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초기불교 산책4] 초기불교의 기본 가르침 초기불교의 기본 가르침 부처님 원음, 모호하지 않고 명료 초기불교의 목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초기불교는 열반이라는 궁극적 행복의 실현을 근본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숫따니빠따>는 “열반을 실현하는 것(nibbana-sacchikiriya)이야말로 으뜸가는 행복”(Sn. 267번 게송)이라고 결론.. 각묵스님 2019.01.27
[스크랩] [초기불교 산책3] 초기불교의 목적 초기불교의 목적 금생과 내생 궁극적인 행복의 실현 철저하게 이웃 위해 봉사하고 도덕적 삶을 살아야 이루어져 이제 초기불교의 목적에 대해서 살펴볼 차례다. 인간은 행복을 추구한다. 경제행위, 정치행위, 문화행위, 철학행위, 의술행위, 종교행위 등 인간의 모든 행위는 행복해지기 .. 각묵스님 2019.01.27
[스크랩] [초기불교 산책 2] 왜 초기불교인가? 왜 초기불교인가? 빠알리어 전승으로 원음 근접 자의적 해석 피하고 곡해 제거 필자는 초기불전인 빠알리 삼장의 완역을 발원하고 나름대로 번역불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필자가 많이 받는 질문이 ‘왜 하필이면 초기불교인가?’이다. 필자는 다음의 8가지로 정리해서 대답한.. 각묵스님 2019.01.27
[스크랩] 대념처경 (전문) -각묵스님번역 대념처경 大念處經 마음챙김의 확립(Mahaasatipat*t*haana Sutta, D22) 초기불전연구원 각묵스님이 빠알리어에서 한글로 직접 번역. (실상사 화엄학림 강사, 초기 불전 연구원 지도법사) 경의 차례 I. 서언 II. 몸의 관찰[身隨觀] II-1. 들숨날숨에 대한 마음챙김 II-2. 네 가지 자세[四威儀] II-3. 분명하.. 각묵스님 2018.07.01
[스크랩] 각묵스님의 "초기불교가 대세이다!" 각묵스님의 "초기불교가 대세이다!"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안티는 권위에 대한 부정이다. 막강한 사회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 역할을 다 하지 못하였을 때 안티의 대상이 된다. 그런 측면에서 기독교가 안티의 대상이 된 것 역시 사회적 영향력이 큼에도 불구 하고 여러가지 부.. 각묵스님 2018.06.24
[스크랩] [백양사 야단법석] 각묵스님 법문/“초기불교 깨달음의 핵심은 해체해서 보기” [백양사 야단법석] 각묵스님 법문 “초기불교 깨달음의 핵심은 해체해서 보기” 관련 뉴스 [지방] "空, 이해만해도 달라질 수 있다" ‘깨달음의 길을 묻다’는 주제로 열리는 고불총림 백양사 야단법석 이틀째인 22일, 실상사 화엄학림 강사 각묵스님<아래 사진>이 법주로 나서 ‘초기.. 각묵스님 2018.06.24
[스크랩] 무아설과 윤회설은 상호모순인가? Q:불교는 무아를 근본으로 하는 가르침이라고 합니다. 그러면서도 윤회를 강조합니다. 무아와 윤회는 상호 모순되는 가르침인 듯합니다. 어떻게 무아이면서 윤회합니까? 어떤 분은 부처님은 윤회를 설하지 않으셨다고도 하던데 …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A:먼저 힌두교에서 설명하는 윤회.. 각묵스님 2018.06.24
[스크랩] 초기불교에서 본 수행과 깨달음...각묵스님...초기불전연구원 ▷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해서 깨달을 것인가. 이것이 불교의 핵심이다. 초기경전에서는 깨달음을 사성제, 팔정도, 연기, 오온의 무상/고/무아의 네 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그 가운데에서도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것이 사성제이다. 사.. 각묵스님 2018.06.24
[스크랩] 아비달마 왕초보입문...각묵스님 각묵스님의 『아비담마 왕초보 입문』 이 글은 초기불전연구원(http://cafe.daum.net/chobul)의 아비담마 게시판에 각묵스님께서 2002년 12월 24일부터 2003년 1월 21일까지 기간동안 올리신 글을 정리한 것입니다. _()_()_()_ --- 목차 --- Δ 7. 아비담마 소개글들을 올리면서 Δ 8. 준비운동 Δ 9. 아비담.. 각묵스님 2018.05.13
[스크랩] 초기불교의 교학과 수행 1~22강 불교TV강의자료 초기불교의 교학과 수행 제1강: 왜 초기불교와 해체해서 보기인가 ⑴ 무엇이 초기불교인가? ① 부처님과 직계제자들의 가르침이다. 부처님 출생에 관한 학설 1. 남방전통: 기원전 543 혹은 544년 2. 중성점기설: 기원전 483년 3. 일본학자들: 기원전 386 혹은 383년 (아쇼까 즉위.. 각묵스님 2018.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