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심결(修心訣)(10)
-마음마다 미혹을 끊으려 하지만-
-끊으려는 마음이 바로 도적이다-
이것은 ‘단박 깨치면 부처와 같지만
여러 생의 습기가 깊구나.
바람은 그쳤으나
물결은 아직 출렁이고,
이치는 나타났으나
망념은 엄습한다’하는 말과 같다.
또 대혜종고선사도
‘가끔 영리한 무리들은 별로 힘들이지 않고
이런 이치를 알고는 아주 쉽다는 생각을 내어
다시는 닦지
않는다.
그대로 세월이 가면 그전처럼 유랑하게 되어
윤회를 면치 못하게 된다’하였다.
그러니 어찌 한번 깨쳤다 하여
뒤에 닦는
일을 버릴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깨친 뒤에도 늘 비추고 살펴서
망념이 홀연히 일어나거든 따르지 말고,
덜고 또 덜어서 무위에
이르러야
비로소 구경(究境)이니,
천하의 선지식이 깨달은 뒤에
소먹이는 행이 바로 이 때문이다.
비록 뒤에 닦는다고는 하지만
이미 망념이 본래 공하고 심성은
본래 청정한 것임을 먼저 깨쳤기 때문에
악을 끊되, 끊어도 끊음이 없고,
선을 닦되, 닦아도
닦음이 없어야
이것이 참다운 닦음이고 참다운 끊음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온갖 행을 다 닦으나
오직 무념으로 근본을 삼는다.’하였다.
규봉스님도
먼저 깨닫고 뒤에 닦는 뜻을 총괄하여 말하기를
‘이 성품은 원래 번뇌가 없고
완전한 지혜와 성품이 본래 갖추어져
부처와 다름이 없음을 담박 깨닫고,
이 깨침에 의해 수행하면
이것을 일러 최상승선(最上乘禪),
또는 여래청정선이라 한다.
만약 생각생각에 닦고 익히면
저절로 차츰 차츰 백천삼매를 얻을
것이니,
달마 문하에서 서로 전하여 내려온 것이
바로 이런 선(禪)이다.’하였다.
그러므로 돈오(頓悟)와 점수(漸修)의 이치는
마치 수레의 두 바퀴와 같아서 하나라도 없으면 안된다.
어떤 사람은
선과 악의 성품이 빈 것임을 알지 못하고
굳게 앉아 움직이지 않으면서
몸과 마음을 조복받기를 마치 돌로 풀을
누르듯 하면서
마음을 닦는다고 하는데,
이는 크게 잘못된 것이다.
그러므로
‘성문은 마음마다 미혹을 끊으려 하지만
그 끊으려는
마음이 바로 도적이다.’
하였다.
수심결(修心訣)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 1158~1210)의 저서 출처: Buddhapia,
김원각 <시인, 역경위원>
'수심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수심결(修心訣)(12) - 마음에 산란함 없는 것이 선정 - (0) | 2018.07.15 |
---|---|
[스크랩] 수심결(修心訣)(11) -생각이 일어남을 두려워 말고- (0) | 2018.07.15 |
[스크랩] 수심결(修心訣)(9) - 어째서 깨친 뒤에도 점차로 닦습니까 - (0) | 2018.07.08 |
[스크랩] 수심결(修心訣)(8) -보고 듣고 말하고 동작하는 것은 - (0) | 2018.07.08 |
[스크랩] 수심결(修心訣)(7) -지혜의 마음이 그대의 본래면목- (0) | 2018.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