고 밖을 알지 못하고 안팎을 알지 못하며, 업(業)을 알지 못하고 과보(果報)를 알지 못하고 업과 과보를 알지 못하며, 부처님을 알지 못하고 법을 알지 못하고 승가를 알지 못하며, 괴로움을 알지 못하고 발생을 알지 못하며, 소멸을 알지 못하고 길을 알지 못하며, 인(因)을 알지 못하고 인이 일으키는 법을 알지 못하며, 착함과 착하지 않음을 알지 못하고, 죄가 있고 죄가 없음과 익히고 익히지 않음과 못나고 뛰어남과 더럽고 깨끗함과 연기에 대한 분별을 모두 알지 못하며, 육촉입처를 사실 그대로 깨달아 알지 못하고, 이러저러한 것을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며, 빈틈없고 한결같음[無間等]이 없어 어리석고 컴컴하며, 밝음이 없고 크게 어두우면 이것을 무명이라고 하느니라.

무명을 조건으로 행이 있다 하니, 어떤 것을 행(行)이라 하는가? 행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몸의 행[身行], 입의 행[口行], 뜻의 행[意行]이니라.
행을 조건으로 식이 있다 하니, 어떤 것을 식(識)이라 하는가? 이른바 육식신(六識身)을 이르는 말이니, 안식신(眼識身), 이식신(耳識身), 비식신(鼻識身), 설식신(舌識身), 신식신(身識身), 의식신(意識身)이니라.
식을 조건으로 명색(名色)이 있다 하니, 어떤 것을 명(名)이라 하는가? 이른바 네 가지 형상[色]이 없는 음(陰)이니, 수음(受陰), 상음(想陰), 행음(行陰), 식음(識陰)이니라.

색(色)이란 무엇인가? 사대(四大)와 사대로 만들어진 것을 색이라고 말한다. 이 색과 앞에서 말한 명을 합해 명색이라고 하느니라.
명색을 조건으로 육입처(六入處)가 있다 하니, 어떤 것을 육입처라 하는가? 육내입처(六內入處)를 일컫는 말이니, 안입처(眼入處), 이입처(耳入處), 비입처(鼻入處), 설입처(舌入處), 신입처(身入處), 의입처(意入處)이니라.

육입처를 조건으로 접촉이 있다 하니, 어떤 것을 촉(觸)이라 하는가? 이른바 육촉신(六觸身)이니, 안촉신(眼觸身), 이촉신(耳觸身), 비촉신(鼻觸身), 설촉신(舌觸身), 신촉신(身觸身), 의촉신(意觸身)이니라.
촉을 조건으로 수(受)가 있다 하니, 어떤 것을 느낌[受]이라 하는가? 삼수(三受)를 이르는 말이니, 괴롭다는 느낌[苦受], 즐겁다는 느낌[樂受],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不苦不樂受]이니라.

수를 조건으로 갈애(渴愛)가 있다 하니, 어떤 것을 갈애라고 하는가? 이른바 삼애(三愛)이니, 욕애(欲愛), 색애(色愛), 무색애(無色愛)이니라.
갈애를 조건으로 집착[取]가 있다 하니, 어떤 것을 집착[取]라고 하는가? 사취(四取)이니, 감각적 욕망에 대한 집착[欲取], 해에 대한 집착[見取], 계율과 의례에 대한 집착[戒取], 아에 대한 집착[我取]이니라.
취함을 조건으로 존재[有]가 있다 하니, 어떤 것을 존재[有]라고 하는가? 삼유(三有)이니, 욕계의 존재[欲有],색계의 존재[色有], 무색계의 존재[無色有]이니라.

존재[有]를 조건으로 태어남[生]이 있다 하니, 어떤 것을 태어남[生]이라고 하는가? 만일 이런저런 중생들이 이런저런 몸의 종류로 생겨나, 뛰어넘고 화합하고 태어나서 음(陰)을 얻고, 계(界)를 얻고, 입처(入處)를 얻고, 명근(命根)을 얻으면 이것을 태어남이라고 하느니라.

태어남[生]을 조건으로 늙음과 죽음[老死]가 있다 하니, 어떤 것을 늙음[老]이라고 하는가? 만일 털이 하얗게 세고 정수리가 벗겨지며, 가죽이 늘어지고 감각기관이 문드러지며, 사지가 약해지고 등이 굽으며, 머리를 떨어뜨리고 끙끙 앓으며, 숨이 짧아져 헐떡이고 앞으로 쏠려 지팡이를 짚고 다니며, 몸이 시커멓게 변하고 온몸에 저승꽃이 피며, 정신이 희미해져 멍청히 있고 거동하기 어려울 정도로 쇠약해지면 이것을 늙음이라고 하느니라.

어떤 것을 죽음[死]이라고 하는가? 이런저런 중생들이 이런저런 종류로 사라지고, 옮기며, 몸이 무너지고, 수(壽)가 다하며, 따뜻한 기운이 떠나고, 명(命)이 소멸하여 음(陰)을 버릴 때가 이르면 이것을 죽음이라고 한다. 이 죽음과 앞에서 말한 늙음을 합해 늙음과 죽음[老死]이라고 한다. 이것을 연기의 뜻에 대한 설명이라고 하느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여러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해석]

이 경은 ≪잡아함경≫ 권12 제298경 <법설의설경(法說義說經)>(T2, p.85a-b)이다. 이 경과 대응하는 니까야는 SN12:2 Vibhaṅga-sutta(SN Ⅱ, pp.2-4)이다. 이 경은 십이연기(十二緣起)를 분석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잡아함경≫과 ≪상윳따 니까야≫의 내용이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을 설한 장소인 구류수(拘留搜)는 꾸루(Kuru)의 음사이다. 꾸루는 고대인도 마하자나빠다(Mahājanapadā, 16大國)의 하나였다(AN. Ⅰ, p.213; DPPN. Ⅱ, p.641). 꾸루는 지금의 델리 근처의 타네사르(Thanesar)와 웃따르 쁘라데시(Uttar Pradesh)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수도는 인드라쁘라스타(Indraprastha)였다.

첫째, 연기법의 법에 대한 설명[法說]이란 무엇인가? 이른바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나기 때문에 저것이 일어난다.”고 하는 것이니, “무명을 조건으로 행이 있고 …(내지)… 순전히 괴로움뿐인 큰 무더기기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것이 연기법의 법에 대한 설명이다. 즉 연기의 공식과 십이연기의 항목을 말한 것이다.

둘째, 연기법의 뜻에 대한 설명[義說]이란 무엇인가? 이른바 ‘무명을 조건으로 행이 있다’고 한 것이니, 십이연기의 각지(各支)를 설명한 것이다. 이 경에서 설하고 있는 십이연기 각지의 뜻은 대략 다음과 같다.
⑴ 무명(無明, avijjā)이란 과거와 미래를 알지 못하고, 안팎을 알지 못하고, 업과 과보를 알지 못하고, 불법승 삼보를 알지 못하고, 사성제(四聖諦)를 알지 못하고, 인과법을 알지 못하고, 선과 불선, 유죄와 무죄, 익힘과 익히지 않음[習不習], 열등함과 뛰어남, 염오와 청정을 알지 못하고, 연기에 대한 분별을 알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니까야에서는 “괴로움에 대한 무지, 괴로움의 일어남에 대한 무지,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무지, 괴로움의 소멸로 이끄는 길에 대한 무지이다. 이것을 일러 무명이라고 한다(SN Ⅱ, p.4)." 이것은 사성제에 대한 무지(aññāṇa, 지혜 없음)가 무명이라는 것이다. 지혜 없음(aññāṇa)은 어리석음(moha)과 동의어이다.

⑵ 행(行, saṅkhāra)이란 세 가지 행위[三行], 즉 신행(身行, kāya-saṅkhāra), 구행(口行, vacī-saṅkhāra), 의행(意行, mano-saṅkhāra)이다.

⑶ 식(識, viññāṇa)이란 육식신(六識身), 즉 안식(眼識, cakkhu-viññāṇa), 이식(耳識, sota-viññāṇa), 비식(鼻識, ghāna-viññāṇa), 설식(舌識, jivhā-viññāṇa), 신식(身識, kāya-viññāṇa), 의식(意識, mano-viññāṇa)이다.
⑷ 명색(名色, nāma-rūpa)의 명(名)이란 五蘊 중에서 수(受, vedanā), 상(想, saññā), 행(行, saṅkhāra)․식(識, viññāṇa)이고, 색(色)이란 사대(四大)와 사대소조(四大所造)이다. 명색은 정신과 물질을 뜻한다.

⑸ 육입(六入, saḷāyatana)이란 여섯 가지 감각장소[六內入處], 즉 눈의 감각장소[眼入處], 귀의 감각장소[耳入處], 코의 감각장소[鼻入處], 혀의 감각장소[舌入處], 몸의 감각장소[身入處], 뜻의 감각장소[意入處]이다.
⑹ 촉(觸, phassa)이란 여섯 가지 감각접촉[六觸身], 즉 형색에 대한 감각접촉[眼觸身], 소리에 대한 감각접촉[耳觸身], 냄새에 대한 감각접촉[鼻觸身], 맛에 대한 감각접촉[舌觸身], 감촉에 대한 감각접촉[身觸身], 뜻에 대한 감각접촉[意觸身]이다.

⑺ 수(受, vedanā)란 세 가지 느낌[三受], 즉 괴롭다는 느낌[苦受], 즐겁다는 느낌[樂受],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不苦不樂受]이다. 그러나 니까야에서는 여섯 가지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六觸受], 즉 눈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 귀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 코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 혀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 뜻을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이다.(SN Ⅱ, p.3)

⑻ 애(愛, taṇhā)란 세 가지 갈애[三愛], 즉 욕애(欲愛, kāma-taṇhā), 색애(色愛, rūpa-taṇhā), 무색애(無色愛, arūpa-taṇhā)이다. 다른 경에서는 욕애(欲愛, kāma-taṇhā), 유애(有愛, bhava-taṇhā), 무유애(無有愛, vibhava-taṇhā)로 나타난다.(SN Ⅴ, p.421) 그러나 니까야에서는 여섯 가지 갈애의 무리[六愛身], 즉 형색에 대한 갈애, 소리에 대한 갈애, 냄새에 대한 갈애, 맛에 대한 갈애, 감촉에 대한 갈애, 법에 대한 갈애이다.(SN Ⅱ, p.3)

⑼ 취(取, upādāna)란 네 가지 집착[四取], 즉 감각적 욕망에 대한 집착(欲取, kamupādāna), 견해에 대한 집착(見取, diṭṭhupādāna), 계율과 의례에 대한 집착(戒禁取, sīlabbatupādāna), 자아의 교리에 대한 집착(我取, attavādupādāna)이다.
⑽ 유(有, bhava)란 세 가지 존재[三有], 즉 욕계의 존재(欲有, kāmabhava), 색계의 존재(色有, rūpabhava), 무색계의 존재(無色有, arūpabhava)이다.

⑾ 생(生, jāti)이란 니까야에서 “이런저런 중생들의 태어남, 출생, 도래함, 생김, 탄생, 오온의 나타남, 감각장소[處]를 획득함을 태어남이라 한다.”(SN Ⅱ, p.3)
⑿ 노사(老死, jarāmaraṇa)는 늙음과 죽음을 구분하는데, 니까야에서 말하는 죽음이란 “이런저런 중생들의 무리로부터 이런저런 중생들의 종말, 제거됨, 부서짐, 사망, 죽음, 서거(kāla-kiriya), 오온의 부서짐, 시체를 안치함, 생명기능[命根]의 끊어짐을 죽음이라 한다.”(SN Ⅱ, pp.2-3)

마성<팔리문헌연구소장>

 

 

 

 

 

 

                                  

 

마성스님의 아함경 강의 <37> - 법설의설경(法說義說經) - 한국불교신문

 법설의설경(法說義說經)   [원문] (二九八) 如是我聞: 一時, 佛住拘留搜調牛聚落. 爾時, 世尊告諸比丘: “我今當說緣起法, 法說․義說. 諦聽, 善思, 當為汝說. 云何緣起法法說? 謂此有故彼有,

www.kbulgy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