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붓다의 옛길 - 올바른 행위 (業) 붓다의 옛길 올바른 행위 (業) '올바른 행위'는 불교도들의 행위 규범인 계학(戒學)을 구성하는 두 번째 요소이다. 이것은 세 가지 잘못된 행위인 살생, 도둑질, 부정한 성행위를 경계하는 것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이것은 모든 살아 있는 것들에 대한 자비, 자신에게 주어진 것만 갖는 .. 법 2018.11.04
[스크랩] 붓다의 옛길 - 올바른 말 (正語) 붓다의 옛길 올바른 말 (正語) 모든 종교와 철학은 인간 자신들의 안녕과 그들이 살고 있는 사회의 이익을 위해서 어떤 형태의 도덕이나 윤리를 내세운다. 이러한 윤리적 규칙들은 그 수준이나 범주가 동일하지 않고 다양하다. 어떤 사라들에게는 도덕적인 것이 다른 사람에게는 그렇지 .. 법 2018.10.28
[스크랩] 붓다의 옛길 - 올바른 생각 (正思惟) 붓다의 옛길 올바른 생각 (正思惟) 팔정도의 두 번째 요소인 '올바른 생각'은 '올바른 견해'의 결과이다. 이 두가지는 팔정도를 삼학으로 분류할 때 지혜 즉 혜학(慧學)을 구성한다. 올바른 생각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본 결과로 생긴다. 생각은 대단히 중요하다. 인간의 말과 행위는 생각.. 법 2018.10.28
붓다의 옛길 - 올바른 견해(正見) 붓다의 옛길 올바른 견해(正見) "이 대양(大洋)이 오직 한 가지 맛, 짠맛만 지니듯이 이 법도 오직 한가지 맛, 자유의 맛만 가지고 있다. (Udana p.56) 붓다의 가르침은 속박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다시는 거기에 얽매이지 않을 것(중부 26)을 분명하게 전해 준다. 붓다는 바로 이 자유를 향한 길을 가르쳐 준다. 갈림길에서 나그네는 어느 길을 택해야 할지 당황하게 된다. 그는 도움이 될 만한 것을 찾아 주위를 돌아보다가 반갑게도 방향을 알려 주는 이정표를 찾아 낸다. 이 제 목적에 도달하려면 그는 망설일 필요가 없다. 조심조심 열심히 나아가기만 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윤회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자유로 가는 길을 알지 못하는 한 당황하게 된다. 붓다는 이정표처럼 이해와 자유로 가는 최상의 길을 .. 법 2018.10.28
[스크랩] 깨달음이 불교의 목적인가 깨달음이 불교의 목적인가 홍사성 sshong4@korea.com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졸업. 불교방송 포교제작부장, 불교텔레비전 제작국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불교신문 주필로 있다. 1. 한국불교, 왜 하화중생에 소극적인가 부처님이 교화활동을 편 지 오래지 않아 제자가 60여 명에 이르렀을 때의 일.. 법 2018.10.28
[스크랩] 숫타니파타 / 12. 두 가지 관찰 12. 두 가지 관찰 (724) 내가 들은 바에 의하면, 어느 날 부처님께서는 사아밧티이의 동원(東園)에 있는 미가아라 장자 어머니의 누각(鹿子母講堂) 안에 계시었다. 그 때 거룩하신 스승은 정기적인 집회(布薩) 날인 달 밝은 보름밤에 수행승(비구)의 무리에 둘러 싸여 집밖에 계시었다. 거룩.. 법 2018.10.28
[스크랩] 숫타니파타 / 13. 올바른 편력(遍歷) 13. 올바른 편력(遍歷) (359) "지혜가 많고, 강을 건너 피안(彼岸)에 이르러 완전한 열반을 얻고, 마음이 안락한 성인께 여쭙니다. 출가하여 여러가지 욕망을 없앤 수행자는, 어떻게 해야 이 세상을 바르게 편력할 수 있습니까?" (360) 스승은 말씀하셨다. "길조의 점, 천지이변의 점, 해몽, 관상.. 법 2018.10.28
[스크랩] 숫타니파타 / 8. 화살 8.화살 (574)이 세상에서 사람의 명은 정해 있지 않아 얼마 사는지 모른다. 애처롭고 짧아 고뇌로 엉켜 있는 것이다. (575) 태어난 것은 죽음을 피할 길이 없다. 늙으면 죽음이 온다. 실로 생이 있는 자의 운명은 이런 것이다. (576) 익은 과일은 빨리 떨어질 위험이 있다. 그와 같이 태어난 자는.. 법 2018.10.28
[스크랩] 붓다의 옛길 - 불교의 기본 입장 불교의 기본 입장 붓다와 다른 종교의 지도자들을 구별짓는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는 붓다는 신(神)이라든가 어떤 초자연적인 존재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한 인간이었다는 점이다. 그는 신도, 신의 화신(化身)도, 신화적인 인물도 아니었다. 단지 그는 보통 사람들보다 뛰어난 인간이.. 법 2018.10.21
[스크랩] 붓다의 옛길 - 성서러운 고 소멸에 이르는 길의 진리 (道聖諦. 도성제) 붓다의 옛길-성서러운 고 소멸에 이르는 길의 진리 (道聖諦. 도성제. Dukkha Norodha Gamini Patipada Airya Sacca) 팔정도(八正道)의 세 가지 측면 열반에 즈음하여 붓다는 제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설했다. "내가 죽은 뒤에는 내가 너희들을 위해서 설하고 정해 놓은 법과 계율을 스승으로 삼아라." (장.. 법 2018.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