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반야심경

[해인사 강원(승가대학)] 교과과목 - 3. 금강경오가해(2)

수선님 2023. 4. 9. 13:23

■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2)

 

함허 설의 이 경을 가지고 설하면 반드시 최상의 지혜인 - 佛智見을 얻어 보리를 짊어짐에 의심이 없음
규봉 (불가량 불가칭 무유변 불가사의 공덕) 성취(成就)란, 無上界를 만족하게 함. 짊어진다(荷擔)라는 것은, 무착이 이르되 “어깨에 보리의 무거운 짐을 지는 연고”라 하다.
육조 法을 설하는 사람의 얻는 공덕은 끝이없어서 가히 칭량할 수 없으며, 經을 가지는 사람은 저절로 무량무변 불가사의 공덕이 있음.
야부 泰山과 華山을 쪼갤 수 있는 솜씨는 모름지기 이 거령신(火神)뿐이로다.
“山과 岳을 쌓고 쌓아옴이여, 낱낱이 다 티끌이로다.…한 조각 작은마음이 바다처럼 크니 파도가 출렁임을 몇 번이나 보았던가.”
함허 설의 부처님의 보리를 짊어진 이는 모름지기 이 가운데 사람이로다.
“만약 그 가운데 사람일진대 그 이치가 다하지 않음이없고, 일마다 통하지않음이 없도다…뱃속이 넓고넓어 바다같이 크니 천가지 차별인 有와 無에 일임하도다.”
규봉 작은 법을 좋아하는 사람은 감당하지 못함이라.
함허 설의 이 경은 大乘을 발한 자, 最上乘 발한 자를 위하여 설함 - 작은 근기와 작은 지혜자는 능히 감당할 수 없음.
육조 작은 법을 즐기는 이는 二乘人(성문,연각)
부대사 “…자비가 광대하고 지혜가 능히 깊으니, 남을 이롭게 하고 아울러 자기도 이롭게 함이여, (그런 경계를) 작은 聖人이 어찌 능히 감당하리오”
야부 어진 이가 보면 “어질다(仁)”라고 말하고, 지혜로운 이가 보면 “지혜롭다(智)”라고 말하도다.
“영웅을 배우지않고 독서도 하지않으며 부지런히 부지런히 먼길만 가도다. 어머니가 낳아준 보배를 마음대로 쓸 줄 몰라서 無知하게 굶어죽는 것을 당연히 여기는구나. 어찌 다른 사름을 괴이하게 여기리오.”
함허 설의 이 經은, 문수보살 보현보살같은 대인의 경계 - 자비를 행함에 자비가 광대하고 지혜를 쓰면 지혜가 능히 깊음
“仁과 智을 둘 다 익히지 못하여 미혹한 길에서 오래도록 기어다님이라. 德性의 보배가 비록 우리에게 있으나 사용할 줄 몰라서 스스로 비척거리는 고통을 취하도다. 그 허물을 누구에게 돌리리오.
수보리여, 어느 곳이든지 만약 이 경이 있는 곳이면, 일체 세간의 천상과 인간과 아수라 등이 응당 공양하게 되리니, 마땅히 알라. 이곳은 탑이 됨이라. 모두가 공경히 예배하고 돌면서 여러가지 꽃과 향으로써 그곳에 흩으리라.
규봉 經이 있는 곳은 塔이 있는 것과 같음
함허 설의 이 경은 예로부터 있지않은 곳이 없으나, 다만 육진(六塵)에 묻혀서 나타나지 않음,
육조 無爲 無相의 행을 행하는 사람이 있는 곳은, 마치 부처님의 탑이 있음과 같음.
야부 진주의 무우요, 운문의 호떡이로다.
함허 설의 어떤 스님이 운문스님께 묻되 “어떤 것이 부처를 뛰어넘고 조사를 초월할 수 있는 말입니까?” - 운문스님 이르시되 “호떡이니라”
야부 “그대와 함께 걷고 함께 행하며…목마르면 마시고 주리면 먹으며 항상 서로 대하니 머리를 돌이켜 다시 생각 말지어다“”
함허 설의 헤아리고 사량하면 얼굴을 마주하여도 천리나 어긋남
종경 큰 역량이 있는 사람은 원래 동하지않아서 쉽게 높은관문을 지나감
지혜의 칼끝이 비로자나불 정수리에 홀로 드러나니 凡聖 모두가 바람아래 섰도다.”
함허 설의 큰 역량이 있는 사람은 기꺼이 남의 최상승 설법을 듣지않고 천가지 차별을 밟아끊어서 저 경계를 바로 지나감
“…비로정상에서 지혜의 칼끝이 홀로 드러나 위광이 빛나고 빛나서 보는 대로 다 죽음.”
第 16 능정업장분 - 능히 업장을 깨끗이 함 수보리야, 선남자 선여인이 이 경을 받아지니며 읽고외우는데, 다른 사람으로부터 업신여김을 당하면, 그(선남자 선여인)는 지난날 지은 죄업으로 나쁜세상에 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지금 세상 사람들이 그를 업신여기는 까닭에, 곧 그 죄업이 소멸되고(卽爲消滅) 마땅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느니라.
규봉 죄를 돌이켜 佛이 됨
함허 설의 我相 人相이 없는 도리를 통달한 사람은, 귀히여겨도 기뻐하지 않고 천하게 여겨도 성내지 않으며, 능히 일체 중생에게 下心하여 남으로부터의 업신여김을 달게 여김
규봉 업신여김(輕賤)이란, 혹 때리기도 하고 꾸짖음. 무착이 이르되, 헐뜯고 욕하는 것.
육조 과거세 업장이 두터워서, 비록 이 經을 수지독송하여도 남으로부터 업신여김을 당할지라도, 스스로 我相 人相 등의 相을 일으키지않고 오히려 원수거나 친한 이나 항상 공경하여 마음에 번뇌와 한이 없으면, 무량겁으로부터 금생에 이르기까지의 무겁고 나쁜 업장들이 모두 다 소멸함.
부대사 “과거세의 몸에는 과보의 장애가 있으나, 금일 經을 수지하여 잠시 남에게 업신여김을 당함으로써, 무거운 것을 전환하여 도리어 가볍게 하도다…”
야부 한 가지 일을 因하지않으면 한 가지 지혜가 자라지 않느니라.
“찬탄도 미치지 못하고 훼방도 미치지 못함이라. 만약 하나를 요달하면 만사를 마침이로다. 모자람도 남음도 없는 것이 큰 허공과 같거늘, 그대를 위해서 ‘바라밀’이라 제목하도다.”
함허 설의 一大事를 요달하지않으면 능히 一切智를 증득하지 못함.
“이 일대사는 제석천 범천 諸天의 칭찬이 미치지 못하고, 천마외도가 훼방하지 못함. 이 일대사는 名字의 相도 없고, 迷悟의 相도 없어서, 원만함이 큰 허공과 같아서 부족함도 남음도 없으나, 다만 요달치 못한 이를 위하여 文字와 言詞를 베푼 것임.”
수보리여, 내가 지난 한량없는 아승지겁을 회상해 보면 연등불을 만나기 전 8백 4천만 억 나유타 부처님을 만나서 한 분도 빠짐없이 공양을 바치고 받들어 섬겼으며 그냥 지난친 적이 없다.
또 어떤 사람이 말세에 [금강경]을 지니고 독송하면, 그가 얻는 공덕에 비유컨대, 내가 여러 부처님께 공양한 공덕은 1백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고 1천분의 1, 1만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며, 더욱이 아무리 계산 잘하고 비유를 잘하더라도 거기에 미칠 수 없느니라.
규봉 십억이 낙차가 되고, 십낙차가 구지가 되고, 십구지가 나유타가 됨
부대사 “아.인.중생.수자여, 수자가 다 함께 空함이로다. 만약 보리도를 깨달으면 道란 다 통하여 같음이니…”
함허설의 한 순간이라도 경을 들으면 능히 깨끗한 믿음을 내게되고, 곧 스스로 견성하여 바로 성불함. 고로, 경을 수지독송하는 공덕이 부처님께 공양하는 것보다 수승함.
육조 경을 수지독송하는 공덕이 수승한 까닭 - 중생의 전도(顚倒)된 지견을 멀리 떠나서 곧 저 언덕에 이르러 영원히 삼악도의 고통을 벗어나고 무여열반을 증득함
부대사 “…末法의 다스리기 어려울 적엔, 경을 열고 잠시 펴보면 이 사람은 斷見이 없어서 만겁에 스스로 편안하고 한가하리라.”
야부 공덕은 헛된 베품이 아니니라.
“…백지 위에 검은 글자를 써서 그대에게 청하노니, 눈을 뜨고 눈앞을 볼지어다. 바람은 고요하고 물결은 잔잔하니, 집떠난 사람은 다만 어선 위에 있도다.”
함허 설의 경을 수지하여 한순간에 원만히 증득하면 바로 성불하는 것이므로, 공덕은 헛되지 않음이니라.
…아침 햇빛이 땅위에 비단을 깐 듯이 무늬없는 도장을 비단 위에 찍음이로다.
‘그대에게 청하노니 눈을 뜨고 앞을 보라’는,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일상사를 떠나지 않고 一大經卷 굴리기를 권함. ‘바람은 고요하고~’는, 만약 일대경권을 굴린다면 밖으로의 경계 바람이 스스로 고요하고, 안으로 지혜의 물이 말쑥하여 인연을 따라 眞에 맡기며, 가는 곳마다 소요한 것이 빈 배가 물결따라 저절로 동서로 가는 것 같음.
수보리야, 만약 선남자 선여인 말세에 이 經을 받아지니며 읽고외워서 얻는 공덕을 내가 다 갖추어 말한다면, 혹 어떤 사람은 듣고서 마음이 몹시 산란하여 의심하고 믿지 않으리라.
수보리야, 마땅히 알라. 이 경은 뜻(義)도 가히 생각할 수 없으며(不可思議), 과보(果報)도 또한 생각할 수 없느니라.(不可思議)
육조 말법중생은 덕이 엷고 번뇌는 무거우며 질투는 더욱 깊어져서 많은 성인들이 숨어버리고 삿된 견해는 치성함 - 혹 어떤 聲聞의 소견은 ‘여래의 정법이 멸하지 않고 항상 있음’을 알지 못하므로, 후오백세에 어떤 사람이 능히 無相心을 성취하고 無相行을 행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 함을 들으면 곧 마음이 두려움을 내어 의심하고 믿지않으리라.
부대사 “…성품의 지혜(性慧)로써 진실을 닦음이여, 다만 이것이 보리로다.”
함허 설의 經을 듣고도 믿어지니지 않으면 좋은 약이 앞에 있어도 먹을 줄 모름이요, 과보도 생각할 수 없다 함이여, (좋은 약을 )먹으면 평지에서 곧 신선에 오름이로다.
규봉 무착이 이르되 “뜻과 과보가 불가사의하다 라고 한것은, 복의 體와 과보를 가히 측량할 수 없음을 드러낸 연고”라 하다.
육조 이 經의 뜻(義)이란, 無着 無相의 行임. 불가사의(不可思議)하다라고 한 것은, 무착 무상의 행이 능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함을 찬탄한 것.
부대사 “과보가 분명히 있음이여,…前後가 없음을 깨달으면 성불이 더디지 않으리라.”
야부 각각의 눈썹은 눈[目] 위에 가로놓여 있다.
“좋은 약은 입에 쓰고 충성스런 말은 귀에 거슬림이라.(良藥은 苦口요, 忠言은 逆耳라.) 차갑고 더움을 스스로 아는 것은 고기가 물마심과 같으니, 어찌 모름지기 다른 날에 용화세계를 기다리리오. 오늘 아침에 벌써 보리의 수기를 받음이로다”
함허 설의 부처님이 설하신 법은 다만 눈 위의 눈썹을 말한 것이니, 눈 위 눈썹은 태어나면서부터 본래로 있는 것.
“마시고 먹는 것은 때를 따르는 것이며, 주리고 배부름은 스스로 아는 것이로다. 이러한즉 사람사람의 지위는 비로자나불과 같고 낱낱이 적광토에 함께 있으니 어찌 용화의 수기를 기다리리오”
종경 “惡의 인연은 누가 짓고 그 죄는 누가 부르는가. 참된 성품은 허공와 같아서 동요하지 않도다. 오랜 동안의 무명을 모두 다 없애니,  하늘보다 먼저하고 땅보다 뒤에 ㅏ여 고요하고 고요하도다.”
第 17 구경무아분 - 구경에는 我가 없음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心을 발하였으니, 마땅히 어떻게 마음을 머물게 하며(住), 마땅히 그 마음을 항복받으리까(降伏)?”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心을 발하였으면 마땅히 이와같은 마음을 낼지니, 내가 응당 일체 중생을 제도하리라. 일체 중생을 제도하고나서는 실로, 한 중생도 제도함이 없느니라.
무슨 까닭인가,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있으면 보살이 아니니라. 왜 그런가. 수보리야, 실로 법이 있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규봉 住하고 닦으며 항복받는 것도 이 我라는 의심을 끊음이라.
함허 설의 마땅히 항복받은 마음에 住하는 것이란, 자비로써 모든 중생을 교화하되 한 중생도 교화했다는 생각이 없는 것.
육조 한 중생도 제도했다는 생각조차 없다는 것은, 能所心(상대적인 생각)을 없애기 때문
야부 어느땐 달이 하도 좋아서 滄州 지나가는 줄도 몰랐도다
“만약 어떻게 住하는가 묻는다면, 中도 아니고 有. 無도 아님이라…”
함허 설의 途中에 도리어 청산의 일을 기억하니 종일토록 행하고 행하여도 그 행함을 알지 못
하도다.
“참된 住處를 알고자 하면, 中 및 有無가 아님”
육조 四相이 있으면 보살이 아님. 이 네가지 법(四相)을 없애지 않으면, 마침내 보리를 얻지 못함.
함허 설의 실제의 진리 그 자리에는 我와 人, 能과 所가 함께 고요함.
부대사 “수보리가 거듭 물음을 청함에 無心으로 자신을 삼음이니, …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방편으로 我를 세움이요 이치를 증득하면 곧 人이 없느니라.”
야부 저 하나마저 없는데 또 어찌 얻으리오.
“…비록 화창한 봄날의 힘을 빌리지 않았으나, 복숭아꽃이 온통 붉음은 어이하리오.”
함허 설의 我, 人이 단번에 다하고 能, 所가 함께 고요해짐은 功이 지극하여 곧 없지않으나, 실제로써 관하건대 또한 어찌 얻으리오.
“…저절로 본지풍광의 찬란함이 있음”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연등불 처소에서 法이 있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느냐?
-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의 설하신 뜻을 이해하기에는, 부처님이 연등佛 처소에서 법이 있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 아닙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그렇다 그렇다(如是如是)” 수보리야, 실로 법이 있어서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 것이 아니니라.
수보리여, 만약 법이 있어서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한다면, 연등불이 내게 수기(授記)를 내리면서 “그대는 미래에 성불하리니 이름을 석가모니라고 부를 것이다”라고 말씀하지 않았을 것이다.
실로 법이 있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 아니므로, 연등불이 내게 수기를 내리면서 “그대는 미래에 성불하리니 이름을 석가모니라고 부를 것이다”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무슨 까닭인가, 여래라 함은 곧 모든 법이 여여하다는 뜻이니라.(諸法如義)
규봉 연등불이 질퍽거리는 길로 오심에, 선혜행자(석가모니불의 전생)가 머리를 풀어서 그 길에 펴시니, 연등불이 수기를 주시다.
선혜행자가 모든 분별을 떠났음이니, 法이 없음을 말미암은 고로 수기를 얻다.
육조 부처님의 수보리에게 묻되, “내가 스승의 처송에서 四相을 없애지 않고 수기를 얻었는가?”
-수보리는 無相의 이치를 깊이 이해하는 고로, “아닙니다”라고 하시니라.
함허 설의 부처님께서 “그렇다 그렇다(如是如是)”라고 말씀하신 것은, 수보리의 답변이 부처님의 뜻에 잘 계합하였으므로.
육조 “그렇다 그렇다”는 곧 인가(印可)한 말
야부 만약 같은 침상에서 잠자지않았으면, 어찌 종이옷이 뚫어진 줄 알았으리오.
“북치는 이와 피파 타는 이가 한집에 모였도다. 그대는 버들언덕을 거닐고 나는 나루터에서 잠자도다. 강 위엔 늦은 성긴(疎) 비가 지나가고 두어 봉우리릐 푸른 빛은 하늘가 노을에 닿았도다.”
함허 설의 같은 소리는 서로 응함이요, 같은 기운은 서로 구함이로다.
“수보리와 세존을 북치는 이와 비파 타는 이로 비유.”
규봉 論에 이르되 “부처님을 본다는 것은 자신을 보는 것이요, 자신의 청정함을 보면 일체가 청정함을 보는 것이며, 청정한 지혜를 보는 것도 또한 청정한 것”
  이와같이 연등불을 보고 無生忍을 얻었으니, 일체종지가 현전하여 수기를 받게 됨.
함허 설의 得과 失의 말은 다만 迷와 悟를 인연함. 迷와 悟가 이미 없을진대, 얻는다(得)는 것은 무엇이며, 잃는다(失)는 것은 무엇인가.
규봉 무착이 이르되 “法은 가히 설할 것이 없는 고로 내가 그때에 정각을 얻지않았으므로 수기하여 말하되 ‘내세에 마땅히 얻으리라’고 하시니라.
육조 四相(아.인.중생.수자相)이 없어야 비로소 보리의 수기를 얻음
야부 가난하기는 범단(范丹;후한의 청빈한 선비)과 같으나, 그 기개는 항우와 같도다.
“위로는 한 조각 기와도 없고, 아래로는 송곳 꽂을 데도 없도다. 해가 지고 달이 떠도 알 수 없어라. 이 누구인가. 아! 슬프도다”
함허 설의 가난하기는 몹시 가난하지만, 스스로 충천하는 의기가 있도다
“청빈하여 가진 것이 없으나, 그 의기는 감히 숨길 수가 없도다.”
규봉 (무슨 까닭인가, 여래라 함은 곧 모든 법이 여여~) - 因이 없으면 불법도 없을 것이라는 의심을 끊음
함허 설의 여래라는 이름은 眞如임을 요달할 뿐. 진여는 평등하여 그 性德이 청정하니 그 얻은 바를 어찌 논하랴(無所得)
규봉 무착이 이르되, “진여는 청정하여 여래라 이름하니, 마치 眞金과 같다”
육조 모든 법(諸法)이 여여하다라는 것은, 제법(색.성.향.미.촉.법)인 육진(六塵)에 물들지 않아서 원만히 통하고 밝게 사무침.
보살영락經 “헐뜯거나 칭찬에 동하지 않음이 여래의 行”이라 함.
입불경계經 “모든 欲에 물들지 않는 고로, 佛에 예경한다” 하시니라.
야부
가만히 있어라. 움직이면 30방을 치리라.
위는 하늘이고 밑은 땅이라. 남자는 남자이고 여자는 여자로다. 목동이 목동을 만나니 大衆이 다함께 랄랄라라라라~부르도다. 이 무슨 곡조인가. 만년의 즐거움이로다”
함허 설의 다만 저 진여평등의 도리를 어떻게 말할 것인가.
“하늘은 하늘이고 땅은 땅이라. 어찌 일찌기 뒤바뀌리오…사람사람이 저절로 無生樂이 있음이로다.”
만약 어떤 사람이 말하길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한다면, 수보리야, 실로 법이 있어서 부처님이 아녹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 아니니라.
여래가 얻은 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이 가운데에 실다움도 없고 헛됨도 없느니라(無實無虛)
그러므로, 여래가 설하되 “일체법이 다 불법이라(一切法이 皆是佛法)”하시니, 수보리야, 일체법이란 곧 일체법이 아니므로(卽 非一切法), 일체법이라 이름한다.
규봉 부처가 곧 보리인 까닭으로 無得임을 밝힘이라.
함허 설의 실로 법의 뜻을 논할진대, 허공의 밝은 빛과 같아서 삼라만상이 그대로 차별된 온전한 몸이요, 見聞覺知가 응용함에 방해가 없음 -  無實無虛라 하시니 실답지 못함이나 또한 실답지 못하지도 않음
규봉 (무실무허) - 論에 이르되 “색.성.향.미.촉.법 등의 相이 없는 연고이며 그것이 곧 보리의 相인 연고이다. 무착이 이르되 ”진여가 둘이 아님을 나타낸 연고“라 하다.
육조 실로 얻을 바 없는 마음(實無所得心)이란 보리를 얻음 이다.
야부 부유하면 千 입도 적다고 싫어하고, 가난하면 한 몸도 많다고 한탄하도다.
“생애가 꿈과 같고 뜬구름과 같으니…무한한 往來人을 웃으며 보도다”
함허 설의 실답되 실다움이 없음이요, 헛되되 헛되지 않음이로다.
“요요하여 한 물건도 없음을 괴이하게 여기 말라.…좌로 가나 우로 가나 응함에 모자람이 없도다”
규봉 (일체법이 다 佛法) ; 뜻을 해서하여 의심을 끊음
함허 설의 앞에서 먼저 無實을 말하여 法과 法의 자성이 없어서 안팍으로 모든 相이 허망해서 가히 가르칠 것이 없음이고, 無虛는 法과 法이 다 法位에 住하여 학다리는 길고 오리는 짧으며, 소나무는 곧고 가시는 굽어서 모양과 모양이 원래로 진실함이라, 實相아님이 없음.
야부 아주 분명한 백개의 풀끝마다 아주 분명한 조사의 뜻이로다.
“준순주(逡巡酒)를 빚을 줄 알고, 경각화(頃刻花)를 능히 피우도다…몇가지 기량을 어디서 배웠는가. 모름지기 풍류가 자기집에ㅣ서 흘러남을 믿을지니라.”
함허 설의 조사의 뜻이 백 개의 풀끝에 아주 분명하니 사물 하나하나 위에서 좋게 눈을 뜰지어다.(일체법이 다 불법)
“술을 빚고 꽃을 피움이여, 기량이 여러가지이니 이와같은 재주는 다른 이에게서 얻음이 아니로다”
함허 설의 (일체법은 卽 非일체법이므로, 일체법) ; 佛이 곧 法이요, 法이 곧 佛이니, 佛과 法이 둘이 아님이라.
규봉 論에 이르되, 일체법이 다 진여의 體이므로 모두 佛法임.
육조 일체법에 대해서 마음으로 取捨가 없고 能所가 없어서 마음이 공적함. 곧, 일체법이 불법임.
야부 공자님이로다, 성인이로다.
“是法과 非法이 이 法이 아님이여, 죽은 물에 잠긴 용이 활발발하도다. 是心과 非心이 이 心이 아님이여…한없는 들판의 구름을 바람이 다 거두니, 둥근달만이 하늘 한가운데서 비춤이로다.”
함허 설의 이 道의 體는 가장 높고 지극하여 위가 없고(無上) 지극히 넓어서 끝이없음(無邊).
“是非의 구름이 다하여 마음과 법을 쌍으로 잊으니 大人의 면목이 햇빛에 나와 밝게 빛남이로다.”
수보리여, 비유하건대 키가 큰 사람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이에 수보리가 말했다. “키가 큰 사람은(人身 長大) 곧 키가 크지 않으므로(卽爲 非大身), 키가크다고 이름한다(是名 大身)
수보리여, 보살도 또한 이와같아서 만약 이런 말을 하되 “내가 마땅히 한량없는 중생을 제도하리라”한다면 곧 보살이라 이름할 수 없느니라.(卽 不名보살)
무슨 까닭인가, 수보리야, 실로 보살이라고 이름할 法이 없기 때문이니라.(實 無有法 名爲보살)
그러므로, 부처님이 설하시되 “일체法은 我도 없고 人도 없고 衆生도 없고 壽者도 없다” 하느니라.
수보리여, 만약 보살이 이런 말을 하되 “내가 마땅히 불국토를 장엄하리라”한다면 이는 보살이라 이름할 수 없느니라.
무슨 까닭인가, 여래가 설한 불국토를 장엄한다는 것은 곧 장엄이 아니므로(卽 非莊嚴), 그 이름을 장엄이라 하느니라.
함허 설의 왜 몸이 아니라고(非身) 했는가, 본래 존귀한 사람은 존귀한 위치에 머물지 않았으니 수미정상에서 찾아봐도만나지 못함
규봉 揭에 이르되 “저 法身을 의지하는 고로 큰 몸(大身)을 비유해서 말함.
論에 이르되 “非身이란 諸相이 있지않음이고, 大身이란 진여의 體가 있음”
무착이 이르되 “일체중생을 포섭한 大身인 고로 저 몸 가운데서 自他가아닌 도리를 세운 연고”라 하다.
육조 ․ 卽爲 非大身이란, 일체 중생의 법신이 본래 처소가 없는 것을 나타내므로 ‘곧 큰                      몸이 아님(非大身)’.
․ 色身이 비록 크나 안으로 지혜가 없으면 곧 非大身.
․ 비록 지혜가 있으나 능히 의지하여 행하지 않으면 非大身..
․ 大身은, 법신은 둘이 아니어서 한량이 없으므로 큰 몸(大身)
․ 色身이 비록 작으나 안으로 지혜가 있으면 大身.
․ 가르침에 의지하여 수행해서 모든 부처님의 위없는 지견을 깨달아 들어가서 마음     에 能所와 한량이 없으면 大身
야부 한 물건(一物)이라 해도 맞지않도다.
“하늘이 뛰어난 육척의 몸을 낳으시니 文에도 능하고 武에도 능하고 經書도 잘 하도다. 하루 아침에 본래면목을 알아 깨뜨리니, 바야흐로 부질없는 이름들이 천하에 가득함을 믿겠도다”
설의 설사 卽心이 卽佛이라 말하더라도, 非心非佛임을 어찌 할 것이며, 설사 한 물건(一物)이라 말하더라도 또한 한 물건(一物)이 아님이로다.
“大人의 안목을 안 연후에야 저 頂門(지혜안)의 正眼을 열었음을 허락함이니라. 이러한 즉, 눈앞에서 짓는 거시 다만 부질없는 일이며 듣는 바도 또한 부질없는 이름들이로다”
규봉 (내가 마땅히 중생을 제도하리라 한다면 곧 보살이 아님) ; 眞法界를 통달하지 못하여 중생을 제도하는것과 국토를 청정하게 한다는 생각을 일으키나니, 곧 전도된 것임.
法으로써 보살이라 이름할 게 없으니, 어찌 내가 중생을 제도함이 있으리오.
함허 설의 일체법에 我, 人이 없음.
천지일월.삼라만상.二乘.四諦.십이인연.보살의 육도만행.제불의 무상정등보리에 이르끼까지 낱낱이 無住며 낱낱이 無相이며 낱낱이 淸淨하며 낱낱이 寂滅하며 낱낱이 은산철벽과 서로 같아서 한 법도 그 사이에 생각함을 용납할 수 없음
육조 마음에 能所가 있어서 我와 人을 없애지 못하면, 보살이라 이름을 얻지 못함.
야부 소라고 부르면 곧 소이고, 말이라 부르면 곧 말이로다.
“노파의 적삼을 빌려 입고 노파의 문앞에서 절을 하니, 예의가 법도에 맞음이 이미 충분하도다. 대그림자 뜰을 쓸어도 티끌은 움직이지 않고, 달빛이 연못을 뚫어도 물은 흔적이 없도다”
함허 설의 소라고 부르면 곧 소이고, 말이라 부르면 곧 말이니, 법은 본래 없음이라, 없다라고 말하든 있다라고 말하든 法體를 어기지 않느니라.
  “…없느냐 있느냐, 나는 단적으로 말할 수 없음이로다”
육조 보살이 만약 능히 세계를 건립한다고 하면 이는 보살이 아님. 치연히 세계를 건립하나 마음에 능소가 나지않아야 보살이라 하느니라.
함허 설의 여래는 보살이 無我의 법에 통달해야 참다운 보살이라 한다.
규봉 論에 이르되 만약 중생을 제도하고 불국토를 장엄한다는 마음을 일으키면, 이는 전도된 것임. 無我를 통달해야 보살이라 한다.
무착이 이르되 “人無我, 法無我”라 하다.
육조 無我法=여래의 참다운 보살 ; 法을 안다는 마음을 짓지않거나, 分을 따라 행하다라도 아직 참다운 보살이 아니며, 아는 것과 행함이 원만하여서 일체의 能所心이 다해야 바야흐로 참다운 보살이라 한다.
부대사 “人과 法이 相待함이여, 두 相이 본래 같도다.…일체가 다 幻과 같나니, 누가 얻음이 있고 없음을 말하리오”
야부 추우면 온 하늘이 다 춥고 더우면 온 하늘이 다 덥도다.
“我가 있음은 원래 我가 없음이니, 추울 때는 불을 피우고, 無心은 有心과 같아서 한밤중에 금침(金針)을 줍도다. 無心과 無我를 분명히 일렀으니, 말하지 못하는 자가 누구인고? 하하하”
함허 설의 묘하게 문수의 지혜경계에 나아가니 삭풍이 매우 차서 서리와 눈이 하늘에 가득함이요, 보현의 높은 行門을 밟으니 훈풍이 은은히 불어와 푸르고 노란 빛이 땅에 가득하도다.
“본래 我, 人이 없으니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방편으로 我를 세웠으니…한밤중에 바늘을 줍는 것이 無知함이 아니로다. 분명히 無我의 이치를 이르노니, 말하지 못할 작 누구인가? 하하하. 有我인가 無我인가 有心인가 無心인가.”
종경 法이 空하여 我가 없으니, 보리는 본래 스스로 원만하게 이루었음.
“바로 가리킴(直指)과 홑으로 전하는 것(單傳)의 비밀한 뜻이 깊으니, 본래 부처도 아니고 또한 마음도 아님이라…”
함허 설의 비밀한 뜻이 뚜렷하게 이루어져서 다시 구할 것이 없고, 스스로 신령스런 빛이 있어서 옛과 오늘에 빛나도다.
第 18. 일체동관분 -한몸으로 동일하게 봄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육안(肉眼)이 있느냐?
-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육안이 있습니다.”
규봉 육안(肉眼)이란, 몸 가운데는 청정색이 있어서 외형[障內]의 色을 보는 것.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천안(天眼)이 있느냐?
-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천안이 있습니다.”
규봉 천안(天眼)이란, 육안의 끝에 깨끗한 천안을 이끌어서 밖을 외형밖의 색(障外色)을 보는 것.
대반야說을 의지하건대, 여래는 육안으로 육안으로 능히 사람 가운데서 무수한 세계를 보나니 오직 외형뿐만 아니라 하늘이외의 사람과 사물을 봄. 만약 부처님의 천안이라면 능히 諸天의 있는 바 미세한 물질까지도 다 봄
유마경 “불세존이 참다운 천안을 얻어서 항하사같은 불구토를 비추어 보시되 두가지 모양으로 보지않는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혜안(慧眼)이 있느냐?
-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혜안이 있습니다.”
규봉 혜안 - 근본의 지혜로서 진리를 비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법안(法眼)이 있느냐?
-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법안이 있습니다.”
규봉 법안 - 後得智로써 법을 설하여 사람을 제도함.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불안(佛眼)이 있느냐?
-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불안이 있습니다.”
함허 설의 五根을 낱낱이 들어 전도된 知見을 버리고 無住의 大道에 계합하게 함
규봉 佛眼 - 육안.천안.혜안.법안 네 가지 눈(眼)이 부처님(佛)에게 있음에 佛眼이라 함.
또, 佛性을 보는 것이 원만하고 지극함을 佛眼이라 한다.
육조 모든 사람이 다 五根이 있건만, 미혹에 덮인 바가 되어서 능히 스스로 보지 못함.
육안 - 처음의 미혹한 마음을 없애는 것/ 천안 - 일체중생은 모두 불성이 있어서 연민의 마음을 일으키는 것/ 혜안 - 어리석은 마음이 나지않음/ 법안 - 법에 집착하는 마음을 없애는것/ 불안 - 미세한 번뇌까지 영원히 다하여 뚜렷이 밝게 두루비춤.
또 이르되, 육안 - 몸 가운데서 法眼이 있음을 보는 것/ 천안 - 일체중생이 각각 반야의 성품을 갖추고 있음을 보는 것/ 혜안 - 반야바라밀법이 능히 三世의 일체법을 내는 것을 보는 것/ 법안 - 일체의 불법이 본래 스스로 갖춤을 보는 것/ 불안 - 성품이 밝게 사무쳐서 능소를 영원히 없앰을 보는 것
부대사 “天眼은 통하여 걸리지 않음이요, 肉眼은 걸려서 통하지 않음이라. 法眼은 오직 俗만 보며, 慧眼은 바로 空을 인연하거니와, 佛眼은 마치 천 개의 해가 비춤은 다르나, 體는 동일함과 같아서 뚜렷이 밝은 法界내에선, 어느 곳이든지 비추지않음이 없느니라”
야부 이 다섯 가지 눈이 모두 눈썹밑에 있도다.
“여래는 다섯가지 눈이 있음이요, 우리들은 다만 한 쌍이라, 또같이 흑과 백을 나누고 분명히 청과 황을 분별하도다. 그 사이에 조금 다른 것은, 6월 뜨거운 하늘에 눈서리가 내림이로다”
함허 설의 여래의 다섯 가지 눈이 모두 눈썹밑에 있고 장氏(그 누구나)의 세째 아들의 한 쌍의 눈도 눈썹밑에 있도다.
“부처님이 다른 사람과 다른 까닭은, 치연히 작용하되 그 자취가 없음”
수보리여, 어떻게생각하느냐, 개지즈 강의 모래(恒河沙)를 여래는 모래라고 하느냐?
-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모래라고 말씀하십니다.”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느냐, 예컨대 갠지즈 강의 모래알 숫자만큼 갠지즈 강이 있고, 여러 갠지즈 강의 모래알만큼 佛世界가 있다고 한다면, 이는 많음이 되겠느냐?
-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이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이렇게 많은 世界의 모든 중생 하나하나의 마음을 여래는 낱낱이 꿰뚫고 있느니라.  무슨 까닭인가?
모든 마음(心)은 다 마음이 아니므로(非心), 여래는 그 이름이 마음(心)이라고 말하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여, 왜 그럴까,
과거의 마음도 찾을래야 찾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구할래야 구할 수 없고, 미래의 마음 또한 얻을래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니라.(과거心 不可得, 현재心 不可得, 미래心 不可得)”
육조 항하(恒河)는 인도 기원정사 가까이에 있는 강.
함허 설의 여래 心地의 달이 모든 찰해(刹海)를 비추시니, 찰해가 모두 하나로 묶음이요 모든 마음이 한 점의 구름이로다.
규봉 무착이 이르되, “여러가지의 종류란, 두 종류가 있어서 染과 淨을 말함이니, 곧 욕심과 욕심을 떠난 마음 等이라”하다.
야부 일찌기 나그네가 되었음이라, 나그네를 특별히 생각함이요. 술을 늘 좋아했음이라, 취한 사람을 애석하게 여기도다.
“ 일체 중생의 일체 마음이여, 모두가 다 한없는 聲과 色을 쫒아다니도다. 악 ! ”
함허 설의 타향에서 나그네 됨이여, 비틀거리는 일이 가히 애석하고, 취하여 옷속의 보배를 잊어버림이여, 어리석고 미한 情이 가히 불쌍하도다.
“…떠돌던 아이가 돌아올 줄 몰라서 여러 번 慈父가 사람을 보내어 찾게하는가. 돌아올 줄 모름이여, 오랫동안 길을 잃고 풍파를 쫒았음이로다 악!”
규봉 (모든心이 모두 다 非心일새 心이라 이름함) ; 妄을 알아 眞에 돌아가서 모든 아는 것을 해석함.
함허 설의 모든 마음(諸心)이란, 전념. 금념. 후념이 순간순간 한량없는 조흔 일을 생각하며, 온갖 악한 일을 생각하며 순간순간 계속 흘러가고, 일어나고, 멸함이 멈추지 않는 등등의 마음.
규봉 大雲이 이르되, “諸心이란 표지(標指)요, 非心이란 妄識이 본래 空함을 앎. 是名心이란, 참마음이 멸하지 않음이니라.
육조 여러중생들의 차별된 마음가짐이 여러가지이지만, 모두 이 妄心이로다. 망심이 참다움이 아님을 알면, ‘마음’이 된다 이름함이니, 이 ‘마음’이 곧 참다움이며 항상하는 마음이며 佛心이며 반야바라밀심이며 청정보리열반심이라.
야부 病많은 사람이 약의 성품을 알도다.
“한 물결이 일렁이면 만 물결이 따르는 것이 마치 개미의 순환함과 같아서, 어찌 마칠 기약이 있으리오. 악 ! 오늘 그대와 더불어 모두 다 잘라버리니, 몸을 나타내면 바야흐로 장부라 부르도다.”
함허 설의 세상 사람의 병이 없으면 의사는 팔짱을 끼고 있을 것이며, 중생의 허물이 없으면 부처님이 할 일이 없을 것이로다.
“허망한 뜬마음의 기세가 그러하도다 악 !”
규봉 이로 미루어 妄과 染을 깨어서 非心을 나타냄이라.
함허 설의 (과거심불가득 현재심불가득 미래심불가득) ; 이는, 허망부심(虛妄浮心)을 버리고 상주진심(常住眞心)에 계합하기 위함.
규봉 무착이 이르되, “과거는 이미 멸한 연고이며, 미래는 아직 있지않은 연고이며,현재는 第一義인 까닭이라” 하다.
육조 이 과.현.미래 세가지 마음을 얻을 수 없음을 요달하면, 이를 부처라 이름하리라.
부대사 “…과거는 멸하되 멸함이 없고, 미래는 나되 나지않음이니, 항상 능히 이런 觀을 지으면, 眞과 妄이 탄연히 평등하리라.”
야부 소리를 낮추고 낮추어라. 바로 콧구멍 속에서 氣가 빠져나가게 되리라.
“三際에 마음을 구하여도 마음은 볼 수 없으나, 두 눈은 예전처럼 두 눈을 대하도다. 모름지기 칼을 빠뜨리고 배에다 (빠뜨린 곳을) 표시해서 찾지말라. 눈(雪]과 달과
바람과 꽃에서 항상 그대 얼굴을 보리라.
함허 설의 이 마음은 三際를 향해 구하여도 구할 수 없으며, 시방을 향해 찾아도 그 찾음에 자취가 없으니, 나아가면 은산철벽과 같고 물러나면 만길의 깊은 굴과 같도다…“
“두 눈이 두 눈을 대하고 있음을 알고자 한는가, 옛 거울 속의 그림자를 볼지어다.”
종경 五眼이 모두 뚜렷이 밝음이여, 마치 해가 높이 떠서 항하사 세계를 비춤과 같도다. 세 가지 마음을 얻을 수 없음이여, 마치 불을 밝히고 바다에 뜬 물거품을 찾는 것 같도다.…
함허 설의 이 마음이 법계에 두루함이여, 佛眼으로 또한 이에 통하도다.…
第 19. 법계통화분 -법계를 다 교화하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약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가득찬 칠보로써 보시에 쓴다면, 이 사람은 이 인연으로 복을 얻음이 많겠느냐?
-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그 사람은 이 인연으로 복을 얻음이 매우 많겠습니다.”
규봉 相을 여의어서 전도됨이 없는 보시를 행한 인연으로 무루(無漏)의 복을 이루어 두 가지 장애를 떠남.
수보리여, 만약 복덕이 실다움이 있을진대(福德 有實), 여래가 복덕을 얻음이 많다고 말하지 않으련만 복덕이 없는 까닭에福德 無故), 여래가 복덕을 얻음이 많다(得 福德 多)고 말하느니라.
함허 설의 相을 취한 것은 복이 있다는 것이고, 相을 여읜 것은 복이 없다는 것임.
經 가운데서 무릇 꾸짖는 까닭은 相에 住하는 것을 경책하기 위함이요, 칭찬하는 것은 그 相을 여의는 것에 나아가게 하기 위함.
규봉 揭에 이르되 “질문; 복의 성품이 空한 까닭에 ‘福이많다’라고 함인대, 앞에서 妄心의 성품이 空하다고 말했으니, ‘妄 또한 응당 많음’이 아닌가?
답; 福은 부처님의 지혜로써 근본을 삼은 것이니, 성품의 空함을 따르는 것이므로, 성품이 空함을 깨달으면 福은 곧 매우 많거니와, 心識은 전도되어 성품이 空함을 어겼음일새 故로 성품이 空함을 깨달으면 곧 心識은 모두 다함이니라.
육조 칠보의 복은 능히 佛果나 보리를 성취하지 못하기 때문에 ‘없다’고 말한 것이요, 그 수량에 있으므로 ‘많다’고 말한 것.
부대사 “…마침내, 四句揭로써 온전한 空을 증득할 수 있음을 知覺하리라.“
야부 오히려 달리 마음을 쓰는 것보다 수승하도다.
“나한은 응공이 박복하고 코끼리 몸은 칠보가 진귀함이라…망상(罔象;코끼리를 엮어맴)은 다만 無意를 인하여 얻었음이요, 리루(離婁;엮어맴을 여읨)는 有心에 親하여 잃었느니라”
함허 설의 복지을 줄만 알고 복의 성품이 空한 줄 알지못하면, 그 과보는 코끼리몸에 진귀한 칠보를 두를 것과 같음. 다만 복의 성품이 空함만 알고, 복지을 줄 모르면 나한의 응공함이 박복함을 초래하니, 이것은 大道와 더불어 서로 계합하지 못함이니라.
이 둘 중에서 비교하면, 복의 성품이 空함을 관하는 자가 조금 수승함.
“…空을 관함이 왜 수승한가? 망상(罔象)은 無意로 인하여 얻었음이라. 福을 지음은 왜 하열한가? 리루의 잃은 것은 有心에 親하였기 때문이니라.”
종경 보시의 인연은 人天이나 유루(有漏)의 과보임. 무위복덕은 凡聖을 모두 교화하는 功을 초월했도다…
“…나아가는 가운데 밀치고 空王의 궁전에 이르르니, 안팎으로 다 빛을 발하도다”
第 20. 리색리상분 - 색과 상을 떠나다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를 거룩한 모양을 갖춘 부처님 형상(具足 色身)에서 볼 수 있겠느냐?
-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거룩한 모양을 갖춘 부처님 형상(具足 色身)에서 여래를 볼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거룩한 형상(具足 色身)은 곧 거룩한 형상이 아니므로(卽 非具足色身), 이를 거룩한 형상(具足 色身)이라고 여래는 말씀했기 때문입니다.”
규봉 論에 이르되, “法身은 필경에 色身이 아니며, 모든 相도 아님이라. 그러나, 32相 80種好도 또한 부처가 아님도 아니니(非不佛), 32상 80종호가 법신을 떠나지 않은 연고로, 32상 80종호를 또한 ‘없다(無)’고 말함일새, 그런 고로 非身이라 하며 또한 ‘있다(有)’라고 말할 수도 있는 고로 성취(成就)라고 한다” 하다.
육조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질문한 뜻은, 뭇 중생들이 法身을 보지못하고, 다만 32상 80종호의 자마金의 몸만 보아서, 이것으로 여래의 眞身을 삼을까 염려되기 때문.
32相은 곧 色身이 구족됨이 아니고, 안으로 32청정행을 갖춤을 말함(五根×6바라밀+定, 慧 = 32청정행)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를 거룩한 상호를 갖춘 것(具足 諸相)으로 볼 수 있겠느냐?
-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거룩한 상호를 갖춘 모습에서(具足 諸相)에서 여래를 볼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거룩한 상호를 갖춘 것(諸相 具足)은 곧 거룩하지 않므로(卽 非具足), 이를 거룩한 상호(諸相 具足)이라고 여래는 말씀했기 때문입니다.”
규봉 無相을 말미암아 相을 나타냄
함허 설의 體가 텅 비어서 실 한터럭도 볼 수 없지만 緣을 대하면 만 가지 형상을 드리워 보이도다.
규봉 곧 32相이니 앞에서 설한 色身
육조 여래란 곧 無相法身.
부대사 “80종류의 좋은 형상이요 相으로 나눔이 32가지라. 중생에게 응할 땐 만 가지 형상이나, 이치 가운데선 ‘하나’도 ‘다름’도 없도다. 人과 法을 둘 다 버림이오, 色과 心도 가지런히 함께 버리도다. 그러므로, 보리를 증득하는 것은 실로 모든 相 떠남을 말미암음이로다”
야부 官(公的인 입장)에선는 바늘만큼도 용납하지 못하나, 私私로는 수레도 통함이로다.
“그대에게 청하노니 얼굴을 우러러 허공을 보라. 확 트이고 끝없어 그 자취를 보 수 없도다. 그러나 만약 몸을 굴려 작은 힘을 알게되면, 두두물물에서 모두 만나보게 되리라.”
함허 설의 公的인 門中에서 私私로움을 용납하지 못하나 마을에선 어찌 情이 없으리오.
“體는 본래 소리와 색을 끊었으니, 찾은즉 그대는 그 자취를 볼 수 없음. 妙峯 정상에서 한번 몸을 뒤척이면 두두물물에서 여래의 진신을 보리라.”
종경 “相도 있고 身도 있음이여, 여래의 장엄이 구족함이요.…色과 相을 떠나니, 어떤 것이 주인 가운데 주인인가.…”
함허 설의 다마, 묘한 가운데 묘함이여, 어찌 다시 안다는 집착을 내리오! 안다는 집착을 냄이여, 머리를 돌이키면 매는 벌써 신라를 지나 날아갔음이라.
“단엄하고 미묘하게 훌륭한 자금신(紫金身)이여, 바른 눈으로 보면 모두 眞이 아님이라, 친절한 문답의 뜻을 알고자 하면, 오온이 공하여 我도 없고 人도 없음이로다.”
第 21. 비설소설분 - 설함과 설하여 질 것이 아님 수보리여, 너는 ‘내가 설법한 바가 있다(有所說法)’고 이르지 말라. 이런 생각을 하지 말지니, 왜냐하면 어떤 사람이 ‘여래가 설법한 바가 있다’고 말한다면 그는 여래를 비방한 것이 되기 때문이니라.
그는 내가 설한 바를 제대로 알지 못한 연고로 그렇게 말하는 것일 뿐이다.
수보리여, 설법(說法)이라는 것은 법을 가히 설할 바가 없기에(無法可說), 이름하여 설법(說法)이라 하느니라.
규봉 論에 이르되, “만약 여래가 색신과 상호가 없다면, 대체 누가 설법하는가”에 대한 의심을 끊음 - 골짜기에는 사람이 없으나 능히 음성을 내느니라.
함허 설의 부처님이 설하신 일체법은 담연하여 항상 적멸(寂滅) 함 - 부처의 말의없음(無言)을 믿으면 가히 종자기(知音]者)라고 할 수 있음.
규봉 세존꼐서는 모든 법이 空함을 통달하여 필경에 집착함이 없음 - 만약, 지금 부처님이 법을 설함이 있다(說法)라고 한다면, 이는 부처님이 법에 집착했다고 비방하는 것이 됨.
야부 옳기는 옳으나 대장경(大藏經) 소장경(小藏經)은 어느 곳에서 나왔는가.
“설함이 있다(有)해도 다 비방함이 되고, 설함이 없다(無)해도 또한 용납치 못하도다. 그대를 위하여 한가닥 선(線)을 통하노니, 해가 영동에서 붉게 떠오르리라”
함허 설의 부처님이 설하 바가 없음은 옳기는 진실로 옳으나, 돈교.점교.편교.원교의 대승,소승장경들이 넘쳐나서 천하에 없는 곳이 없는데, 이와같은 법문은 누가 설했는가?
“설함이 있음(有)과 없음(無)은 모두 한쪽만보이는 것임. 無念으로 설하여 보이신 것이 골짜기의 메아리 같고, 또한 해가 비추되 無心히 비춤과 같도다”
규봉 (說法이라는 것은, 법을 가히 설할 바가 없기에(無法可說), 이름하여 說法이라 하느니라) ; 正見을 보임
함허 설의 法身은 본래 說함이 없음(無). 보신, 화신이라야 설함이 있음. - 佛土가운데는 오직 일승법(一乘法)이 있으니, 일승법을 떠나서는 다시 가히 ‘설할 것’이 없음. 그러나, 또한 중생의 일상사를 떠난 것도 아니니라.
규봉 揭에 이르되, “說法에는 스스로 相이 없음”. 대운이 이르되, “說함이 없다하면 참다운 설법이거니와, 만약 설함이 있다하면 설법이라 할 수 없으니 이는 부처님을 비방한 것임”
육조 범부는 능히 아는 마음을 지어서 說하거니와, 여래는 말(語)과 침묵함이 모두 같음.
유마經에 “說法이란, 說함도 없고 보임(示)도 없다. 청법(聽法)이란, 들음도 없고 얻음도 없다. - 만법이 본래 공적(空寂)”
야부 토끼뿔로 만든 주장자요, 거북이털로 만든 총채로다.
“늙은 돌말(石馬)이 백호광명을 놓으니, 쇠소(鐵牛)가 포효하며 長江으로 들어가도다… 어서 일러보아라. 이것이 설법인가, 설법이 아닌가?”
함허 설의 옛사람 이르되, “49년간 많은 功을 쌓음이여, 거북이털과 토끼뿔이 허공에 가득함이라, 한겨울 섣달 눈이 계속내려서 붉은 화로의 불꽃속으로 떨어진다”하시니라.
“만약 설법이라 한다면 石馬와 철우와 같거니 무슨 부질없는 생각이 있을 것이며 무슨 부질없는 氣가 있을 것인가. 만약 설법이 아니라고 한다면, 방광하고 포효하며 허공을 향해 ”악!“(喝함을) 어찌 알겠는가?”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자못 중생들이 미래에 이 가르침을 듣고 믿음을 낼 수 있겠습니까?”
-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수보리야, 저들은 중생이 아니며(非衆生) 중생이 아님도 아니니라(非不衆生). 무슨 까닭인가, 수보리야. 중생, 중생이라고 하는 것은 여래가 설하되 중생이 아니므로(非衆生), 그를 중생이라 이름하느니라.”
함허 설의 ‘후세에 믿음과 믿지않음’에 대한 부처님의 답변
부대사 “지극한 道는, 부처님이 설함이 있다고 비방하는 그 가운데 거처함이로다. 많은 말(多言)은 아는 바가 없음이요, 침묵은 三空을 얻었음이라. 知覺하는 찰나 사이엔 生함도 없고 마침고 없음이로다”
야부 불은 뜨겁고 바람은 움직이며, 물은 습하고 땅은 견고하도다.
“사슴을 가리켜 어찌 준마라 할 수 있으며, 까마귀를 일러 누가 희기한 새라고 이르리오…”
함허 설의 …범부는 범부의 위치에 머물고, 성인는 성인의 위체에 머무르니 범부와 성인의 길이 다름이라. 가히 혼동하지 말지니라.
“누가 마왕파순을 석가모니라 부르리오
종경 여래가 說함이 없음이여, 자비스런 구름과 감로가 자욱히 젖음이요, 혜명 수보리가 일찌기 듣지못함이여, 밝은 달과 맑은 바람이 空하여 고요하도다…
“道는 본래 말이없어서(無言) 불러도 성성하지 않고…”
함허 설의 여래가 설함없이 설함(無說 說) - 無心함
第 22. 무법가득분 - 법은 가히 얻을 것이 없음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심은, 얻은 바 없음(無所得)이 됩니다”
-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그렇다. 그렇다. 수보리여,  내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내지 작은 법이라도 가히 얻음이 있지않으므로(無有少法可得), 이를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이름하느니라.”
함허 설의 보리(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는 중생과 부처가 평등하게 본래 가지고 있는 것임 - 그 가운데는 응당 범부와 성인 有得과 無得을 분별하지 않음
규봉 法이 없음(無法)으로써 정각(正覺)을 삼는다는 것은, 揭에 이르되 “작은 법(少法)도 없음이 보리의 無上을 앎”. 論에 이르되 “보리에는 가히 한 가지 法도 증득함이 없으므로 ‘아뇩보리’라고 이름함”
육조 수보리가 말하되 “소득심(所得心)이 다 없어짐을 곧 보리(卽是 보리)”라 하니, 부처님께서 “그렇다. 그렇다. 수보리여, 내가 보리에 대하여 희구심(希求心)이 없었으며, 또한 얻겠다는 마음(所得心)도 없었다. 이와같은 까닭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는 이름을 얻을 수 있었다.”
부대사 “…부처님은 무엇으로 인하여 얻은이 있는가. ‘얻을 바가 없음’으로 이로다.…미혹에 집착하여 깨닫지 못한 이들은 길을 잘못드는 일이 얼마나 많았던가”
야부 남에게 구하는 것은, 자기에게 구하는 것만 같지못함
“…가을 달과 봄 꽃의 무한한 뜻이여, 자고(꿩)의 울음을 한가히 듣는데 방해롭지 않도다”
함허 설의 이미 평등하다고 한다면 어찌 멀리 성인들에게 미루어 구할 것이며, 이미 본래 지니고 있음인데, 어찌 모름지기 밖을 향해서 급하게 구할 것인가.
“…山僧이 아직 법상에 오르기도 전에, 풍경소리가 법을 이미 다 설하였느니라.”
종경 아뇩보리 - 법을 가히 얻을 것이 없음을 말함.
열반正眼 - 道를 전할 것이 아님
“본래 설함도 없고 전할 것도 없으니, 막 사유하자마자 곧 관문에 걸림이라. 語와 黙, 無와 有를 함께 다 쓸어버리고, 고요히 옛 영축산에 홀로 앉음이로다.”
함허 설의 이 宗은 본래 나지않음이니, 마음을 내면 곧 어긋나도다.
第 23. 정심행선분 - 깨끗한 마음으로 선을 행함 다시 또 수보리야, 이 법은 평등하여 높고낮음이 없으므로, 이를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이름하느니라.
아.인.중생.수자가 없이 일체 선법(善法)을 닦으면,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느니라.
수보리야, 선법(善法)이라고 말하는 것은, 여래가 설하되, 곧 선법이 아니므로(卽 非善法) 그 이름이 선법(善法)이니라.
규봉 평등으로써 正覺을 삼음
함허 설의 앞에선 얻음이 없다고 하시고, 여기에선 곧 얻는다고 하는가?
앞에서는 본래 있음을 밝히사 하열한 범부(凡夫)에 굴하지 않게 함이요, 여기에선 新熏(새로운 훈습)을 밝히사, 이로 하여금 功이 모든 성인과 같게 함.
만약, 그 본래있는 것만 믿고 신훈으로써 훈습하지 않는다면, 곧 보배구슬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거지노릇을 하는 것과 같아서, 영원히 윤회하리라.
육조 보리法은, 위로는 모든 부처에 이르고 아래로는 곤충에 이르기까지 다 일체 種智를 함유하고 있어서, 부처와 더불어 다름이 없으므로 평등하여 높낮이가 없음.
四相을 떠나서 일체 선법(善法)을 닦으면, 곧 보리를 얻는다.
야부 산은 높고 바다는 깊으며, 해가 뜨면 달이 지도다.
“스님은 스님이고 속인은 속인이며, 기쁘면 웃고 슬프면 울도다. 만약 여기에서 잘 참구하여 살피면, 육육은 삼십육이니라.”
함허 설의 긴 것은 긴 것에 맡기고 짧은 것은 짧은 데 맡기며, 높은 곳은 높은 데 맡기고 낮은 곳은 낮은 데 맡기도다.
  “구태여 기쁨을 참고 울 필요는 없음이니, 다만 流를 따르되, 성품을 알 수 있으면 저마다 원래 평등함이니라.”
함허 설의 (善法이라고 말하는 것은, 여래가 설하되, 곧 선법이 아니므로(卽 非善法), 그 이름이 善法)이니라.) ; 선악을 초월한 것이 참 선법임.
규봉 無아.無인.無중생.無수자 - 요인(了因;요달한 인)이니 곧 정도(正道) 임.
일체 선법을 닦는다(修 一切善法) - 연인(緣因;조건의 인)이니 조도(助道) 임.
아뇩보리를 얻음(得아뇩보리) - 정각(正覺)
선법이라고 말하는 것(所言 善法者) - 표지(標指;가리키는 말)
(여래가) 설한 즉 선법이 아니므로(說卽 非善法) ; 論에 이르되 “저 法엔 유루법(有漏法)이 없음일새, 그러므로 非善法이라 한 것이고, 무루법(無漏法)이 있으므로 善法이 된다고 이름한 것이라” 하다.
육조 非善法 - 일체 선법을 닦되, 과보를 바라는 것
善法 - 육도만행을 치연히 함께 짓되, 마음에 과보를 바라지 않음
부대사 “…自他의 분별을 없애고, 높낮이에 집착한 情을 제거하리니, 이 평등한 성품을 요달하면, 다같이 무여열반에 들어가리라.”
야부 얼굴은 복숭아 꽃이요, 배속은 가시나무로다(얼굴은 자비한 보살의 모습이고, 속에는 나찰의 마음이로다)
“이 惡은 악이 아니요(非惡), 善을 쫓아도 선이 아니로다(非善).…인간을 다 보고서 다만, 머리를 끄덕거리니, 대자비의 관음보살은 방편이 많으시도다”
함허 설의 善인가, 惡인가?
“惡은 악이 아니요, 善은 선이 아님이여, 선과 악의 본성은 다르지 않으니, 하나를 들면 서로 따라오도다. 열반과 생사에 둘 다 소요하니, 비록 교화가 없으나 항상 교화하고 있음을 알도다”,
종경 法에는 높낮이가 없는 연고로, 부처님 마음안에는 중생들이 때때로 成道하고, 아相. 인相을 떠난 고로 중새의 마음안에는 부처님이 순간순간 眞을 증득함이라…
“산에 핀 꽃은 비단같고 물은 쪽빛같으니, 前三三 後三三을 묻지 말지어다. 마음과 경계가 확연해서 彼此를 잊으니, 대천세계를 모두 포함하도다.”
함허 설의 한 번 보고 한 번 듣는 것과 발을 들고 발을 놓는 것이, 낱낱이 다 이 적멸도량이니라. 고로, 순간순간마다 석가가 출세함이요, 걸음걸음마다 미륵이 하생한다 하시니라.
이미 이와같을진대, 어찌 범부다 성인이다 분별함을 용납하리오.
“혼융하여 차별이 없으니, 확연히 모두를 함유해서 빠뜨림이 없도다.”
第 24. 복지무비분 - 복덕과 지혜는 비교할 수 없음 수보리여, 만약 삼천대천세계 가운데 있는 수미산王과 같은 七寶무더기들을, 어떤 사람이 가져다가 보시하였다고 하자. 또 어떤 사람이 이 반야바라밀경이나 내지 四구게 등을 수지독송하여 남을 위해 말해주면, 앞의 복덕으로는 백분의 일도 미치지 못하며 백천만억분과 내지 數를 헤아림이나 비유로도 능히 미치지 못하느리라.
함허 설의 經을 지니는 것과 (칠보)보시를 행하는 功行은 같지않으니, 다만 頓과 漸에 있음.
규봉 揭에 이르되 “비록 無記(善도 아니고 惡도 아님)를 말하나, 한가지의 法의 보배가 보물의 보배보다 수승함.”
存에 이르되 “설한 바 法을 떠나서 大보리를 얻을 수 없음” - 설한 바 法은 능히 大보리를 얻을 수 있는 보리의 因이 되므로, 보다 수승함
육조 칠보의 보시는 유루(有漏)의 因이 될 뿐이어서 해탈할 이치가 없음.
마하반야바라밀다의 四句를 의지하여 수행하면 성불하므로, 보다 수승함.
부대사 “…無生의 因을 증득하고자 하면, 종요로히 탐진치를 떠날지니, 人과 法에 我가 없으면, 육진에서 벗어나 소요자재하리라.”
야부 천 개의 송곳으로 땅을 파는 것이 무딘 괭이로 한 번 파는 것만 같지못함
함허 설의 無明의 굳고 두꺼운 것이 마치 땅의 견고함과 같음
천 개의 송곳 - 무명을 점차로 끊음 - 漸
한 개의 괭이 - 무명을 단박에 끊음 - 頓
야부 “기린과 난새, 봉황이 무리를 이루지 못하고, 크고 훌륭한 보배가 어찌 시장에 들어오리오. 하루에 천리를 달리는 말은 낙타와 함께 하지못하고, …”
함허 설의 法을 얻는 자는 수승하여 비유할 데가 없음
종경 福이 삼천세계와 같음이여, 수미산과 같은 칠보를 베품이요. 經의 四구게를 가짐이여, 지혜바다의 밝은 구슬처럼 빛나도다.…
“수미산王만한 보배무더기의 수를 혜아릴 수는 없으나, 도리어 하늘을 향해 화살을 쏘는 것과 같도다. 四句가 三際를 초월함을 환하게 밝히면, 아승지 겁 동안 보시한 것보다 만 배나 功이 수승하리라.”
함허 설의 보물을 베푸는 것은 福이 끝이없으나, 화살을 허공에 쏘는 것과 같아서 힘이 다하면 도리어 떨어짐. 經을 지니면 지혜가 밝고밝아 큰 자비로써 중생을 이익케 함이 끝이없음.
第 25. 응무소화분 -교화하되 교화하는바가 없음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느냐. 너는 여래가 스스로 “내가 마땅히 중생을 제도한다”라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실로 여래가 제도할 중생이 없기 때문이다. 만일 여래가 중생을 제도한다고 한다면, 여래는 곧 아. 인. 중생. 수자가 있는 것이 된다.
규봉 그 正見을 보이다. 揭에 이르되 “眞法界에선 부처가 중생을 제도하지 않음”
무착이 이르되 “여래가 만약 衆生想이 있다면 我를 취하는 것이 된다”고 하다.
함허 설의 중생은 본래 부처를 이루고 있어서, 부처가 중생을 제도할 수 없음.
- 진법계 안에서는 중생과 부처가 없으며, 평등한 성품 가운데는 自他가 없음
육조 일체 중생이 본래 스스로 부처
야부 봄의 난초와 가을 국화가 각기 스스로 향기를 뿜도다.
“탄생하여 동서로 일곱걸음을 걸음이여, 사람마다 코는 곧게 있고 두 눈썹은 옆으로 있도다…”
함허 설의 十類의 중생이 十方의 부처가 일시에 성도하고 같은날 열반하니, 중생과 부처의 相이 본래 공적하고 제도하는 자(能度)와 제도받는 자(所度)가 없으며, 我와 人이 없음
“…성품은 본래 神解(신비롭게 앎)하여서 저절로 그러함”
수보리여, 여래가 설하되 我가 있다고 하는 것은, 곧 我가 있음이 아니거늘(卽非有我), 범부들이 이를 我가 있다(有我)고 여기느니라.
수보리여, 범부라는 것도 여래가 설하되, 곧 범부가 아니므로(卽非 凡夫), 그 이름이 범부라고 하느니라.
함허 설의 我의 성품은 본래 空함을 범부들이 모름.
범부의 相도 적멸(寂滅)한 고로 범부가 아님(卽非 凡夫)
육조 여래가 我가 있다고 설한 것은 상락아정(常樂我淨)의 我.
범부 - 我, 人이 있음. 마음에 生滅과 能所가 있음. 반야바라밀다를 깨닫지 못함.
非범부 - 我, 人이 生하지 않음. 마음에 생멸,능소심이 없음. 반야바라밀다를 깨침.
부대사 “중생이 因果를 닦음이여, 그 結果가 익어지면 자연히 원만하리라. 法의 배[船]로써 자연히 건너게 되니, 하필 남이 이끌어주길 바라겠는가.…”
야부 앞생각은 중생이고 뒷생각은 부처로다.
“…어느땐 술에 취하여 사람을 꾸짖다가 홀연히 향을 사르고 예를 올리도다…모양을 만들고지음이 백천 가지이나, 문득 코를 이끌어오니, 다만 이는 너로다. 악 ! ”
함허 설의 …성인이 되는가 범인이 되는가, 선인가 악인가. 결정코 알지 못하도다.
“能도 아니고 不能도 아니고, 善도 아니고 不善도 아니로다. 貴함도 아니고 不貴도 아니니, 貴賤과 善惡과 能否가 다름이여, 바른 눈으로 보면 오직 한 사람이로다”
종경 我도 없고 人도 없음이여, 중생이 스스로 정각을 이룸이요. 생멸이 없음이여, 여래께서 범부가 아니라고 설하도다.…
언덕에 다다르면 본래 배[船]는 쓰지않으니, 평탄한 큰 길이 장안으로 뚫렸음이라…”
함허 설의 부처가 중생을 제도하지 못함이여, 중생이 스스로 정각을 이루었음이라. 중생상이 적멸함이여, 여래께서 범부가 아니라고 설하셨도다. 비록 사람마다 다 갖추었다 말하나, 날마다 쓰되 알지못함을 어찌하리오…
“깨닫고나서는 응당 방편을 지킬 것이 아니니, 어찌 다시 장안의 길을 남에게 물을 것인가…”
第 26. 법신비상분 - 법신은 相이 아님 수보리여, 어떻게 생각하느냐. 32相으로써 여래를 볼(觀) 수 있겠느냐?
- 수보리가 말씀드리되 “그렇습니다. 그렇습니다. 32相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습니다.”
규봉 (수보리) ; 싹으로써 뿌리를 알 수 있다(因苗識根)고 대답하다.
함허 설의 수보리의 답변 ;
앞에서는 중근기와 같게 하여 “32相으로 볼 수 없다”고 함. - 見
여기서는 하근기와 같게 하여 “32相으로 여래를 볼 수 있다”고 함. - 觀
규봉 앞에서 자주 이 뜻을 답하되, 모든 佛身은 相이 아님을 깨달았거늘, 어찌하여 相으로써 부처를 볼 수 있다고 답하였는가?
① 어떤 이가 이르되, “앞에서는 실다운 이치의 답이고, 지금엔 거짓으로 설정한 답”이니라. 또 “앞에서는 眞에 의한 답이고, 지금은 俗에 의한 답” / ② 또 어떤 이가 이르되, “第21,(비설소설분)에 法身妙體를 밝히기 위하여 거짓으로 이런 답을 보임. 
◀ ①, ② 두 가지가 다 틀렸다.
ⅰ, 앞에서는 어찌 거짓으로 보이지않고 지금은 거짓으로 보이는가 ?
ⅱ, 앞에서는 깨달았다가 뒤에서는 도리어 미(迷) 할 수 있는가 ?


③ 또 어떤 이가 이르되, “앞에서는 色身을 깨닫고, 여기서는 法身에 迷하였다”
◀ 이것도 틀렸음.
ⅰ, 앞에서 이미 법신을 깨달았음.
ⅱ, 오직 색신을 깨달았을 뿐만아니라, 眞을 증득하고 또한 능히 俗도 통달하였음.


※ 지금 자세히 살피건대,
앞에서는 “相으로써 부처를 삼는가?”라고 물은 까닭에, 답은 “그렇지 않습니다.”
지금은 “相을 觀하는 것으로써, 이 無相의 부처를 아느냐?”라고 하므로, 답은 “가히           相으로써 觀한다”


※ 뜻으로 말하면,
相은 비록 부처가 아님이나, 다만 밖으로 구족한 相好(32相80種好)를 보면 곧 안으로 증득한 法身의 ‘相이 없는 참 부처(無相眞佛)’를 표하여 “안다”고 할새, 그러므로 論에 이르되, ‘比知(견주어 앎)’로 “안다”고 하느니라.
이것으로, 과목(科目)해 이르되 “싹으로써 뿌리를 알 수 있다(因苗識根)”고 함.


※ 大雲이 이르되,
“法身이 이미 32相의 몸[身]을 유출했기 때문에, 이 32相으로 말미암아서 부처가 증득한 無相法身을 알 수 있다”고 하니 이것은 순리적인 해석인 것이다.


야부 틀렸다.
함허 설의 色身은 부처가 아니고 음성도 역시 그렇거늘 相으로써 여래를 觀한다고 하시니, 그러므로 틀렸다고 하시니라.
야부 “진흙으로 빚고 나무로 조각하며 비단에 그림을그리는 것이여, 청색을 칠하고 녹색을 바르고 다시 금으로 장식하도다. 만약, 이것을 여래의 모습이라 한다면, 우습도다! 나무 관세음보살.”
함허 설의 相에 집착하고 情에 집착한 견해가, 塵을 떠나서 본성을 회복하는 觀을 어긴 것이니, “우습도다. 나무 관세음보살”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수보리여, 만약 32相으로 여래를 볼 수 있다(觀)고 한다면, 32相을 갖추고 있는 전륜성왕도 곧 여래이겠구나 ! ”
(이에 자기의 허물을 알아차린)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 말씀을 이해하기로는 32相으로 여래를 볼 수 없습니다.(不觀)”
규봉 모든 부처님은 法身이요, 전륜성왕은 부처가 아님.
함허 설의 부처님이 침으로 아프게 찔러줌을 당하고서야, “相으로 볼 수 없다(不觀)”고 이르시니, 옳기는 옳으나, 사무쳐 보지는 못했음이라.
육조 수보리의 相에 집착하는 병을 보내기 위함. - 세존께서 미세한 번뇌를 없애버리고 후세의 중생으로 하여금 보는 바가 그릇되지 않기를 바라시니라.
야부 틀렸다.
“有相身 가운데 無相身이여 ! 금향로 밑에 철곤륜이로다. 두두가 모두 내 집 물건이니, 하필 영산의 세존께 물으리오. 王이 칼을 잡음과 같도다”
함허 설의 또한 色,聲을 떠나지않고 부처의 신통력을 보거늘, 相으로써 볼 수 없다(不觀) 이르시니, 그 까닭에 또한 틀렸음이라.
“有相과 無相이 다 틀렸음이라.”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만약 색신으로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써 나를 구하면, 이 사람은 삿된 道를 행함이라. 능히 여래를 보지 못하리라.(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是人行邪道  不能見如來)”
함허 설의 情을 잊으면 능히 道와 더불어 서로 친하리라.
규봉 揭에 이르되 “진여법신은 識의 경계가 아님”
무착이 이르되 “저 법신은 진여의 相인 고로, 언설로 아는 것이 아니고, 오직 스스로 증득해야 아는 연고”라 하다.
육조 若以 - 말을 낼 때의 단서임
色 - 相을 말함
見 - 識을 말함
我 - 일체중생의 몸 가운데 자성청정한 無爲,無相,眞常의 體
부대사 “열반은 네 가지 덕을 머금었으니 오직 내가 眞常에 계합함이라…이치를 깨달은즉 형상이 나타나도다”
야부 설사 色聲으로 여래를 구하지않더라도, 이는 또한 여래를 보지 못한다.
어서 말해보라. 어찌해야 볼 수 있겠는가?
“모르겠다 모르겠다(不審 不審)”
함허 설의 聲至是(소리로 여기에 이르름)는 한번에 소리로 구하고 색으로 보아서 지음(作)
“모르겠다 모르겠다 함이여, 잘 보아라 ! 부처가 나타났다.”
야부 “…그대가 부처를 보고자 한다면, 마야의 뱃속에 뛰어들어가라. 악 !
이 말은 30년 후 땅에 던지면, 쇳소리가 난다.“
함허 설의 相도 아니고 非相도 아님이니,… 30년 전에는 분명하지 못했으나, 30년 후에는 쇠를 땅에 던지는 듯한 분명한 소리를 내리라.
종경 묘한 相이 단엄함이여, 전륜성왕의 相이 곧 여랭의 相이요. 법신의 두루함이여, 여래의 몸이 전륜성왕의 몸과 다르도다.…어리석은 사람은 오히려 달옆에 있는 별만을 보도다.
함허 설의 여래와 전륜성왕이 그 相인즉 털끝만큼도 차이가 없으나, 그 증득한 것으로써 말하면 천지간보다 더 멀도다.
종경 “…응당 聲色으로 邪道를 行하지 말지니, 죄를 지으면 法王을 볼 因이 없도다.”
함허 설의 법왕의 體가 적멸하니 종래로 색성이 아니로다.
第 27. 무단무멸분 -    단멸이 없음 수보리여, 네가 만약 이런 생각을 하되 “여래는 거룩한 상호(具足 相)를 쓰지않는 연고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하느냐?
수보리여, “여래는 거룩한 상호(具足 相)를 쓰지않는 연고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이런 생각을 하지 말라.
규봉 화엄경에 이르되, “색신은 부처가 아니오 음성도 또한 그러하거니와, 또한 색성을 떠나지않고                     신통력을 본다”
조(肇) 법사가 이르되, “색성에 치우치지 않았으므로 ‘아니다’라 하고, 身相이 아님도 아니므                          로 다시 ‘옳다’하다.”
大雲이 이르되, “만약 여래가 相이 훌륭한 것(具足)으로써 말하지않음인댄 단멸(斷滅)한 見이                   라고 하므로 부처님이 그것을 그치게 하사 ‘이런 생각을 하지 말라’.하셨다                   고 하다.”
수보리여, 네가 만약 이런 생각을 하되 “아뇩다라삼먁삼보리心을 발한 사람은, 모든 법이 단멸했다(諸法 斷滅)고 말하는가?한다면, 이런 생각도 하지 말라.
규봉 단견(斷見)은 치우친 견해[邊見]의 허물
무슨 까닭인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한 사람은 法에 있어서, 단멸상(斷滅相)을 말하지 않기 때문이다.
함허 설의 만약 부처는 相이 없다(無)라고 말하면, 벌써 이미 단멸(斷滅)은 이루어졌음 - 相과 非相을 꾸짖음은 斷見(부정)과 常見(긍정)에 떨어질까 염려하기 때문
규봉 무착이 이르되 “法에 단멸을 설하지 않은 것은, …열반에 자재하여 중생을 이익케 하는 일을 행하는 것을 말함”
揭에 이르되 “공덕의 因과 저 수승한 과보를 잃지않는다”
論에 이르되 “비록 복덕에 의해서 참된 보리를 얻지는 못하나, 복덕과 과보를 잃지도 않으니, 지혜장엄과 공덕장엄을 능히 성취하는 연고”라 하다.
육조 여래는 32청정행을 닦아서 보리를 얻음.
부대사 “相과 相이 相이있지 않음이여, 구족한 相은 의지할 데가 없음이라.…만약 人, 我의 생각이 없으면, 바야흐로 뜻이 공정함을 알리라.”
야부 …다스려도 도리어 어지러워짐이요…
“알 수 없어라. 누가 교묘히 안배함을 아는가. 잡았다가 예전처럼 또 놓아주도다. 여래가 단멸을 이뤘다고 말하지 말라. 한 소리가 또 한 소리를 이어오도다”
함허 설의 …사람들이 단견을 낼까 염려하여 거듭 ‘그런 생각을 하지 말라’말하느니라.
종경 相은 갖춘 것이 아니로되 본래 갖추어져 있음이여, 항상 저절로 장엄함이요. 법은 전하지않되 서로 전해짐이여, 어찌 일찍이 단멸하리오.
“한 등이 능히 백천 등에 이어줌이여, 心印의 빛이 통하여 法令을 행함이라. 千聖人이 전하지 못하나 불어도 꺼지지 않으니, 연이은 빛과 불꽃이 더욱 더 분명하도다.”
함허 설의 등불이 꺼지지 않음이여, 이어지는 찬란한 빛과 계속되는 불꽃이 더욱 더 분명함이로다.
第 28. 불수불탐분 - 받지도 않고 탐하지도 않음 수보리여, 만약 보살이 항하의 모래수와 같은 세계에 가득찬 칠보를 가지고 보시하더라도, 만약 또 어떤 사람은 일체법이 我가 없음을 알아서 忍(진리,法,반야의 지혜)을 성취한다면, 이 보살은 앞의 보살이 얻은 공덕보다 수승하리라.
무슨 까닭인가, 수보리여. 모든 보살은 복덕을 받지않기 때문이니라.(不受 福德故)
함허 설의 (일체법이 我가 없음을 알아서 忍(진리,法,반야의 지혜)을 성취한다면, 이 보살은 앞의 보살이 얻은 공덕보다 수승하리라) 이 一言이 앞의 ‘머물고 항복받는’ 등의 뜻을 포함한 것임. - 탐하지도 않고(不貪) 받지도 않는다(不受)는 것은 대개 住하고 닦고, 마음을 항복받는 뜻임.
규봉 揭에 이르되 “수승한 忍을 얻으면 읾음이 없어서(不失) 이로써 때가없는(無垢) 과보를 얻는다”고 하느니라.
無我라는 것은, 人무아. 法무아
육조 忍을 얻은 사람 ; 일체법을 통달하여 能所心이 없음
야부 귀로 들어도 귀머거리 같고, 입으로 말하여도 벙어리와 같도다.
“말[馬]을 모는 마부가, 말 위의 임금으로 인하여 높음도 있고 낮음도 있어서 친하고 성금(親疎)이 있더니, 하루아침에 말이 죽고 임금도 돌아가시니, 그 친하던 사람들은  길가는 사람(무관한 사람)과 같음이라, 다만 이 옛지절의 사람도 옛시절에 놀던 곳으로 다시 돌아갔음이로다”
함허 설의 法이 我가 없음을 알면 곧 피아상(彼我相;너다 나다 하는생각)이 없어짐.-평등한 이치 나타남
忍을 얻어이루면 곧 能所의 情(주관 객관의 생각)을 잊음 - 無念智가 나타남
“청정한 본래의 해탈이여, 我 人의 相이 원래 없더니, 我 人의 相이 있음으로부터 높고 낮은 집착의 情이 생김이라. 높낮음의 情이 생기니 道와는 멀어지고 무명과 삼독이 도리어 친해지도다. 我 人의 山이 한순간에 무너지니, 친하던 삼독이 도리어 멀어지도다. 도리어 멀어짐이여, 예전처럼 청정한 본래의 해탈이로다.”
함허 설의 칠보의 보시은 相에 머무름. 보살은 법의 성품이 空함을 통달함.
규봉 論에 이르되 “저 복덕은 유루(有漏)의 과보를 받음”.
무착이 이르되 “生死에 住하면 곧 복덕을 받음”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보살이 복덕을 받지않습니까?(不受福德)”
- “수보리야, 보살의 지은 바 복덕은 응당 탐착하지 않으므로(不應貪着), 이 까닭에 복덕을 받지않는다고 말하느니라”
함허 설의 “복덕이 원래 성품이 없음을 알면, 응당 그 가운데 물들고 집착함을 내지않으리니…”
육조 보살의 지은 바 복덕은 자기를 위함이 아니요, 뜻이 일체중생을 이익케 하는데 있음일새, 그러므로 복덕을 받지않는다고 하느니라.
부대사 “…만약 貪相이 없음을 안다면, 마땅히 法王門에 이를지니라”
야부 치마엔 허리가 없고, 바지는 입구가 없도다.
“물과 같고 구름같은 하나의 꿈의 몸이여, 알 수 없어라. 이것 외에 다시 무엇과 친하리오…”
함허 설의 치마와 바지가 비록 있으나, 없는 것과 같음 - 經에 이르되 “복을 받지않는다”의 뜻
“…넓고넓어 남의 속박이 없으니, 해탈을 어찌 다시 구할 것인가…”
종경 구함이 있으면 괴로움이 있음이여,…
“…맑은바람과 밝은 달이 知音者로다”
함허 설의 마음이 있으면 다 괴롭고 마음이 없어야 즐거움이니, 한 번 그 즐거움을 얻으면 소식이 분명함이요, 그 즐거움마저 있지않다면 달리 소식을 통해야 함이니라…
“…시냇물 밑의 거문고는 한 곡조의 노래를 타도다. 이 가운데 德은 가히 쓸 것이 없으니, 저절로 風月이 있어서 소리를 알도다”
第 29. 위의적정분 -      위의가 적정함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는 오기도 하고 가기도 하며 앉기도 하고 눕기도 한다(若來若去若坐若臥)”라고 한다면, 이 사람은 나의 설한 바 뜻을 알지 못함이니라.
무슨 까닭인가? 여래(如來)란 어디로부터 온 바도 아니며, 또한 가는 바도 없으므로(無所從來 亦無所去), 여래라 이름한다.
규봉 揭에 이르되 “이 복덕을 받아 應함은 모든 중생을 교화하기 위함이니 자연히 이와같은 업으로써, 모든 부처님이 시방에 나투셨다”고 하다.
함허 설의 참다운 法性身은 相도 아니며 相아님도 아닌 것이라. 性과 相이 서로 융통함이요, 가는 것도 없고 오는 것도 없음이라. 動과 靜이 一如함이로다.
규봉 揭에 이르되 “가고오는 것은 化身佛이니, 여래는 항상 움직이지 않는다”
대운이 이르되 “중생심의 물이 청정하면 곧 부처가 온 것을 볼 수 있으나, 와도 쫓아온 바가 없음. 만약 중생심의 물이 탁하면, 부처가 쌍림에서 적멸에 드심을 보고 곧 말하길 ‘부처는 갔다’고 하나, 가도 가히 이를 데가 없다”하다.
조 법사가 이르되 “아는 것이 지극해서, 如如함을 알면 體에 方所가 없음이라.”
육조 여래란, 행주좌와 네 가지 위의 가운데서 항상 공적함
부대사 “…人, 我의 見을 끊어없애면, 바야흐로 眞宗을 통달하리라. 相을 보되 相을 구하지 않음이여, 몸이 空하니 法 또한 空하여, 종래로 집착함이 없으리라. 오고감이 다 통하고 통하도다”
야부 山門 앞에서 합장하고, 법당안에서 향을 사루도다
“스님이 가을구름을 거두어 가고 또 오니, 몇 번이나 남악산과 천태산을 돌았던가. 한산과 습득이 서로 만나 웃으니, 어서 말해보라. 그 웃음은 무엇인가. 동행하되, 한 걸음도 옮기지 않음을 웃어 보이도다”
함허 설의 비록 그렇게 오고감이 없다고 하나, 산문과 법당에 나아가고 머무름이 법다우며, 합장하고 향사루는 위의가 환히 나타남이로다.
“한 스님이 오고감에 구름처럼 無心하도다.…”
종경 앉고 눕고 행하는 것이, 본래 스스로 오고감이 없음이요. 위의가 부동하여 적연함에 고요함도 아니고 흔들림도 아니로다
“높고높아 動하지 않는 法中王이여, 어떤 원숭이가 있어서 六根으로 도망가리오. 眞空이 얼굴과 눈이 없음을 웃으며 가리키고, 연이어진 구름의 달을 밀어서 천 개의 강물에 떨어뜨리도다”
함허 설의 높고높아서 動하지 않는 세존이시여,…자비를 일으키고 지혜를 운용하며, 중생들을 위하여 왔도다. 중생들을 위하여 오심이여, 푸른 버들 풀잎언덕 어느 곳인 들 세존이라 부르지않을 곳이 없음이로다.
第 30. 일합리상분 - 한 덩어리의 이치 수보리야, 만약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삼천대천세계를 부수어서 작은 먼지로 만든다면,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작은 먼지들이 얼마나 많겠느냐?“
-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규봉 무착이 이르되 “名과 色과 身을 파하기 위하여, 界. 塵 등이라 하다. 작은 먼지가 많음은 미세한 방편”
대운이 이르되 “작은 먼지는 大乘宗을 의지함. 小乘宗의 실다운 경계는 아님”
(수보리의 답변 계속) 왜냐하면, 만약 이 작은 먼지들이 실로 있는 것이라면(實有), 부처님께서는 곧 작은 먼지들이라고 말씀하지 않으셨을 것입니다(卽 不說 是微塵衆). 왜냐하면, 부처님께서는  작은 먼지들은 곧 작은 먼지들이 아니므로(卽非 微塵衆), 그 이름이 작은 먼지라고 말씀하시기 때문입니다.
함허 설의 法相이 곧 法相이 아님을 밝힘 - 모든 법은 體性이 없음을 밝히고자 함
규봉 論에 이르되 “부처님은 법계 가운데 住하되 주함도 아니며, 다른 곳에 주함도 아님”
무착이 이르되 “세존이 ‘아니(卽非 미진중)’라고 말한 것은 이 體의 무더기가 성취하지 못한 연고”
육조 삼천대천세계의 미진 = 중생들의 성품에 생겨나는 망령된 미진의 숫자에 비유된 것.
일체중생의 성품위에 있는 망념인 미진은 곧 미진이 아니라고 한것은, 經을 듣고 道를 깨달음에, 覺의 지혜가 항상 비춰서 보리에 나아가므로, 순간순간 머무름이 없어서 항상 청정함에 있음.
야부 만약 물에 들어가지 않는다면, 어찌 키 큰 사람인 줄 알리오.
“한 먼지가 막 일어나니 그 먼지들은 허공을 간 듯하고, 삼천세계를 가루로 부수니 그 숫자를 헤아릴 수 없도다. 老僧이 능히 거두고 수습하지 못하여, 가르침에 맡겨 비오면 비오는 대로 바람불면 바람부는 대로 맡기도다”
함허 설의 노란 잎사귀가 돈이 아님은 옳기는 옳으나, 이치는 말 밖의 것이 아님.
말에 卽하고 이치에 卽하니, 어찌 모름지기 문자를 털어버리고 달리 말을잊는 뜻을 구하랴…
“名數(이론.교리)는 心性에 있어서 마치 작은 먼지가, 푸르른 허공에 있음과 같아서 먼지를 다 셀 수 없음이라…이 스님이 妄을 끊지못했다고 웃지 말라. 불 속에서 연꽃이 나와야 마침내 무너지지 않느니라.”
(수보리의 답변 계속)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삼천대천世界는 곧 세계가 아니므로(卽非 世界), 그 이름이 세계(世界)라고 말씀하십니다.
규봉 世界가 實이 아닌 뜻을 깨뜨리기 위함.
무착이 이르되 “名身을 깨뜨리기 위함. 세계는 중생세계”
(수보리의 답변 계속) 만약 세계가 실로 있는 것이라면(實有) 곧 한 덩어리의 모양(一合相)이니, 여래께서는 한 덩어리의 모양도(一合相) 곧 한 덩어리의 모양의 아니므로(卽非 一合相), 그 이름이 한 덩어리의 모양(一合相)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수보리야, 한 덩어리의 모양이란 곧 이를 말할 수 없거늘(卽是 不可說), 다만 범부들이 그 일에 탐착할 뿐이니라.(貪着其事)
규봉 論에 이르되 “만약 한 세계가 실로있는 것이라면, 여래가 곧 삼천세계라 말하지 않았다”
대운이 이르되 “만약 실로 한 세계가 있는 것이라면 명연(冥然)히 한 덩어리인 것이라, 곧 합당히 많은 차별이 있지않거니와, 지금 이미 ‘삼천대천세계’라 하였다면, 명연히 하나(한 덩어리)가 아님을 밝힘이라.”
무착이 이르되 “세계와 미진계를 아울러 말함”- 일단취, 차별단취
함허 설의 미진이 실로 있지않다면 삼천세계도 또한 있지않으니, 삼천세계가 實이 아니로되, 삼천세계라는 이름이 있는 것은, 다만 그 이름을 빌려서 그 세계를 나눴을 뿐.
규봉 저 모인 것(聚集) - 허망한 분별, 妄取, 단취(덩어리)
육조 三千 = 탐. 진. 치의 망념이 각각 一千의 숫자.
부대사 “세계와 미진이 하나일뿐 어찌 다를 것이며, 보신과 응신도 또한 그러함이라…無生의 길을 통달하고자 하면 응당 본원을 알지니라.”
야부 집합시키고 해산시킴이여, 병사들은 지휘를 따라 움직인다.
“한 덩어리가 두 조각을 이룸이요, 쪼갠 것이 도리어 한 덩어리로다…”
함허 설의 三과 一이 서로 떠나고, 三과 一이 서로 卽하니, 三이 아니로되 三이요, 一이 아니로되 一이다. 三과 一이 모두 틀리고 三과 一이 모두 옳으니, 이러한 즉 죽이고살리는 것이 때를 따름이요, 거두고 놓음이 자유롭도다.
“다르지않다고 말하고자 하나 다른 것을 어찌할 것이며, 하나가 아니라고 말하고자 하나 하나임을 어찌하리오.…”
종경 방편의 이름을 세워서 그 실상을 말함이여, 범부는 생각이 탐하고 구하는 데서 끊어졌도다…
“…가볍고가볍게 삼천세계를 쪼개니, 바로 항하의 물이 거꾸로 흐르도다”
함허 설의 權(방편)을 의지하여 實을 나타냄이여…
  “一法은 본래 있음이라. 가히 거두지못하고 萬法은 뿌리가 없음이라. 모두 眞이 아니니 法과 法이 모여 본원에 돌아가서 사람들로 하여금 풍파에 휩쓸림을 면하게 하도다”
第 30. 지견불생분 -    지견을 내지않음 수보리여, 만약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부처님이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을 말하였다”한다면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사람은 나의 말한 바 뜻을 이해하였느냐?
-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그 사람은 여래께서 말씀하신 뜻을 알지못합니다.”
규봉 我執을  없앰 -그릇 앎을 막음, 말의 집착(言執)을 보냄
왜냐하면, 세존께서는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은 곧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이 아니므로(卽非 아見.인見.중생見.수자見), 그 이름이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 이라고 말씀하시기 때문입니다.
규봉 我見 - 허망분별, 外道의 說 / 여래는 人無我, 法無我를 안치함
육조 범부들이 여래의 無相, 無爲 반야바라밀법을 설하심을 알지 못함
여래가 설하시는,
我見은 - 일체중생은 다 佛性이 있다는 것.
人見은 - 일체중생의 무루(無漏)한 智性은 본래 스스로 구족했다고 설하신 것.
衆生見은 - 일체중생은 본래 번뇌가 없다고 설하신 것
壽者見은 - 일체중생의 성품이 본래 스스로 不生不滅하다고 설하시는 것
수보리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心을 발한 사람은 모든 법에 응당 이와같이 알며(知), 이와같이 보며(見), 이와같이 믿어서(信解), 法이라는 相을 내지말아야 한다.
수보리여, 말한 바 법상(法相)이란, 여래가 설하되 곧 법상이 아니므로(卽非 法相), 그 이름이 법상이라고 하느니라.
규봉 法執을 없앰 - 분별을 없앰, 本寂을 나타냄
무착이 이르되, “어떤 사람이 분별이 없으며, 무슨 법에 분별하지 않으며, 무슨 방편으로 분별하지 않는가?
- 증상심(定)과 증상지(慧)인 고로 분별이 없는 가운데, 知見이 수승함을 아는 것임.
대운이 이르되 “加行智, 根本智”
함허 설의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 - 三乘(성문,연각,보살)들의 끊는 바 거칠고 미세한 미혹의 총이름이며 팔만사천 모든 妄染의 첫머리.
규봉 (法相이란, 여래가 설하되 곧 법상이 아니므로(卽非 法相), 그 이름이 법상) ;
무착이 이르되, “이것은 法相 중에서 不共義(같지않은 뜻)와 相應하는 뜻을 현시함
육조 마음에 能所가 없어야 法相임.
부대사 “오직 진여의 이치에 이르르면, 我를 버리고 無爲에 들어가리니…法相과 非法相을 마침내 이와같이 응당 알지니라”
야부 밥이오면 입을 벌리고 잠이오면 눈을 감도다
“천 자나 되는 긴 실을 곧게 드리우니, 한 물결이 막 일어나자마자 만 물결이 따르도다. 밤은 고요하고 물은 차가워 고기가 물지않으니, 빈 배에 달빛만 가득 실고 오도다”
함허 설의 부처님이 적멸도량으로 부터 生死의 바다에 들어가시며 큰 가르침의 그물을 펼쳐서 人天의 고기를 건지시시, 한 중생도 저 그물속에 들어가지 않았도다.
“…佛性이 깊은 오온의 바다에 있으니, 요컨대 대자비로써 능히 끌어내도다…”
종경 만약 見聞覺知에 집착하면 여래의 묘한 뜻을 알지 못함이요, 我人壽命이 없음을 깨달으면 또한 아지랑이나 허공꽃과 같음이로다…
“法空도 我가 아니오 道도 친하지 않도다.…바람이 쓸어가고 울음마저 그치며 황엽이 다하니, 一千 수풀 전체가 天眞을 드러내도다”
함허 설의 法을 取함은 원래 迷함이요, 空을 깨달음도 또한 眞이 아님
第 32.. 응화비진분 - 응화신은 진신이 아님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한량없는 아승지 세계에 가득찬 칠보를 가지고 보시할지라도, 혹 또 어떤 보살심을 발한 선남자 선여인이 이 경전을 가지되 내지 四구게 등이라도 수지하고 독송하여 남을 위해 연설하면 그 복덕이 저보다 수승하리라.
규봉 揭에 이르되 “化身의 시현하는 복은 無盡福이 없지않다(非無)”
論에 이르되 “비록 모든 부처님이 자연히 化身의 업을 지으나, 제 모든 부처님의 화신 설법은 무량,무진,무루의 공덕이 있다”
(부처님 말씀) 어떻게 남을 위해 연설하는가?
야부 說하고자 하면 무슨 어려움이 있으리오. 지금 다시 청하노니, 자세히 듣고 자세히 들으라.
“행주좌와, 是非人我, 문득 기뻐하고 문득 성냄이, 이것을 떠나있지 않거니와, 또한 이것이라 하면 당장 얼굴에 침을 뱉으리라. 평생의 간,쓸개(가슴에 품어둔 것)를 일시에 쏟아놓으니, 四句의 미묘한 법문을 모두 설파했도다.”
함허 설의 다만, 四구게를 설하고자 하면 무슨 어려움이 있으리오. 지금 다시 청하노니 자세히 듣고 자세히 들으라.
“알음알이를 짓지않아야 바야흐로 如如함에 계합할 수 있음”
(부처님 말씀) 相을 취하지말고 如如하여 動하지 말아야 하느니라.(不取於相 如如不動)
함허 설의 有, 無, 中 삼상(三相)을 떠나서 實際에 안주하고 여여부동처에 앉아서 일찌기 동요치 말아야 함.
야부


○∴
불취어성 여여부동(不取於相 如如不動), 이 구절이 비로소 뇌관에 이르렀다.
도리어 자세히 알고자하는가?
“구름은 고갯마루에 걸려 한가히 걷히지못하고, 물이 흐름은 너무 바쁘도다”
함허 설의 ○∴
今時(번뇌)를 떨어버려야 비로소 本體에 나아감이니, 모름지기 세 점(點)의 水(∴)가 도리어 속의 원(○)을 향하여 있음을 알지니라.
“動과 靜이 함께 틀림이요 나아감과 물러섬이 모두 잃어버림이니, 이는 억지로 되는 것이 아니오, 법이 으레히 그러함이라,… 山은 정상을 드러내지 않고 구름도 걷히지 않음이여! 바라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모두 근심스럽게 하도다. 시냇물이 냉랭히 급하게 흘러감이여, 행인이 여기에 이르르면 정신이 상쾌해지도다. 그 가운데 뜻을 알고자 하는가. 쌍으로 어둡고 또한 쌍으로 밝으리라.”
야부 “자유로움을 얻은 곳에서 또한 자유로우니, 구름은 저절로 높이 날고 저절로 흐르도다. 다만, 검은바람이 큰 물결 뒤치는 것만 보고, 낚시배가 침몰함은 듣지못했도다.”
함허 설의 “자유롭고 또 자유로우니 한가하고 바쁜 것이 모두 한때로다. 바람이 흰 물결 출렁이는 것은 늘 있는 일이라, 고깃배가 종래로 침몰함은 보지 못함이로다”
육조 여여부동(如如不動) - 공적하고 一如한 마음을 요달하여서 所得心이 없으면, 이기거나 졌다는 마음, 희망心,생멸心이 없음.
규봉 대운이 이르되 “如如 - 생멸심行으로써 實相法을 설하지 않는다면, 곧 저 眞如와 같으므로 여여라 함. 不動 -물듦이 없음(無染)의 뜻”


(부처님 말씀) 무슨 까닭인가 ? 


  함이있는 법(有爲法)은 꿈과 같고 환상과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 같으며, 이슬과 같고 또한 번개와 같으니, 응당 이와같음을 觀하라.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함허 설의 相을 취하지 말라.
진여자성(眞如自性)은, 有相이 아니며 無相도 아니며 非有相도 아니며 非無相도 아님
규봉 일체 유위법 - 아홉가지로 비유 ; 별(星),눈병,등불,허깨비,이슬,거품,꿈,번개,구름
揭에 이르되 “아홉가지 유위법을 묘한 지혜로써 바르게 觀해야 한다”
육조 夢; 妄身/ 幻;妄念 / 泡;번뇌/ 影;업장/
유위법 ; 夢, 幻, 泡, 影의 업(業)을 이름(名)한다.
진실(眞實)은 名과 相을 떠난 것/ 깨달음이란, 모든 業이 없는 것
부대사 “저  별(星),눈병,등불,허깨비가 모두 無常을 비유함이니, 번뇌의 識으로 因果를 닦음이여, 누가 영원하다고 말하는가?…”
야부 배[船]를 움직임은 노를 잡은 사람에게 있다.
“물 가운데서 달을 건지고, 거울 속에서 얼굴을 찾음이로다. 배[船]에 표시해뒀다가 칼을 찾으며, 소를 타고 소를 찾음이로다…”
함허 설의 내가 법王 - 없애는 것도 나에게 있고, 건립하는 것도 나에게 있음.
“頭頭가 모두 無生樂이 있음”
종경 범부의 情과 성현의 解가 함께 空이오, 생사열반이 꿈.
악 ! 바로 허공이 다 녹아버리니 천룡팔부가 두루 流通하도다
수보리가 겹겹쌓인 미망이 다하거늘, 大覺이 거듭거듭 揭를 설하여 말씀하시도다…”
함허 설의 보리는 본래 적멸하며, 法은 가히 얻을 것이 아님 - 空
부처님꼐서 이 經을 설하여 마치시니, 장로수보리와 모든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와 일체 세간의 천상과 인간과 아수라 등이 부처님의 설하심을 듣고나서, 모두 다 크게 환희하여 믿고 받아지니며 받들어 행하니라.(信受奉行)
규봉 流通分
함허 설의 正眼이 뚜렷이 밝아, 마음거울이 훤하니 妙體實相이 눈앞에 분명하도다.
신수봉행이여, 묘한 이익이 여기에 있도다.
규봉 尼란 여자를 말함./ 우바새 - 부처님의 가르침을 가까이서 받드는 남자./ 우바이 - 佛法을 가까이하고 받드는 여자.
야부 30년 후에 老僧을 망각하지 말지니, 알 수 없어라. 누가 은혜를 아는 자 이겠는가? 하하하 장차 사람이 없다 하리라.
“배고픔에 밥을 먹고 목마름에 물을 얻으며, 병든 이는 쾌차하고 더우면 시원함을 얻음이라. 가난한 이 보물을 만나고, 어린이는 어머니를 만나도다…”
함허 설의 老僧과 相見하면 가히 은혜를 갚는 자
“…기원정사에 한 번 모인 이익이 이와같음. 이로부터 모든 중생이 다 근원으로 돌아감이로다”
          [금강경오가해] 본문내용 마침.  이어서, 다음 페이지 後序  
종경/


후서(後序
대저 최상의 大乘을 깨닫고자 하면 모름지기 金剛正眼을 갖춰야 할지니, 석가노인이 수보리와 더불어 天機를 나타내고 大用을 베푼 것을 보아라…
“열반심을 꺽어버리고 정법眼을 멸하며, 知見을 쓸어버리고 목숨을 절단해야 갚지못한 은혜를 능히 갚는 것이며, 갚기 어려운 德을 갚게 되리라”
함허 설의(說誼) 최상의 대승을 요달하고자 하면 모름지기 금강의 바른 눈을 가져야 함
“산란함을 안정시키고 위험함을 붙잡으면 천지가 태평함이요, 삿됨을 꺾고 바름을 나타내면 日月이 한가하도다. 단하 禪師의 손쓴 곳을 기억하니, 조금만 휘저어도 세계가 편안하도다.”
부대사 /
(頌)
편계(두루 계교함)
“망녕된 계교로써 집착하니, 노끈을 오해하여 뱀으로 여기도다…실답지 못함을 요달한다면, 길이 백우거(白牛車)를 타고가리라”
함허 설의 人과 法엔 원래 我가 없는데 망녕되이 계교하여 집착함. 이런 견해가 원래 실답지 못함을 요달한다면 길이 백우거를 타고가리라.
부대사 의타(依他;다른 것에 의지함)
“依他는 자립이 아님이라, 반드시 온갖 인연을 빌려 성립됨이니, 해가지면 나무그림자 없어지고 등불이 오면 이내 방안이 밝이지도다…만약 眞空의 色을 깨달으면 소연히 이름을 버리리라.”
함허 설의 色과 心의 諸法을 依他라 부름 - 이것은 自立이 아니고 인연을 빌려서 성립됨
부대사 원성(圓成;원만히 이루다)
“相이 없으면 이름 또한 떠나고 마음이 융통해지면 경계 또한 없도다. 가고 옴은 마침내 볼 수 없게되고, 語와 黙은 영원히 方所가 없도다. 지혜가 圓成한 이치에 들어가면 몸은 法性의 항상함과 같으니…”
함허 설의 名과 相이 쌍으로 없어지고 마음과 경계를 둘 다 잊으니, 오고감이 없고 語黙이 方所가 없도다.…
청량대법안 선사 / (頌) 경공(境空;경계가 공함)
“열반을 널리 제도한다 이름함이여, 남음없는 한 맛으로 거둠이라…”
지공(智空;지혜도 공함)
“지혜가 뚜렷이 밝은 빛의 무더기여, 살타가 문득 無心함이라…”
구공(俱空;경계와 지혜가 함께 공함)
“이치가 지극하여 생각으로 일컬을 수 없음이여, 어떻게 비유로써 똑같이 할 것인가. 부둣가 서리내린 밤의 달은 저절로 앞 시냇물에 떨이졌도다…”
유통(流通;곳곳에 유통하다)
“如如하여 바야흐로 해설한다 함이여, 이러한 說을 유통이라 하도다…”
함허 설의 ․여래의 대열반은 널리 제도함으로써 뜻을 삼음/․지혜의 공함=無心/․경계와 지혜를 둘 다 잊고, 잊은 것까지도 또한 잊음/여여부동하여 연설함-유통-平常하여 증득할 게 없어서 얽매임이 끊어졌으니, 교화하고 연설함이 거울 속에서 형상을 보는 것과 같음
반야무진장 (진언) 나무 바가불제 발리야 바라밀다예 단냐타 옴 흘리지리 실리 슬로지 삼밀율지 불사예 사바하
육조 / 구결(口訣; 한자(漢字의 낱말, 구절에 대한 설명) “법의 성품은 원만하고 고요하여 본래 생멸이 없음”
 [금강경 오가해]  終

지산스님 정리

 

 

 

 

 

 

 

 

 

[해인사 강원(승가대학)] 교과과목 - 3. 금강경오가해(2)

■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2) 함허 설의 이 경을 가지고 설하면 반드시 최상의 지혜인 - 佛智見을 얻어 보리를 짊어짐에 의심이 없음 규봉 (불가량 불가칭 무유변 불가사의 공덕) 성취(成就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