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1

■ 붓다의 비유설법/ 안양규

붓다의 비유설법 안양규 지음 ▒ 목 차 ▒ 머리말 제1부:붓다(Buddha) 1. 의사로서의 붓다 2. 길 안내자로서의 붓다 3. 옛길의 발견자 4. 거문고 비유:중도 5. 연꽃의 비유:완전한 삶 6. 연못의 연꽃:설법의 결실 7. 싱사파 숲의 나뭇잎과 손안의 나뭇잎 8. 자신과 법을 섬으로 삼아라 제2부:붓다의 가르침 1. 장님이 코끼리 더듬기:공허한 논쟁 2. 뗏목의 비유:가르침은 도구일 뿐 3. 코끼리의 발자국:사성제 4. 강 중앙으로 흘러 들어가는 나무토막 5. 갈대단 비유:연기 6. 세 가지 불꽃 7. 대양의 물과 중생의 눈물:무상 제2부:붓다의 가르침 8. 독화살을 맞은 사람 9. 비파의 비유:무아 10. 무거운 짐 내려놓기 11. 소금 덩어리 제3부:수행과 실천 1. 눈 먼 거북이 널빤지 만..

2018.12.02

[스크랩] 불교학 연구회 19호 - 지와 관, 선정과 사념처에 관한 고찰 / 한자경(이화여자대학교)

I. 들어가는 말 수세기 동안 한국을 포함한 북방 대승불교의 주된 수행법은 화두를 들고 참구하는 간화선이었지만, 남방불교의 주된 수행법은 사념처를 중심으로 하는 위빠사나 수행이었다. 요즘 들어 마하시나 고엥카 등 위빠사나 수행이 한국에 소개되고 난 후, 선방은 간화선을, 학계는 위빠사나 수행을 불교의 핵심수행인 것처럼 주장하지만, 정작 선과 위빠사나, 지와 관, 정과 혜가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지에 대해, 선승과 학자들 간에뿐 아니라 학자들 상호 간에도 통일된 의견을 갖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대승기신론도 천태도, 원효도 지눌도 모두 지관쌍행, 정혜쌍수를 주장해왔지만, 아직도 그 논의가 그치지 않는 것은 근본적으로는 수행의 이론 초월적 심원함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어느 정도는 개념적 명료화 내지 체계화..

2018.11.25