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심결(修心訣)(13)
-선악의 경계에서 동요하는 이는- 보고 들음에 무심하여 한 티끌도 상대하는 것이 없으니, 어찌 번뇌를 버리려는 노력이 필요하겠으며, 한 생각의 망령된 감정도 일어남이 없으니 반연을 잊으려 힘쓸 필요도 없다.
그러나 업의 장애는 두텁고 습기는 무거우며, 관행(觀行)은 약하고 마음은 들떠서, 무명의 힘은 크고 지혜의 힘은 적으며, 선악의
경계에서는 마음이 동요하기도 하고 고요하기도 하여 담담하지 못한 사람은 반연을 잊고 없애는 공부를 해야 한다. 그러므로 ‘육근이
경계를 대해도 마음이 반연을 따르지 않는 것을 선정(禪定)이라 하고 마음과 경계가 함께 공해서 미혹됨이 없음을 비추어 아는 것을
지혜라 한다. 이것은 비록 수상문(隨相門)의 선정과 지혜이고, 점문(漸門)의
열등한 근기의 수행이라지만 경계에 따라 다스려야 하는 사람으로서는 없을 수가 없다. 만약 망상이 들끓거든 먼저 선정의 이치대로
산란한 마음을 거두어서, 마음이 반연을 따르지 않고 본래의 고요함에 계합하게 하며, 만약 혼침이 더욱 많으면 이젠 지혜로써 법에
따라 공(空)함을 관조하여 미혹됨이 없음을 비추어서 본래의 앎에 계합하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선정으로써 어지러운 생각을
다스리고 지혜로써 멍청함(無記)을 다스려서 동요함도 고요함도 서로 없어지고, 경계에 따라 다스려야 하는 노력도 없으지면, 경계에
대하여 생각생각이 근본으로 돌아가고 반연을 만나도 마음마음이 도에 계합하는 등 마음대로 안팍을 닦아나가야 비로소 걸림없는
자유인이 될 것이다. 만약 이렇게 하면 참으로 선정과 지혜를 평등하게 가져 불성을 밝게 본 사람이라 할 수 있다.’한 말과
같다.” “스님의 말씀대로, 깨친 뒤에 닦는 방법을 보면, 선정과 지혜를 평등하게 가진다는 말에는 두 가지 뜻이 있습니다. 첫째는 자기 성품의 선정과 지혜이고, 둘째는 상(相)을 따르는 선정과 지혜입니다.
-반연을 잊고 없애는 공부하라-
또한 순박 솔직하고 거짓이 없으며,
물었다.
------------------------------------------------------------
수상문(隨相門:경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 공부)
수심결(修心訣)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 1158~1210)의 저서
출처: Buddhapia, 김원각<시인·역경위원>
'수심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수심결(修心訣)(15) -말을 따라 알려하면 의혹 생기고- (0) | 2018.07.22 |
---|---|
[스크랩] 수심결(修心訣)(14) - 돈문과 점문의 선정과 지혜 다른데- (0) | 2018.07.22 |
[스크랩] 수심결(修心訣)(12) - 마음에 산란함 없는 것이 선정 - (0) | 2018.07.15 |
[스크랩] 수심결(修心訣)(11) -생각이 일어남을 두려워 말고- (0) | 2018.07.15 |
[스크랩] 수심결(修心訣)(10) - 마음마다 미혹을 끊으려 하지만 - (0) | 2018.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