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화엄경』의 유심(唯心)사상 . 불교문화연구 10집 『화엄경』의 유심사상 김 영 미 차 례 Ⅰ. 서론 Ⅱ. 본론 1. 마음의 정의 2. 심의종류 3. 경에 나타난 유식사상 Ⅲ. 결론 1. 민중교화의 발원 2. 민중교화의 방편 국문초록 모든 사람은 ‘마음의 움직임’으로 살아가고 있다. 마음의 정의와 작용은 화엄경 십지품에 ‘一.. 지혜의 공간 2019.01.06
[스크랩] 선(禪)과 언어 . 선(禪)과 언어* 김 태 완 [한글 요약] 언어로부터의 해탈은 달리 말하면 분별의식 혹은 관념으로부터의 해탈이며, 이것은 불교의 본질이다. 선에서의 견성 역시 언어의 자성(自性)을 바로 봄으로써 언어(곧 분별의식)의 질곡에서 벗어나는 체험이다. 선사들이 언어관념의 구속을 풀어주.. 지혜의 공간 2019.01.06
[스크랩] 연기법(緣起法)에 대하여 연기법(緣起法 : pa iccasamupp da)의 원리 글/전재성 연기법을 좀더 쉽게 설명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실제로 그 완전한 의미와 깊이를 깨닫는 것은 평범한 사람의 인식능력을 벗어나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쌍윳따니까야(Sa yuttanik ya)등에서 간단하게 연기를 "이것이 있을 때 저것이.. 지혜의 공간 2019.01.06
[스크랩] 인과 - 한 치도 어김이 없는 인과의 법칙 [인과를 믿고 두려워하라] - 무여스님 - - 한 치도 어김이 없는 인과의 법칙 -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인과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인과를 알아라’ ‘인과를 두려워하라’‘인과응보를 믿지 않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이다’ 등 인과라는 말을 깊이 새겨서 부끄럽지 않고 후회 없는 .. 지혜의 공간 2019.01.06
원효 스님 그는 누구인가? 원효 스님 그는 누구인가? 분황사 보광전에 모셔진 원효스님의 영정 원효(617~686)는 진평왕 39년 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의 불지촌에서 태어났다. 원효의 부친 설담날은 당시 신라 육두품으로서 관리의 열일곱 계급 중 열한번째인 내마(奈麻)의 지위에 있었다. 그리고 조부는 잉피공(仍皮.. 지혜의 공간 2019.01.06
[스크랩] 처처불상(處處佛像) 사사불공(事事佛供) 두두물물(頭頭物物) 화화촉촉(化化觸觸) 처처불상(處處佛像) 사사불공(事事佛供) 두두물물(頭頭物物) 화화촉촉(化化觸觸) 고기가 물을 알지 못하고 헤엄을 치고 새가 허공을 모르고 날듯이 우리도 내 마음을 모르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처처불상(處處佛像)이고 사사불공(事事佛供)이니 두두물물(頭頭物物)이 부처요, 화화촉촉(.. 지혜의 공간 2019.01.06
[스크랩] 불교의 체계적 이해 불교의 체계적 이해 출처: http://compassion.buddhism.org/main2/0600.htm 1. 교설의 특질 2. 현실의 관찰(일체의 구조) 3. 현실의 관찰(삼법인설) 4. 연기의 진리(법칙성의 존재) 5. 연기의 진리(십이 연기설) 6. 수행과 열반(해와 행, 십업설) 7. 수행과 열반(사성제설) 8. 해탈과 열반 9. 지혜의 완성 10. 불타.. 지혜의 공간 2018.12.30
[스크랩] 한국 간화선과 화두참구의 계승 / 월암 . 한국 간화선과 화두참구의 계승 월암 / 벽송선원 선주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무자화두(無字話頭) (1) 무자화두의 연원 (2) 무자화두의 참구법 2. 이뭣고(是甚麽)? 3. 본래면목(本來面目) 화두 4. 만법귀일(萬法歸一) 화두 Ⅲ. 결론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그중 사용 빈도수가 가장 많은 조.. 지혜의 공간 2018.12.30
[스크랩] 삼일 수심 천재 보 三日 修心 千載 寶 삼일수심천재보 三日修心千載寶 3일 닦은 마음은 천년 보배요 백년 탐한 물건은 티끌되니… “삼일수심(三日修心)은 천재보(千載寶)요. 백년탐물(百年貪物)은 일조진(一朝塵)이니라. ” 삼 일 동안 닦은 마음은 천 년의 보배가 되고, 백 년 동안 탐한 재물은 하루아침에 티끌이 되느니라. .. 지혜의 공간 2018.12.30
[스크랩] 혜거스님 = 불자의 실천 회광반조(廻光返照) 혜거스님 = 불자의 실천 회광반조(廻光返照) 정녕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요 실천하는 종교입니다. 그렇다면 깨달음인 각(覺)과 아는 것인 지(知)의 차이는 무엇인가? 그 차이는 명확합니다. 알고는 있으나 실천으로 이어지지 못하면 '알 지(知)'요, 아는것이 실천으로 바로 이어지면 '깨달을.. 지혜의 공간 2018.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