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종범스님] 제13회 나는 누구인가 (42:14) 방송 보기: 불교TV 그 다음에는 나는 불성이다. 불성. 일체중생 실유불성. 일체중생에게 다 불성이 있다 이런 말 하시죠. 불성은 즉시여래다. 불성은 바로 부처님이에요. 그래서 중생에게 다 부처님이 있다는 거에요. 그럼 불성은 뭐냐? 이건 불생불멸 이거보다도 더 깊이 들어가서, 생노병.. 종범스님 2017.12.24
일반 경전 및 교학적인 반야의 이해 반야란? “ 가자 가자 피안으로. 피안으로 아주 가자, 영원한 깨달음으로. ” — 《반야심경》 반야(般若)는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प्रज्ञा prajñā) 또는 팔리어 빤냐(paññ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낱말로, 뜻에 따라 번역하여 지혜(智慧)라고.. 불교의 기본입문 2017.12.24
성문4과와 42장경 성문사과(聲聞四果) 성문들이 깨달은 4계급(階級) 수다원과(須陀洹果) : 처음 성인의 축에 들어간 지위 사다함과(斯多含果) : 욕계9지의 사혹(思惑)9품중에서 앞의 6품을 끊고 아직 3품이 남았음으로 인간과 천상에 한번 왕래하면서 생(生)을 받아야 하는 지위. 아나함과(阿那含果) : 사다함.. 경전 2017.12.24
유식30송 유식(唯識) 30송(頌) (혜거스님 著) 유식(唯識)의 개요(槪要) 일[事]에는 본말(本末)이 있고 이치(理)에는 법칙(法則)이 있어서 천하의 사가 순환되고 만법이 동시에 존재한다. 일의 본말과 이치의 법칙을 깨달아 아는 것을 부처라 하고 부처님의 가르침 가운데 핵심사상이 유식(唯識)이다. 부.. 유식30송 (론서) 2017.12.24
성철스님의 돈황본 육조단경 편역 돈황본 육조단경[六祖壇經] 1. 序言 - 머리말 육조혜능 시설 퇴옹성철 편역 혜능(慧能)대사가 대범사(大梵寺) 강당의 높은 법좌(法座)에 올라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설하고 무상계(無相戒)를 주시니, 그 때 법좌 아래에는 스님․비구니․도교인(道敎人)․속인 등, 일 만여 명이 있었.. 육조단경 2017.12.24
불교경전의 분류 불교경전의 분류 내용의 구분 경 전 의 종 류 초기 경전 숫타니파타, 법구경, 자설경, 여시어경, 장로(니)게경 선생경, 기세인본경, 대반열반경 인연 ․ 설화 경전 본생경, 불본행집경, 출요경, 인과경, 비유경, 현우경, 백유경, 육도집경 삼매 ․ 수행 경전 안반수의경, 수행도지경, 반.. 불교의 기본입문 2017.12.24
원각경 원각경(圓覺經) 원각경은 사교(四敎) 가운데 하나로서 12보살이 원각을 성취하기 위한 수행절차를 묻고 부처님께서 거기에 대한 답변을 하신 것이다. 최상의 깨달음을 지향하는 소중한 경전이다.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해서,문수보살장 등 13편을 한문 원문과 함께 해설했다. 예부터 한.. 원각경 해설 2017.12.24
[스크랩] 법 구 경 법 구 경 << 진리의 말씀 발문 >> 제가 컴퓨터를 만지게 된 것이 한 5~6년전 인듯 싶습니다. 처음엔 한글에 관해 고민했고, 또 회지를 만드느라 종일 타자를 하다보니 왼손 손가락이 아파서, 쉬어가며 타자를 하곤 했습니다. 아마 타자를 빨리 치는 사람도 현재의 2벌식으로는 왼손 .. 법구경 2017.12.24
[스크랩] 법구경 전체 법 구 경 〈법구경〉은 〈논어〉나〈채근담〉과 마찬가지로,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처세를 어떻게 하느냐에 대한 말씀이다. 〈법구경〉은 법구존자(法句尊者)가 엮은 것으로, 오나라의 유기난(維祇難)등이 번역한 것이다. 법구존자는 파사사대논사(婆娑四大論師)의 한 사람.. 법구경 2017.12.24
[스크랩] 第三十九 길상품(吉祥品) 第三十九 길상품(吉祥品) 길상품(吉祥品)이란 자기의 재주를 닦아, 악을 버리고 선에 나아가면 마침내 큰 복이 두터워진다. 부처님은 높으시어 모든 하늘을 지나시고, 여래는 항상 의를 나타내신다. 범지와 도사가 있어, 와서 무엇이 길하고 상서로운 것이냐고 묻는다. 여기에서 부처님은.. 법구경 2017.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