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보배경(Ratana sutta) 보배경(Ratana sutta) 1. Yānīdha bhūtāni samāgatāni 야니-다 부-따-니 사마-가따-니 Bhummāni vā yāni va antalikkhe, 붐마-니 와- 야-니 와 안딸릭케 Sabbeva bhūtā sumanā bhavantu 삽베와 부-따- 수마나- 바완뚜 Athopi sakkacca suṇantu bhāsitaṃ. 아토삐 삭깟짜 수난뚜 바-시땅 여기 모여든 모든 존재들은.. 법 2018.12.09
[스크랩] 초기불교 길라잡이 1.초기경전은 깨달음을 어떻게 정의합니까? - 사성제 자각 팔정도 실천하는 것 1.Q:부처님은 ‘깨달은 분’을 뜻하는 범어 붓다(Buddha)에서 유래된 말이라 합니다. 그렇다면 깨달음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깨닫게 됩니까? 불교가 2600여년간 전개돼 오면서 깨달음에 대한 너무 많은 말을 .. 법 2018.12.09
[스크랩] 소공경 121 121. 공(空)에 관한 작은 경 1.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세존께서는 싸밧티 시의 뿝빠라마에 있는 미가라마뚜 강당에 계셨다. 2. 그 때에 존자 아난다가 아침 일찍 홀로 명상하다가 일어나 세존께서 계신 곳으로 가까이 갔다. 가까이 가서 세존께 인사를 드리고 한 쪽으로 물러 앉았다. .. 법 2018.12.09
■ 붓다의 비유설법/ 안양규 붓다의 비유설법 안양규 지음 ▒ 목 차 ▒ 머리말 제1부:붓다(Buddha) 1. 의사로서의 붓다 2. 길 안내자로서의 붓다 3. 옛길의 발견자 4. 거문고 비유:중도 5. 연꽃의 비유:완전한 삶 6. 연못의 연꽃:설법의 결실 7. 싱사파 숲의 나뭇잎과 손안의 나뭇잎 8. 자신과 법을 섬으로 삼아라 제2부:붓다의 가르침 1. 장님이 코끼리 더듬기:공허한 논쟁 2. 뗏목의 비유:가르침은 도구일 뿐 3. 코끼리의 발자국:사성제 4. 강 중앙으로 흘러 들어가는 나무토막 5. 갈대단 비유:연기 6. 세 가지 불꽃 7. 대양의 물과 중생의 눈물:무상 제2부:붓다의 가르침 8. 독화살을 맞은 사람 9. 비파의 비유:무아 10. 무거운 짐 내려놓기 11. 소금 덩어리 제3부:수행과 실천 1. 눈 먼 거북이 널빤지 만.. 법 2018.12.02
[스크랩] 79. 무엇이 윤회하는가 79. 무엇이 윤회하는가 부처님이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실 때의 일이다. 그 무렵 출가하기 전에 어부의 아들이었던 사티 비구는 이런 말을 하고 다녔다. "부처님은 '사람이 죽어 저 세상에 가는 것은 현재의 식(識)이 그대로 가는 것'이라고 가르친다." 다른 비구들이 그의 잘못된 소견.. 법 2018.12.02
[스크랩] 27. 부처님의 몇가지 유훈 27. 부처님의 몇가지 유훈 베살리를 출발한 부처님이 열반지인 쿠시나가라의 두 그루의 사라나무 사이에 이르렀을 때의 일이다. 멀리서 부처님 일행이 오는 것을 본 한 바라문이 존경심을 일으켜 문안을 여쭙고 내일 아침 공양을 올리고 싶다고 했다. "그만 두라. 그대는 이미 내게 공양을.. 법 2018.12.02
[스크랩] 붓다의 45년 안거 기록 45년이라는 긴 교화기간 동안, 부처님은 인도의 북부지방을 널리 편력하셨다. 그러나 우기(雨期)의 안거철에는 대개 한 곳에 머무셨다. 다음은 부처님이 안거하신 지역들을 경전에서 간추린 것이다. 첫해 : 바라나시(베나레스) - 7월 보름에 처음으로 법을 선포하신 후 부처님은 첫 우기.. 법 2018.11.25
[스크랩] 자비관 명상에 대한 중요한 실천 지침 metta_vmrs.pdf 자비관 명상에 대한 중요한 실천 지침 A practical, Bare-Bones guide to Loving-Kindness Meditation 위말라람시 스님 저 (담마 수카 명상센터) 옮김 : 연방죽 선원 / 거울 "담마 보시는 다른 모든 보시를 뛰어넘는다." 들어가는 말 붓다의 가르침은 사람들이 갖는 종교적인 배경과 상관없이 평화.. 법 2018.11.25
[스크랩] 불교학 연구회 19호 - 지와 관, 선정과 사념처에 관한 고찰 / 한자경(이화여자대학교) I. 들어가는 말 수세기 동안 한국을 포함한 북방 대승불교의 주된 수행법은 화두를 들고 참구하는 간화선이었지만, 남방불교의 주된 수행법은 사념처를 중심으로 하는 위빠사나 수행이었다. 요즘 들어 마하시나 고엥카 등 위빠사나 수행이 한국에 소개되고 난 후, 선방은 간화선을, 학계는 위빠사나 수행을 불교의 핵심수행인 것처럼 주장하지만, 정작 선과 위빠사나, 지와 관, 정과 혜가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지에 대해, 선승과 학자들 간에뿐 아니라 학자들 상호 간에도 통일된 의견을 갖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대승기신론도 천태도, 원효도 지눌도 모두 지관쌍행, 정혜쌍수를 주장해왔지만, 아직도 그 논의가 그치지 않는 것은 근본적으로는 수행의 이론 초월적 심원함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어느 정도는 개념적 명료화 내지 체계화.. 법 2018.11.25
[스크랩] 숫타니파타 / 16. 사아리풋타 16. 사아리풋타 (955) 존자(尊者) 사아리풋타는 여쭈었다. "저는 아직 본 일도 없고 누구에게서 들은 일도 없습니다. 중생의 주인이신 스승께서 도솔천에서 내려오신, 그와 같이 아름다운 이야기를. (956) 눈 있는 사람은 신과 세상사람들이 보는 것처럼, 모든 암흑을 벗겨 버리고 홀로 법의 .. 법 2018.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