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야 왕자 경
Mn58 MAJJHIMA NIKâYA II 1. 8. Abhayaràjakumàrasuttaü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에 세존께서는 라자가하의 대나무 숲에 있는 다람쥐 보호구역에
머물고 계셨다. 그 무렵 아바야 왕자가 니간타 나따뿟따를 만나러 갔다. 가서는 니간타 나따뿟따에게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아바야 왕자에게 니간타 나따뿟따는 이렇게 말했다.
"왕자여. 사문 고따마를 논파하라. 그러면 그대에게는 '아바야 왕자가 이와 같은 큰 신통력과 이와 같은 큰 위력을 가진 사문 고따마를 논파했다.'라는 좋은 명성이 따를 것이다."
"존자시여, 그러면 어떻게 제가 이와 같은 큰 신통력과 이와 같은 큰 위력을 가진 사문 고따마를
논파하겠습니까?"
"왕자여. 그대는 사문 고따마를 만나러 가라. 가서는 사문 고따마에게 이렇게 말하라.
'고따마 존자시여, 존자께서도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스럽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말을 하십니까?'라고.
만일 사문 고따마가 이런 질문을 받고 '왕자여, 나도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스럽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말을 합니다.'라고 대답한다면 그대는 그에게 이렇게 말해야 한다.
'고따마 존자시여, 그러면 고따마 존자와 범부는 무슨 차이가 있습니까? 범부도 역시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스럽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말을 하기 때문입니다.'라고.
만일 사문 고따마가 이런 질문을 받고 '왕자여, 여래는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스럽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말을 하지 않습니다.'라고 대답하면 그대는 그에게 이렇게 말해야 한다.
'고따마 존자시여, 그러면 왜 존자는 데와닷따에 대해 설명하시기를 '데와닷따는 악처에 떨어질 것이다. 데와닷따는 지옥에 떨어질 것이다. 데와닷따는 겁이 다 하도록 지옥에 머물 것이다. 데와닷따는 선도될 수가 없다.'라고 하십니까? 존자의 말씀 때문에 데와닷따는 화를 내고 불쾌하게
여깁니다.'라고.
왕자여, 사문 고따마가 이런 양극단을 가진 질문을 받으면 그것을 뱉을 수도 없고 삼킬 수도
없을 것이다. 예를 들면 목에 쇠꼬챙이가 걸리면 그 사람은 그것을 뱉을 수도 삼킬 수도 없는
것과 같다.
왕자여, 그와 같이 사문 고따마가 이런 양극단을 가진 질문을 받으면 그것을 뱉을 수도 삼킬
수도 없을 것이다."
"잘 알겠습니다, 존자시여."라고 아바야 왕자는 니간타 나따뿟따에게 대답하고 자리에서 일어나
니간타 나따뿟따에게 절을 올리고 오른 쪽으로 돌아 경의를 표한 뒤 나와서 세존을 뵈러 갔다.
가서는 세존께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앉았다.
2. 한 곁에 앉아서 태양을 쳐다보고는 이런 생각이 들었다.
"오늘은 세존을 논파할 적당한 때가 아니다. 내일 우리 집에서 세존을 논파해야겠다."
그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는 내일 다른 세 분과 함께 저의 공양을 허락하여 주십시오."
세존께서는 침묵으로 허락하셨다.
3. 아바야 왕자는 세존께서 침묵으로 허락하신 것을 알고 자리에서 일어나 세존게 절을
올리고 오른쪽으로 돌아 경의를 표한 뒤 물러났다. 세존께서는 그 밤이 지나자 오전에
옷매무새를 가다듬고 발우와 가사를 수하시고 아바야 왕자의 집으로 갔다. 가셔서는 마련된
자리에 앉으셨다. 그러자 아바야 왕자는 세존께 딱딱한 음식과 부드러운 음식 등 맛있는 음식을
손수 충분히 대접하고 만족시켜드렸다. 아바야 왕자는 세존께서 공양을 마치시고 발우에서 손을 떼시자 어떤 낮은 자리를 잡아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아서 아바야 왕자는 세존께
렇게 말씀드렸다.
4. "세존이시여, 여래도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스럽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말을 하십니까?"
"왕자여, 거기에 대해서는 한 가지로 대답할 수 없다."
"세존이시여, 그렇다면 여기에 대해 니간타들이 졌습니다."
"왕자여, 그런데 그대가 말한 '세존이시여, 그렇다면 여기에 대해 니간타들이 졌습니다.'라는
것은 무슨 뜻인가?"
"세존이시여, 저는 니간타 나따뿟따를 만나러 갔습니다. 가서는 니간타 나따뿟따에게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앉았습니다. 한 곁에 앉은 제게 니간타 나따뿟따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왕자여, 사문 고따마를 논파하라. 그러면 그대에게는 좋은 명성이 따를 것이다. 아바야
왕자가 이와 같은 큰 신통력과 이와 같은 큰 위력을 가진 사문 고따마를 논파했다.'라고.
'존자시여, 그런데 어떻게 제가 이와 같은 큰 신통력과 이와 같은 큰 위력을 가진 사문 고따마를 논파하겠습니까?'
'왕자여, 그대는 사문 고따마를 만나러 가라. 가서는 사문 고따마에게 이렇게 말하라.
존자시여, 여래도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스럽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말을 하십니까?라고.
만일 사문 고따마가 이런 질문을 받고 '왕자여, 여래도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스럽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말을 합니다.'라고 대답하면 그대는 그에게 이렇게 말해야 한다.
'존자시여, 그러면 당신과 범부는 무슨 차이가 있습니까? 범부도 역시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스럽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말을 하기 때문입니다.'라고.
만일 사문 고따마가 이런 질문을 받고 '왕자여, 여래는 다른 삶들에게 사랑스럽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말을 하지 않는다.'라고 대답하면 그대는 그에게 이렇게 말해야 한다.
'존자시여, 그러면 왜 당신은 데와닷따에 대해 설명하시기를 '데와닷따는 악처에 떨어질 것이다.
데와닷따는 지옥에 떨어질 것이다. 데와닷따는 겁이 다 하도록 [지옥에] 머물 것이다. 데와닷따는 선도될 수 없다.'라고 하십니까? 당신의 말씀 때문에 데와닷따는 화를 내고 불쾌하게 여깁니다.
라고.
왕자여, 사문 고따마가 이런 양극단을 가진 질문을 받으면 그것을 뱉을 수도 없고 삼킬 수도 없을 것이다. 예를 들면 목에 쇠꼬쟁이가 걸리면 그 사람은 그것을 뱉을 수도 없고 삼킬 수도 없는 것과 같다.
왕자여, 그와 같이 사문 고따마가 이런 양극단을 가진 질문을 받으면 그것을 뱉을 수도 없고
삼킬 수도 없을 것이다."
5. 그때 어리고 아무것도 모르고 아직 뒤척이지도 못하고 반듯하게 누워만 있는 갓난아이가
아바야 왕자의 무릎에 누워있었다. 그러자 세존께서는 아바야 왕자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왕자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만일 그대가 소홀히 하거나 유모가 소홀히 한 틈을 타서
이 아이가 어떤 나무조각이나 조약돌을 입에 삼킨다면 그를 어떻게 하겠는가?"
"세존이시여, 저는 그것을 끄집어낼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제가 처음에 끄집어내지 못한다면 왼손으로 머리를 잡고서 오른손으로 손가락을 구부려 피가 나더라도 그것을 끄집어낼 것입니다. 왜냐하면 제게는 아이에 대한 연민이 있기 때문입니다."
"왕자여, 그와 같다.
여래는 그 말이 사실이 아니고 진실이 아니고 이익을 줄 수 없다고 알고, 또 그 말이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스럽지도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이면 여래는 그 말을 하지 않는다.
여래는 그 말이 사실이고 진실이지만 이익을 줄 수 없다고 알고, 또 그 말이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스럽지도 않고 마음에 들지도 않는 것이면 여래는 그 말도 하지 않는다.
여래는 그 말이 사실이고 진실이고 이익을 줄 수 있다고 알지만 그 말이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스럽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이면 여래는 그 말을 해줄 바른 시기를 안다.
여래는 그 말이 사실이 아니고 진실이 아니고 이익을 줄 수 업다고 알면, 비록 그 말이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스럽고 마음에 드는 것이라도 여래는 그 말을 하지 않는다.
여래는 그 말이 사실이고 진실이지만 이익을 줄 수 없다고 알면, 비록 그 말이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스럽고 마음에 드는 것이라도 여래는 그 말을 하지 않는다.
여래는 그 말이 사실이고 진실이고 이익을 줄 수 있다고 알고, 또 그 말이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스럽고 마음에 드는 것이라면 여래는 그 말을 해줄 바른 시기를 안다.
그것은 무슨 이유인가? 왕자여 여래는 중생들에게 연민이 있기 때문이다."
6. "세존이시여, 학식 있는 끄샤뜨리야들과 학식 있는 바라문들과 학식 있는 장자들과 학식 있는
사문들이 질문을 준비해서 여래를 찾아와 질문을 합니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는 '그들이 내게 와서 이와 같이 질문을 하면 나는 그들에게 이와 같이
설명하리라.'라고 먼저 마음 속으로 생각을 해둡니까, 아니면 즉시에 그 대답이 여래께
떠오릅니까?"
"왕자여, 그렇다면 이 경우에 대해 내가 도리어 그대에게 물어보겠다. 그대가 옳다고 여기는 대로 설명을 하라.
왕자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대는 마차에 여러 부분들에 대해 잘 알고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저는 마차의 여러 부분들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다."
"왕자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사람들이 그대에게 와서 묻기를 '마차의 이 부분들은 이름이 무엇입니까?'라고 한다면 그대는
'그들이 나를 찾아와 이와 같이 질문하면 나는 그들에게 이와 같이 설명하리라.'라고 먼저
마음속으로 생각을 해두는가, 아니면 즉시에 그 대답이 그대에게 떠오르는가?"
"세존이시여, 저는 마차의 각 부분들을 잘 알고 있는 마차 몰이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저는
마차의 모든 부분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즉시에 그 대답이 제게 떠오릅니다."
"왕자여, 그와 같이 학식 있는 끄샤뜨리야들과 학식 있는 바라문들과 학식 있는 장자들과 학식
있는 사문들이 질문을 준비해서 여래를 찾아와 질문을 하면 즉시에 그 대답이 여래에게 떠오른다.
그것은 무슨 이유인가? 왕자여, 여래는 법의 요소[法界]를 잘 꿰뚫었기 때문이다. 법의 요소를
잘 꿰뚫을 때 즉시에 그 대답이 여래에게 떠오르기 때문이다."
이렇게 말씀하셨을 때 아바야 왕자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경이롭습니다, 세존이시여. 경이롭습니다, 세존이시여. 마치 넘어진 자를 일으켜 세우시듯,
덮여있는 것을 걷어내 보이시듯, [방향을] 잃어버린 자에게 길을 가르켜주시듯, 눈 있는 자
형상을 보라고 어둠 속에서 등불을 비춰주시듯, 세존께서는 여러 가지 방편으로 법을
설해주셨습니다. 저는 이제 세존께 귀의하옵고 법과 비구 승가에 귀의합니다. 세존께서는 저를
재가신자로 받아주소서. 오늘부터 목숨이 붙어 있는 그날까지 귀의하옵니다."
Abhayarājakumārasuttaṃ niṭṭhitaṃ aṭṭhamaṃ.
아비야 왕자 경(M58)이 끝났다.
'맛지마 니까야(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M060. 확실한 가르침 경(Apa??akasutta?) (0) | 2018.03.25 |
---|---|
[스크랩] M059. 많은 느낌 경(Bahuvedan?yasutta?) (0) | 2018.03.25 |
[스크랩] M057. 견서계경(犬誓戒經.Kukkuravatikasutta?) (0) | 2018.03.25 |
[스크랩] M056. 우빨리 경( Up?lisutta?) (0) | 2018.03.25 |
[스크랩] M055. 지와까 경(J?vakasutta?) (0) | 2018.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