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도론

[스크랩] 대지도론 265. ★ 보살의 초선, 2선, 3선, 사선

수선님 2019. 3. 3. 12:01

[문] 이 반야바라밀의 논리에서는 모든 법의 공한 모습만을 말했거늘

보살은 어찌하여 공한 법 가운데서 능히 선정을 일으키는가?

 

[답] 보살이 5욕(欲)과 5개(蓋)가 모두 인연 따라 생긴 것이어서

자성이 없으며, 공하여 있는 바가 없는 줄을 안다면, 그것을 버리기가 매우 쉽다.

 

중생들은 뒤바뀐 인연 때문에 이러한 사소하고 보잘것없는 즐거움에 집착되어

선정 가운데의 깊고도 묘한 즐거움을 여읜다.

 

보살은 이러한 중생들을 위하기 때문에 대비심을 일으켜 선정을 닦나니,

그는 마음을 대상에 매어 두고 5욕을 여의고 5개를 제거해 커다란 기쁨이 있는 초선에 들어간다.

 

다시 각관을 멸하고 마음을 거두어 깊은 내면의 청정함에 들어가 미묘한 기쁨을 얻는 제2선에 들어간다.

다시 깊은 기쁨이 집중을 산란시키기에 일체의 기쁨을 여의고 두루 가득 한 즐거움을 얻는 제3선에 들어간다.

  
[782 / 2071] 쪽
다시 일체의 괴로움과 즐거움을 여의고 일체의 근심과 기쁨 및 들고나는 호흡을 제하여 청정미묘한 무관심[捨]으로 스스로를 장엄하는 제4선에 들어간다.

 

 

이 보살은 모든 법이 공하여 모습이 없는 줄 알지만 중생들이 알지 못하기 때문에

선의 모습으로 중생을 교화하는 것이다.

 

만일 모든 법의 공함이 실제로 있다면 이는 공이라 이름하지 못한다.

 

또한 5욕을 버리고서 선을 얻을 수도 없으니,

버릴 수도 없고 얻을 수 없는 까닭에 지금 모든 법의 공한 모습도 얻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만일 모든 법이 공하다면 어떻게 능히 선을 얻을 수 있겠는가”라고 묻지 말아야 할 것이다.

 

또한 다시 이 보살은 모습을 취해 애착하여 선을 행하는 것이 아니다.

마치 사람이 약을 먹는 것과 같으니, 병을 제하기 위함일 뿐 아름다워지기 위해서가 아니다.

 

곧 계를 청정히 하고 지혜를 성취하기 위한 까닭에 선을 행하는 것이다.

 

 

보살은 하나하나의 선 가운데에서 대자(大慈)를 행하고 공을 관하면서도 선에 의지하지 않는다.

 

5욕이 거칠고 거짓되고 뒤바뀐 까닭에 미묘하고 허망하다는 법으로 다스리니,

비유하건대 독으로써 능히 독을 다스리는 것과 같다.

 

 

 

대지도론 265. ★ 보살의 초선, 2선, 3선, 사선

출처 : 출리심 보리심 공
글쓴이 : - 해탈 -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