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빠사나란 말의 의미 >
위빠사나(vipassana)는 대상을 분리해서 알아차리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위(vi)는 분리를 말하고 빠사나(passana)는 알아차림, 주시, 관찰, 수관(隨觀)을 말한다. 분리해서 본다고 말할 경우에, 본다는 것은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고 관(觀)한다는 것인데, 마음으로 알아차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한문식의 표현이다. 그러므로 알아차림, 주시, 관찰, 본다, 응시 등등은 모두 같은 말이다.
그런데 빨리어에서 빠사나(passana)라고 쓸 때는 위빠사나 수행을 의미한다. 원래 위빠사나는 그냥 알아차리는 것이 아니고 지속해서 알아차린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때 지속해서 알아차리는 것을 수관(隨觀)이라고 한다. 한문으로 수관은 따를 수(隨)를 쓰기 때문에 따라가면서 보는 것으로 오해를 할 수도 있다. 그래서 약간의 시차를 두고 뒤 따라 가면서 알아차리는 것으로 잘못 이해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알아차림은 따라가면서 하는 것이 아니고 대상이 일어나면 일어나는 것과 함께 즉시 알아차리는 것이다.
사띠(sati)와 빠사나(passana)는 같은 의미로 쓰인다. 사띠(sati)는 기억이라는 뜻과 알아차림이란 뜻을 함께 가지고 있다. 여기서 기억이라는 말은 과거를 기억하는 것이 아니고 알아차리고 있는 것을 기억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을 현전하는 기억이라고 한다. 다시 말하면 계속해서 알아차리는 것을 잊지 말고 기억하라는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수관과 상통하는 말이다.
알아차림을 의미하는 사띠(sati)는 사마타 수행의 알아차림이나 위빠사나 수행의 알아차림을 모두 망라한 것이다. 그러나 빠사나(passana)는 위빠사나 수행을 의미한다. 그런 의미에서 사띠. 알아차림과 빠사나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한국 위빠사나 선원에는 사띠(sati)의 해석을 ‘알아차림’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순수한 우리말로서 쉽게 이해되기 때문이다. 빨리어를 우리말로 완벽하게 표현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알아차림도 완전한 표현은 아니다. 왜냐하면 사띠(sati)는 행(行)에 속하는 것으로 마음의 작용(수. 상. 행)의 하나다. 그런데 사람들은 알아차림이라고 하면 아는 마음(識)으로 오해하는 수가 많다. 우리가 수행을 하면서 알아차리는 것은, 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주시하는 것이고 이것을 다시 마음이 아는 것이다. 이때의 주시는 알아차림과 같은 행이고 이것을 다시 마음이 아는 것이다. 이때 아는 마음은 식(識)이다.
우리 선원에서는 관찰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수행 중에, 관찰이라는 용어로 인해 수행자들이 장애를 겪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관찰이라는 말이 틀린 말은 아니지만, 수행을 하면서 관찰을 한다는 것은 무엇인가를 분석하고 얻으려고 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서 힘이 들어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 선원에서는, 하나의 견해이지만 관찰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묘원님의 부연설명)
알아차림은 마음에 의해 일어난 마음의 작용으로 행위이다. 오온의 식은 아는 마음이고 알아차림은 행에 속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것은 정신과 물질이 있어서 산다. 그러나 정신과 물질이 행위를 할 때, 하고 있는 행위를 습관적으로 하지 모두 알아차리고 하지는 않는다. 이것이 모르는 마음이다. 그러나 하고 있는 것을 깨어서 알고 하는 것은 알아차림이 있는 것이다. 이것이 아는 마음이다. 그래서 알아차림이 있는 마음이 수행을 하는 마음이다. 알아차림이란 깨어서 지켜보는 행위이다. 그래서 문을 지키는 문지기라고 한다. 또한 항상 알아차림과 함께 있는 상태를 물위에 떠있는 공처럼 이라고 말한다.
'묘원법사님(한국명상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네 가지에 대한 알아차림 ...묘원 (0) | 2019.02.17 |
---|---|
[스크랩] 대념처경이란...묘원 (0) | 2019.02.10 |
[스크랩] 경전이 생긴 배경...묘원 (0) | 2019.02.10 |
[스크랩] 단계별 수행방법...묘원 (0) | 2019.02.10 |
[스크랩] 열반에 이르는 길...묘원 (0) | 2019.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