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이 4무량심은 어떻게 행하는가? |
[답] 부처님께서는 곳곳의 경(經)에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
“비구가 자에 서로 응하는 마음으로 성냄 없고, 한(恨) 없고, 원망 없고, 번뇌 없으며 광대하고 무량하게 자심을 잘 닦고 이해[解]를 얻어 두루 채운다. 동방세계의 중생에게도 자심으로 이해를 얻어 두루 채우며, 남․서․북과 네 간방[四維]․위아래의 시방세계 중생에게도 비ㆍ희ㆍ사에 상응하는 마음으로 두루 채우기를 이와 같이 한다.” |
자에 서로 응하는 마음이라 했는데, 자는 마음에 속하는 법을 이름하며, 능히 마음속의 시끄러움과 혼탁함을 제하나니, 이른바 성냄․원망․인색함․탐냄 등의 번뇌이다.
마치 물을 정화하는 보배 구슬[浮水珠]을 흐린 물에 담구면 즉시에 물이 맑아지는 것과 같다. |
성냄과 한(恨)이 없다 했는데, 먼저 성냄이란 중생들에 대하여 인연이 있건 인연이 없건 화를 내는 것이다. 곧 욕하고 꾸짖고 해치고 위협하려는 것이니, 이를 성냄이라 한다.
그것이 시절을 기다리고 장소를 만나 세력이 생겨서 해코지하려 한다면 이것을 한이라 한다. |
자심으로써 이 두 가지 일을 제거하므로 성냄과 한이 없다고 하는 것이다. |
원망과 번뇌가 없다 했는데, 한이 곧 원망이다.
처음으로 혐오하는 것을 한이라 하고, 한이 오래 되면 원망이라 하며, 몸과 입의 업으로 해를 가하면 이를 번뇌라 한다. |
다시 처음 성냄의 번뇌가 생겨나는 것을 성냄이라 하고, 성냄이 늘어나서 따지고 헤아리면서 마음속에 꼭 간직하여 결단치 못하는 것을 한이라고도 하고 원망이라고도 하며, 마음이 이미 결정되어 두려움도 거리낌도 없는 것을 번뇌라 한다. |
7) 범어로는 anārambaṇa. |
[785 / 2071] 쪽 |
자심의 힘으로 제해 버려서 이 세 가지 일을 여의면 이것을 일컬어 성냄 없고, 원한 없고, 원망 없고, 번뇌 없다고 하는 것이다. |
이 성냄 없음․원한 없음․원망 없음․번뇌 없음을 가지고 부처님께서는 자심을 찬탄하신 것이다. |
일체 중생은 모두 괴로움을 두려워하고 즐거움을 탐착하거니와 성냄은 괴로움의 인연이 되고, 자는 즐거움의 인연이 된다. |
중생들이 이 자삼매(慈三昧)를 듣고는 능히 괴로움을 제거하고 즐거움을 주는 까닭에 일심으로 부지런히 정진해 이 삼매를 행하여야 한다. |
이런 까닭에 ‘성냄 없고, 원한 없고, 원망 없고, 번뇌 없다’고 하는 것이다. |
‘광대하고 한량없다’고 함은 하나의 큰 마음을 말한다.
분별하면 세 이름이 있나니, 광(廣)이란 한 방향을 말하고, 대(大)란 높고 멀다는 뜻이며, 한량없음이란 아래쪽 및 나머지 아홉 방위이다. |
또한 아래는 광이요, 중간은 대요, 위는 한량없음이다. |
또한 사방의 중생심을 반연하는 것을 광이라 하고, 네 간방[四維]의 중생심을 반연하므로 대라 하고, 위와 아래의 중생심을 반연하는 것을 한량없음이라 한다. |
또한 성내고 한하는 마음을 깨뜨리는 것을 광(廣)이라 하고, 원망하는 마음을 깨뜨리는 것을 대라 하고, 번뇌심을 깨뜨리는 것을 한량없음이라 한다. |
또한 일체의 번뇌심은 소인(小人)들이 행하는 것으로 작은 일을 내기 때문에 소(小)라 하고, 다시 이보다 더 작기 때문에 성냄․원한․원망․번뇌라 하며, 이렇게 작은 가운데서도 작은 것을 깨뜨리는 것을 광대하고 한량없음이라 한다.
그것은 왜냐하면 큰 인연은 항상 작은 일을 깨뜨리기 때문이다. |
넓은 마음이란 죄를 두려워하고 지옥에 떨어질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마음속의 삿됨[惡法]을 제거하는 것이요, 큰 마음이란 복덕의 과보를 믿고 즐기어 나쁜 마음을 제거하는 것이요, 한량없는 마음이란 열반을 얻기 위하여 나쁜 마음을 제하는 것이다. |
[786 / 2071] 쪽 |
또한 수행자는 계행을 깨끗하게 지니기 때문에 그 마음이 넓고, 선정을 구족하기 때문에 그 마음이 크고, 지혜를 성취하기 때문에 그 마음이 한량이 없다. |
이러한 자심으로써 도를 얻은 성인을 생각하는 것을 한량없는 마음이라 한다.
한량없음으로써 성인을 분별하고 모든 하늘과 사람의 존귀한 곳을 생각하는 까닭에 큰 마음이라 하고, 나머지 하천한 중생과 3악도를 생각하는 것이 넓은 마음이다. |
사랑하는 중생에 대하여 자애로운 생각을 하되 자신에 대해서 보다 넓게 하기 때문에 넓은 마음이라 하고, 인자한 마음으로 사람들에게 맞추기 때문에 큰 마음이라 하고, 인자한 생각으로 원수와 미운 이를 대해 그 공덕이 많기에 한량없는 마음이라 한다. |
또한 좁게 반연하는 마음이기 때문에 넓다 하고, 작게 반연하는 마음이기 때문에 크다 하고, 한량이 있는 마음이기 때문에 한량이 없다고 한다. |
이와 같이 이치를 분별한다. |
‘잘 닦는다’고 함은 이 자심이 견고해지는 것을 말한다. 처음으로 자심을 얻은 것을 닦는다[修]고 하지는 않는다.
단지 사랑하고 염려하는 중생에 대해서가 아니고, 단지 좋아하는 중생에 대해서가 아니고, 단지 자기에게 이로운 중생에 대해서가 아닌, 곧 어느 치우친[一方] 중생에 대해서가 아닌 것을 일컬어 ‘잘 닦는다’고 하는 것이다. |
오랫동안 행하면 얻는 것이 깊으니, 애락과 애증 및 그 중간 등 세 종류의 중생은 꼭 같아서 다름이 없는 것이다. |
시방 5도의 중생을 하나의 자애로운 마음으로 관찰하되 마치 부모․형제․자매․자식․조카․친지와 같이 하며, 항상 좋은 일을 구해서 그들로 하여금 이로움과 평온함을 얻게 하고자 한다. |
이러한 마음이 시방의 중생에 두루하면 이와 같은 자심을 중생연(衆生緣)이라 한다. 대체로 범부들의 행하는 경지, 혹은 배울 것이 있는 이로서 아직 누(漏)가 다하지 못한 이에게 속한다. |
법연(法緣)을 행한다고 했는데, 모든 누가 다한 아라한ㆍ벽지불ㆍ부처님들과 같은 성인들은 나다 남이다 하는 상(相)을 깨뜨렸고, 같다 다르다 하는 상을 멸한 까닭에 오직 인연의 상속을 따라 모든 욕망이 생함을 관찰하며, 그로써 인자한 마음으로 중생을 생각할 때에 화합된 인연의 상속에 의하여 생겨났기에 오직 공한 것이다. |
[787 / 2071] 쪽 |
5중이 곧 중생이니, 이 5중을 인자한 마음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
중생들은 이 법의 공함을 알지 못하고 항상 일심으로 쾌락을 얻으려고만 한다.
성인은 그들을 가엾이 여기어 생각에 따라 즐거움을 얻게 하나니, 그것이 세속의 법이기 때문이다. 이것을 법연이라 한다. |
무연(無緣)이라 했는데, 이 인자함은 부처님들에게만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부처님들의 마음은 유위나 무위의 성품에 머무르지 않고, 과거ㆍ미래ㆍ현재의 세상에 의지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모든 반연이 진실치 않고, 뒤바뀌어 허망한 줄을 아시기 때문에 마음에 반연하는 바가 없는 것이다. |
부처님은 중생들이 이러한 법의 실상을 알지 못한 채 다섯 길에 왕래하면서 마음이 모든 법에 집착되어 분별하거나 취하고 버리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법의 진실한 모습을 아시는 지혜로써 중생들로 하여금 이를 얻게 하시니, 이를 무연이라 한다. |
비유하건대 가난한 사람에게 베풀어 줄때 혹은 재물을 주거나 혹은 금은보물을 주거나 혹은 여의주를 주는 것과도 같으니, 중생연ㆍ법연․무연 역시 이와 같다. |
이것이 자심의 뜻을 간략히 설명한 것이다. |
비심(悲心) 역시 이와 같으니, 가엾이 여기는 마음으로 시방 중생들의 고통을 관찰하고는 생각하기를 ‘중생들은 가엾기도 하구나. 이런 갖가지 고통을 받게 하지 않으리라’ 한다. |
성냄 없고 원망 없고 번뇌 없는 마음에서 시방에 이르기까지 모두 이와 같다. |
'대지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대지도론 269. 즐거움[樂]과 기쁨[喜]의 차이 (0) | 2019.03.03 |
---|---|
[스크랩] 대지도론 268. 사무량심의 성취 (0) | 2019.03.03 |
[스크랩] 대지도론 266. 자비희사 사무량심 - 뜻과 목적 (0) | 2019.03.03 |
[스크랩] 대지도론 265. ★ 보살의 초선, 2선, 3선, 사선 (0) | 2019.03.03 |
[스크랩] 대지도론 264. 제도해야할 세 종류의 사람 (0) | 2019.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