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도지경 20. 사람의 19가지 마음의 특성
법사가 경(經)을 설할 적에 사람의 마음[情]을 관찰하는 법이 모두 열아홉 가지가 있다.
무엇을 통해서 알 수 있는가? 번뇌를 분별함으로써 그것을 곧 알 수 있다.
어떤 것을 열 아홉 가지라고 하는가?
첫째는 음행을 탐하는 것[貪婬]이요,
둘째는 성내는 것[瞋恚]이며,
셋째는 어리석은 것[愚癡]이요,
넷째는 음란하면서 성내는 것이며,
다섯째는 음란하면서 어리석은 것이요,
여섯째는 어리석으면서 성내는 것이며,
일곱째는 음란하고 성내고 어리석은 것이요,
여덟째는 입은 청정하나 생각이 음란한 것이며,
아홉째는 말은 부드러우나 마음이 억센 것이요,
열째는 입은 지혜로우나 마음이 어리석은 것이다.
열한째는 말은 아름다우나 마음에 3독(毒)을 품고 있는 것이요,
열두째는 말은 거칠게 하지만 마음은 온화한 것이며,
열셋째는 입으로 악한 말을 하고 마음이 굳센 것이요,
열넷째는 말이 거칠고 마음이 어리석은 것이며,
열다섯째는 입이 거칠고 마음에 3독을 품고 있는 것이요,
열여섯째는 입이 어리석고 마음이 음란한 것이며,
열일곱째는 입이 어리석고 마음에 노여움을 품고 있는 것이요,
열여덟째는 마음과 입이 다 어리석은 것이며,
열아홉째는 입이 어리석고 마음에 3독을 품고 있는 것이다.
이것을 게송으로 말한다.
저 음란함[婬]·성냄[怒]·어리석음[癡]
이것들을 합하여 3독이라 한다.
둘씩 서로 뒤섞이는데
이를 계산하면 네 가지가 있다.
또 입이 부드러운 것에 넷이 있고
입이 어리석은 것에 또 넷이 있다.
세존께서 말씀하신
사람의 마음 열아홉 가지가 이것이다.
누구네 감인데 이렇게 이쁘게 잘 깍았을까~
'수행도지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수행도지경 22. 분노/진에(瞋?=화)를 잘내는 사람들의 특징 (0) | 2018.03.04 |
---|---|
[스크랩] 수행도지경 21. 음탕한 사람과 음란함을 탐하는 모습 (0) | 2018.03.04 |
[스크랩] 수행도지경 19. 교만을 다스리는 방법 (0) | 2018.03.04 |
[스크랩] 수행도지경 18. 무지가 많으면 12연기를, 생각이 많으면 수식관을 하라. (0) | 2018.03.04 |
[스크랩] 수행도지경 17. 남에게 해를 끼치면 도리어 제 자신이 죄를 받는다. (0) | 2018.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