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염송

[스크랩] 禪門拈頌 17. 벽돌 갈기(磨塼)

수선님 2018. 7. 22. 12:36

깨침과 깨달음

 

본칙

마조(馬祖)가 좌선을 많이 했는데, 회양(懷讓)선사가 어느 날 벽돌을 들고 가서 그의 암자 앞에서 갈았다.

이를 본 마조가 물었다.

“벽돌은 갈아서 무엇하십니까?”

“거울을 만들려 한다.”

마조가 다시 물었다.

“벽돌을 갈아서 어찌 거울이 되겠습니까?”

“벽돌은 갈아서 거울이 되지 못한다면 좌선을 한들 어찌 부처가 되겠는가?”

마조가 다시 물었다.

“그러면 어찌 하여야 되겠습니까?”

“수레에다 소를 메워 끌게 하는데 수레가 가지 않거든 소를 때려야 되겠는가? 수레를 때려야 되겠는가?”

염·송·어

법진일(法眞一)이 송했다.

“좌선해서 부처되려는 짓 헛일이 분명하니
수레가 안 가거든 수레를 치지 말라.
지껄이고 침묵한 것, 모두가 선정(禪定)인데
우두커니 앉아 있기만 하는 것 잘못이다.”

열재거사(悅齋居士)가 송했다.

“수레를 치고 소를 치는데 어느 것이 옳은가
귓밥을 만지다 코끝을 잃었네.
다시 한 가닥 그대에게 보이노니
문수보살 이름은 경희(慶喜)로다.”

송원(松源)이 송했다.

“평생의 속마음 속임없이 털어 놓아
허물이 하늘 땅에 가득하였네.
귀찮은 마조가 소란을 피운 뒤에
지금껏 저울눈을 잘못 알고 있다네.”

진정문(眞淨文)이 상당하여 말했다.

“조사가 서쪽에서 와서 교리 밖에 따로 전한 것은 마치 소에 수레를 끌렸을 때 수레가 가지 않으면 수레를 때리는 것이 옳은가? 소를 때리는 것이 옳은가? 하는 것과 같다. 대중이여, 사람마다 한 마리의 검은 암소(水 牛)를 가지고 있어서 수레를 끄는데, 털빛과 마음씨가 제각기 다르다. 붉은 것, 흰 것, 푸른 것, 누른 것, 검은 것이 있으니 지금 채찍 맞기를 기다리지 말고 각자 수레를 끌고 방으로 가서 차나 마셔라.”

감상

앞으로 나가기를 두려워하는 자는 채찍으로 수레만 때릴 것이니 어찌 수레가 앞으로 나가겠는가. 좌선을 통해 부처가 되겠다고 산간 계곡에 한량없이 앉아 있는 납자들이여, 제 마음의 소를 채찍으로 후려쳐라. 앞으로 나아가는 일은 두려운 일이다.

벽돌을 갈아 거울로 만들려는 수많은 경문주석가들이여, 부스러지는 흙덩이에서 무엇을 찾겠는가. 만일 수레를 쳐서 소를 나아가게 한다면, 채찍 그림자를 보고도 달리는 말이 될 것이다. 마음 속의 검은 암소 마음씨가 제각기 다르다. 헛되이 수레를 치지 말라.
 
최동호/고려대 국문과 교수
출처 : 淨土를 그리며...
글쓴이 : 느린 걸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