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용어 39

아미산 <불교 용어 해설, ㅇ ― 33>

아미산 ---------------------------------------------------------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유위(有爲)란 위작(爲作), 조작(造作)의 뜻으로 ‘만들어 진 것’이라는 의미이고, 바로 ‘연기(緣起)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우주의 일체 존재는 모두가 연기된 것이다. 이와 같이 갖가지 인연에 의한 결과로 이루어지는 모든 현상을 유위라 일컫는다. 즉,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모두가 유위법이다. 우리의 몸을 위시해서 언어, 교육, 창작, 학문, 정치, 경제 등 인위적인 활동과 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 그리고 4계절의 변화 등의 자연현상까지도 유위법이다. 우리가 만들고 표현하는 것, 현실적으로 보고 들으며, 느끼고 아는 ..

불교용어 2023.08.27

아미산 <불교 용어 해설, ㅂ ― 3>

아미산 ----------------------------------------------------------- *반야사상(般若思想)---반야 공(般若空)을 중심으로 하는 사상을 말한다. ‘반야(般若)’란 산스크리트어를 음역한 것으로 '지혜'를 뜻한다. 특히 대승불교에서 반야라고 할 때는 에서 강조하고 있는 공의 사상을 말한다. 대승불교 초기 경전인 에서는 모든 존재의 무자성(無自性)을 의미하는 공사상이 반복돼 나타나며, 이러한 공사상은 용수(龍樹, 150~250)에 의해 철학적으로 체계화됨으로써 대승불교의 철학적 기초가 됐다. 용수는 에서 “인연으로 이루어진 모든 존재를 공하다고 한다. 그것은 또한 가명이니, 이것이 중도의 의미이다(衆因綠生法 我說卽是空 亦爲是假名 亦是中道義)”라고 해서 공이 유(有)..

불교용어 2023.08.13

아미산 <불교 용어 해설, ㅂ - 26>

아미산 ------------------------------------------------------------- *불교의 중심부 이동 - 대승불교 본거지의 이동---어떤 학문이나 종교의 전통은 반드시 그 발상지에서 보존되는 것은 아니다. 유학의 발상지가 중국이지만 청나라시대인 조선 중기 이후엔 유학의 전통이 우리나라에 있음을 자부하기도 한 때가 있었다. 마찬가지로 불교 발상지가 인도이지만 오늘날 불교전통은 스리랑카에서 지켜지고 있다. 기독교도 예루살렘에서 생겨났지만 오늘날 로마를 비롯한 서양에서 그 전통을 더 잘 지키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적절한 다음과 같은 예화가 있다. 기원전 3세기 인도 마가다국에 12년째 극심한 가뭄이 이어지던 가운데 자이나교단은 선택의 기로에 섰다. 가뭄을 피해 교단을..

불교용어 2023.08.06

아미산 <불교 용어 해설, ㄴ - 1>

아미산 ------------------------------------------------------------ *나가(산스크리트어 Naga)---나가(Naga)란 산스크리트어로 뱀(특히 코브라)이라는 의미인데, 불법을 수호하는 팔부신중(八部神衆)의 하나이다. ‘나가’는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평범한 뱀이 아니라 정령의 하나인 ‘뱀 신’을 일컫는다. 지금도 네팔에는 곳곳에 ‘나가 신’이 장식돼 있다. 이것이 불경과 함께 중국으로 들어갈 때 '용(龍)'이라는 한자로 번역됐다. 나가의 모습은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되는데, 변형된 것으로는 많은 목(대개는 일곱 개나 아홉 개)을 가진 큰 뱀으로 표현되는 일도 있고, 사람 모습을 취할 수도 있다. 불교에서 ‘나가’는 불교신도를 괴롭히는 존재이기도 하지만 경전..

불교용어 2023.07.30

아미산 <불교 용어 해설, ㅎ ― 12>

아미산 ---------------------------------------------------------------- *화엄사법계(華嚴四法界)---사법계(四法界)란 화엄종의 우주관으로 사종법계(四種法界) 또는 사계(四界)라고도 한다. 화엄종에서는 현상(現象)과 본체(本體)를 관찰하여 네 가지 단계로 나눈다. 즉, 의 교리로 말하면, 일진법계(一眞法界)를 네 가지 방면으로 관찰해 네 가지 법계로 나누니, 곧 사법계(事法界)ㆍ이법계(理法界)ㆍ이사무애법계(理事無碍法界)ㆍ사사무애법계(事事無碍法界)가 그것이다. 이 네 법계는 의 중요한 이치만이 아니라, 실로 불교 전체의 철리(哲理)를 체계적으로 총괄한 것이다. 결국 사법계란 대승불교의 우주관 내지 궁극적 이치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법계(法界)’는 그 ..

불교용어 2023.07.23

아미산 <불교 용어 해설, ㅂ - 14>

아미산 ----------------------------------------------------------------- *보리(菩提)와 반야(般若)---보리(菩提)란 깨달음을 뜻하고, 반야(般若)란 지혜를 뜻한다. 반야로써 보리를 얻는다. 즉, 지혜로써 깨달음을 얻는 것이다. 인과적으로 따지자면 반야가 원인이며, 보리가 결과이다. 그러므로 반야바라밀다(般若波羅蜜多)를 닦아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얻게 된다. 그래서 에 아래와 같이 나온다. “의반야바라밀다고 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依般若波羅蜜多故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이런 이유로 반야바라밀다는 보살의 것이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부처님의 것이다. 보살은 부처님이 되기 위해, 즉 무상정등정각인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기 위해 육바라밀을 ..

불교용어 2023.07.02

불교 사자성어

불교 사자성어 불교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석가모니가 창시한 후, 동양 여러 나라에 전파된 종교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 동남아 등 다양한 곳에 자리 잡았는데요. 사자성어 가운데 불교관련 사자성어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불교 사자성어 41가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불립문자 (不立文字) 不 (아니 불) 立 (설 립) 文 (글월 문) 字(글자 자) 불도의 깨달음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므로 말이나 글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말. 2. 교외별전 (敎外別傳) 敎 (가르칠 교) 外 (바깥 외) 別 (다를 별) 傳 (전할 전) 선종에서, 부처의 가르침을 말이나 글에 의하지 않고 바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여 진리를 깨닫게 하는 법 3. 이심전심 (以心傳心) 以 (써 이) 心 (마음 심) 傳 (전할 전..

불교용어 2023.05.07

틀리기 쉬운 불교 한자용어

[틀리기 쉬운 불교 한자용어] ---------◈-----------◈------------◈----------- 伽藍 읽기) 가람[ㅇ] 가감[x] 내용) 절의 다른 이름 迦葉 읽기) 가섭[ㅇ] 가엽[x] 내용)1. 과거 7불(七佛)중의 한 분 2. 마하가섭 마하가섭은 청정한 불도 수행인 두타행(頭陀行)의 제일. 부처님 10대 제자 중 한 분 참조) 葉은 나뭇잎 엽, 땅이름 섭, 책 접 등의 발음이 가능함. 甘露茶 읽기) 감로 다[ㅇ] 감로차[x] 내용) 부처님께 올리는 다수(茶水) 建幢 읽기) 건:당[ㅇ] 건동[x] 내용) 스님의 수행과 구도(求道)가 원만(圓滿)해지면 당(幢)을 세우고 법호(法號)를 주던 일. 참조) 幢: 깃발 당 乾屍厥 읽기) 간시궐[ㅇ] 건시궐[x] 내용) 화두(話頭)중의 하나 어..

불교용어 2022.08.28

불교 영어 단어공부

Buddhist Terms 절 : temple 암자 : hermitage 토굴 : private residence 스님 : venerable, reverned. monk. nun 승가 : sangha 승가대학 : sangha college/monk's school 조계종 : Chogye Order 불가 : Buddhist Community 법명 : Dharma name/ ordained name 법문 : Dharma talk 법회 : Dharma meeting/assembly, Buddhist gathering 백팔배 : 108 bows/prostrations 백팔참회 : 10 repentances 의식 : Buddhist rituals 예불 : worship/service 염불 : Chanting 독경..

불교용어 2022.06.05

불교용어 (고거심~공화)

* 고거심(高擧心)---잘난 체하고 거들먹거리는 마음상태 또는 남에 대해 자신을 높이는 마음상태를 말한다. * 고고(苦苦)---삼고(三苦)의 하나. 육체적 고통.---→고(苦, 빠알리어 dukkha), 삼고(三苦) 참조. * 고골관(枯骨觀)---관법수행의 하나로서 백골관(白骨觀) 혹은 골상관(骨想觀)이라고도 한다. 오정심관(五停心觀) 중 부정관(不淨觀)과 관계가 깊다. 인간 육체의 각 부분이 추하고 더러운 것임을 관찰해 탐욕의 번뇌를 없애는 수행법이 부정관인데, 고골관이란 앙상하게 뼈만 남기고 썩어버리는 시체의 모습을 관함으로써 욕망에서 벗어나 인생무상을 터득 하고자 하는 수행 방법이다. 죽음 뒤에 남는 하얀 뼈, 즉 백골을 떠올리며 자기 몸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벗어나려는 것으로 위빠사나와 같은 부류이다..

불교용어 2021.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