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 장 물질의 길라잡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아비담맛타 상가하의 전반부 1~5장까지는 우리 내부 정신세계(名명, nāma나마)의 여러 측면을 분석하였다. |
|
|
즉, 89/121가지의 마음, 52가지 마음부수법들(심소법들), 마음과 마음부수법들의 조합에 대하여 |
|
|
|
|
인식과정을 통해 여러 마음들은 어떤 법칙으로 대상을 인식하면서 생멸을 거듭하는가에 대해서 |
|
|
|
|
재생연결과 잠재의식과 죽음에 대해서, 업과 업의 과보에 대해서. 하나하나 알아보았다. |
|
|
|
|
|
그래서, 1~5장은 두 가지 궁극적 실재인 마음과 마음부수법들에 대한 자세한 분석이라 할 수 있다. |
|
|
☞ 본 6장에서 본서의 저자 아누룻다 스님은 세 번째 궁극적 실재인 물질(색色, rūpa루빠)을 분류하고 분석하고 있다. |
☞ 물질(色, rūpa루빠)의 정의 |
|
|
|
|
|
|
|
|
|
|
|
|
|
|
|
|
1) 초기경에서 부처님의 물질(형상, 色)에 대한 정의(삼켜버림 경 S22:79/iii.273 §4) |
|
|
|
|
|
|
|
"비구들이여, 그러면 왜 물질(色)이라 하는가 ? 변형(상태가 변함)된다고 해서 물질이라 한다. |
|
|
|
|
그러면 무엇에 의해서 변형되는가 ? 차가움에 의해서도 변형되고, 더움, 배고픔, 목마름, 파리, 모기, 바람, 햇빛 |
|
파충류들에 의해서도 변형된다. 비구들이여, 이처럼 변형된다고 해서 물질이라 한다." |
|
|
|
|
|
|
* 위 경에서의 색은 오온의 색(즉 물질)이 아니라, 눈의 대상인 형상(혹은 색깔)을 뜻하지만, 주석가들은 구분없이 쓴다. |
|
* 경에서 나온 말씀에 따라 주석가들은 그대로 전통으로 따른다. 대표 주석서인 청정도론을 보면 알 수 있다. |
|
2) 『청정도론14장.34』 "그 중에서 차가움 등으로 변형되는 특징을 가진 것들은 무엇이든 모두 하나로 묶어 |
|
|
|
물질의 무더기라고 알아야 한다." |
|
|
|
|
|
|
|
|
|
|
|
|
|
|
3) 산스끄리뜨에 나타나는 루빠의 본래 뜻은, '방해, 성가심'을 뜻한다고 보여진다. 즉, 물질이란 우리의 진행이나 |
|
|
시계(視界) 등을 막고 방해하는 것이며, 그래서 성가시게 하고 뇌로움을 주는 것이라는 뜻으로 파악할 수 있겠다. |
|
그래서, 가장 오래된 주석서이며, 경장인 소부(쿳다까 니까야Khuddaka Nikāya)에 포함되어 있는 닛데사(Niddesa,의석 |
|
義釋)에서는 동사형인 ruppati를 '변형되다, 혼란하게 되다, 부딪치다, 억압되다, 부서지다'와 동의어로 취급한다. |
4) 후대 빠알리 주석가들은 '변화'로 해석하고 있다. |
|
|
|
|
|
|
|
|
|
|
|
|
|
『위바위니 띠까』 - '춥고 더운 등의 반대되는 조건들 때문에 변화를 겪고 변화를 강요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
|
이것이 남방의 전통적인 견해이며, 이 견해에 따라 역자들도 '변형되는'으로 옮겼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물질의 길라잡이 |
|
|
|
|
|
|
|
|
|
|
|
|
|
|
|
|
|
|
①열거, ②분류, ③일어나는 원인, ④깔라빠, ⑤일어나는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 물질의 열거 - 총28가지 형태 |
|
|
|
|
|
|
|
|
|
|
|
|
|
|
|
물질은 사대와 사대로부터 파생된 물질로 크게 2가지이며, 11가지 부문으로 구분되어 있다. |
|
|
|
|
|
* 아비담마에서는 모두 28가지 형태의 물질을 나열한다. 이것은 크게 두 가지 영역, 즉 4대와 파생된 물질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물질의 간략한 분류 - 사대, 파생된 물질 |
|
|
|
|
|
|
|
|
|
|
|
1. 4대(四大, 마하부따 mahābhūtāni) - 근본물질 4가지 |
|
|
|
|
|
|
|
|
|
* 근본물질의 종류 - 땅의 요소(地界), 물의 요소(水界), 불의 요소(火界), 바람의 요소(風界) |
|
|
|
|
|
* 四大(사대)로 한역하여 정착된 마하부따의 기본의미는 '된 것, 생긴 것, 존재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
|
|
|
'존재하는 것=진실, 사실'의 의미로 쓰인다. 예를들면 여실지견에서도 많이 나타난다. |
|
|
|
|
|
|
본 서에서는 '존재하는 것=기본요소=지·수·화·풍'을 나타내기도 한다. |
|
|
|
|
|
|
|
|
|
그래서 중국에서는 사대종(四大種4가지 큰 종자)으로 더 자세히 옮기기도 했다. |
|
|
|
|
|
|
|
* 마하부따(4대)는 기본이 되는 요소란 측면에서 다뚜(dhātu계界)와 같이 쓰이기도 한다. |
|
|
|
|
|
즉, 4대라 할 때는 마하부따로 주로 나타나지만 구체적으로 말할 때는 cataso dhātuyo(네가지 요소, 사계四界)라는 |
|
말로도 자주 나타난다. 특히 각각의 요소를 나타낼 때는 대부분 다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
|
|
|
|
가령, 지대(paṭhavi-bhūta)라는 말대신 paṭhavi-dhātu(지계)를 사용하며, 본서에서도 항상 이렇게 나타난다. |
|
* 『청정도론11장.103』 - "이들(사대)은 크다(마하 mahā), 왜냐하면 큰 노력으로써 파악해야 하기 때문이다. |
|
|
|
이들은 존재하는 것(부따 bhūta)이다. 왜냐하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크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
|
|
마하부따이다. 이와같이 이 모든 요소(다뚜)들은 거대하게 나타남 등의 이유로써 마하부따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2. 파생된 물질(소조색所造色, 우빠다 루빠 upādā-rūpa) - 24가지 |
|
|
|
|
|
|
|
* '파생된(upādaya)'의 뜻은 '[나중에] 받아들여진'이며, 문자적으로 '후차적인, 뒤에 생긴, 파생된'의 뜻으로 쓰인다. |
|
그래서, '파생된 물질'은 바로 4대에서 파생된 물질이라는 뜻이다. |
|
|
|
|
|
|
|
|
|
* 파생된 물질은 사대에서 파생되었거나 사대를 의지해서 생긴 물질의 현상이다. 이들은 모두 24가지이다. |
|
|
비유하자면, 사대는 땅과 같고, 사대에서 파생된 물질은 땅에서 자라는 나무와 넝쿨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물질의 상세한 분류 - 구체적 물질, 추상적 물질 |
|
|
|
|
|
|
|
|
|
|
☞ 모든 물질 28가지는 크게 11부류로 나누어 진다. 이 11부류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
|
|
|
|
① 구체적인 물질 7부류(닙판나 루빠 nipphanna-rūpa) |
|
|
|
|
|
|
|
|
|
|
|
|
이들은 고유의 성질(사바와 sabhāva)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빳사나로써 주시하고 통찰할 수 있다. |
|
|
② 추상적인 물질 4가지(아닙판나 루빠 anipphanna-rūpa) |
|
|
|
|
|
|
|
|
|
|
|
|
이들은 성질상 아주 추상적이기 때문에, 추상적인 물질이라 부른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구체적인 물질(nipphanna-rūpa 완성색完成色) 18가지 |
|
|
|
|
|
|
|
|
|
* 닙빤나는 어떤 물건이 완성되어 나온 것이란 의미에서 '만들어진, 생산된, 완성된, 완전한, 잘 훈련된' 등으로 쓰인다. |
|
* 이들은 물질을 일으키는 원인인, 업, 마음, 온도, 음식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생기는 물질이고 |
|
|
|
|
위빳사나의 대상이 되는 물질이다. |
|
|
|
|
|
|
|
|
|
|
|
|
|
|
|
* 『청정도론14장.73』 - 4가지 요소(사계四界=사대四大)와 눈부터 시작하여 13개와 덩어리로 된 음식, |
|
|
|
|
이렇게 18가지 물질은 구체적인 것이다. |
|
|
|
|
|
|
|
|
|
|
|
|
|
|
범위를 한정하는 성질과 변화하는 성질 그리고 3특상(무상,고,무아)의 특징을 초월하여 |
|
|
|
|
|
|
자기 본성에서 알아지기 때문이다. 그 나머지는 추상적인 물질이다. 앞의 것과 반대되기 때문이다. |
|
|
|
(i) 땅의 요소(지계地界), 물의 요소(수계水界), 불의 요소(화계火界), 바람의 요소(풍계風界)는 근본물질이라 한다. |
|
(ii) 눈, 귀, 코, 혀, 몸은 감성의 물질이라 한다. |
|
|
|
|
|
|
|
|
|
|
|
|
|
(iii) 색,소리,냄새,맛과 감촉(수계를 제외하여, 三大라 불림)은 대상의 물질이라 한다. |
|
|
|
|
|
|
(iv) 여성과 남성은 성의 물질이라 한다. |
|
|
|
|
|
|
|
|
|
|
|
|
|
|
(v) 심장토대는 심장의 물질이라 한다. |
|
|
|
|
|
|
|
|
|
|
|
|
|
|
(vi) 생명기능(명근命根)은 생명의 물질이라 한다. |
|
|
|
|
|
|
|
|
|
|
|
|
(vii) 덩어리로 된 음식은 음식의 물질이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근본물질(부따 루빠, bhūta-rūpa) 4가지 - 4대=4계 |
|
|
|
|
|
|
|
|
|
* 근본물질(부따 루빠)는 초기경을 비롯한 여러 경과 주석서들에서 위에 설명한 마하부따라는 술어로 나타난다. |
|
* 4대는 땅의 요소(paṭhavī-dhātu, 地界), 물의 요소(āpo-dhātu, 水界), 불의 요소(tejo-dhātu, 火界) |
|
|
|
|
|
바람의 요소(vāyo-dhātu, 風界)이다. 다뚜(dhātu, 요소 界)는 초기경에서 아주 많이 등장하는 중요한 술어이다. |
|
|
주석가들은 '자기의 본성을 간직하고 있다'고 해서 요소(다뚜)라 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
|
|
|
|
|
|
가령, 땅의 요소는 대지가 그러하듯이 함께 존재하는 물질의 법들을 지탱하기 때문이다. 땅·물·불·바람은 물질을 |
|
|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인데, 이들은 서로 분리될 수 없으며, 이들이 여러 형태로 조합되어서 작은 것은 |
|
|
미진으로부터 큰 것으로는 큰 산에 이르기까지 모든 물질을 구성한다. |
|
|
|
|
|
|
|
|
* 사대라고 할 때는 마하부따라고 하지만, 하나씩 구체적으로 가리킬 때는 다뚜(계,요소)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
|
* 청정도론의 11장의 27~125번은 4대를 명상주제로 하여 수행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
|
|
|
|
* 『청정도론11장』의 4대에 대한 설명 |
|
|
|
|
|
|
|
|
|
|
|
|
|
|
|
39. 딱딱한 특징을 가진 것은 곧 땅의 요소이고, 점착의 특징을 가진 것은 물의 요소이고, 익게 하는 특징을 가진 |
|
|
것은 불의 요소이고, 팽창하는 특징을 가진 것은 바람의 요소이다. |
|
|
|
|
|
|
|
|
41. 이 몸에 있는 딱딱한 성질 혹은 거친 성질은 땅의 요소이고, 점착하는 성질 혹은 유동의 성질은 물의 요소이고, |
|
|
익는 성질 혹은 뜨거운 성질은 불의 요소이고, 팽창하는 성질 혹은 움직이는 성질은 바람의 요소이다. |
|
|
109. 조건으로써 : 땅의 요소는 물의 요소에 의해서 결합되고, 불의 요소에 의해서 보호되고, 바람의 요소에 의해서 |
|
|
팽창된다. 그 땅의 요소는 나머지 3대의 머무는 장소로써 그들에게 조건이 된다. |
|
|
|
|
|
|
|
물의 요소는 … 불의요소는… 바람의 요소는 땅의 요소를 의지하여 머물고, 물의 요소에 의해서 결합되고, |
|
|
불의 요소에 의해서 익는다. 그 바람의 요소는 나머지 3대를 팽창함으로써 그들에게 조건이 된다. |
|
|
|
|
4대 |
특 징 |
우리 몸에 있는 성질 |
아래와 같이 조건으로써 마음에 잡도리 해야한다. |
|
|
|
땅의 요소(지계) |
딱딱함 |
딱딱하거나 거친 |
나머지 3대에게 머무는 장소로써 그들에게 조건이 됨. |
|
|
|
물의 요소(수계) |
점착성 |
점착하거나 유동적 |
나머지 3대를 결합시킴으로써 그들에게 조건이 됨 |
|
|
|
불의 요소(화계) |
|
|
익게함 |
익거나 뜨거운 |
나머지 3대를 익힘으로써 그들에게 조건이 됨 |
|
|
|
바람의요소(풍계) |
팽창함 |
팽창 또는 움직이는 |
나머지 3대를 팽창시킴으로써 그들에게 조건이 됨 |
|
|
|
|
|
|
|
|
|
|
|
|
|
|
|
|
|
|
|
|
|
|
|
2) 감성의 물질(感性色, 빠사다 루빠, pasāda-rūpa) - 5 감성 |
|
|
|
|
|
|
|
|
* 빠사다는 경장에서는 '깨끗한 믿음(정심淨心)'을 뜻한다. 그러나, 아비담마에서는 이 깨끗함의 의미를 6근이 가지는 |
|
|
순수한 감각작용을 나타내는 전문술어로 정착시켰다. |
|
|
|
|
|
|
|
|
|
|
|
|
감성(빠사다)은 그것의 토대가 되는 거친 감각기관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
|
|
|
|
|
|
|
* 일반적으로 '눈'이라고 부르는 것은 아비담마에서는 '[여러 물질적인 현상이] 혼합된 눈(sasambhāra-cakkhu)'라 함 |
|
|
그 중에서 감성은 빛과 색을 등록하고, 눈의 알음알이(안식眼識)의 물질적인 토대와 문의 역할을 하는 |
|
|
|
망막 안에 있는 감각에 민감한 물질이다. 그런 의미에서 감성(感性)이라고 옮겼다. |
|
|
|
|
|
|
* 감성은 각각의 감각기관에 위치한 특정한 물질을 뜻한다. 이처럼 감성과 감각기관은 서로 다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눈의 감성(cakkhu-pasāda) |
|
|
|
|
|
|
|
|
|
|
|
|
|
|
|
|
『청정도론 14장』 |
|
|
|
|
|
|
|
|
|
|
|
|
|
|
|
|
|
|
37. 눈의 특징은 형상이나 색깔이 부딪쳐 오는 것에 만반의 준비가 된 4대의 감성이다. |
|
|
|
|
|
|
또는 보고자 하는 욕망을 원인으로 한 그 업에 의해 생겨난 4대의 감성이 그 특징이다. |
|
|
|
|
|
|
눈의 기능은 형상 등에서 [대상을] 끌어당기는 것이다. |
|
|
|
|
|
|
|
|
|
|
|
|
눈은 눈의 알음알이(眼識안식)의 기반으로 나타난다. |
|
|
|
|
|
|
|
|
|
|
|
|
이것의 가까운 원인은 보고자 하는 욕망을 원인으로 한 그 업에 의해 생겨난 4대이다. |
|
|
|
|
|
47. 여기서 눈이라고 하는 것은 검은 속눈썹으로 덮혀있고, 검고 밝은 원반에 의해 변화하는 푸른 연꽃잎을 닮은 |
|
|
것을 눈이라 부른다. 눈의 감성은 [여러 물질적인 현상]이 혼합된 전체 눈에서, 흰 동자에 의해 싸여 있고 |
|
|
면전에 서 있는 사람의 형상이 비치는 곳인 검은 동자의 중간에 있다. 그것은 일곱의 면에 베어있는 기름처럼 |
|
|
눈의 일곱 세포에 퍼져있다. 그것은 받치고, 뭉치고, 익히고, 움직이는 기능을 하는 4대의 도움을 받는다. |
|
|
마치 무사계급의 왕자가 붙들어 보호하고 목욕시키고 치장하고 부채질하는 유모 4명의 시중을 받는 것과 같다. |
|
|
그것은 온도와 마음과 음식에 의해 지탱되고 생명기능에 의해서 유지되며 색깔, 냄새, 맛 등과 함께 한다. |
|
|
크기는 이의 머리만 하며, 눈의 알음알이 등이 일어나는 장소와 문의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귀의 감성(sota-pasāda) |
|
|
|
|
|
|
|
|
|
|
|
|
|
|
|
|
|
『청정도론 14장』 |
|
|
|
|
|
|
|
|
|
|
|
|
|
|
|
|
|
|
38. 소리가 부딪쳐 오는 것에 만반의 준비가 된 4대의 감성이다. |
|
|
|
|
|
|
|
|
|
|
또는 듣고자 하는 욕망을 원인으로 한, 그 업에 의해 생겨난 4대의 감성이 그 특징이다. |
|
|
|
|
|
|
귀의 기능은 소리 등에서 대상을 끌어당기는 것이다. |
|
|
|
|
|
|
|
|
|
|
|
|
귀는 귀의 알음알이(耳識이식)의 기반으로 나타난다. |
|
|
|
|
|
|
|
|
|
|
|
|
이것의 가까운 원인은 듣고자 하는 욕망을 원인으로 한, 그 업에 의해서 생겨난 4대이다. |
|
|
|
|
49. 귀의 감성은 [여러 물질적인 현상이] 혼합된 전체 귓구멍속에서, 부드럽고 갈색인 털에 둘러 싸여 있는 |
|
|
|
반지모양을 한 곳에 있다. |
|
|
|
|
|
|
|
|
|
|
|
|
|
|
|
|
|
그것은 앞서 말한 기능을 가진 4대의 도움을 받는다. |
|
|
|
|
|
|
|
|
|
|
|
|
그것은 온도와 생각과 음식에 의해 지탱되며, 생명기능에 의해 유지되고, 색깔 등과 함께한다. |
|
|
|
|
귀의 알음알이 등이 일어나는 장소와 문의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 코의 감성(ghāna-pasāda) |
|
|
|
|
|
|
|
|
|
|
|
|
|
|
|
|
『청정도론 14장』 |
|
|
|
|
|
|
|
|
|
|
|
|
|
|
|
|
|
|
39. 코의 특징은 냄새가 부딪쳐 오는 것에 만반의 준비가 된 4대의 감성이다. |
|
|
|
|
|
|
|
|
또는 냄새를 맡고자 하는 욕망을 원인으로 한, 그 업에 의해 생겨난 4대의 감성이 그 특징이다. |
|
|
|
|
코의 기능은 냄새 등에서 대상을 끌어당기는 것이다. |
|
|
|
|
|
|
|
|
|
|
|
|
코는 코의 알음알이(鼻識비식)의 기반으로 나타난다. |
|
|
|
|
|
|
|
|
|
|
|
|
이것의 가까운 원인은 냄새를 맡고자 하는 욕망을 원인으로 한, 그 업에 의해 생겨난 4대이다. |
|
|
|
50. 코의 감성은 [여러 물질적인 현상이] 혼합된 전체 비공에서 염소의 발굽 모양을 한 곳에 있다. |
|
|
|
|
그것은 앞서 말한 대로 4대의 도움을 받고 온도와 마음과 음식에 의해 지탱되며, 생명기능에 의해 유지되고, |
|
|
색깔 등과 함께한다. 코의 알음알이 등이 일어나는 장소와 문의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④ 혀의 감성(jivhā-pasāda) |
|
|
|
|
|
|
|
|
|
|
|
|
|
|
|
|
『청정도론 14장』 |
|
|
|
|
|
|
|
|
|
|
|
|
|
|
|
|
|
|
40. 혀의 특징은 맛이 부딪쳐 오는 것에 만반의 준비가 된 4대의 감성이다. |
|
|
|
|
|
|
|
|
또는 맛을 보고자 하는 욕망을 원인으로 한, 그 업에 의해 생겨난 4대의 감성이 그 특징이다. |
|
|
|
|
|
혀의 기능은 맛 등에서 대상을 끌어당기는 것이다. |
|
|
|
|
|
|
|
|
|
|
|
|
혀는 혀의 알음알이(舌識설식)의 기반으로 나타난다. |
|
|
|
|
|
|
|
|
|
|
|
|
이것의 가까운 원인은 맛을 보고자 한 갈애를 원인으로 한, 그 업에 의해 생겨난 4대이다. |
|
|
|
|
51. 혀의 감성은 [여러 물질적인 현상이] 혼합된 전체 혀의 중간에 연꽃잎의 끝 모양을 한 곳에 있다. |
|
|
|
|
그것은 앞서 말한 대로 도움을 받고 지탱되며 유지되고 함께한다. |
|
|
|
|
|
|
|
|
|
혀의 알음알이 등이 일어나는 장소와 문의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⑤ 몸의 감성(까야 빠사다, kāya-pasāda) |
|
|
|
|
|
|
|
|
|
|
|
|
|
|
40. 몸의 특징은 감촉이 부딪쳐 오는 것에 만반의 준비가 된 4대의 감성이다. |
|
|
|
|
|
|
|
|
또는 맞닿고자 하는 욕망을 원인으로 한, 그 업에 의해 생겨난 4대의 감성이 그 특징이다. |
|
|
|
|
|
몸의 기능은 맞닿음 등에서 대상을 끌어당기는 것이다. |
|
|
|
|
|
|
|
|
|
|
|
몸은 몸의 알음알이(身識신식)의 기반으로 나타난다. |
|
|
|
|
|
|
|
|
|
|
|
|
이것의 가까운 원인은 맞닿고자 하는 욕망을 원인으로 한, 그 업에 의해 생겨난 4대이다. |
|
|
|
|
52. 몸의 감성은 업으로부터 생긴 물질이 몸에 두루 퍼져있는 것이다. 마치 면 조각에 베어든 기름처럼, |
|
|
|
그것은 앞서 말한 대로 도움을 받고 지탱되며 유지되고 함께한다. |
|
|
|
|
|
|
|
|
|
몸의 알음알이 등이 일어나는 장소와 문의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대에 대한 잘못된 견해들 |
|
|
|
|
|
|
|
|
|
|
|
|
|
|
|
|
|
청정도론에서는 다음과 같이 다른 대가들의 견해를 소개하면서 이들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고 잇다. |
|
|
|
『청정도론 14장』 |
|
|
|
|
|
|
|
|
|
|
|
|
|
|
|
|
|
|
42. 눈의 감성, 귀의 감성, 코의 감성 등의 각각이 火大나 水大나 어떤 요소를 더 가지고 있다는 생각은 잘못이다. |
|
|
양이 다르다는 것은 경전의 근거를 찾을 수 없다. |
|
|
|
|
|
|
|
|
|
|
|
|
45. 4대의 각 요소의 많고 적은 차이가 있다는 억측은 버려야 한다. 비록 하나의 원소에도 4대의 차이는 없다. |
|
|
양은 차이가 없으나 맛, 색 등이 서로 다르다. 서로 다른 이유는 4대의 차이 때문이 아니라, 오직 업 때문이다. |
|
|
만일 4대가 차이가 있다면 감성은 생기지 않는다. 왜냐하면, 옛 성현이 말씀하시기를 감성은 4대가 동등한 |
|
|
것에만 있고, 그렇지 않은 것에는 없다라고 하셨다. |
|
|
|
|
|
|
|
|
|
|
|
46. 감성들 중에서, 눈의 감성과 귀의 감성은 대상(형상 등과 소리 등)이 자신의 의지처인 4대(감각기능)에 |
|
|
이르지 않더라도 그 대상을 취한다. 왜냐하면, 자신의 의지처인 4대에 이르지 않은 대상에 대해서 식은 |
|
|
일어나는 원인을 가졌기 때문이다. |
|
|
|
|
|
|
|
|
|
|
|
|
|
|
코/몸/혀의 감성은 각 대상이 각각의 의지처인 4대(감각기능)에 이르렀을 때 그 대상을 취한다. |
|
|
|
|
왜냐하면, 그들의 대상은 의지함(냄새와 맛)으로 혹은 제 스스로(감촉=수대를 제외한 3대) 자신의 의지처인 |
|
|
4대에 이르렀을 때, 그 대상에 알음알이가 일어나는 원인을 가졌기 때문이다. |
|
|
|
|
|
|
|
53. 마치 뱀, 악어, 새, 개, 자칼이 각가 자신들의 영역 즉, 개미굴, 물, 허공, 동네, 묘지에 강하게 끌리듯이 |
|
|
눈 등도 형상 등 자기의 대상으로 달려간다고 알아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냄새와 맛은 4대가 아니다. 그러므로, 4대를 의지함으로써 각자 자신의 의지처인 코와 혀에 이르고 |
|
|
|
감촉은 수대를 제외한 나머지 3대(지대,화대,풍대) 그 자체이다. 그래서, 제 스스로 자신의 의지처인 몸에 이른다. |
|
|
이렇게 코와 혀와 몸은 그 대상이 자기에게 이르렀을 때, 비식, 설식, 신식이 일어나는 원인이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3) 대상의 물질 (고짜라 루빠, gocara-rūpa) - 색, 성, 향, 미 |
|
|
|
|
|
|
|
|
* 고짜라(gocara)라는 단어는 초기경에서부터 아주 많이 나타나는 술어이다. 본래 의미는 소(go)가 풀을 뜯기 위하여 |
|
|
다니는 곳이란 의미이며, 이것은 율장에서는 비구가 걸식을 위해서 다니는 곳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
|
|
|
소가 남의 논이나 밭, 아주 험한 가시덤불 등, 가서는 안될 대상으로 가면 큰 곤혹을 당하듯이 |
|
|
|
|
비구도 자기가 탁발을 가는 영역을 정해놓고 그대로 따라야 한다는 뜻이 포함된 단어이다. |
|
|
|
|
* 고짜라는 때에 따라서는 육근의 대상인 visaya와 동의어로 쓰여서, 색, 성, 향, 미, 촉, 법을 뜻하기도 한다. |
|
|
|
그러나, 아비담마에서는 안,이,비,설,신 다섯감성의 대상인 색,성,향,미,촉의 다섯만을 고짜라라고 부르고 있으며 |
|
|
대상(visaya)이라 하기도 한다. 여기서 유념해야 할 점은 이들 색,성,향,미,촉의 다섯 가지 대상 가운데 |
|
|
|
촉(감촉, phoṭṭhabba)은 28가지 물질 가운데 별개의 단위로서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
|
|
|
|
|
왜냐하면, 아비담마에서는 촉은 지대와 화대와 풍대의 화합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
|
|
|
* 『청정도론 14장.54~57』 |
|
|
|
|
|
|
|
|
|
|
|
|
|
|
|
|
|
|
대상의 물질 종류 |
대상물질 특징 |
대상물질의 역할 |
대상물질이 나타나는 곳 |
|
|
①색(色,형색,rūpa) |
눈에 부딪친다 |
눈의 알음알이의 대상이 된다 |
눈의 알음알이의 영역으로 나타난다 |
|
|
②성(聲,소리,sadda) |
귀에 비딪친다 |
귀의 알음알이의 대상이 된다 |
귀의 알음알이의 영역으로 나타난다 |
|
|
③향(香,냄새,gandha) |
코에 부딪친다 |
코의 알음알이의 대상이 된다 |
코의 알음알이의 영역으로 나타난다 |
|
|
④미(味,냄새,rasa) |
혀에 부딪친다 |
혀의 알음알이의 대상이 된다 |
혀의 알음알이의 대상으로 나타난다 |
|
|
▷ 위에서 4가지 대상의 물질들 각각의 가까운 원인은 모두 4대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성(性)의 물질(바와 루빠, bhāva-rūpa) - 여성, 남성 |
|
|
|
|
|
|
|
|
|
* 성(性)에는 ①여성(purisatta 또는 pumbhāva)과 ②남성(itthi-bhāva 혹은 itthatta)이 있는데, 이것도 물질로 본다. |
|
『청정도론 14장 58.』 |
|
|
|
|
|
|
|
|
|
|
|
|
|
|
|
|
|
|
|
여자의 기능(여근女根 itthi-indriya)의 특징은 여성이다. 여근의 역할은 '이 사람은 여자다'라고 보여준다. |
|
|
여근은 여자의 외관상의 표시, 속성, 활동, 자세(위의威儀)에 대한 이유로써 나타난다. |
|
|
|
|
|
|
남자의 기능(여근男根)의 특징은 남성이다. 남근의 역할은 '이 사람은 남자다'라고 보여준다. |
|
|
|
|
|
남근은 남자의 외관상의 표시, 속성, 활동, 자세에 대한 이유로써 나타난다. |
|
|
|
|
|
|
|
|
이 둘 모두 몸의 감성처럼 몸 전체에 퍼져 있다. |
|
|
|
|
|
|
|
|
|
|
|
|
|
그러나, 이것이 몸의 감성이 있는 곳에 있다거나 그것이 없는 곳에 있다라고 말해서는 안된다. |
|
|
|
|
마치 색과 맛 등처럼 이둘은 서로 서로 섞일 수 없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심장의 물질(하다야 루빠, hadaya-rūpa) - 심장토대 |
|
|
|
|
|
|
|
|
|
* 불교에서는 마노(意)를 인식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여기므로, 당연히 그 기관이 의지한 토대(vatthu)가 있어야 한다. |
|
* 불교에서는 그런 마노와 마노의 알음알이(의식意識)들의 의지처로 심장을 주목한다. |
|
|
|
|
|
|
|
이 심장에 있는 한 물질이 바로 심장토대(hadaya-vatthu)이다. |
|
|
|
|
|
|
|
|
|
|
이 심장토대는 한 쌍의 전오식(10가지)을 제외한 모든 마음들의 육체적인 의지처가 된다고 한다. |
|
|
|
|
이 심장토대가 되는 물질을 하다야 루빠, 즉 심장의 물질이라 한다. |
|
|
|
|
|
|
|
|
* 눈과 눈의 감성이 다르듯이 심장이라는 장기와 심장토대는 다르다. 청정도론의 설명을 알아보자. |
|
|
|
|
『청정도론 8장 111.』 |
|
|
|
|
|
|
|
|
|
|
|
|
|
|
|
|
|
|
|
심장이란 심장의 살이다.. 색깔로서 이것은 붉은 것이 마치 홍련 잎의 뒷면의 색깔이다. |
|
|
|
|
|
|
밖의 잎을 제거하고 거꾸로 놓아둔 연꽃봉우리의 형태이다. 밖은 부드럽고 안은 꼬사따끼 열매의 안과 |
|
|
|
비슷하다. 통찰지가 있는 자의 것은 약간 피었고, 통찰지가 둔한 자의 것은 봉우리의 상태이다. |
|
|
|
|
그 안에는 뿐나가 씨앗의 크기만한 구멍이 있다. |
|
|
|
|
|
|
|
|
|
|
|
|
|
그 속에 빠사따(4분의 1리터량, 여기서는 빗방울 크기) 반만큼의 피가 있다. |
|
|
|
|
|
|
|
|
그것을 의지하여 마노의 요소(의계)와 마노의 알음알이의 요소(의식계)가 활동한다. |
|
|
|
|
|
『청정도론 14장 60.』 |
|
|
|
|
|
|
|
|
|
|
|
|
|
|
|
|
|
|
|
심장토대는 의계와 의식계의 의지처가 되는 특징을 가진다. 그들에게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가진다. |
|
|
|
그들을 지님으로 나타난다. 심장 안에 있는 피를 의지해서 있다. … |
|
|
|
|
|
|
|
|
|
그것은 받치는 등의 기능을 하는 4대의 도움을 받는다. |
|
|
|
|
|
|
|
|
|
|
|
그것은 온도와 생각과 음식에 의해 지탱되고, 생명기능에 의해서 유지된다. |
|
|
|
|
|
|
|
|
그것은 마노의 요소와 마노의 알음알이의 요소와 또 이들과 함께 하는 법(현상)이 생기는 토대가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6) 생명의 물질(지위따 루빠, jīvita-rūpa) - 물질적 생명기능 |
|
|
|
|
|
|
|
|
* 아비담마에서는 2가지 생명기능(명근命根)을 설한다. |
|
|
|
|
|
|
|
|
|
|
|
|
물질적인 생명기능(jīvitindria,명근) - 육체적인 생명의 기능을 가진 물질을 여기서 물질의 생명기능이라 부른다 |
|
|
정신적인 생명기능(nāma, 명名) - 7가지 반드시에 속하는 심소 중 하나로서, 정신에 속한다. |
|
|
|
|
『청정도론 14장 59.』 |
|
|
|
|
|
|
|
|
|
|
|
|
|
|
|
|
|
|
|
생명기능은 함께 태어난 물질들을 지탱하는 특징을 가진다. 생명기능은 그들을 생기게 하는 역할을 가진다. |
|
|
그들이 존재함으로써 나타난다. 지속되어야 할 4대가 가까운 원인이다. |
|
|
|
|
|
|
|
|
비록 지탱하는 특징 등이 준비되어 있으나 함께 태어난 물질이 존재하는 그 순간에만 그들을 지탱한다, |
|
|
|
|
마치 물이 연꽃 등을 보호하는 것과 같이. |
|
|
|
|
|
|
|
|
|
|
|
|
|
비록 현상 등이 각각의 조건(자기의 업으로부터 생긴 것만을 의미함)에 따라 생기지만, |
|
|
|
|
|
|
|
생명기능은 오직 업으로부터 생긴 물질을 보호하기 때문에, 그 업으로 부터 생긴 것들을 지탱한다. |
|
|
|
마치 유모가 왕자를 보호하듯이. |
|
|
|
|
|
|
|
|
|
|
|
|
|
|
|
생명기능은 생겨난 현상과 동반하여 저 스스로 생겨난다, 마치 선장처럼. |
|
|
|
|
|
|
|
|
생명기능이 다한 뒤로는 생기게 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명근 자체도 없고 생겨야 할 것들도 없기 때문이다. |
|
|
생명기능이 무너지는 순간에는 존재를 지속시킬 수 없다. 이것 자체가 무너지고 있기 때문이다, |
|
|
|
|
|
기름이 닳은 심지가 등불을 지속시킬 수 없는 것처럼. |
|
|
|
|
|
|
|
|
|
|
|
|
그렇다고 생명기능이 지탱하고 생기게하고 지속시키는데 힘이 없다고 여겨서는 안된다. |
|
|
|
|
|
왜냐하면, 앞서 말한 그 순간에는 이러한 기능들을 모두 성취하기 때문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음식의 물질(아하라 루빠, āhāra-rūpa) - 영양소 |
|
|
|
|
|
|
|
|
|
|
* 아하라는 음식 혹은 자양분으로 옮기는데, 어원은 '가져온 것'이며, '음식'을 뜻한다. |
|
|
|
|
|
|
* 경에서는 다음의 4가지 음식(아하라 āhāra)을 설하셨다. |
|
|
|
|
|
|
|
|
|
|
|
|
(1) 덩어리로 된 음식(단식 段食 kabaḷika-āhāra, kabaliṁkāro āhāro) |
|
|
|
|
|
|
|
|
(2) 촉식(觸食 phassa-āhāra) |
|
|
|
|
|
|
|
|
|
|
|
|
|
|
|
|
(3) 의사식(意思食 mano-sañcetanā-āhāra) |
|
|
|
|
|
|
|
|
|
|
|
|
|
|
(4) 식식(識食 viññāṇa-āhāra) |
|
|
|
|
|
|
|
|
|
|
|
|
|
|
|
* 아비담마에서 아하라는 오직 물질적인 음식만을 뜻하며, 음식을 대개 까발리까 아하라라고 한정하여 사용한다. |
|
* 까발리까 아하라는 '덩어리로 된 음식'이란 뜻이며, 중국에서는 단식으로 옮겼다. |
|
|
|
|
|
|
|
이런 물질로 된 음식(아하라)을 아비담마에서는 영양소(ojā)라 부르며, 이 둘은 동의어로 취급한다. |
|
|
|
|
본문에서도 때에 따라 āhāra란 단어 대신에 ojā란 단어가 많이 나타난다. |
|
|
|
|
|
|
|
* 『청정도론 14장 70.』 |
|
|
|
|
|
|
|
|
|
|
|
|
|
|
|
|
|
|
먹을 수 있는 음식의 특징은 영양소이다. 그것의 역할은 물질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다. |
|
|
|
|
|
이것의 나타남은 물질을 지탱함이다. 그것의 가까운 원인은 덩이를 만들어 먹는 음식이다. |
|
|
|
|
|
먹을 수 있는 음식은 영양소의 다른 이름인데, 이것으로 중생들은 자신을 유지시킨다. |
|
|
|
|
|
* 영양소는 자양분(滋養分 자라게 하고 기르는 성분)을 뜻한다. |
|
|
|
|
|
|
|
|
|
|
☞ 참고 : 먹을 때 네가지 분명하게 알아차림 - 「대념처경」(D22) I-3. 분명하게 알아차림 |
|
|
|
|
|
원문 : §4 "...먹을 때도 마실때도 씹을 때도 맛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
|
|
|
|
|
|
설명 : 「대념처경 주석서」(각묵 스님 옮김) |
|
|
|
|
|
|
|
|
|
|
|
|
|
|
먹을 때(asite)라는 것은 탁발한 음식을 먹을 때라는 말이다. |
|
|
|
|
|
|
|
|
|
|
|
마실 때(pīte)라는 것은 죽 등을 마실 때라는 말이다. |
|
|
|
|
|
|
|
|
|
|
|
|
씹을 때(khāyite)라는 것은 가루반죽으로 만든 음식을 씹어 먹을 때라는 말이다. |
|
|
|
|
|
|
|
맛볼 때(sāyite)라는 것은 꿀이나 당밀 등을 맛볼 때라는 말이다. |
|
|
|
|
|
|
|
|
|
(1) 이익됨을 분명하게 알아차림 |
|
[행위의 목적] 해탈열반의 실현을 위함에 이익이 됨 |
|
|
|
|
|
여기서도 '즐기기 위해서가 아니요'라는 등의 여덟가지 설한 뜻을 이익이라 한다. |
|
|
|
|
|
|
|
「난다 경」(A8:9) §3. 난다 존자가 음식에서 적당한 양을 아는 방법 - 『청정도론』제1장 §90~94(Th1.983) |
|
|
|
"난다는 이렇게 지혜롭게 숙고하면서 음식을 수용한다. |
|
|
|
|
|
|
|
|
|
|
|
"①그것을 즐기기 위해서가 아니며, ②취하기 위해서가 아니며, ③치장을 하기 위해서도 아니며, ④장식을 위해 |
|
|
서도 아니며, ⑤단지 이 몸을 지탱하고, ⑥유지하고, ⑦잔인함을 쉬고, ⑧청정범행을 잘 지키기 위해서이다. |
|
|
그래서 나는 오래된 느낌을 물리치고, 새로운 느낌을 일어나게 하지 않을 것이다. |
|
|
|
|
|
|
나는 잘 부양될 것이고, 비난받을 일 없이 편안하게 머물 것이다."라고. |
|
|
|
|
|
|
|
|
이것을 통해서 '이익됨을 분명하게 알아차림'을 알아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적당함을 분명하게 알아차림 |
|
[현장 여건] : 불탐,부진,불치 |
|
|
|
|
|
|
|
|
|
거칠고 부드럽고 쓰고 단 것 등에서 어떤 음식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면 그것은 그에게 적당하지 않다. |
|
|
암시를 주는 등으로써 얻은 음식을 먹어 해로운 법들이 증장하고 유익한 법들이 없어져버리면 |
|
|
|
|
그 음식은 전적으로 적당하지 않다. |
|
|
|
|
|
|
|
|
|
|
|
|
|
|
|
이와 반대되는 것은 적당한 것이다. |
|
|
|
|
|
|
|
|
|
|
|
|
|
|
|
이를 통해서 '적당함을 분명하게 알아차림'을 알아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영역을 분명하게 알아차림 - 명상주제를 버리지 않음을 통해서 '영역을 분명하게 알아차림'을 알아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4) 미혹하지 않음을 분명하게 알아차림-1 |
[무아] : 마음의 작용, 지수화풍, 파생된 물질 - 의 작용 |
|
|
|
|
여기서 자아라는 어떤 것이 먹는 것이 아니다. |
|
|
|
|
|
|
|
|
|
|
|
|
|
앞서 설명한 마음의 작용에서 생긴 바람의 요소의 움직임에 의해서 발우에 음식을 받음이란 것이 있다. |
|
|
|
마음의 작용에서 생긴 바람의 요소의 움직임에 의해서 밥덩이를 만들고 밥덩이를 들어올리고 |
|
|
|
|
|
입을 벌리는 것이 있다. 누구도 열쇠나 기계로 턱뼈를 벌리지 않는다. |
|
|
|
|
|
|
|
|
마음의 작용에서 생긴 바람의 요소의 움직임에 의해서, 밥덩이를 입안에 넣고 윗니로 절구공이의 역할을 |
|
|
|
실행하고, 아랫니로 절구통의 역할을 하고, 혀로는 손의 역할을 실행한다. |
|
|
|
|
|
|
|
|
이처럼 혀끝에서 나온 묽은 침과 혀뿌리에서 나온 진한 침이 그 음식에 묻는다. |
|
|
|
|
|
|
|
그 음식은 아랫니라는 절구통에서 혀라는 손에 의해 돌려지고 침이라는 물에 잘 적셔서 |
|
|
|
|
|
윗니라는 절구공이로 잘 빻아진다. |
|
|
|
|
|
|
|
|
|
|
|
|
|
|
그것을 어떤 자가 주걱이나 숟가락으로 안으로 떠 넣는 것이 아니다. |
|
|
|
|
|
|
|
|
|
|
바람의 요소에 의해서 안으로 들어간다. |
|
|
|
|
|
|
|
|
|
|
|
|
|
매번 들어갈 때마다 어떤 자가 돗자리를 펴놓고 받치고 있는 것이 아니다. |
|
|
|
|
|
|
|
|
|
바람의 요소로 인해서 머문다. |
|
|
|
|
|
|
|
|
|
|
|
|
|
|
|
머물 때마다 어떤 자가 솥을 걸어놓고 불을 지펴 익게 하는 것이 아니다. |
|
|
|
|
|
|
|
|
|
불의 요소에 의해서 익는다. |
|
|
|
|
|
|
|
|
|
|
|
|
|
|
|
소화가 다 된 것을 어떤 자가 지팡이나 막대기로 밖으로 밀어내는 것이 아니다. |
|
|
|
|
|
|
|
|
바람의 요소가 밀어낸다. |
|
|
|
|
|
|
|
|
|
|
|
|
|
|
|
|
㉠이처럼 바람의 요소가 들어오게 하고, 넘어가게 하고, 받치고, 돌리고, 가루로 만들고, 마르게 하고, |
|
|
|
|
배출시킨다. |
|
|
|
|
|
|
|
|
|
|
|
|
|
|
|
|
|
|
㉡땅의 요소는 받치고, 돌리고, 가루로 만들고, 마르게 한다. |
|
|
|
|
|
|
|
|
|
|
|
㉢물의 요소는 침으로 적시고 물기를 유지한다. |
|
|
|
|
|
|
|
|
|
|
|
|
|
㉣불의 요소는 안으로 들어온 음식을 소화시킨다. |
|
|
|
|
|
|
|
|
|
|
|
|
㉤허공의 요소는 음식이 들어가는 통로가 된다. |
|
|
|
|
|
|
|
|
|
|
|
|
|
㉥알음알이의 요소는 이 모든 곳에서 바른 노력을 따라 기운다. |
|
|
|
|
|
|
|
|
|
|
요소들이 들어오게 하고, 넘어가게 하고, 받치고, 돌리고 등등의 행위를 한다. |
|
|
|
|
|
|
|
그 각각의 부분에서 물질과 더불어 - 일어날 때의 마음은 다른 것이고, 소멸할 때의 마음은 또 다른 것이어서 |
|
|
서로 서로 연속적으로, 마치 강물의 흐름처럼 일어난다. |
|
|
|
|
|
|
|
|
|
|
|
이와 같이 숙고함으로써, '미혹하지 않음을 분명하게 알아차림'을 알아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미혹하지 않음을 분명하게 알아차림-2 |
|
|
|
|
|
|
|
|
|
|
|
|
|
|
①걸식하러 가고 ②구하고 ③먹고 ④분비물과 섞이고 ⑤내장에 담기고 ⑥소화가 안되고 |
|
|
|
|
|
⑦소화가 되고 ⑧결과를 가져오고 ⑨배출하고 ⑩불결하게 됨 - 이런 10가지 혐오스러움을 반조함으로써 |
|
|
여기서 '미혹하지 않음을 분명하게 알아차림'을 알아야 한다. |
|
|
|
|
|
|
|
|
|
|
상세한 설명은 『청정도론』제11장. 5~25 음식에 대해서 혐오하는 인식의 해설을 통해 알아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상 18가지 구체적인 물질의 정리 |
|
|
|
|
|
|
|
|
|
|
|
|
|
|
ⅰ. 구체적 물질 18가지 |
|
|
|
|
|
|
|
|
|
|
|
|
|
|
|
|
|
|
I. 근본물질 |
II. 감성의 물질 |
III. 대상의 물질 |
IV. 性 |
VI. 생명의 물질 |
|
|
|
|
|
|
|
1. 땅의 요소 |
5. 눈의 감성 |
10. 색 |
14. 여성 |
17. 생명기능 |
|
|
|
|
|
|
|
2. 물의 요소 |
6. 귀의 감성 |
11. 소리 |
15. 남성 |
VII. 음식의 물질 |
|
|
|
|
|
|
|
3. 불의 요소 |
7. 코의 감성 |
12. 냄새 |
V. 심장의 물질 |
18. 영양소 |
|
|
|
|
|
|
|
4. 바람의 요소 |
8. 혀의 감성 |
13. 맛 |
16. 심장토대 |
|
|
|
|
|
|
|
|
|
|
|
|
|
9. 몸의 감성 |
|
|
|
|
|
|
|
|
|
|
|
|
|
|
|
ⅱ. 구체적 물질의 이름들 - 위 18가지 물질들을 아래와 같이 부른다. |
|
|
|
|
|
|
|
|
|
① |
본성을 가진 물질들이라 한다. - 모두 그 독특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 예) 땅의 요소에는 딱딱함의 특징. |
|
② |
모두 보편적 특징이 있는 물질들이라 한다. - 무상, 고, 무아의 3특상의 보편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 |
|
③ |
다시 구체적 물질이라 한다. - 업과 마음과 온도와 음식의 조건들에 의해서 생산되기 때문. |
|
|
|
|
④ |
또한 유형의 물질이라 한다. - '변형되는'이라는 물질의 근본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 |
|
|
|
|
⑤ |
또한, 명상할 수 있는 물질이라 한다. - 무상,고,무아의 3특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빳사나의 대상이 되기 때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추상적인 물질(anipphanna-rūpa 아니판나 루빠) 10가지 |
|
|
|
|
|
|
|
|
* 추상적인 물질은, 물질을 일으키는 원인인 업, 마음 온도, 음식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생기는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
|
|
추상적인 물질이라 부르며, 궁극적 실재(구경법, paramattha)에 포함되지 않는다. |
|
|
|
|
|
* 북방 아비다르마, 즉 설일체유부의 아비다르마에서는 이런 추상적인 물질을 물질에 포함시키지 않고, |
|
|
|
|
마음부수(심소心所)들에 포함시키고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한정하는 물질(빠릿체다 루빠, pariccheda-rūpa) - 허공의 요소(공계空界) |
|
|
|
|
* 빠릿체다는 '둘레를 자르다'는 문자적인 뜻에서 '제한, 경계, 한계, 크기' 등을 뜻한다. |
|
|
|
|
|
|
|
여기서는 제한하는 그 성질을 물질로 간주하여 빠릿체다 루빠로 표현하며, 구체적으로 허공의 요소를 들고 있다 |
|
* 허공의 요소(공계空界, 아까사 다뚜, ākāsa-dhātu) |
|
|
|
|
|
|
|
|
|
|
|
|
|
인도철학 전반에서는 허공을 근본물질에 포함시켜서, 지수화풍공(空)의 5대(大)를 설하지만, |
|
|
|
|
|
불교에서는 4대만을 인정한다. 불교에서는 허공을 물질을 제한하는 기능으로 파악하여 |
|
|
|
|
|
|
근본물질로는 인정하지 않고 추상적인 물질의 영역에 포함시키고 있다. |
|
|
|
|
|
|
|
|
이런 제한하는 요소가 없이는 물질의 최소단위들이 여러 가지로 모여서 한 특정한 형상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 |
|
|
그러나, 기하학적인 크기를 가진 그런 단위로는 인정하지 않는다. 그래서, 타이틀로는 빠릿체다(제한)로 하고 |
|
|
내용으로는 ākāsa-dhātu(허공의 요소)라 하여 인도 사상계에서 사용하는 다섯 번째의 다뚜를 받아들이고 있다. |
|
* 『청정도론 14장 63.』 |
|
|
|
|
|
|
|
|
|
|
|
|
|
|
|
|
|
|
허공의 요소의 특징은 물질의 범위를 정하는 것(빠릿체다)이다. |
|
|
|
|
|
|
|
|
|
|
그것의 역할은 물질의 경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것은 물질의 한계로써 나타난다. |
|
|
|
|
|
|
또는 닿지 않는 상태와 구멍과 공간의 상태로 나타난다. 그것의 가까운 원인은 한정된 물질이다. |
|
|
|
|
이 허공의 요소 때문에 한정된 물질들을 이것은 저것보다 위이고, 아래이며, 맞은 편이라고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9) 암시의 물질(viññatti-rūpa 윈냣띠 루빠) - 몸의 암시, 말의 암시 |
|
|
|
|
|
|
|
* viññatti는 문자적으로 '알게하다'이며, '암시, 통지, 알게 함' 등의 뜻으로 쓰인다. |
|
|
|
|
|
|
|
* 아비담마에서 암시(viññatti)는 '이것으로 사람이 그의 생각이나 느낌이나 의향 등을 전달하는 것'을 말하며 |
|
|
|
몸의 암시와 말의 암시 두 가지를 설한다. |
|
|
|
|
|
|
|
|
|
|
|
|
① |
몸의 암시(kāya-viññatti) |
|
|
|
|
|
|
|
|
|
|
|
|
|
|
|
|
|
* 『청정도론14장 61』 |
|
|
|
|
|
|
|
|
|
|
|
|
|
|
|
|
|
|
|
마음에 의해 생긴 바람의 요소(풍계)가 앞으로 나아가는 등의 행동을 생기게 한다. |
|
|
|
|
|
|
이 바람의 요소의 형태 변화를 몸의 암시라 한다. 이것은 동시에 태어난 물질의 몸을 뻣뻣하게 하고, |
|
|
|
지탱하고, 움직이는 조건(paccaya)이다. 이것의 역할은 의도하는 것을 넌지시 알리는 것이다. |
|
|
|
|
|
이것은 몸을 움직이는 원인(hetu)으로 나타난다. 이것의 가까운 원인은 마음으로부터 생긴 바람의 요소이다. |
|
|
몸의 암시는 몸의 움직임을 통하여 의도한 것을 알리는 원인이고, |
|
|
|
|
|
|
|
|
|
|
또 그 자체가 몸을 통하여 즉 몸의 움직임을 통하여 알아져야 하기 때문에 몸의 암시라 한다. |
|
|
|
이 몸의 암시는 마음으로부터 생긴 물질을 움직인다. |
|
|
|
|
|
|
|
|
|
|
|
|
또한 온도로부터 생긴 물질 등도 이 마음으로부터 생긴 물질과 서로 연관되어 있는데, 그들이 움직이기 때문에 |
|
|
|
앞으로 나아가는 등의 행동이 생긴다고 알아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
말의 암시(vacī-viññatti) |
|
|
|
|
|
|
|
|
|
|
|
|
|
|
|
|
|
* 『청정도론14장 62』 |
|
|
|
|
|
|
|
|
|
|
|
|
|
|
|
|
|
|
|
마음으로부터 생긴 땅의 요소(지계)가 특정한 말을 하게 한다. 이 땅의 요소의 형태변화를 말의 암시라 한다. |
|
|
말의 암시는 업에서 생긴 물질과 서로 부딪치는 조건이다. 이렇게 마음에서 생긴 땅의 요소와 업에서 생긴 땅의 |
|
|
|
요소가 부딪쳐서 소리가 생긴다. 말의 암시의 역할은 의도하는 것을 넌지시 알리는 것이다. |
|
|
|
|
이것은 말하는 소리를 내는 원인으로 나타난다. 이것의 가까운 원인은 마음으로부터 생긴 지대이다. |
|
|
|
이것은 말하는 소리를 통하여 의도한 것을 알리는 원인이고, 또 그 자체가 말을 통하여 즉 말하는 소리를 통하여 |
|
|
|
알 수 있기 때문에, 말의 암시라 한다. |
|
|
|
|
|
|
|
|
|
|
|
|
|
|
마치 물이 있음을 암시해 주는 숲 속에 높이 매달려 있는 소의 두개골 등을 보면, '아 여기에 물이 있구나'라고 |
|
|
|
알듯이 몸의 움직임을 보거나 말하는 소리를 듣고서 사람들은 몸의 암시와 말의 암시를 안다. |
|
|
|
|
|
|
|
|
|
|
|
|
|
|
|
|
|
|
|
|
|
|
|
10) 변화의 물질(위까라 루빠 vikāra-rūpa) - 물질의 가벼움, 물질의 부드러움, 물질의 적합함 |
|
vikāra는 '다르게 된다'는 문자적인 뜻에서 '변화, 변경, 왜곡, 비틀어짐' 등을 뜻한다. |
|
|
|
|
|
|
아비담마에서는 위까라는 구체적인 물질의 특정한 형태나 드러남을 뜻하는 용어로 쓰인다. |
|
|
|
|
|
위에서 설명한 두 가지 암시도 넓은 의미에서는 위까라에 속하지만, 세분하여 암시와 변화로 나누어 분류하고 있다. |
|
변화에는 가벼움, 부드러움, 적합함이 있는데, 이미 유익한 심소에도 나타났는데 거기서는 마음과 마음부수들에 해당 |
|
하므로 정신적인 것이고, 여기서의 변화는 물질에 해당하는 것이다. |
|
|
|
|
|
|
|
|
① |
물질의 가벼움(rūpassa lahutā) |
|
|
|
|
|
|
|
|
|
|
|
|
|
|
|
|
* 『청정도론14장』 |
|
|
|
|
|
|
|
|
|
|
|
|
|
|
|
|
|
|
|
64. 물질의 가벼움은 느리지 않음이 그 특징이다. 그것은 물질의 무거움을 떨쳐 버리는 역할을 한다. |
|
|
|
그것은 신속하게 변화하는 역할로 나타난다. 그것의 가까운 원인은 가벼운 물질이다…. |
|
|
|
|
|
65. 이 [가벼움, 부드러움, 적합함의] 셋은 각각 서로 떨어져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그러나, 이 셋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이 알아야 한다. |
|
|
|
|
|
|
|
|
|
|
|
물질의 가벼움은 마치 건강한 사람에게서 발견되는 가벼움처럼, 물질의 가벼움, 느리지 않음, |
|
|
|
|
신속하게 변화하는 형태 등의 물질의 변화이다. |
|
|
|
|
|
|
|
|
|
|
|
|
이 가벼움, 부드러움, 적합함 이 셋의 물질의 변화는 |
|
|
|
|
|
|
|
|
|
|
|
|
4대의 부조화를 막는 원인인 알맞은 온도, 좋은 음식, 편안한 마음, 이 셋에 의해 생겼고 |
|
|
|
|
|
또한, 구분없이 온도, 음식, 마음, 업 이 네가지가 세가지 물질변화의 원인이다. |
|
|
|
|
|
|
4대의 부조화는 물질의 느린 성질을 초래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
물질의 부드러움(rūpassa mudutā) |
|
|
|
|
|
|
|
|
|
|
|
|
|
|
|
* 『청정도론14장』 |
|
|
|
|
|
|
|
|
|
|
|
|
|
|
|
|
|
|
|
64. … 물질의 부드러움은 뻣뻣하지 않음이 그 특징이다. 그것은 물질의 뻣뻣함을 떨쳐버리는 역할을 한다. |
|
|
그것은 어떤 행위에서나 거역하지 않음으로 나타난다. 그것의 가까운 원인은 부드러운 물질이다…. |
|
|
|
65. … 물질의 부드러움은 마치 잘 문질러진 가죽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물질의 유연성처럼 |
|
|
|
|
여러 다른 행위들에서 마음껏 기량을 발휘하는 순응성의 형태 등의 물질의 변화이다. |
|
|
|
|
|
이 물질의 변화는 4대의 부조화를 막는 원인에 의해 생겼고, 4대의 부조화는 물질의 뻣뻣함을 초래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③ |
물질의 적합함(rūpassa kammaññatā) |
|
|
|
|
|
|
|
|
|
|
|
|
|
|
|
* 『청정도론14장』 |
|
|
|
|
|
|
|
|
|
|
|
|
|
|
|
|
|
|
|
65. …. 물질의 적합함은 몸으로 짓는 행위와 조화되도록 다루기 쉬움이 그 특징이다. |
|
|
|
|
|
|
부적합함을 떨쳐 버리는 역할을 한다. 힘이 없지 않음으로 나타난다. |
|
|
|
|
|
|
|
|
그것의 가까운 원인은 다루기 쉬운 물질이다. |
|
|
|
|
|
|
|
|
|
|
|
|
66. … 물질의 적합함은 마치 잘 정제된 금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물질의 적합성, 몸으로 짓는 행위들에 대해 |
|
|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형태 등의 물질의 변화이다. 이 물질의 변화는 4대의 부조화를 막는 원인에 의해 |
|
|
생겼고, 4대의 부조화는 몸으로 짓는 행위에 대해 적합하지 못함을 초래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특징의 물질(락카나 루빠 lakkhaṇa-rūpa) - 생성, 상속, 쇠퇴, 무상함 |
|
|
|
|
|
|
* 이것은 네 가지 물질의 속성을 포함한다. 이들 가운데서 생성과 상속은 물질의 일어남(samudaya) 혹은 생김(jāti 生) |
|
|
을 나타내는 술어이다. 이 둘 가운데 생성은 물질의 과정이 일어남, 즉 과정의 처음 시작을 뜻하며 |
|
|
|
|
상속은 이런 물질의 과정이 반복해서 일어나는 현상을 뜻한다. 예를들면 입태 때에 몸과 성과 심장토대가 |
|
|
생성되는 것은 적집이고, 전 삶의 과정에서 같은 물질의 무리(깔라빠)들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은 상속이다. |
① |
생성(upacaya) |
|
|
|
|
|
|
|
|
|
|
|
|
|
|
|
|
|
|
|
* upacaya는 '위로 쌓아올리다'는 문자적인 뜻 그대로 '적집, 무더기, 더미' 등을 뜻하며, |
|
|
|
|
|
|
아비담마에서는 물질이 처음 일어나는 것을 뜻하므로 생성이라고 옮겼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
상속(santati 相續) |
|
|
|
|
|
|
|
|
|
|
|
|
|
|
|
|
|
|
* santati는 '함께 퍼져나가다'라는 문자적인 뜻에서, '연속, 지속, 흐름, 생존' 등의 뜻으로 쓰인다. |
|
|
|
|
|
함께(saṁ)의 의미를 살려서 상속(相續)으로 옮겼다. 본서의 다른 문맥에서는 모두 '흐름'으로 옮겼다. |
|
|
『청정도론14장』 |
|
|
|
|
|
|
|
|
|
|
|
|
|
|
|
|
|
|
|
66. 물질의 생성은 시작이 특징이다. 생성의 역할은 물질을 처음으로 출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
|
|
|
|
건네줌이나 완성된 상태로 나타난다. 가까운 원인은 적집된 물질이다. |
|
|
|
|
|
|
|
|
물질의 상속은 활동하는 특징이 있다. 상속의 역할은 붙들어 매는 것이다. 상속으로 나타난다. |
|
|
|
|
가까운 원인은 붙들어 매야 할 물질. 생성과 상속은 물질이 처음 생길 때의 용어인데, 둘의 형태가 다르기도 |
|
|
하고, 또 배우는 사람의 근기가 달라 개요의 가르침에서 "물질의 생성, 물질의 상속"이라고 했다. |
|
|
|
하지만, 뜻으로 볼 때는 차이가 없기 때문에, 해설의 가르침에서는 이 둘을 "여섯 감각장소(六入)의 시작은 |
|
|
물질의 생성이고, 물질의 생성은 물질의 상속이다.(Dhs.144)"라고 했다. |
|
|
|
|
|
|
|
|
67. 주석서에서 "시작은 처음 생김이고, 생성은 증진이며, 상속은 활동함이다(DhsA.641)"라고 설한 뒤, |
|
|
|
"시작을 처음 생김이라 한 것은 마치 강둑에 웅덩이를 팠을 때 물이 솟아나는 시간과 같고 |
|
|
|
|
생성을 증진이라 한 것은 마치 물이 웅덩이에 가득 고이는 시간과 같고 |
|
|
|
|
|
|
|
|
상속을 활동이라 한 것은 마치 그 물이 넘쳐 흘러가는 것과 같다.(DhsA.641)"고 비유를 들었다. |
|
|
|
비유를 든 뒤 다음과 같이 설했다. "무엇이 설해졌는가? 육입으로 시작이 설해졌다. 시작을 통하여 |
|
|
|
육입이 설해졌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설해졌다고 알아야 한다. |
|
|
|
|
|
|
|
|
|
물질들이 처음으로 생기는 것을 시작이라 하며, 이에 덧붙여 다른 물질들이 생기는데 그들의 생김을 |
|
|
생성이라 한다. 왜냐하면, 이것은 증진의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
|
|
|
|
|
|
|
|
이에 덧붙여 또 다른 물질들이 계속해서 생기는데 그들의 생김을 상속이라 한다. |
|
|
|
|
|
|
왜냐하면, 이것은 붙들어 매는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 |
쇠퇴(jaratā) |
|
|
|
|
|
|
|
|
|
|
|
|
|
|
|
|
|
|
|
* 쇠퇴(jaratā)는 '늙어감, 늙음, 낡음, 쇠퇴' 등의 뜻이 있다. 여기서는 물질 일반에 다 적용되는 말이므로 쇠퇴라고 옮김. |
|
* 『청정도론14장 68』 |
|
|
|
|
|
|
|
|
|
|
|
|
|
|
|
|
|
|
|
쇠퇴의 특징은 물질의 성숙이다. 그것의 역할은 종말로 인도하는 것이다. 그것의 나타남은 마치 묵은 쌀처럼 |
|
|
비록 본성을 잃지는 않았지만, 새로움(싱싱함)을 잃은 것이다. 그것의 가까운 원인은 성숙되어 가는 물질이다. |
|
|
부러진 치아 등으로 치아에 변화를 발견하기 때문에, 이것은 분명한 늙음에 관해서 말한 것이다. |
|
|
|
|
정신의 늙음은 가려진 늙음이라 한다. 왜냐하면 정신의 늙음에는 변화를 볼 수 없기 때문이다. |
|
|
|
|
흙, 물, 바위, 달, 태양 등의 늙음은 간단없는(avīci 잠시도 끊임없는) 늙음이라 한다. |
|
|
|
|
④ |
무상함(aniccatā 無常) |
|
|
|
|
|
|
|
|
|
|
|
|
|
|
|
|
|
* 『청정도론14장 69』 |
|
|
|
|
|
|
|
|
|
|
|
|
|
|
|
|
|
|
|
물질의 무상함의 특징은 완전히 부서짐이다. 그것의 역할은 가라앉게 함이다. |
|
|
|
|
|
|
|
그것의 나타남은 파괴와 사라짐이다. 그것의 가까운 원인은 부서지고 있는 물질이다. |
|
|
|
|
* 청정도론에서는 이렇게 물질들을 28가지로 정의한뒤, 다른 학파에서 주장하는 힘(bala), 근원(sambhava) |
|
|
|
|
태어남(jāti), 병(roga), 혼침(middha) 등은 물질이 아니라고 논박한다. |
|
|
|
|
|
|
|
|
|
특히 혼침이 물질이라고 하는 아바야기리(Abhayagiri 무외산)파의 견해를 논박한다. 후대의 주석가들도 |
|
|
|
모두 혼침은 물질이 아니라고 논박하고 있다. 그럼 청정도론을 통해서 이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
|
|
* 『청정도론14장 71』 |
|
|
|
|
|
|
|
|
|
|
|
|
|
|
|
|
|
|
|
"참으로 당신은 성인이시며 정각자이십니다. 더 이상 장애들은 없습니다.(Sn.541)"라는 말로써 |
|
|
|
|
혼침이라는 물질은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첫 번째로 논파되었다. 혼침은 장애의 요소이며, |
|
|
|
|
|
깨달으면 혼침은 사라진다. 그런데, 깨달아도 물질은 있으니까, 혼침은 물질이 아니다. |
|
|
|
|
|
|
병은 늙음과 무상함에 포함되고, 태어남이라는 물질은 적집과 상속에 포함되며, 근원이라는 물질은 물의 요소에, |
|
|
힘이라는 물질은 바람의 요소에 이미 포함되었다. 그 중 단 하나도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의견일치됨 |
|
|
이 24가지 파생된 물질과 앞서 말한 4가지 근본물질을 합하여 모자라지도 넘치지도 않게 28가지가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결론 |
* 구체적인 물질 18가지 - 근본물질4(지수화풍), 감성의물질5(안이비설신의 감성), 대상의물질4(색성향미) |
|
|
|
성2(여성,남성), 심장의물질1(심장토대), 생명의물질1(생명기능), 음식의물질1(영양소) |
|
|
|
|
|
* 추상적인 물질 10가지 - 제한1(허공요소), 암시2(몸,말의 암시), 변화3(가벼움,부드러움,적합함) |
|
|
|
|
|
특징4(생성,상속,쇠퇴,무상함) |
|
|
|
|
|
|
|
|
|
|
|
|
|
|
|
* 근본물질4, 파생된 물질24(감성~특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구체적 물질 18가지 |
|
|
|
|
|
|
|
|
|
|
|
|
|
|
|
|
|
|
I. 근본물질 |
II. 감성의 물질 |
III. 대상의 물질 |
IV. 性 |
VI. 생명의 물질 |
|
|
|
|
|
|
|
1. 땅의 요소 |
5. 눈의 감성 |
10. 색 |
14. 여성 |
17. 생명기능 |
|
|
|
|
|
|
|
2. 물의 요소 |
6. 귀의 감성 |
11. 소리 |
15. 남성 |
VII. 음식의 물질 |
|
|
|
|
|
|
|
3. 불의 요소 |
7. 코의 감성 |
12. 냄새 |
V. 심장의 물질 |
18. 영양소 |
|
|
|
|
|
|
|
4. 바람의 요소 |
8. 혀의 감성 |
13. 맛 |
16. 심장토대 |
|
|
|
|
|
|
|
|
|
|
|
|
|
9. 몸의 감성 |
|
|
|
|
|
|
|
|
|
|
|
|
|
|
|
ii. 추상적인 물질 10가지 |
|
|
|
|
|
|
|
|
|
|
|
|
|
|
|
|
|
|
VIII. 제한 |
X. 변화 |
XI. 특징 |
|
|
|
|
|
|
|
|
|
|
|
|
19. 허공의 요소 |
22. 물질의 가벼움 |
25. 생성 |
|
|
|
|
|
|
|
|
|
|
|
|
IX. 암시 |
23. 물질의 부드러움 |
26. 상속 |
|
|
|
|
|
|
|
|
|
|
|
|
20. 몸의 암시 |
24. 물질의 적합함 |
27. 쇠퇴 |
|
|
|
|
|
|
|
|
|
|
|
|
21. 말의 암시 |
|
|
|
|
28. 무상함 |
|
|
|
|
|
|
|
|
|
|
II. 물질의 분류(rūpa-vibhāga) |
|
|
|
|
|
|
|
|
|
|
|
|
|
|
1. 한 가지로서 분류 |
|
|
|
|
|
|
|
|
|
|
|
|
|
|
|
|
|
① |
모든 물질은 원인을 갖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왜냐하면 유익하거나(善선) 해롭거나(不善불선) 판단할 수 없는(無記무기), 이런 원인은 모두 정신적인 법들과 관련이 |
|
있기 때문이다. 아비담마에서는 [탐,진,치,불탐,부진,불치]의 여섯을 원인(헤뚜hetu)이라 하며 물질이 아니다. |
|
② |
모든 물질은 조건을 가진다. 왜냐하면, 물질은 업, 마음, 온도, 음식을 조건으로 해서 생성되기 때문이다. |
|
③ |
모든 물질은 번뇌와 함께 한다. 왜냐하면, 물질은 네 가지 번뇌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즉, 번뇌에 물들기 쉽다. |
|
☞예습 [네 가지 번뇌(7장 §3)] - (i)감각적 욕망의 번뇌 (ii)존재의 번뇌 (iii)사견의 번뇌 (iv)무명의 번뇌 |
|
|
④ |
모든 물질은 형성된 것이고 ⑤ 모든 물질은 세간적이다. |
|
|
|
|
|
|
|
|
|
|
|
왜냐하면, ['나 등으로] 취착하는 다섯 무더기(五取蘊 오취온)'의 세계를 넘어서서는 물질이 없기 때문이다. |
|
⑥ |
모든 물질은 욕계에 속한다. 색계에도 물론 물질이 존재하지만, 물질은 그 성질상 욕계에 속한다. |
|
|
|
|
왜냐하면, 물질은 감각적인 갈애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
|
|
|
|
|
|
|
|
|
|
⑦ |
물질은 대상을 가지지 않는다. 마음과는 달리 물질은 대상을 인지하지 못한다. |
|
|
|
|
|
|
⑧ |
물질은 4가지 출세간 도(예류도, 일래도, 불환도, 아라한도)를 통해서 번뇌를 버리는 것처럼 버릴 수 없다. |
|
|
이런 의미에서 다른 주석서에서는 '물질은 버릴 수 없음' 대신에 '물질은 도가 아님'을 들기도 한다. |
|
|
|
* 『청정도론14장』 |
|
|
|
|
|
|
|
|
|
|
|
|
|
|
|
|
|
|
|
72. 이 모든 것은 "원인이 아니고 원인을 갖지 않으며, 원인과 함께 하지 않고 조건을 가지며, |
|
|
|
|
세간적이고, 번뇌에 물들기 쉽다(Dhs.124-25)"라는 측면에서 볼 때 1가지이다. |
|
|
|
|
|
* [청정도론]과 [담마상가니(법집론)]에는 '대상을 가지지 않음'과 '버릴수없음' 혹은 '도가아님'이 나타나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2. 여러가지로써 분류 |
|
|
|
|
|
|
|
|
|
|
|
|
|
|
|
|
|
1) 안의 물질(ajjhattika-rūpa)과 밖의 물질(bahira-rūpa) |
|
|
|
|
|
|
|
|
|
* 안(ajjhattika)이란 말은 '자신에 대해서'라는 뜻이다. 여기서는 나의 개체 안에 있는 물질, 즉 다섯 가지 감성을 뜻함. |
|
|
물론 육체 안에서 다른 여러 가지 물질적인 현상이 일어나지만, 아비담마에서는 오직 이 다섯 가지 감성만을 |
|
|
안의 물질이라고 말한다. |
|
|
|
|
|
|
|
|
|
|
|
|
|
|
|
|
* 안의 물질은, 눈의 감성, 귀의 감성, 코의 감성, 혀의 감성, 몸의 감성, 이렇게 다섯가지 감성만을 말한다. |
|
|
* 밖의 물질 23가지 : 근본물질4,대상의물질4,성2,심장의물질1,생명의물질1,음식의물질1,제한1,암시2,변화3,특징4 |
|
* 『청정도론14장 73.』 |
|
|
|
|
|
|
|
|
|
|
|
|
|
|
|
|
|
|
그 중에서 눈부터 시작하여 처음 다섯 가지는 안의 물질이라 한다. 왜냐하면, 이들은 몸을 의지하여 생기기 |
|
|
때문이다. 그 나머지는 바깥물질이라 한다. 왜냐하면 몸의 외부에 있기 때문이다. … |
|
|
|
|
2) 토대(vatthu)와 토대가 아닌 것(avatthu) |
|
|
|
|
|
|
|
|
|
|
|
|
* 토대의 물질 6가지 - 5가지 감성의 물질과 심장토대, 나머지 22가지는 토대가 아닌 것(3장 참조) |
|
|
3) 문(門, dvāra)과 문이 아닌 것(advāra) |
|
|
|
|
|
|
|
|
|
|
|
|
* 5가지 감성은 인식의 문이다. 즉, 마음과 마음부수들이 그들의 대상과 만나는 곳이다. |
|
|
|
|
|
|
* 몸의 암시는 행위의 문으로서, 신행의 문이다. |
|
* 말의 암시는 행위의 문으로서, 구행의 문이다. |
|
|
|
* 문의 물질 7가지 : 5가지 감성의 물질과 암시2가지, 나머지 21가지는 문이 아닌 것 |
|
|
|
|
|
|
* 『청정도론14장 78.』 |
|
|
|
|
|
|
|
|
|
|
|
|
|
|
|
|
|
|
심장이라는 물질은 토대이고 문은 아니다. 한 쌍의 암시는 문이고 토대는 아니다. |
|
|
|
|
|
|
|
감성을 가진 물질은 토대이자 문이다. 나머지는 토대도, 문도 아니다. … |
|
|
|
|
|
|
4) 기능(根 indriya)의 기능이 아닌 것(an-indriya) |
|
|
|
|
|
|
|
|
|
|
* 다섯 가지 감성은 기능이라 불린다. 이들은 이들의 대상을 제어하는 힘(indra)을 행사하기 때문이다. |
|
|
|
* 5가지 감성은 각각 보고 듣고 냄새맡고 맛보고 맞닿는 독특한 기능으로 각각의 대상을 제어한다. |
|
|
|
* 성의 기능(bhāva-indriya)은 남성이나 여성의 특징과 특성이 나타나게 하는 기능을 가지며 |
|
|
|
|
* 생명기능(명근命根, jīvita-indriya)은 마치 선장이 배를 제어하듯이, 함께 존재하는 물질들을 제어한다. |
|
|
* 기능의 물질 8가지 : 5가지 감성의 물질과 성2가지와 생명기능1, 나머지 20가지는 아닌 것 |
|
|
|
|
* 『청정도론14장 73.』 |
|
|
|
|
|
|
|
|
|
|
|
|
|
|
|
|
|
|
… 감성이 있는 물질과 여성의 기능부터 시작하여 세 가지, [이 여덟 가지]는 '다스린다(adhipati)'는 뜻에서 |
|
|
기능(근根)이라 한다. 그 나머지는 기능이 아니다. 앞의 것과 반대되기 때문이다. |
|
|
|
|
|
5) 거친 것(oḷārika)과 미세한 것(sukhuma) 6) 먼 것(santike)과 가까운 것(dure) |
|
|
7) 부딪침이 있는 것(sappaṭigha)과 부딪침이 없는 것(appaṭigha) |
|
|
|
|
|
|
|
* 이 용어들은 전문술어로 쓰인 것이어서, 일반적인 단어의 뜻과 혼돈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
|
|
|
|
|
이들은 다섯가지 알음알이(전오식前五識)가 일어나는 도구가 되는 물질의 현상에만 국한되어서 사용되어야 함. |
|
|
이들은 대상의 크기나 거리 등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용어들이다. |
|
|
|
|
|
|
|
|
* 거칠고 가깝고 부딪침이 있는 것은 12가지 물질이다. 즉, 5가지 감성의 물질과 7가지 대상의 물질이다. |
|
|
|
아비담마에서는 감촉(촉觸 phoṭṭhabba)은 땅의 요소, 불의 요소, 바람의 요소, 이 3가지로 보기 때문에 |
|
|
대상은 색,성,향,미,지계,화계,풍계, 이렇게 모두 일곱가지가 되는 것이다. |
|
|
|
|
|
|
|
|
이들 12가지는 전오식을 일으키는데 직접 관여하기 때문에, 거칠고 가깝고 부딪침이 있다고 하고, |
|
|
|
|
나머지 16가지는 전오식을 일으키는데 직접 관여하지 않으므로 미세하고 멀고 부딪침이 없다고 한다. |
|
|
|
거듭 말하지만, 크기나 거리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
|
|
|
|
|
|
|
|
|
|
|
* 미세하고 멀고 부딪침이 없는 물질 16가지 - 물의요소, 여성, 남성, 심장토대, 생명기능, 영양소, 추상10가지 |
|
* 위의 분류는 크기나 거리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
|
|
|
|
|
|
|
|
|
|
|
|
* 『청정도론14장 73.』 |
|
|
|
|
|
|
|
|
|
|
|
|
|
|
|
|
|
|
… 눈부터 시작하여 아홉개와 물의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세가지 요소, 이 12가지는 거친 물질이다. |
|
|
|
왜냐하면, 이들은 부딪힘에 의해서 알아지기 때문이다. 그 나머지는 앞의 것과 반대되기에 미세한 물질이다. |
|
|
미세한 것(18가지)은 먼 것이다. 왜냐하면 그 본성을 꿰뚫기 어렵기 때문이다. |
|
|
|
|
|
|
|
그 나머지(12가지)는 가까운 것이다. 그 본성을 쉽게 꿰뚫기 때문이다. … |
|
|
|
|
|
|
8) 취착된 것(uppdinna)과 취착되지 않은 것(anuppadinna) |
|
|
|
|
|
|
|
|
* 업에서 생긴 18가지 물질(구체적물질-소리+허공)은 '취착된 것'이라 한다. |
|
|
|
|
|
|
|
|
|
왜냐하면, 이들은 갈애와 사견이 원동력이 된 업의 과보로 인해 얻어진 것들이기 때문이다. |
|
|
|
|
|
업이 아닌 다른 원인으로 인해 생긴 물질을 '취착되지 않은 것'이라 한다. |
|
|
|
|
|
|
|
* 그러나, 전문적인 측면이 아닌, 일반적인 관점에서 말하자면, 우리 몸에서 감각기관을 구성하는 물질들은 |
|
|
|
모두 '취착된 것'이라고 해야하고, 나머지는 '취착되지 않은 것'이라 해야 할 것이다. |
|
|
|
|
|
* 여기서 주의할 점은, 이 분류에서 나타나는 한 쌍의 다른 술어들과는 달리 이 '취착된 것'과 '취착되지 않은 것'은 |
|
|
서로를 배제하는 양도논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업에서 생긴 물질 가운데 아홉 가지는 |
|
|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
|
|
|
|
|
|
|
|
|
|
|
|
|
아위닙보가 8가지와 허공은 업, 마음, 온도, 음식(영양소) 네가지 모두에서 생길 수 있다. |
|
|
|
|
* 업이 아닌 다른 원인으로 인해 생긴 물질을 '취착되지 않은 것'이라 한다. |
|
|
|
|
|
|
|
9) 볼 수 있는 것(sanidassana)과 볼 수 없는 것(anidassana) |
|
|
|
|
|
|
|
|
* 오직 눈으로 볼 수 있는가 없는가 하는 측면에서 물질을 분류하고 있다. |
|
|
|
|
|
|
|
|
* 대상 가운데 오직 형색(색=형색=형상과 색깔)만이 눈으로 볼 수 있고 부딪침도 있다. 나머지는 모두 볼 수 없다. |
|
* 『청정도론14장 74.』 |
|
|
|
|
|
|
|
|
|
|
|
|
|
|
|
|
|
|
… 거친 물질 중에서도 형상은 볼 수도 있고 부딪힘도 있다. |
|
|
|
|
|
|
|
|
|
|
|
그 나머지(성,향,미,지계,화계,풍계의 6가지 대상과 감성의 물질5가지)는 볼 수 는 없고 부딪힘은 있다. |
|
|
|
모든 미세한 물질(16가지)은 볼 수도 없고 부딪침도 없다. … |
|
|
|
|
|
|
|
|
|
☞ (참고) 온, 처 계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에서 물질28가지에서 추상적 물질10가지를 뺀 구체적 물질18가지와 마음부수법들52가지, 마음1가지, 열반1가지 |
|
|
이렇게 72가지를 실재하는 구경법이라고 하며, 열반을 제외한 71가지는 위빳사나의 대상이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10) 대상을 취하는 것(gocara-ggahika)과 대상을 취하지 않는 것(agocara-ggahika) |
|
|
|
* 대상을 받아들이는 물질인 5가지 감성은 '대상을 취하는 것'이고, 그 이외의 물질들은 '대상을 취하지 않는 것'이다. |
|
|
gocara-gahika는 대상을 쥐는 것을 뜻한다. 즉, 감각기능인 감성의 물질은 대상을 아는 것이 아니고 |
|
|
|
단지 대상을 쥐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감성은 물질이기 때문에 대상을 알지 못한다. |
|
|
|
|
|
|
그래서 gocaraggahika는 감성이 대상을 취하면 그에 해당하는 알음알이가 대상을 안다는 뜻을 |
|
|
|
|
내포하고 있는 표현이다. |
|
|
|
|
|
|
|
|
|
|
|
|
|
|
|
|
* 아비담마에 의하면 눈과 귀의 감성은 그 각각의 대상으로 가지 않고(asampatta) 즉 대상과 직접 접촉을 하지 않고 |
|
|
눈의 알음알이나 귀의 알음알이가 대상을 인지한다고 한다. 그와는 반대로 나머지 세(코,혀,몸) 감성은 |
|
|
|
그 대상과 직접 접촉해서(sampatta) 그 각각의 알음알이가 대상을 인지한다. |
|
|
|
|
|
|
11) 분리할 수 없는 것(avinibbhoga 아위닙보가)과 분리할 수 있는 것(vinibbhoga 위닙보가) |
|
* 위닙보가는 '분리해서 아래로 구부리다'라는 문자적인 뜻에서, '분리, 구분, 차별'을 나타낸다. |
|
|
|
|
* 아비담마에서는 사대(四大)와 형상(rūpa), 냄새(gandha), 맛(rasa), 영양소(ojā)의 여덟을 '분리할 수 없는 것'이란 |
|
|
용어를 써서 표현하고 있는데, 이들은 항상 서로 묶여서 가장 단순한 형태에서부터 아주 복잡한 것에 |
|
|
|
이르기까지 모든 물질적인 대상에 현현해 있기 때문이다. |
|
|
|
|
|
|
|
|
|
|
|
다시 말하자면 이 여덟가지는 물질의 무리(깔라빠, kalāpa)를 이루는 최소의 구성요소라는 것이다. |
|
|
|
|
그래서 이 여덟 가지로만 구성된 깔라빠를 '순수한 팔원소(suddhaṭṭhaka)'라고 표현하고 있다. |
|
|
|
|
모든 깔라빠는 이들 여덟가지를 기본으로 하고, 그 깔라빠의 특성에 따라 다른 물질을 더 가지고 있다. |
|
|
|
그래서, 여기에다 다른 하나가 더 붙으면, 구원소(navaka)가 되고, |
|
|
|
|
|
|
|
|
|
다시 하나가 더 붙으면 십원소(dasaka)가 되고 하는 것이다. |
|
|
|
|
|
|
|
|
|
* 아위닙보가(분리할 수 없는 것)는 물질의 무리(깔라빠)를 이해하는 가장 기초가 되는 개념이므로 반드시 숙지해야함. |
|
* 그리고 오자앗타마까(ojaṭṭhamaka 영양소를 여덟번째로 한 것)란 표현이 자주 등장하는데 |
|
|
|
|
|
바로 이 아위닙보가를 뜻한다. 왜냐하면 오자(영양소)가 이 아위닙보가에서 맨 나중인 여덟번째에 언급되고 |
|
|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위닙보가(분리할 수 없는 것)와 숫다앗타까(순수한 팔원소)와 |
|
|
|
|
|
|
오자앗타마까(영양소를 여덟번째로 하는 것)는 모두 동의어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II. 물질이 일어나는 원인(rūpa-samuṭṭhāna) |
|
|
|
|
|
|
|
|
|
|
|
|
* 이제부터는 물질은 어떻게 해서 일어나게 되는가 하는 중요한 측면을 점검해 보고 있다. |
|
|
|
|
|
* 물질은 업과 마음과 온도와 음식을 원인으로 해서 일어난다.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할 사항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1. 4가지 물질이 일어나는 원인 - 업, 마음, 온도, 음식 |
|
|
|
|
|
|
|
|
|
1) 업에서 생긴 물질(kamma-samuṭṭhāna-rūpa) |
|
|
|
|
|
|
|
|
|
|
욕계와 색계에 속하는 25가지의 유익하거나(善) 해로운(不善) 의도적 행위인 업은 자신의 흐름(상속)에서 |
|
|
|
재생연결의 [마음]이 일어나는 순간부터 매순간에 업에서 생긴 물질을 생산한다. |
|
|
|
|
|
|
|
* 여기서 말하는 업은 과거의 마음에 있었던 유익(善)하거나, 해로운(不善) 의도(cetanā)를 뜻한다. |
|
|
|
|
|
25가지 유익하고 해로운 업은, 12가지 해로운 마음과 8가지 큰 유익한 마음과 5가지 색계의 유익한 마음의 |
|
|
의도를 뜻한다. |
|
|
|
|
|
|
|
|
|
|
|
|
|
|
|
|
|
|
* 4가지 무색계의 유익한 마음은 무색계에 태어나게 하므로 업에서 생긴 물질을 일어나게 할 수 없다. |
|
|
|
* 업은 마음이 일어나고(生 uppāda), 머물고(住 ṭhiti), 무너지는(壞 bhanga) 매 아찰나 마다 물질을 일어나게 하는데, |
|
|
이것은 재생연결식이 일어나는 아찰나에서부터 시작하여 죽음의 마음이 일어나기 직전의 17번째 심찰나까지 |
|
|
전 삶의 과정에서 일어난다. (VbhA. 26-27) |
|
|
|
|
|
|
|
|
|
|
|
|
|
* 18가지의 물질이 업에 의해서 생긴다. |
|
|
|
|
|
|
|
|
|
|
|
|
|
|
|
즉 업에서 생기는 아홉가지 깔라빠 가운데서 8가지 분리할 수 없는 것(4대,색,향,미,영양소)과 다섯가지 감성과 |
|
|
두가지 성과 생명기능과 심장토대와 공간이다. |
|
|
|
|
|
|
|
|
|
|
|
|
|
이 중에서 여덟가지 기능(根, 다섯가지 감성, 두 가지 성, 생명기능)과 심장토대의 9가지는 오직 업에서만 생긴다. |
|
|
나머지 9가지(아위닙보가8, 공간)는 업에서 생긴 깔라빠에 포함될 때만 업으로부터 생기고, 그 외에는 |
|
|
|
|
다른 원인으로부터 생긴다. |
|
|
|
|
|
|
|
|
|
|
|
|
|
|
|
|
재생연결식 |
|
|
첫바왕가 |
|
|
바왕가2nd |
|
|
바왕가3rd |
|
|
바왕가4th |
|
… |
|
|
|
|
|
|
생 |
주 |
멸 |
생 |
주 |
멸 |
생 |
주 |
멸 |
생 |
주 |
멸 |
생 |
주 |
멸 |
|
|
|
|
|
|
|
Bitmap |
Bitmap |
Bitmap |
Bitmap |
Bitmap |
Bitmap |
Bitmap |
Bitmap |
Bitmap |
Bitmap |
Bitmap |
Bitmap |
Bitmap |
Bitmap Bitmap |
|
|
|
|
|
|
|
각 마음의 아심찰나마다, 업에서 생긴 물질 생김(눈,귀,코,혀,몸,심장토대,성의 십원소 등 70가지 무더기) |
|
|
|
|
|
|
|
|
|
|
|
|
|
|
|
|
|
|
|
|
|
|
|
2) 마음에서 생긴 물질(citta-samuṭṭhāna-rūpa) |
|
|
|
|
|
|
|
|
|
|
|
무색계 과보의 마음과 한 쌍의 전오식을 제외한 75가지 마음은 잠재의식의 첫 번째 순간부터 |
|
|
|
|
|
마음에서 생긴 물질을 생산한다. 그것은 일어나는 순간에 [마음에서 생긴 물질을] 생산한다. |
|
|
|
|
|
* 마음에서 생긴 물질은 재생연결식 바로 다음의 첫 번째 바왕가가 일어나는 순간부터 생긴다. |
|
|
|
|
|
재생연결의 마음은 물질을 일어나게 하지 못한다. |
|
|
|
|
|
|
|
|
|
|
|
|
재생연결의 순간에 생긴 물질은 재생연결의 마음이 아닌 전생의 업에서 생긴 것이다. |
|
|
|
|
|
|
이 재생연결식은 그 생애 처음 온 일종의 신입생이기 때문이다. |
|
|
|
|
|
|
|
|
|
|
재생연결식과 무색계과보와 전오식을 제외한 모든 세간과 출세간의 선/불선/과보의 마음은 물질을 생산한다. |
|
|
재생연결식 |
첫 바왕가 |
바왕가2nd |
바왕가3rd |
바왕가4th |
… |
|
|
|
|
|
물질생성 없음 |
Bitmap
|
|
|
Bitmap
|
|
|
Bitmap
|
|
|
Bitmap
|
|
|
|
|
|
|
|
|
|
|
|
|
(마음의 일어나는 아찰나마다 일어남) |
|
|
|
|
|
|
|
|
|
|
|
|
|
|
(아위닙보가8, 몸의 암시9, 말의 암시10-말소리포함, 11원소, 12원소, 13원소-말소리 포함) |
|
|
* 한 쌍의 전오식은 물질을 생기게 하는 힘이 부족하다. |
|
|
|
|
|
|
|
|
|
|
|
* 4가지 무색계 과보의 마음도 무색계에서만 일어나므로 물질을 생기게 할 수 없다. |
|
|
|
|
|
|
* 주석서들 - 정신적 현상은 일어나는 아찰나에 가장 강하고, 물질은? 머무는 아찰나에 가장 강하다고 한다. |
|
|
|
그러므로, 마음은 그것이 가장 강한 순간인 일어나는 아찰나에 물질을 생기게 한다. |
|
|
|
|
|
|
마음이 머물거나 소멸하는 아찰나에는 물질을 생기게 하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중에서 본삼매의 속행은 자세(위의威儀)를 지탱한다. 결정하는 마음과 욕계의 속행과 신통지의 마음은 |
|
|
|
몸과 입을 통한 암시를 생산한다. 이 중에서 13가지 기쁨이 한 속행은 미소를 일으킨다. |
|
|
|
|
|
* 몸이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마음들의 기능이다. |
|
|
|
|
|
|
|
|
|
|
|
|
* 본삼매에서 일어나는 26가지 자와나(속행:고귀한마음9, 고귀한 단지작용만9, 도와 과의 마음8)는 |
|
|
|
|
|
몸이 앉거나 서거나 눕는 자세를 유지하는 이런 기능을 최소로 이행한다. |
|
|
|
|
|
|
|
* 다른 32가지 마음들 즉, 결정하는 마음(의문전향), 욕계의 자와나들29(해로운마음12, 미소1, 큰유익한마음8, 큰작용8) |
|
|
신통지를 일으키는 마음들2(유익한마음과 작용만하는 마음의 색계5선의 신통지)은 자세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
|
|
몸과 말의 암시를 활성화 시킨다. |
|
|
|
|
|
|
|
|
|
|
|
|
|
|
* 13가지 기쁨이 함께한 속행은 미소를 일으킨다. |
|
|
|
|
|
|
|
|
|
|
|
|
① |
범부들의 미소와 웃음 - 범부들은 아래의 8가지 중 하나의 마음으로 미소짓거나 웃는다. |
|
|
|
|
|
탐욕에 뿌리하고 기쁨과 함께한 4가지 해로운 마음, 기쁨과 함께한 4가지 큰 유익한 마음 |
|
|
|
|
② |
유학들의 미소와 웃음 - 유학(예류자, 일래자, 불환자)들은 아래의 6가지 중 하나의 마음으로 미소짓거나 웃는다. |
|
|
위 8가지 마음 중에서 2가지 사견과 함께한 마음을 제외한 6가지 마음으로 웃는다. |
|
|
|
|
|
③ |
아라한들의 미소와 웃음 - 아라한들은 아래의 5가지 중 하나의 마음으로 미소짓거나 웃는다. |
|
|
|
|
|
4가지 기쁨이 함께 한 큰 단지 작용만 하는 마음, 원인없는 미소짓는 마음 1가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도표 6.2> 물질의 원인이 되는 마음들 - 마음이 물질을 생기게 하는 원리 |
(유학의 미소는 사견2제외) |
|
|
마음들 |
마음의수 |
마음에서 생긴물질 |
자세를 최소유지 |
자세와 암시 |
미소 |
|
|
|
|
|
|
|
|
|
|
|
|
탐욕에 뿌리한 것(기쁨과 함께 한 것) |
4 |
4 |
ⅹ |
4 |
4 |
|
|
|
|
|
|
탐욕에 뿌리한 것(평온과 함께 한 것) |
4 |
4 |
ⅹ |
4 |
ⅹ |
|
|
|
|
|
|
성냄에 뿌리한 것 |
2 |
2 |
ⅹ |
2 |
ⅹ |
|
|
|
|
|
|
미혹에 뿌리한 것 |
2 |
2 |
ⅹ |
2 |
ⅹ |
|
|
|
|
|
|
전오식 |
10 |
ⅹ |
ⅹ |
ⅹ |
ⅹ |
|
|
|
|
|
|
받아들임 |
2 |
2 |
ⅹ |
ⅹ |
ⅹ |
|
|
|
|
|
|
조사 |
3 |
3 |
ⅹ |
ⅹ |
ⅹ |
|
|
|
|
|
|
오문전향 |
1 |
1 |
ⅹ |
ⅹ |
ⅹ |
|
|
|
|
|
|
의문전향(결정) |
1 |
1 |
ⅹ |
1 |
ⅹ |
|
|
|
|
|
|
미소짓는 - 아라한 |
1 |
1 |
ⅹ |
1 |
1 |
|
|
|
|
|
|
욕계 큰 선(기쁨과 함께) |
4 |
4 |
ⅹ |
4 |
4 |
|
|
|
|
|
|
욕계 큰 선(평온과 함께) |
4 |
4 |
ⅹ |
4 |
ⅹ |
|
|
|
|
|
|
욕계 큰 과보 |
8 |
8 |
ⅹ |
ⅹ |
ⅹ |
|
|
|
|
|
|
욕계 큰 작용(기쁨과 함께) - 아라한 |
4 |
4 |
ⅹ |
4 |
4 |
|
|
|
|
|
|
욕계 큰 작용(평온과 함께) - 아라한 |
4 |
4 |
ⅹ |
4 |
ⅹ |
|
|
|
|
|
|
색계 善 |
5 |
5 |
5 |
ⅹ |
ⅹ |
|
|
|
|
|
|
색계 과보 |
5 |
5 |
ⅹ |
ⅹ |
ⅹ |
|
|
|
|
|
|
색계 작용 - 아라한 |
5 |
5 |
5 |
ⅹ |
ⅹ |
|
|
|
|
|
|
무색계 善 |
4 |
4 |
4 |
ⅹ |
ⅹ |
|
|
|
|
|
|
무색계 과보 |
4 |
ⅹ |
ⅹ |
ⅹ |
ⅹ |
|
|
|
|
|
|
무색계 작용 - 아라한 |
4 |
4 |
4 |
ⅹ |
ⅹ |
|
|
|
|
|
|
출세간 - 도와 과 |
8 |
8 |
8 |
ⅹ |
ⅹ |
|
|
|
|
|
|
* 신통지 |
2 |
2 |
ⅹ |
2 |
ⅹ |
|
|
|
|
|
|
합 계 |
91 |
77 |
26 |
32 |
13 |
|
|
|
|
|
|
|
|
|
|
|
|
|
|
|
|
|
(본삼매속행) |
|
|
|
|
|
|
|
|
* (복습 및 예습 : 제5장. 재생연결식과 바왕가16개의 일어남, 청정도론 제20장 물질의 일어남의 관찰) |
|
|
|
재생연결식 |
|
|
|
|
|
|
|
|
|
|
의문전향(1찰나) |
|
|
|
|
|
|
생 |
주 |
멸 |
바1 |
바2 |
바3 |
바왕가4~바왕가16 |
생 |
주 |
멸 |
|
|
|
|
|
|
재생연결식이 일어나는 아찰나에 생긴 심장토대1 |
|
|
|
|
|
|
|
|
|
|
(앞2아찰나)- 재생연결식이 머무는 아찰나에 생긴 심장토대2 -(끝1아찰나) |
|
|
|
|
|
|
|
|
|
|
(앞1아찰나)- 재생연결식이 멸하는 아찰나에 생긴 심장토대3 -(끝2아찰나) |
|
|
|
|
|
|
|
|
|
|
바왕가1의 3아찰나의 상속에 생긴 심장토대4~6(6번은 끝이 2아찰나) |
|
|
|
|
|
|
|
|
|
바왕가2의 3아찰나의 상속에 생긴 심장토대7~9(9번은 끝이 2아찰나) |
|
|
|
|
|
*업에서 생긴 심장토대1~3과 상카라를 조건으로 생긴 재생연결식의 과보의 마음은 함께 생김 |
|
|
|
|
|
이 업에서 생긴 심장토대1~3은 재생연결식에게 토대가 되어줌 |
|
|
|
|
|
|
|
|
|
*바왕가1은 재생연결식과 함께 일어나서 머물고 있는 심장토대1~3에 의지하여 일어남 |
|
|
|
|
|
|
*바왕가2는 바왕가1과 함께 일어나서 머물고 있는 심장토대4~6에 의지하여 일어남 |
|
|
|
|
|
|
*바왕가3은 바왕가2과 함께 일어나서 머물고 있는 심장토대7~9에 의지하여 일어남 |
|
|
|
|
|
|
*바왕가n은 바왕가n-2과 함께 일어나서 머물고 있는 심장토대(3n-2)~3n에 의지하여 일어남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온도에서 생긴 물질(utu-samuṭṭhāna-rūpa) §12. |
|
|
|
|
|
|
|
|
|
|
|
차고 더운 것으로 알려진 불의 요소(火界)는 머무는 아찰나에 이르러서 |
|
|
|
|
|
|
|
|
|
온도에서 생긴 안의 물질과 밖의 물질을 적절하게 생산한다. |
|
|
|
|
|
|
|
① |
최초의 온도에서 생긴 물질 |
|
|
|
|
|
|
|
|
|
|
|
|
|
|
|
|
재생연결이 일어나는 순간에서부터 업에서 생긴 물질의 무리(깔라빠) 속에 있는, 최초의 불의 요소(화계)는, |
|
|
|
외부의 불의 요소와 결합하여, 온도에서 생긴 유기물질을 일으키기 시작한다. |
|
|
|
|
|
|
|
재생연결의 마음 순간 |
|
|
|
|
|
|
|
|
|
|
|
|
|
일어남의 아찰나 |
머무는 아찰나 |
사라지는 아찰나 |
|
|
|
|
|
|
|
|
|
|
|
|
|
불의 일어남 |
불의 머묾(재생연결시 업에서 생긴 물질의 깔라빠 속) |
불의 소멸 |
|
|
|
|
|
Bitmap |
(아위닙보가8, 소리9원소, 11원소, 12원소) |
|
|
|
|
|
|
② |
이후 온도에서 생긴 물질 |
|
|
|
|
|
|
|
|
|
|
|
|
|
|
|
|
|
그 다음부터는 모든 4가지 원인(업, 마음, 온도, 음식)으로부터 생긴 물질의 깔라빠 속에 있는 불의 요소는 |
|
|
|
삶의 전 과정을 통해서 온도에서 생긴 유기물질을 일어나게 한다. |
|
|
|
|
|
|
|
|
|
불의 일어남 |
불의 머묾(업, 마음, 온도, 음식에서 생긴 물질의 빨라빠 속) |
불의 소멸 |
|
|
|
|
|
Bitmap |
(아위닙보가8, 소리9원소, 11원소, 12원소) |
|
|
|
|
|
|
|
☞ 참고 : 청정도론 제20장 - 물질의 생겨남을 봄(§22~42) |
|
|
|
|
|
|
|
|
|
|
|
|
|
|
|
(i) |
업에서 생긴 불의 요소가 머무름에 이르러 |
|
|
|
|
|
|
|
|
|
|
|
|
|
|
Bitmap |
|
|
|
|
|
|
|
|
|
|
|
|
4~5번 반복 |
|
|
|
|
|
Bitmap
|
|
아위닙보가 |
Bitmap Bitmap
|
아위닙보가 |
|
Bitmap
|
|
아위닙보가 |
|
|
|
|
|
|
|
|
(3.온도) |
|
(3.온도) |
|
(3.온도) |
|
(3.온도) |
|
(3.온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i) |
마음에서 생긴 온도가 머무름에 이르러 |
|
|
|
|
|
|
|
|
|
|
|
|
|
|
Bitmap |
|
|
|
|
|
|
|
|
|
|
|
|
|
|
|
|
|
|
|
|
Bitmap
|
|
아위닙보가 |
Bitmap
|
아위닙보가 |
|
2~3번 반복 |
|
|
|
|
|
|
|
|
|
|
(온도) |
|
(온도) |
|
(온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v) |
영양소에서 생긴 불의 요소가 머무름에 이르러 |
|
|
|
|
|
|
|
|
|
|
|
|
|
Bitmap |
|
|
|
|
|
|
|
|
|
|
|
|
|
|
|
|
|
|
|
|
아위닙보가 |
|
|
|
|
|
|
|
|
|
|
|
|
|
|
|
|
|
|
|
(3.온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ii) |
온도에서 생긴 불의 요소가 머무름에 이르러 |
|
|
|
|
|
|
|
|
|
|
|
|
|
|
Bitmap |
|
|
|
|
|
|
|
|
|
|
|
|
|
|
|
|
|
|
|
|
Bitmap
|
|
아위닙보가 |
|
* 온도에서 생긴 물질은 오랜기간에 걸쳐 생겨난다. |
|
|
|
|
|
|
(3.온도) |
|
(3.온도) |
ººº |
|
|
|
|
|
|
|
|
|
|
|
|
|
|
|
|
한편 온도에서 생긴 물질은 업에서 생겨나지 않은 무정물의 경우에도 생겨난다. |
|
|
|
|
|
|
|
업에서 생겨나지 않은 무정물은 살아있는 몸의 무감각한 부위나 시체 등을 뜻하기도 함.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 |
외부적인 물질 현상 |
|
|
|
|
|
|
|
|
|
|
|
|
|
|
|
|
|
|
외부적으로는 온도나 불의 요소가 대기나 지질학적인 변질과 같은 물질을 생기게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음식(영양소)에서 생긴 물질(āhāra-samuṭṭhāna-rūpa) |
|
|
|
|
|
|
|
|
영양소라 불리는 음식은 삼킬 때부터 시작하여 머무는 단계에 이르러 음식에서 생긴 물질을 생산한다. |
|
|
① |
음식에서 물질이 생기는 순간들 |
|
|
|
|
|
|
|
|
|
|
|
|
|
|
|
|
내부의 영양소는 외부에서 공급을 받아 유지가 되는데, 그 음식을 삼키는 순간부터, 머무는 순간까지 물질을 생기게함. |
② |
음식에서 생긴 깔라빠의 8원소 생성 과정 |
|
|
|
|
|
|
|
|
|
|
|
|
|
|
음식에서 생긴 깔라빠(물질의 무더기) 가운데 있는 영양소는, 그 다음의 순수한 8원소를 생기게 하며, |
|
|
|
그 순수한 8원소(4대, 색,향,미,영양소)에 있는 영양소는 다시 그 다음의 순수한 팔원소를 생기게 한다. |
|
|
|
이렇게 팔원소는 10번 내지 12번까지 생긴다. |
|
|
|
|
|
|
|
|
|
|
|
|
|
|
음식에서 생긴 영양소가 머무름에 이르러 |
|
|
|
|
|
|
|
|
|
|
|
|
|
|
Bitmap |
|
|
|
|
|
|
|
|
|
|
|
|
|
|
|
|
|
|
|
|
Bitmap
|
|
아위닙보가 |
Bitmap Bitmap
|
아위닙보가 |
|
아위닙보가 |
Bitmap
|
|
아위닙보가 |
- 10~12번 |
|
|
|
|
(8.영양소) |
|
(8.영양소) |
|
(8.영양소) |
|
(8.영양소) |
ººº |
|
(8.영양소) |
|
|
|
|
|
③ |
기타 음식이 물질을 생기게 하는 경우 |
|
|
|
|
|
|
|
|
|
|
|
|
|
|
㉠ 임신한 어머니가 섭취한 음식은 태아의 몸에 퍼져 들어가서 태아의 물질을 생기게 한다. |
|
|
|
|
|
㉡ 몸에 발라진 음식도 물질을 생기게 한다. |
|
|
|
|
|
|
|
|
|
|
|
|
|
㉢ 다른 3가지 원인들(업, 마음, 온도)에 의해서 생긴 몸속의 깔라빠들에 있는 영양소도 역시 |
|
|
|
|
|
|
잇달아서 여러 번 순수한 8원소들을 생기게 한다. |
|
|
|
|
|
|
|
|
|
|
|
☞ 참고 : 청정도론 제20장 - 물질의 생겨남을 봄(§22~42) |
|
|
|
|
|
|
|
|
|
|
(i) |
업에서 생긴 영양소가 머무름에 이르러 |
|
|
|
|
|
|
|
|
|
|
|
|
|
|
Bitmap |
|
|
|
|
|
|
|
|
|
|
|
|
4~5번 |
|
|
|
|
|
|
Bitmap
|
|
아위닙보가 |
Bitmap Bitmap
|
아위닙보가 |
|
Bitmap
|
|
아위닙보가 |
|
|
|
|
|
|
|
|
(8.영양소) |
|
(8.영양소) |
|
(8.영양소) |
|
(8.영양소) |
|
(8.영양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i) |
마음에서 생긴 영양소가 머무름에 이르러 |
|
|
|
|
|
|
|
|
|
|
|
|
|
|
Bitmap |
|
|
|
|
|
|
|
|
|
|
|
|
|
|
|
|
|
|
|
|
Bitmap
|
|
아위닙보가 |
Bitmap
|
아위닙보가 |
|
2~3번 반복 |
|
|
|
|
|
|
|
|
|
|
(8.영양소) |
|
(8.영양소) |
|
(8.영양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ii) |
온도에서 생긴 영양소가 머무름에 이르러 |
|
|
|
|
|
|
|
|
|
|
|
|
|
|
Bitmap |
|
|
|
|
|
|
|
|
|
|
|
|
|
|
|
|
|
|
|
|
Bitmap
|
|
아위닙보가 |
Bitmap Bitmap
|
아위닙보가 |
|
아위닙보가 |
Bitmap
|
|
아위닙보가 |
- 10~12번 |
|
|
|
|
(8.영양소) |
|
(8.영양소) |
|
(8.영양소) |
|
(8.영양소) |
ººº |
|
(8.영양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④ |
하루 섭취한 음식 |
|
|
|
|
|
|
|
|
|
|
|
|
|
|
|
|
|
|
하루에 섭취한 음식은 7일 동안 몸을 지탱할 수 있다고 한다. |
|
|
|
|
|
|
|
|
|
|
☞ 참고 : 청정도론 제20장 |
|
|
|
|
|
|
|
|
|
|
|
|
|
|
|
|
|
욕계 신들의 음식은 1달 내지 2달 유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원인에 따른 분석 |
|
|
|
|
|
|
|
|
|
|
|
|
|
|
|
|
|
|
이중에서 심장의 물질과 8가지 기능의 물질(8根=감성5, 성의 기능2, 생명기능1)은 업에서 생긴다. |
|
|
|
|
암시2가지(몸의 암시, 말의 암시)는 마음에서 생긴다. |
|
|
|
|
|
|
|
|
|
|
|
|
소리는 마음과 온도에서 생긴다. |
|
|
|
|
|
|
|
|
|
|
|
|
|
|
|
|
변화3가지(물질의 가벼움, 부드러움, 적합함)는 온도와 마음과 음식에서 생긴다. |
|
|
|
|
|
|
|
8가지 분리할 수 없는 물질들(아위닙보가, 순수한 깔라빠, 순수한8원소)과 허공의 요소(空界)는 |
|
|
|
|
|
4가지 모두(업, 마음, 온도, 영양소)에서 생긴다. |
|
|
|
|
|
|
|
|
|
|
|
|
특징의 물질들4가지는, 물질의 본성인 '생김' 등을 가지고 있을 뿐이기 때문에, 어느 원인에서도 생기는 것이 아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물질생성의 원인 |
구체적인 물질 18가지 |
추상적인 물질 10가지 |
소계 |
|
|
|
아위닙보가8 (순수8원소) |
소리 |
감성기능5 |
성기능2 |
생명기능1 |
심장토대1 |
허공1 |
암시2 |
변화3 |
특징4 |
|
|
|
|
|
|
업 |
업 |
|
업 |
업 |
업 |
업 |
업 |
|
|
|
18 |
|
|
|
마음 |
마음 |
마음 |
|
|
|
|
마음 |
마음 |
마음 |
|
15 |
|
|
|
온도 |
온도 |
온도 |
|
|
|
|
온도 |
|
온도 |
|
13 |
|
|
|
영양소 |
영양소 |
|
|
|
|
|
영양 |
|
영양 |
|
12 |
|
|
|
원인소계 |
4 |
2 |
1 |
1 |
1 |
1 |
4 |
1 |
3 |
0 |
|
|
|
|
물질별 원인수 |
0원인 4가지, 1원인 11가지, 2원인 1가지, 3원인 3가지, 4원인 9가지의 물질 |
|
|
|
말은 마음에서 생기고, 말이 아닌 소리는 온도에서 생긴다. |
|
|
|
|
|
|
|
|
|
|
|
물질의 가벼움, 부드러움, 적합함의 3가지 성질은 좋은 기후(온도), 경쾌한 마음(마음), 좋은 음식(영양소)에서 생긴다. |
|
|
반면에 나쁜 기후, 침울한 마음, 나쁜 음식은 물질의 무거움, 경직, 비대함을 가져다 준다. |
|
|
|
|
허공의 요소는 4가지 원인들로 생긴 물질의 무리(깔라빠)들 사이의 틈으로 일어난다. |
|
|
|
|
|
|
|
그래서, 허공도 4가지 원인들에서 파생적으로 생긴 것으로 간주한다. |
|
|
|
|
|
|
|
|
4가지 특징의 물질들은 원인없이 생긴 물질이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V. 물질을 깔라빠로 나눔 |
|
|
|
|
|
|
|
|
|
|
|
|
|
|
|
|
|
* 깔라빠(kalāpa 혹은 kalāpa-rūpa)의 유래 : 부처님 전생 이야기인 『자따까』에 나타난다. |
|
|
|
|
|
|
깔라빠는 같은 종류의 물건들의 묶음, 다발을 뜻한다. |
|
|
|
|
|
|
|
|
|
|
|
|
그래서 veḷu-kalāpa는 대나무 다발을 뜻하고, kesā-kalāpa는 머리칼의 묶음을 뜻한다. |
|
|
|
|
|
* 이런 단어를 아비담마에서는 물질의 무리를 의미하는 전문술어로 채택되었다. |
|
|
|
|
|
|
|
|
마음이 항상 마음부수들과 함께 일어나고 함께 멸하는 것처럼 |
|
|
|
|
|
|
|
|
|
|
모든 물질도 그 단독으로 일어나지 못하고 항상 무리지어서 일어나고 멸하는데 이런 무리를 깔라빠라 부른다. |
|
* 아위닙보가(avinibbhoga, 분리할 수 없는 것) : 깔라빠의 최소단위를 아위닙보가라고 한다. |
|
|
|
|
|
|
이것은 지계, 수계, 화계, 풍계의 四大와 색(rūpa), 향(gandha), 미(rasa), 영양소(ojā), 이렇게 8가지로 구성되며, |
|
|
그래서 이를 '순수한 팔 원소'(suddhaṭṭhaka)라 하기도 하고, |
|
|
|
|
|
|
|
|
|
|
|
|
'영양소를 여덟번째로 한 것'(ojāṭṭhamaka)이라, 부르기도 한다. |
|
|
|
|
|
|
* 물질 28가지 : 이 아위닙보가 8가지에 다가, 몇 가지씩이 더 첨가되어서 아비담마는 모든 물질에 대해서 |
|
|
|
21가지 깔라빠를 설하고 있다. |
|
|
|
|
|
|
|
|
|
|
|
|
|
|
|
|
즉, 아위닙보가 + 다른 8원소중 하나 내지 8가지를 더하여, 21가지가 만들어져, 총 28가지의 물질로 한정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간략히 설하면 |
|
|
|
|
|
|
|
|
|
|
|
|
|
|
|
|
|
|
21가지 물질의 무리(깔라빠)가 있으니, 그들은 함께 일어나고, 함께 멸하며, 같은 의지처를 가지고 같이 존재한다. |
|
지금까지 28가지 물질에 대해서 여러가지로 관찰해 보았다. |
|
|
|
|
|
|
|
|
|
|
|
비록 물질을 이렇게 분류하기는 했지만, 실제로 물질은 따로 따로 분리되어서 혼자 일어나지 않는다. |
|
|
|
마음부수들이 단독으로 일어나지 않고 마음과 함께 여럿이 항상 같이 일어나듯이, |
|
|
|
|
|
|
|
물질도 깔라빠로 알려진 물질의 무리로 함께 일어난다. |
|
|
|
|
|
|
|
|
|
|
예를들어서, 눈의 감성은 눈의 감성 단독으로 일어나지 못한다. |
|
|
|
|
|
|
|
|
|
|
|
눈의 감성은 눈을 구성하는 8가지 순수한 팔원소(아위닙보가)와 물질의 생명기능과 눈의 감성이라는 |
|
|
|
십원소(dasaka)로 무리지어서 우리 몸에 존재한다. |
|
|
|
|
|
|
|
|
|
|
|
같은 깔라빠에 속하는 모든 물질들은 함께 일어나고 함께 멸한다. |
|
|
|
|
|
|
|
|
|
|
그들은 함께 생긴 4대(지,수,화,풍)라는 동일한 의지처를 가지고 있다. |
|
|
|
|
|
|
|
|
|
이 함께 생긴 4대(四大)는 파생된 물질과 서로서로에게 가까운 원인이 된다. |
|
|
|
|
|
|
|
|
이들은 모두 생겨서부터 멸할 때까지 같이 존재한다. |
|
|
|
|
|
|
|
|
|
|
|
아비담마에서는 이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을 21가지 깔라빠로 분류한다. |
|
|
|
|
|
|
|
|
또한 이들 물질들은 모두 업과 마음과 온도와 음식에서 생긴다. |
|
|
|
|
|
|
|
|
1. 업에서 생긴 깔라빠 - 9가지 |
|
|
|
|
|
|
|
|
|
|
|
|
|
|
|
번호 |
업에서 생긴 깔라빠 |
물질의 결합 |
발견되는 장소 |
|
|
|
|
|
① |
눈의 10원소 cakkhu-dasaka |
8아위닙보가+명근+눈의감성 |
반드시 안 |
|
|
|
|
|
② |
귀의 10원소 sota-dasaka |
8아위닙보가+명근+귀의감성 |
반드시 안 |
|
* 10원소(다사까) |
|
③ |
코의 10원소 ghāna-dasaka |
8아위닙보가+명근+코의감성 |
반드시 안 |
|
* 9원소(나와까) |
|
④ |
혀의 10원소 jivhā-dasaka |
8아위닙보가+명근+혀의감성 |
반드시 안 |
|
|
|
|
|
⑤ |
몸의 10원소 kāya-dasaka |
8아위닙보가+명근+몸의감성 |
반드시 안 |
|
|
|
|
|
⑥ |
여성의 10원소 itthibhāva-dasaka |
8아위닙보가+명근+여성 |
반드시 안 |
|
|
|
|
|
⑦ |
남성의 10원소 pumbhāva-dasaka |
8아위닙보가+명근+남성 |
반드시 안 |
|
|
|
|
|
⑧ |
토대의 10원소 vatthu-dasaka |
8아위닙보가+명근+심장토대 |
반드시 안 |
|
|
|
|
|
⑨ |
명근의 9원소 jīvita-navaka |
8아위닙보가+명근 |
반드시 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마음에서 생긴 깔라빠 - 6가지 |
|
|
* 말은 마음에서 생기고, 말이 아닌 소리는 온도에서 생긴다. |
|
번호 |
마음에서 생긴 깔라빠 |
물질의 결합 |
발견 장소 |
|
|
① |
순수한 8원소 suddhaṭṭhaka |
8아위닙보가 |
안 |
|
|
② |
몸의 암시 9원소(navaka) |
8아위닙보가+몸의 암시 |
안 |
|
|
③ |
말의 암시 10원소(dasaka) |
8아위닙보가+말의암시+소리 |
안 |
|
|
④ |
가벼움 등의 11원소(ekādasaka) |
8아위닙보가+가벼움+부드러움+적합함 |
안 |
|
|
⑤ |
몸의 암시와 가벼움 등의 12원소(dvādasaka) |
8아위닙보가+몸의 암시+가벼움 등3 |
안 |
|
|
⑥ |
말의 암시와 가벼움 등의 13원소(terasaka) |
8아위닙보가+말의 암시+소리+가벼움 등3 |
안 |
|
|
|
|
|
|
|
|
|
|
|
|
|
|
|
|
|
|
|
|
|
|
|
3. 온도에서 생긴 깔라빠 - 4가지 |
|
|
* 아위닙보가 = {지계, 수계, 화계, 풍계, 색, 향, 미, 영양소} |
|
|
번호 |
온도에서 생긴 깔라빠 |
물질의 결합 |
발견 장소 |
|
|
|
|
|
① |
순수한 8원소 suddhaṭṭhaka |
8avinibbhoga |
안, 밖 |
|
|
|
|
|
② |
소리의 9원소(navaka) |
8avinibbhoga+소리 |
안, 밖 |
|
|
|
|
|
③ |
가벼움 등의 11원소(ekādasaka) |
8avinibbhoga+가벼움 등3 |
안 |
|
|
|
|
|
④ |
소리와 가벼움 등의 12원소(dvādasaka) |
8avinibbhoga+소리+가벼움등3 |
안 |
|
|
|
|
4. 음식에서 생긴 깔라빠 - 2가지 |
|
|
|
|
|
|
|
|
|
|
|
|
|
|
|
번호 |
음식에서 생긴 깔라빠 |
물질의 결합 |
발견 장소 |
|
|
|
① |
순수한 8원소 suddhaṭṭhaka |
8avinibbhoga |
안 |
|
|
|
② |
가벼움 등의 11원소 lahutādi-ekādasaka |
8avinibbhoga+가벼움+부드러움+적합함 |
안 |
|
|
|
|
|
|
|
|
|
|
|
|
|
|
|
|
|
|
|
|
|
|
|
|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업에서 9가지, 마음에서 6가지, 온도에서 4가지, 음식에서 2가지로 물질의 깔라빠는 21가지이다. |
|
|
|
|
* 허공은 한계를 정하고, 4가지 특징은 드러내는 것이므로, |
|
|
|
|
|
|
|
|
|
|
|
|
그들 허공과 특징4는 깔라빠의 구성성분이 아니라고 지자들은 설한다. |
|
|
|
|
|
|
|
|
* 깔라빠 중에서 19가지는 반드시 안에서 발견되고, |
|
|
|
|
|
|
|
|
|
|
|
|
|
온도에서 생긴 2가지 깔라빠(순수한 팔원소, 소리의 구원소)는 안과 밖에서 모두 발견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V. 물질이 일어나는 방법 |
|
|
|
|
|
|
|
|
|
|
|
|
|
|
|
|
|
앞에서 21가지 깔라빠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고, |
|
|
|
|
|
|
|
|
|
|
|
|
|
여기서는 그런 깔라빠가 어디서 일어났는가 하는 것을 살펴보고 있다. |
|
|
|
|
|
|
|
|
|
저자는 여기서 입태의 시기에는 어떤 깔라빠가 일어나고 삶의 과정에서는 어떤 깔라빠가 일어나며 |
|
|
|
|
그리고 각 세계에서는 어떤 깔라빠가 일어나는지를 차례대로 고찰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불교에 의하면, 난생(aṇḍaja), 태생(jalābuja), 습생(saṁsedaja), 화생(opapātika)의 네가지 형태의 태어남(四生사생)이 |
|
|
있다고 한다. |
|
|
|
|
|
|
|
|
|
|
|
|
|
|
|
|
|
|
① aṇḍa는 모든 종류의 알을 뜻한다. Ja는 √jan(to be born)의 명사형이며, 다른 단어와 합성되어 쓰인다. |
|
|
|
그래서 aṇḍa-ja는 난생(卵生)을 의미한다. 조류와 파충류가 여기 속한다. |
|
|
|
|
|
|
|
② jalābu는 √jṝ(to be old)에서 파생된 명사로서 태(아이밸 태胎)를 의미하고, |
|
|
|
|
|
|
|
|
그래서 jalābu는 태생(胎生)을 의미하며, 포유류가 여기에 속한다. |
|
|
|
|
|
|
|
|
|
③ saṁsveda는 saṁ(함께) + √svid(to sweat)의 명사형으로 습기를 의미하며, ja를 붙여서 습생이라 불렀다. |
|
|
|
모기, 지렁이 등이 여기 속한다. |
|
|
|
|
|
|
|
|
|
|
|
|
|
|
|
④ opapātika는 upa(위로) + √pad(to go)의 명사형으로, '그 위로 가서 바로 태어나는 것' 정도의 의미로 보면 되겠다. |
|
|
여기서 opapātika는 모태 등의 태어나는 원인을 빌리지 않고 그대로 다음 생을 받는 것을 의미하며 |
|
|
|
화생(化生)이라 옮기고 있다. 천상의 신들과 아귀 등이 여기에 속한다고 하겠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욕계에서 |
|
|
|
|
|
|
|
|
|
|
|
|
|
|
|
|
|
|
|
1) 재생연결시 생기는 물질 = 업에서 생긴 물질 |
|
|
|
|
|
|
|
|
|
|
|
욕계에서는 모든 물질이 조금도 결핍함이 없이 적절하게 삶의 과정에서 얻어진다. |
|
|
|
|
|
① |
습생과 화생의 재생연결 때 생기는 물질 |
|
|
|
|
|
|
|
|
|
|
|
|
|
|
재생연결 때에는, 습생과 화생의 경우, 최대치로 눈, 귀, 코, 혀, 몸, 성, 토대의 10원소라 불리는 7가지 10원소를 얻는다. |
|
|
최저치로는 어떤 때는 혀, 몸, 토대의 10원소만 얻고, 눈, 귀, 코, 성의 10원소는 얻지 못한다. |
|
|
|
|
|
그러므로 그들로써 물질의 결핍을 알아야 한다. |
|
|
|
|
|
|
|
|
|
|
|
② |
태생 중생의 경우, 재생연결 때에, 몸의 10원소, 성의 10원소, 토대의 10원소가 나타난다. |
|
|
|
|
|
|
어떤 경우에는 성의 10원소를 얻지 못한다. 그 다음 삶의 과정에서 서서히 눈의 십원소 등이 나타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깔라빠의 흐름 |
|
|
|
|
|
|
|
|
|
|
|
|
|
|
|
|
|
① |
재생연결의 순간부터 - 업에서 생긴 물질이 생기고 |
|
|
|
|
|
|
|
|
|
|
|
② |
마음의 2번째 순간(재생연결식 다음 첫번째 바왕가)부터 - 마음에서 생긴 물질이 생기며, |
|
|
|
|
③ |
머무는 단계의 순간부터 - 온도에서 생긴 물질이 생기고, |
|
|
|
|
|
|
|
|
|
|
|
마음은 일어나는 아찰나에서 강하므로 그때 물질을 생기게 하고, 물질은 머무는 아찰나에 강하므로 그때 생기게 한다. |
|
온도는 재생연결시 전생의 업에서 생긴 깔라빠 속에 있는 불의요소가 외부의 불의 요소와 결합하여 유기물질을 |
|
|
생기게 하고, 이후는 4가지 원인(업,온도,마음,영양소)에서 생긴 깔라빠 속에 있는 불의 요소는 |
|
|
|
|
삶의 전과정을 통하여 온도에서 생긴 유기물질을 일어나게 한다. |
|
|
|
|
|
|
|
|
|
|
즉, 온도에서 생긴 물질은, 불의 요소라는 물질이 머무는 아찰나에서 강하므로, |
|
|
|
|
|
|
|
불의 요소가 온도에서 생긴 물질을 생기게 한다. |
|
|
|
|
|
|
|
|
|
|
|
④ |
영양소가 보급되는 순간부터 - 음식에서 생긴 물질이 생기나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4가지 원인에서 생긴 깔라빠의 흐름(상속相續)이 마치 등불이나 혹은 강의 흐름처럼 |
|
|
|
|
|
욕계에서 수명이 다하는 순간까지 끊임없이 일어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죽을 때에 |
|
|
|
|
|
|
|
|
|
|
|
|
|
|
|
|
|
|
① |
죽을때에, 죽음의 마음 이전의 17번째의 마음이 머무는 단계의 순간부터 업에서 생긴 물질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음. |
② |
이전에 일어난 업에서 생긴 물질은 죽음의 마음과 동일한 시간까지 일어났다가 멸한다. |
|
|
|
|
③ |
그 다음에 곧 바로 마음에서 생긴 물질과 음식에서 생긴 물질이 멸하고, |
|
|
|
|
|
|
|
④ |
그 다음에 온도에서 생긴 물질의 흐름이 송장이라 불리는 곳에서 계속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게송 |
|
|
|
|
|
|
|
|
|
|
|
|
|
|
|
|
|
|
|
|
이와 같이 죽은 중생들에게 다시 다음 생에서 |
|
|
|
|
|
|
|
|
|
|
|
|
재생연결 때부터 그와 같이 물질이 일어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색계에서 |
|
|
|
|
|
|
|
|
|
|
|
|
|
|
|
|
|
|
① |
색계에 없는 깔라빠들 |
|
|
|
|
|
|
|
|
|
|
|
|
|
|
|
|
|
색계에서 코의 10원소, 혀의 10원소, 몸의 10원소, 성(性)의 10원소와 음식에서 생긴 물질의 깔라빠는 발견되지 않음. |
|
다만, 색계의 존재들은 코와 혀와 몸의 육체적인 형상만 가지고 있을 뿐, 감각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
|
|
② |
색계에서 일어나는 깔라빠들 |
|
|
|
|
|
|
|
|
|
|
|
|
|
|
|
|
재생연결 때에 - 눈,귀,토대인 3가지 10원소와 생명기능의 9원소, 이렇게 4가지 업에서 생긴 물질의 깔라빠가 일어나고 |
|
삶의 과정에서 - 마음에서 생긴 물질과 온도에서 생긴 물질이 얻어진다. |
|
|
|
|
|
|
|
③ |
인식이 없는 중생들(無想有情, 아산냐 삿따, asaññā-satta) |
|
|
|
|
|
|
|
|
|
|
|
색계의 존재이지만, 심지어 업에서 생긴 깔라빠인, 눈, 귀, 토대의 10원소도 얻어지지 않는다. |
|
|
|
|
|
또한, 온도에서 생긴 깔라빠인, 소리의 9원소도 얻어지지 않는다. |
|
|
|
|
|
|
|
|
|
|
모든 마음에서 생긴 물질도 없다.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재생연결 때에 - 오직 업에서 생긴, 생명기능의 9원소만 있고, |
|
|
|
|
|
|
|
|
|
|
삶의 과정에서 - 소리를 제외한 온도에서 생긴 물질이 계속된다. |
|
|
|
|
|
|
|
|
|
|
|
|
|
즉, 순수한팔원소, 가벼움등11원소, - 소리 가벼움등12원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 : 청정도론 제17장 식연명색 중에서 - 재생연결의 순간에 일어나는 정신과 물질들 |
|
|
|
|
|
중생들 |
물질의 법(색법, 色) |
정신(名) |
합 |
중복 |
나열 |
|
|
|
|
|
태생, 난생 |
무성 |
20(심장토대/몸의 10원소) |
수,상,행 |
23 |
9 |
14 |
|
|
|
|
|
유성 |
30(심장토대/몸/성의 10원소) |
수,상,행 |
33 |
18 |
15 |
|
|
|
|
|
화생 범천 |
39(눈/귀/심장토대의 10원소, 생명기능 9원소) |
수,상,행 |
42 |
27 |
15 |
|
|
|
|
|
욕계 화생 |
최대 |
70(눈/귀/코/혀/몸/심장토대/성의 10원소) |
수,상,행 |
73 |
54 |
19 |
|
|
|
|
|
유성 습생 |
최소 |
결핍된 자에게는 그에 맞게 제하여 간략히 앎 |
수,상,행 |
|
|
|
|
|
|
|
|
무색계 |
없음 |
수,상,행 |
3 |
0 |
3 |
|
|
|
|
|
무상유정천 |
생명기능의 구원소 |
없음 |
9 |
0 |
9 |
|
|
|
|
욕계, 색계, 인식이 없는 중생, 이렇게 3가지 경우에서의 재생연결과 삶의 과정 |
|
|
|
|
|
|
|
|
이렇게 2가지 방법으로 물질의 일어남이 있다. |
|
|
|
|
|
|
|
|
|
|
|
|
욕계에는 28가지 물질이 있고 |
|
|
|
|
|
|
|
|
|
|
|
|
|
|
|
|
색계에는 23가지(5제외 - 코의 감성, 혀의 감성, 몸의 감성, 성2 제외) |
|
|
|
|
|
|
|
|
|
인식이 없는 중생들에게 17가지가 있으며(제외11-안근,이근,비근,설근,신근,심장토대,여성,남성,몸의암시,말의암시,소리) |
|
|
|
|
- 17가지 : 지,수,화,풍,색,향,미,영양소+생명기능, 허공, 변화3, 특징4 |
|
|
|
|
|
|
무색계에는 어떠한 물질도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는다. |
|
|
|
|
|
|
|
|
|
|
|
|
재생연결 때에는 - 소리와 변화와 늙음과 죽음이 없고 |
|
|
|
|
|
|
|
|
|
|
|
|
삶의 과정에는 - 얻어지지 않는 것이 없다. |
|
|
|
|
|
|
|
|
|
|
|
|
|
|
|
|
|
|
|
|
이것이 물질이 일어나는 방법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열반(닙바나 nibbāna) |
|
|
|
|
|
|
|
|
|
|
|
|
|
|
|
|
저자는 6장의 마지막을 네 번째 구경법인 열반을 간략히 설명하는 것으로 마무리 한다. |
|
|
|
|
|
|
이렇게 함으로써 네 가지 궁극적 실재에 대한 길라잡이가 마무리 되는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어원 - 중국에서 涅槃(열반)으로 음역한 nibbāna(닙바나. SK. Nirvāṇa니르바나)는 |
|
|
|
|
|
|
|
nis(부정접두어) + √vā(to blow)의 과거분사이며 중성명사이다. |
|
|
|
|
|
|
|
|
|
|
문자적으로 '불어서 꺼진'의 뜻이다. |
|
|
|
|
|
|
|
|
|
|
|
|
|
|
* 초기경에서는, 탐욕(rāga), 성냄(dosa), 어리석음(moha)의 불이 완전히 꺼진 것을 열반이라 설명하며, |
|
|
* 『위바위니 띠까』는 '갈애라 불리는 얽힘(vāna)에서 떠남(nikkhantatta)'으로 정의한다. |
|
|
|
|
|
* 『청정도론』 16장에서는 열반을 이렇게 정의한다. |
|
|
|
|
|
|
|
|
|
|
|
|
|
§66. 열반의 특징은 고요함(santi)이다. |
|
|
|
|
|
|
|
|
|
|
|
|
|
|
|
죽지 않는(accuti) 역할을 한다. 혹은 안식(安息, assāsa)을 가져오는 역할을 한다. |
|
|
|
|
|
|
|
표상이 없음(animitta)으로 나타난다. 혹은 사량분별이 없음(papañca)으로 나타난다. |
|
|
|
|
|
§66~72 : 열반에 대한 11가지의 잘못된 견해를 들어서 논파하고 있으니 일독을 권한다. |
|
|
|
|
* 아비담마의 가르침 - 빠빤짜(사량분별이 막 확장되어 전이되어가는 것)로부터 벗어나는 것(=열반)은 |
|
|
|
|
|
갈애, 자만, 사견으로부터 벗어남을 말한다. (주석264) |
|
|
|
|
|
|
|
|
|
1) 정의 |
§30 |
|
|
|
|
|
|
|
|
|
|
|
|
|
|
|
|
|
|
|
열반은 출세간이라 불리고, 4가지 도(예류도, 일래도, 불환도, 아라한도)로써 실현해야 하며, |
|
|
|
|
|
|
도와 과의 대상이고, 얽힘이라 부르는 갈애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열반이라 한다. |
|
|
|
|
2) 분석 |
|
|
|
|
|
|
|
|
|
|
|
|
|
|
|
|
|
|
|
① |
열반은 본성으로서는 하나이다. |
|
|
|
|
|
|
|
|
|
|
|
|
|
|
|
|
|
즉, 진제(眞諦)의 측면에서 보면 열반은 하나이다. |
|
|
|
|
|
|
|
|
|
|
|
|
열반은 출세간이며, 형성된 것(saṅkhata)을 완전히 벗어난 형성되지 않은 것이고(asaṅkhata), |
|
|
|
|
고요함(santi)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본성(sabhāva)을 가졌다. |
|
|
|
|
|
|
|
|
② |
구분짓는 원인의 방편에 따른 열반의 분류 - 유여열반의 요소(界)와 무여열반의 요소, 2가지 |
|
|
|
|
|
비록 열반은 고요함이라는 측면에서는 하나이지만, 우빠디(upādi)가 있느냐, 없느냐하는 측면에서 보면 2가지이다. |
|
|
* upādi는 upa(위로) + ā(이 쪽으로)+√dā(to give)에서 파생된 남성명사로서 |
|
|
|
|
|
|
|
|
|
'위로 받아들이다'라는 문자적인 의미에서 - '거머쥐고 있음, 남아있음'을 뜻한다. |
|
|
|
|
|
|
|
(우빠다의 어원은 12연기의 取로 번역하는 upādāna와 같은 어원을 가졌음) |
|
|
|
|
|
|
|
|
거의 대부분 sa-upādisesa와 an-upādisesa의 문맥에서만 나타나고 있다. |
|
|
|
|
|
|
|
|
주석서들에서는, 이 우빠디가 생명을 지속시켜주는 연료와도 같은 것이어서, |
|
|
|
|
|
|
|
바로 오온(pañca-khadha)을 가리킨다고 설명한다. |
|
|
|
|
|
|
|
|
|
|
|
|
sesa는 √śiṣ(to leave)에서 파생된 형용사로 문자적인 뜻 그대로 '남아 있는'을 뜻한다. |
|
|
|
|
㉠ 유여열반 |
|
|
|
|
|
|
|
|
|
|
|
|
|
|
|
|
|
|
|
|
그래서 sa-upādisesa-nibbāna 는 '받은 것이 남아 있는 열반'이라는 뜻이며 |
|
|
|
|
|
|
|
|
아라한들의 경우, 번뇌는 완전히 멸진되었지만, 그의 수명이 남아 있는 한, |
|
|
|
|
|
|
|
|
과거의 취착의 산물인 오온은 아직 잔류해 있기 때문에, sa-upādisesa-nibbāna(유여열반)이라 한다. |
|
|
㉡ 무여열반 |
|
|
|
|
|
|
|
|
|
|
|
|
|
|
|
|
|
|
|
|
an-upādisesa-nibbāna 는 그래서 이런 오온까지도 완전히 멸한 열반을 말한다. |
|
|
|
|
|
|
|
그래서 이런 열반을 빠리닙바나(parinibbāna)라고 하며, 중국에서는 반열반(槃涅槃)으로 옮겼다. |
|
|
|
* 『위바위니 띠까』 |
|
|
|
|
|
|
|
|
|
|
|
|
|
|
|
|
|
|
|
유여열반과 무여열반을 각각 '오염원이 완전히 소멸된 열반'(kilesa-parinibbāna)과 |
|
|
|
|
|
|
|
'오온이 완전히 소멸된 열반'(khadha-parinibbāna)이라고 설명한다. |
|
|
|
|
|
|
③ |
형태에 따른 열반의 분류 - 공함과 표상없음과 원함없음의 3가지 |
|
|
|
|
|
|
|
|
|
|
㉠ 열반은 공(suññatā)이라 불린다. |
|
|
|
|
|
|
|
|
|
|
|
|
|
|
|
|
왜냐하면, 탐진치가 없기 때문이며(rahitattā), 모든 형성된 것(有爲, saṅkhata)들이 없기 때문이다. |
|
|
|
㉡ 열반은 표상이 없다(無相, animitta)고 말한다. |
|
|
|
|
|
|
|
|
|
|
|
|
|
|
탐진치의 표상이 없으며, 형성된 것의 표상이 없기 때문이다. |
|
|
|
|
|
|
|
|
|
㉢ 열반은 원함이 없다(無願, appanihita)고 말한다. |
|
|
|
|
|
|
|
|
|
|
|
|
|
탐진치에 대한 동경이 없기 때문이고, 갈애로 염원(paṇidhi)한다고 해서 증득할 수 없기 때문이다. |
|
|
|
☞ 이 세가지 개념은 제9장 §35를 참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결론 |
§32 |
|
|
|
|
|
|
|
|
|
|
|
|
|
|
|
|
|
|
|
갈애에서 벗어난 대 선인들은 열반은 불사요, 다함이 없고, 형성된 것이 아니고, 위없는 경지라고 설하신다. |
|
|
이와 같이 |
|
|
|
|
|
|
|
|
|
|
|
|
|
|
|
|
|
|
|
|
①마음과 ②마음부수(심소)와 ③물질과 ④열반이라는 4가지 궁극적 실재(승의勝義)를 여래께서는 설하셨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와 같이 아비담맛타 상가하에서 물질의 길라잡이라 불리는 제6장이 끝났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