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이라마 · 보리심 수행 95

[스크랩] [보살행 37송] 15. 불교는 무신론, 창조주를 인정하지 않는다. 불교와 유일신교의 차이점

영어의 “릴리젼(religion)” 즉, “신과의 재결합”을 종종 “다르마(Dharma, 法)”이라고 번역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다르마(Dharma, 法)와는 다르게 “릴리젼"이라는 단어는 “창조자 신(神)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하나의 체계”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말입니다. 그래서 이들 종..

[스크랩] [보살행 37송] 14. 너 자신의 행위가 너의 행복과 불행을 좌우한다. 운명은 신이 아닌 네 손에 달려 있다.

자신의 업(行爲)이 자신의 행복과 고통을 결정합니다. 행복은 긍정적이고 선한 행위에서 생기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가능한 한 그렇게 행동하려고 해야 합니다.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것은 원인과 결과(因果)의 길입니다. 운명은 신이 아닌 우리 자신의 손에 달린 것입니다. 따라서 불교에..

[스크랩] [보살행 37송] 13. 고통과 행복은 너 자신에게 달려 있다. 신/창조주가 아니고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법을 수행하는 데도 여러 가지 동기가 있다는 것입니다. 부모님 말씀을 잘 듣는 아이가 부모님께서 말씀하셨기 때문에 그냥 그렇게 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동기가 모호하며 맹목적인 것입니다. 법을 수행한다는 것은, 아이가 부모님 말씀에 순종하는 ..

[스크랩] [보살행 37송] 12. 멸성제, 도성제 - 법계/공성(空性)의 상태에 들어가야

고통을 진심으로 소멸하기를 원한다면, 번뇌 망상의 원인을 소멸하는 법계(法界, Dharmadhatu)나 공성(空性)의 상태에 들어가야 합니다. 그 자리에 들어가야만 실제 번뇌를 소멸하고, 열반(涅槃)을 이룰 수 있습니다. 번뇌 망상을 버리는 과정이나 그 원인을 제거하는 데는 여러 가지 단계가 ..

[스크랩] [보살행 37송] 11. ★★★ 고통의 원인은 번뇌이다. 집성제=자신의 거친 마음

네 가지 진리인 사성제(四聖諦)에는 고제(苦諦) 집제(集諦) 멸제(滅諦) 도제(道諦)가 있습니다. 먼저, 고제를 통하여 우리는 생(生) 노(老) 병(病) 사(死)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불행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부처님께서는 <고통을 바르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씀하셨습니..

[스크랩] [보살행 37송] 10. ★★★ 번뇌 발생시 행동으로 옮기지 말라.

그러므로 마음이 성숙해지고 번뇌 망상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을 때, 최선의 상태를 이룰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번뇌 망상이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다음 순간 더 이상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 것이 차선(次善)입니다. 언제나 화내지 않는 것이 최선이지만, 그래도 화가 나면 화를 가라..

[스크랩] 보살행 37송 9. 번뇌망상의 해로움을 잊지 말고 반드시 기억하라.

내 자신만 하더라도 수많은 번뇌와 망상의 꺼리가 생겨나 좋지 않은 것을 몰고 올 때가 많지만, 어느 것 하나도 계속해서 마음에 두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해서 나는 삶 속에서 번뇌와 망상을 줄여 갑니다. 그러면 덤으로 음식 맛은 더 좋아 지고, 모든 것이 좋기만 하여 삶은 더욱 즐거워..

[스크랩] 보살행 37송 8. 번뇌(분노/탐욕)는 불행을 가져온다.

예를 들어, 오늘날의 여기 보드가야만 놓고 생각해도 분명히 알 수 있는 일입니다. 이 성스런 땅에서 달라이 라마와 함께 있다고 해도, 지저분한 거지만 보면 화를 내고, 몸이 조금 불편하다고 화를 낸다면 스스로 행복할 수 있겠습니까? 반면에, 마음을 가라 앉혀 번뇌를 줄이고 선(善)이 ..

[스크랩] 보살행 37송 7. 증오와 욕망으로 얻은 명예/부/권력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티벳인인 우리들 자신을 생각해 보면, 중국에 분노하고 시기한다고 우리가 그만큼 행복해질 수 있을까요? 그것이 마음의 행복입니까? 물론 아니지요. 집착과 증오를 가지고 왕성하게 활동하는 사람을 생각해 보십시오. 아마 그런 사람은 큰 힘을 얻고 유명해져서 역사의 한 장을 장식할 ..

[스크랩] 보살행 37송 6. 자존심은 아주 불행한 마음의 상태

시기와 질투가 가득한 사람이 행복하겠습니까? 우리가 끝내 죽음을 맞이해야 하듯이 질투의 대상 역시 끝까지 남아 있을 수 없습니다. 질투와 시기는 완전히 충족되지 않습니다. 질투와 시기가 마음 속에 있는 한 행복은 가까이 오지 않습니다. 자존심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느 누구도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