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용어 39

불교용어 (개경계~고)

* 개경게(開經偈)---측천무후(則天武后)의 개경게(開經揭)가 유명하다. 당(唐)나라시대 우전국(于闐國-지금의 호탄) 출신 실차난타(實叉難陀, 喜學, 652~710)가 695년~699년에 을 번역해 당시 당의 여제 측천무후(則天武后)에게 바쳤더니, 이를 본 무후가 을 잃고 너무 감동해 즉석에서 게(偈)를 읊었다. 무상심심미묘법(無上甚深微妙法) - 지고무상 더 없이 심오하고 미묘한 법이여, 백천만겁난조우(百千萬劫難遭遇) - 백천만겁이 지나도록 만나기가 어려운데, 아금견문득수지(我今見聞得受持) - 내 오늘 보고 들어 우러러 높이 모시나니, 원해여래진실의(願解如來眞實義) - 원컨대 여래님의 진실하고 깊은 뜻을 알고 싶나이다. 측천무후의 개경게는 대체로 이런 뜻으로 번역할 수 있으나 그 참뜻을 헤아리기는 너무나..

불교용어 2021.12.12

불교 용어와 문답

목차 불보살과 수행자 가르침과 그 언저리 불교 상식 불보살과 수행자 구분내용 1 싯다르타의 가족 관계는 2 석가족이 세운 카필라 성의 위치는 어디인가 3 석가모니란 무슨 뜻인가 4 붓다의 10대제자는 누구누구인가 5 여래10호란 6 왜 여러 부처가 있나 7 3신불이란 8 32상은 부처의 어떤 모습을 말하나 9 보살은 무슨 뜻이며, 어떤 보살들이 있나 10 불상과 보살상은 어떻게 구별하나 11 불상을 보고 어떤 부처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은 12 성문과 독각은 누구를 말하나 13 4쌍8배는 어떤 수행자를 말하나 14 불교 교단은 어떻게 구성되나 15 6사외도는 누구이고, 그들은 어떤 주장을 했나 불교 용어 문답 1 가르침과 그 언저리 구분내용 1 초전법륜의 내용은 무엇인가 2 37보리분법은 어떤 수행법들을 ..

불교용어 2021.11.28

불교의 주요 단어 영문 및 범어

- 가 - 교무: catechist 교무스님: catechist 교수 아사리: ordination catechist 가사(袈裟) :robe 간경(看經) : textual study. 간화선(看話禪) : Koan meditation. 갈마 아사리: confessor, procedual specialist 강백: lecturer 강원(講院) : lecture hall 객실(客室): guest room (객진)번뇌(客塵煩惱) : defilement 거사(居士) : male devotee 겁(劫) : aeon, kalpa 결가부좌(結跏趺坐) : lotus posture 결제: retreat 결집(結集) : council 경(經) : Sutra. Buddhist scriptures. Buddhist canon. ..

불교용어 2021.11.28

불교용어 (가~강승회)

* 가(假)---거짓 가(假)자이다. 진실에 대응되는 말인데, 실체는 없고 이름만 거짓으로 붙어 있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가상(假像), 가면(假面), 가정(假定), 가설(假說) 등에 쓰인다. 특히 불교에서는 일시적으로 시설한 것을 말한다. 또한 허(虛)하다는 뜻이다. 만유는 제각기 실체가 없고, 서로 다른 것에 의지해 존재하는 것이므로 가(假)라 한다. 흔히 말하는 “나[我]”라고 하는 것은 5온(蘊)의 화합 으로 이룩되고, “집(家)”은 나무나 흙 따위로 이루어지는 것과 같이, 나[我]나 집은 모두 그 실체가 없으므로 이런 것을 가(假)라 한다. 그리고 천태교학에서는 실상의 진리를 나타내는 ‘삼제원융(三諦圓融)’을 역설한다. 3제(三諦)란 공(空)ㆍ가(假)ㆍ중(中) 3제로서 모든 것은 실체로서 존재가..

불교용어 2021.11.28

불교용어 6

*과거불사상(過去佛思想)---석가모니 그 이전 세상에 출현했다고 하는 여섯 부처님과 석가모니불을 합쳐 과거칠불(過去七佛)이라 하는데, 석가모니 이전에도 깨달음을 얻은 불타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사상에서 나온 말이다.---→과거칠불(過去七佛) 참조. *과거심불가득 현재심불가득 미래심불가득(過去心不可得, 現在心不可得, 未來心不可得)---과거마음도 얻을 수 없고, 현재마음도 얻을 수 없고, 미래마음도 얻을 수 없다는 말로서, 제18 일체동관분(一體同觀分)에 나오는 말이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저 세계 가운데 있는바 모든 중생의 갖가지 마음을 여래가 다 아느니라. 왜 그러냐 하면 여래가 말한 모든 마음은 다 마음이 아니고 그 이름이 마음이기 때문이니, 그것은 수보리야, 지나간 마음도 얻을 수..

불교용어 2021.11.14

불교용어 12 ㄹ

----------------------------------- *라따나경(빠알리어 Ratana-sutta)---보배경, 보경(寶經) 혹은 보주(寶呪)라고도 하며, 수호경 중에 대표격이다. 수타니빠따에 실려 있는 경으로서 남방 테라바다 불교의 예불문이자 동시에 수호경이다. 이 수호경은 쿳다까니까야(소부)의 쿳다까빠타(Khuddakapatha :小誦經)에도 실려 있다. 마치 우리나라 처럼 테라바다 불교권에서는 라따나경을 늘 수지독송한다고 한다. 수호경이지만 주문이 아니라 불ㆍ법ㆍ승 삼보를 찬탄하는 내용으로 구성돼 있는 부처님 말씀이다. 따라서 부처님 말씀을 언제나 기억하고 되새기는 것이 자신을 수호하는 것이다. 아래는 17개의 게송으로 이루어져 있는 라따나경에서 변역한 게송의 하나이다. “이 세상과 내세의..

불교용어 2021.10.31

불교용어 11 ㄷ

-------------------------------------------------- *다각(茶角)---절에서 간식과 차를 맡은 소임. 절에서 안거를 위한 결제가 시작되면 그 전날 스님들이 모두 선방에 모여서 용상방(龍象榜-소임)을 짠다. 여기서 승납(僧臘-승려가 된 햇수)이 가장 짧은 스님이 다각 소임을 맡는다.---→용상방(龍象榜) 참조. *다라니(陀羅尼, 산스크리트어 dharani)---신도들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외우는 주문(呪文, 비밀스러운 문구)으로서, 암송하면 커다란 효험이 있다는 신성한 글귀. 부처님 말씀을 주문형식으로 만든 것으로, 내용은 긴 경전에 실려 있는 근본적인 원리를 짧게 요약한 것이다. 원래 경전을 기억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고, 다라니를 암송하면 경전 전체를 읽..

불교용어 2021.10.17

불교용어 10 ㄴ

--------------------------------------------- *나가(산스크리트어 Naga)---나가(Naga)란 산스크리트어로 뱀(특히 코브라)이라는 의미인데, 불법을 수호하는 팔부신중(八部神衆)의 하나이다. ‘나가’는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평범한 뱀이 아니라 정령의 하나인 ‘뱀 신’을 일컫는다. 지금도 네팔에는 곳곳에 ‘나가 신’이 장식돼 있다. 이것이 불경과 함께 중국으로 들어갈 때 '용(龍)'이라는 한자로 번역됐다. 나가의 모습은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되는데, 변형된 것으로는 많은 목(대개는 일곱 개나 아홉 개)을 가진 큰 뱀으로 표현되는 일도 있고, 사람 모습을 취할 수도 있다. 불교에서 ‘나가’는 불교신도를 괴롭히는 존재이기도 하지만 경전을 지키는 물의 신으로 간주되기도 ..

불교용어 2021.10.03

불교용어해설(구마라습(鳩摩羅什)-구원실성(久遠實成))

불교용어해설(구마라습(鳩摩羅什)-구원실성(久遠實成))  구마라습(鳩摩羅什, 쿠마라지바/Kum?raj?va, 344∼413) : 중국명 동수(童壽)이다. 아버지는 인도인 구마라염(鳩摩羅炎)이며, 어머니는 구자국(龜玆國) 왕의 누이 기바(耆婆)였다. 태어난 곳은 구자국(쿠차)으로서 현재 중국 신강성 위그루 자치구에 속하는 곳이다. 아버지가 카슈미르 출신으로 대학승인 쿠마라야나(Kum?r?yana)였는데, 구차국에 전도하러 왔다가 왕실의 꼬임에 빠져 환속해 공주와 결혼하고 구마라습을 낳았고, 구마라습을 출가시켜 삼장법사로 키웠다. 구마라습은 7세에 출가했으며, 북인도 계빈국(?賓國-현 카슈미르)으로 가서 소승불교를 배웠다. 귀국 도중 카슈가르에서 대승불교, 특히 중관학(中觀學)을 배웠고, 구자국으로 돌아온 ..

불교용어 2021.10.03

불교용어해설 (공(空)-공(空)과 제로(0))

불교용어해설(공(空)-공(空)과 제로(0))  공(空, 산스크리트어 sunya, sunyata) : ‘공(空)’의 산스크리트어 원어 ‘sunya’는 형용사로서 속이 텅 빈, 부풀어 오른, 공허한 등의 뜻을 가졌고, 명사 ‘sunyata’라는 공한 것, 공성(空性), 영(零)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공이란 텅 비어있다는 뜻이다. 이것은 절대적 무존재의 상태가 아니라 존재는 있으되, 그것이 결정되거나 특별한 형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허공은 그 자체를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없고 허공을 점유하고 있는 사물을 통해 간접적으로 인지된다. 이 말을 중국에서 한문으로 번역하자니 달리 표현할 길이 없어 당나라시대 현장(玄?) 법사가 처음으로 빌 공(空)자로 번역했다. 그런데 이 ‘공(空)’이라는..

불교용어 2021.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