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831

신수심법

위빠사나 수행의 궁극적인 목적은 신수심법(身受心法)에 대해서 알아차림을 함으로써 삼법인과 사성제를 깨닫는 것이다. 나의 몸과 마음에 대한 알아차림으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 위빠사나의 근거가 되는 대념처경(大念處經)에서는 신수심법(身受心法) 4가지를 알아차림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이를 4념처 수행이라고도 한다. 4념처(四念處) 수행(위빠사나)은 몸[身], 느낌[受], 마음[心], 마음의 대상인 법[法]을 알아차리는 수행이다. 몸, 느낌, 마음(분별), 대상(삼라만상)을 대상으로 알아차림하는 수행이다. 신념처(身念處) 수행에서는 16가지 알아차릴 대상이 제시되고 있다. 몸에 대한 알아차림이다. 그 주요 대상으로는 “호흡”을 비롯하여, 행주좌와 (行住座臥) 4 가지와 지수화풍 4대(四大)에 대한 ..

육조단경 강의록 - 종범스님

종범스님 육조단경 강의노트 육조단경을 비판하는 사람도 많았고 중국 선전에서 가장 문제가 많았던 책이 육조단경과 보림전이었다.당말 5대 때는 육조단경과 보림전을 불태우기도 했다, 대각국사는 잘 한 일이라고 칭찬하기도 했다.인도불교를 한문화 하는 것을 청산하고 중국 불교를 새로이 세움, 선종의 전통은 북종선인데 인도식 전통선을 공격함, 혜능이전에는 능가경도 많이 봤다, 혜능이전은 천태종같이 인도적 전통유지하는 선이고 혜능이후는 중국전통을 수립하는 선이라서 새로운 내용이 많이 나온다, 사실보다는 드라마로 봐야 한다, 방아만 찍었는데 마음과 마음이 통했다, 13종 등 많은 종파가 생기고 중국불교 동아시아 새로운 불교로 출발하는 경전이다.혜능의 전기가 여러종류 있다, 어떤게 혜능의 설법인지도 알 수 없다.누가 말..

종범스님 2017.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